KR20170018150A -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150A
KR20170018150A KR1020150110707A KR20150110707A KR20170018150A KR 20170018150 A KR20170018150 A KR 20170018150A KR 1020150110707 A KR1020150110707 A KR 1020150110707A KR 20150110707 A KR20150110707 A KR 20150110707A KR 20170018150 A KR20170018150 A KR 20170018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crylic
color
adhesive tap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803B1 (ko
Inventor
김지혜
최상훈
이준승
이억형
최홍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1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8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17
    • C09J2201/1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순차적으로,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아크릴계 발포층; 제1 컬러층;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제2 컬러층;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컬러층은 흑색 색상을 띠고, 상기 제2 컬러층은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DISPLAY, MEHOD OF THE SAME AND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부품 등을 접착, 고정시키기 위해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양면 점착 테이프는 디스플레이의 테두리 등을 고정하면서도 외부 불순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한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층의 양면에 점착층을 포함하는 구조이고, 이러한 발포층의 예로서는 폴리우레탄계 발포층, 아크릴계 발포층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발포층을 포함하여 내충격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나, 인장 강도 또는 치수 안정성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게다가, 양면 점착 테이프는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발포층, 점착층 또는 이들 모두에 흑색 착색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발포층 형성 과정에서 조사되는 UV를 흑색 착색제가 흡수하여 광경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거나 조사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광경화 반응의 효율이 너무 낮고, 점착층의 점착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우수한 내충격성,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우수한 점착성을 동시에 구현하면서 양면의 구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순차적으로,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아크릴계 발포층; 제1 컬러층;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제2 컬러층;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컬러층은 흑색 색상을 띠고, 상기 제2 컬러층은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컬러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제2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컬러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이 접하도록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아크릴계 발포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도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인장 강도를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흑색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발포층 형성시 광경화 반응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 및 점착층의 점착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 없이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다른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상기 제2 컬러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양면, 즉 상부면 및 하부면을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어, 이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 처리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상기 제1 컬러층을 적층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제2 컬러층을 적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층들 간의 계면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전체적인 물성을 개선시키면서 우수한 장기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각각은 별도의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광경화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의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의 점착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아 우수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내충격성,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우수한 점착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는, 순차적으로, 제1 아크릴계 점착층(151); 아크릴계 발포층(140); 제1 컬러층(120);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110); 제2 컬러층(130);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컬러층(120)은 흑색 색상을 띠고, 상기 제2 컬러층(130)은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띨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층의 양면에 점착층을 포함하는 구조이고, 이러한 발포층의 예로서는 폴리우레탄계 발포층, 아크릴계 발포층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발포층을 포함하여 내충격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나, 인장 강도 또는 치수 안정성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게다가, 양면 점착 테이프는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발포층, 점착층 또는 이들 모두에 제1 착색제(coloring agent)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발포층에 포함하는 경우 발포층 형성 과정에서 조사되는 UV를 제1 착색제가 흡수하여 광경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거나 조사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광경화 반응의 효율이 너무 낮아지고, 점착층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점착층의 점착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아크릴계 발포층(140)을 포함하여 우수한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도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110)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인장 강도를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110)의 일면에 흑색 색상을 띠는 상기 제1 컬러층(120)을 형성함으로써 발포층 및 점착층에 제1 착색제를 포함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발포층 형성시 광경화 반응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 및 점착층의 점착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 없이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열가소성 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는 적층 구조가 대칭적이지 않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151)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향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이 소정의 사출물 또는 백 커버(back cover)를 향하도록 적용해야 더욱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고, 반대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들뜸, 탈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다른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상기 제2 컬러층(1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의 양면, 즉 상부면 및 하부면을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어, 이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 처리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110)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o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우레아(polyurea),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더욱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두께가 약 4㎛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 및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 간의 계면 접착력은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 및 상기 제1 컬러층(120) 간의 계면 접착력 보다 낮고, 상기 제2 점착층 및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 간의 계면 접착력은 상기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2 컬러층(130) 간의 계면 접착력 보다 낮다. 그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상기 제1 컬러층(120)을 적층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제2 컬러층(130)을 적층함으로써 각 층들 간의 계면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의 전체적인 물성을 개선시키면서 우수한 장기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층(120)은 예를 들어,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착색제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바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스크린 인쇄법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 착색제는 흑색 착색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카본 블랙계 착색제, 흑연계 착색제, 산화철계 착색제, 안트라퀴논계 착색제, 산화코발트계 착색제, 산화구리계 착색제, 망간계 착색제, 산화 안티몬계 착색제, 산화 니켈계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I.피그먼트 블랙(Pigment black) 6, 7, 9 등, C.I.피그먼트 블랙 8, 10 등, C.I.피그먼트 블랙 11, 12, 27, 피그먼트 브라운(Pigment Brown) 35 등 도다 고교사 제조 KN-370의 산화철, 미쯔비시 매터리얼사 제조 13M의 티타늄 블랙, C.I.피그먼트 블랙 20, C.I.피그먼트 블랙 13, 25 등, C.I.피그먼트 블랙 15, 28 등, C.I.피그먼트 블랙 14 등, C.I.피그먼트 블랙 23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수지, 폴리실리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바인더 수지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착색제 약 30 중량부 내지 약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성물은 용제, 분산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계 화합물, 방향성 탄화수소계 화합물, 에테르계 화합물, 케톤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n-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n-부틸 아세테이트,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부틸 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테르, 디옥산(diox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톤, 디에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사이클로헥사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용제는 제1 조성물이 도포 및 건조되어 제1 컬러층(1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증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착색제의 상대적인 함량, 예를 들어 중량%는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1 컬러층(120)에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층(120)은 상기 제1 착색제를 예를 들어, 약 10 중량% 내지 약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40 중량% 내지 약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코팅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층(120)의 두께가 약 0.1㎛ 내지 약 5㎛이고, 상기 제1 컬러층(120)의 광투과율이 예를 들어, 약 4.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 또는 상기 제2 점착층과의 사이에 우수한 계면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고,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범위 내의 광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컬러층(130)은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띨 수 있고, 상기 다른 색상은 백색,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주황색, 남색, 보라색, 빨간색, 회색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띨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컬러층(130)은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색상의 착색제를 적절히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백색 착색제, 노란색 착색제, 파란색 착색제, 초록색 착색제, 주황색 착색제, 남색 착색제, 보라색 착색제, 빨간색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착색제는 흑색 착색제 및 백색 착색제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회색 색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백색 착색제는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탄산칼슘, 점토, 리도폰(황산바륨과 황화아연의 혼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백색 안료일 수 있다.
상기 제2 컬러층(130)은 상기 제2 착색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다른 일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조성물의 도포 방법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2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수지, 폴리실리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바인더 수지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착색제 약 5 중량부 내지 약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성물은 용제, 분산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예를 들어,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퓨란, 자일렌, 클로로포름, 디메틸술폭사이드, m-크레졸, N-메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용제는 제2 조성물이 도포 및 건조되어 제2 컬러층(1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2 컬러층(130)은 상기 제2 착색제를 예를 들어, 약 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을 통하여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이 충분히 노출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의 양면을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2 컬러층(130)의 두께가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2 점착층에 대하여 우수한 계면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151),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 각각은 별도의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고 투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에 별도의 층으로서 상기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컬러층(12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에는 흑색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광경화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의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의 점착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아 우수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151)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을 통하여 상기 제1 컬러층(120)의 흑색 색상이 노출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을 통하여 상기 제2 컬러층(130)의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이 노출되어, 양 표면의 구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컬러층(1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른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상기 제2 컬러층(1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의 양면, 즉 상부면 및 하부면을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 처리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흑색 색상이 노출되는 제1 아크릴계 점착층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향하고, 상기 다른 색상이 노출되는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이 소정의 사출물 또는 백 커버(back cover)를 향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고, 예를 들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일 수 있으며,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적층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의 공지의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은 일면에 ITO 전극층이 형성된 투명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사출물 또는 상기 백 커버(back cover)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구성으로서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은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모두 수행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UV 조사에 의해 UV 경화반응을 진행시키고, 상기 열 처리에 의해 열 경화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모두 수행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 형성시 상기 UV 조사는 예를 들어, 약 500mJ/cm2 내지 약 2,5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500mJ/cm2 내지 약 2,0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이에 의해 UV가 소모되지 않고, 그에 따라 적은 조사량으로도 광경화 반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광경화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처리는 예를 들어, 약 30℃ 내지 약 60℃에서,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모노머 성분이 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대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량비가 약 30:1 내지 약 9:1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를 가짐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가 상온에서 적절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이 우수한 부착력 및 웨팅(wetting) 특성을 구현하여 내충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지환형, 방항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약 25℃에서 점도가 약 2,000cP 내지 약 30,000cP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점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발포용 조성물이 우수한 코팅성을 구현하여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을 더욱 균일한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기체는 약 0.001(cubic feet per minute, CFM) 내지 약 0.05CFM의 유량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 또는 유량으로 주입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30)의 기공률을 적절히 조절하여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기공 형성용 필러는 예를 들어, 고분자 미소중공구, 글래스 버블(glass bubble), 글래스 매크로 벌룬(glass macro balloon),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공 형성용 필러는 입자로서 평균 입경이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35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150㎛일 수 있다.
상기 기공 형성용 필러는 미리 발포된 발포 입자, 발포되지 않은 미발포 입자,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공 형성용 필러가 미발포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발포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 형성시 미발포 입자를 발포시키기 위한 별도의 열 처리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UV 조사 공정만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을 더욱 두꺼운 수준까지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공 형성용 필러가 미발포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를 발포시키기 위해 아크릴계 발포층(140) 내부로 열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고, 그에 따라 아크릴계 발포층(140)의 두께를 일정 수준으로 제한해야 할 수 있다.
상기 기체는 예를 들어, 공기, 질소, 아르곤, 헬륨, 네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불활성 기체 중 하나인 질소를 포함함으로써 예측하지 못한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의 물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비용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발포용 조성물은 기타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타 발포제는 예를 들어, 탄산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IBN), 디티트로소펜탄메틸렌테트라민(DPT),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TSH),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OBS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광개시제, 열개시제, 열경화제, 광경화제, 가교제, 점착부여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무기 필러, 자외선차단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가공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로진계 점착부여제, 테르펜계 점착부여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탄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 중량부 내지 약 2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은 기공의 평균 크기가 약 20㎛ 내지 약 200㎛이고, 기공률이 약 1% 내지 약 40%일 수 있다. 상기 기공률은 부피%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기공의 평균 크기 및 기공률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100)에서 요구되는 저장탄성률, 손실정접의 최대값 등의 물성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충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140)의 두께는 약 30㎛ 내지 약 1,0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1, 152)은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열개시제, 광개시제, 열경화제, 광경화제, 가교제, 가소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은 예를 들어 상기 점착 조성물에 대하여 광 조사, 열 처리 또는 이들 모두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에 의해 광 경화반응을 진행시키고, 상기 열 처리에 의해 열 경화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예를 들어,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부타디엔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모노머 성분이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형성하는 공중합성 모노머 성분 중 상기 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대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중량비가 약 1:0.05 내지 약 1:0.25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형성하는 공중합성 모노머 성분이 상기 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은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은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기재에 대하여 우수한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151)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각각의 점착력이 예를 들어, 약 2,350g/in 내지 약 4,000g/in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2,500g/in 내지 약 4,000g/in일 수 있다. 상기 점착력은 플라스틱 기재에 대하여 측정한 점착력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점착 물성이 저하되지 않고, 그에 따라 점착력을 적절히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151)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의 두께는 각각 약 25㎛ 내지 약 1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151)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의 두께는 상기 범위 내에서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의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110)이 적층된 면의 반대면 상에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형층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의 이형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이형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1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인장 강도가 약 100MPa 내지 약 500MPa이고, 충격 강도가 약 0.7mJ 내지 약 2.0mJ일 수 있다. 상기 인장 강도는 JIS K 7113 규격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인장 강도 및 충격 강도를 가짐으로써 치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내충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컬러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제2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S1);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제1 컬러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이 접하도록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적층체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예를 들어, 제1 착색제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상기 제1 컬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은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1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바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스크린 인쇄법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컬러층은 제1 착색제를 예를 들어, 약 10 중량% 내지 약 80 중량%로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40 중량% 내지 약 80 중량%로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코팅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컬러층의 두께는 약 0.1㎛ 내지 약 5㎛가 되고, 광투과율은 예를 들어, 약 4.0% 이하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 내지 약 3.0%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 또는 상기 제2 점착층과의 사이에 우수한 계면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고,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범위 내의 광투과율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컬러층은 상기 제2 착색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다른 일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 및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은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2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조성물의 도포 방법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2 컬러층은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띨 수 있고, 상기 다른 색상은 백색,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주황색, 남색, 보라색, 빨간색, 회색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띨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컬러층은 제2 착색제를 예를 들어, 약 5 중량% 내지 약 100 중량%로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152)을 통하여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이 충분히 노출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양면을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2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컬러층의 두께는 약 0.1㎛ 내지 약 5㎛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2 점착층에 대하여 우수한 계면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모두에는 별도의 착색제를 포함시키지 않고 투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에 별도의 층으로서 상기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컬러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에는 흑색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광경화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의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의 점착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통하여 상기 제1 컬러층의 흑색 색상이 노출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통하여 상기 제2 컬러층의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이 노출되어, 양 표면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열가소성 필름층의 상기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컬러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른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상기 제2 컬러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양면, 즉 상부면 및 하부면을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 처리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흑색 색상이 노출되는 제1 아크릴계 점착층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향하고, 상기 다른 색상이 노출되는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이 소정의 사출물 또는 백 커버(back cover)를 향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포용 조성물은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아크릴계 중합체 및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하거나, 열 처리를 수행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모노머 성분이 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대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량비가 약 30:1 내지 약 9:1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를 가짐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가 상온에서 적절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이 우수한 부착력 및 웨팅(wetting) 특성을 구현하여 내충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약 25℃에서 점도가 약 2,000cP 내지 약 30,000cP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점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발포용 조성물이 우수한 코팅성을 구현하여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더욱 균일한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기체는 약 0.001(cubic feet per minute, CFM) 내지 약 0.05CFM의 유량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 또는 유량으로 주입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의 기공률을 적절히 조절하여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공 형성용 필러를 포함하거나, 상기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경우 모두 에이징(aging) 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에이징 처리는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UV 조사는 예를 들어, 약 500mJ/cm2 내지 약 2,5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500mJ/cm2 내지 약 2,0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이에 의해 UV가 소모되지 않고, 그에 따라 적은 조사량으로도 광경화 반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광경화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처리는 예를 들어, 약 30℃ 내지 약 60℃에서,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기공의 평균 크기가 약 20㎛ 내지 약 200㎛이 되고, 기공률이 약 1% 내지 약 40%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공률은 부피%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기공의 평균 크기 및 기공률로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 요구되는 저장탄성률, 손실정접의 최대값 등의 물성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충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두께가 약 30㎛ 내지 약 1,000㎛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컬러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이 접하도록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의 적층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적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적층체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은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점착 조성물은 열개시제, 광개시제, 열경화제, 광경화제, 가교제, 가소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은 상기 점착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기 적층체의 양 면 상에 도포한 후 광 조사, 열 처리 또는 이들 모두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도포된 점착 조성물이 광 경화반응, 열 경화반응 또는 이들 모두를 진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흑색 조성물의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각각의 점착력이 예를 들어, 약 2,350g/in 내지 약 4,000g/in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2,500g/in 내지 약 4,000g/in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력은 플라스틱 기재에 대하여 측정한 점착력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은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점착 물성이 저하되지 않고, 그에 따라 점착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의 두께는 각각 약 25㎛ 내지 약 100㎛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범위 내에서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의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이 적층된 면의 반대면 상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의 이형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이형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형층은 두께가 약 50㎛ 내지 약 150㎛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인장 강도가 약 100MPa 내지 약 500MPa이 되고, 충격 강도가 약 0.7mJ 내지 약 2.0mJ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인장 강도 및 충격강도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치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내충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제1 착색제로서 카본블랙 안료 33.3 중량부, 분산제 6.6 중량부, 용제 19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38㎛ 두께의 PET 필름층의 일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1㎛ 두께의 제1 컬러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제2 착색제로서 카본블랙 안료 및 티타늄 옥사이드의 혼합물 33.3 중량부, 분산제 6.6 중량부, 용제 19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상기 PET 필름층의 다른 일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1㎛ 두께의 제2 컬러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 및 극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5를 1리터 유리 반응기에서 열중합시켜 점도 4500cP 아크릴계 중합체를 얻고, 상기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광개시제로서 이가큐어(Igacure)-651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2 중량부, 광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HDDA) 0.15 중량부를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였으며, 이어서 평균입경이 40㎛인 미소중공구 (Expancel 092 DE 40 d30, AkzoNobel사) 0.1 중량부, 평균입경이 120㎛인 미소중공구(Expancel 092 DET 120 d30, Akzo Nobel사) 0.1 중량부, 평균입경이 70㎛인 수산화알루미늄(H-100, Showa Denko사 제조) 1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조성물이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교반함으로써 발포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미소중공구들은 미리 발포된 발포 입자에 해당하여, 상기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1,2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UV 조사를 수행하여 0.15mm 두께의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컬러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이 접하도록 적층한 후 열 합판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체의 양 면 상에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광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도포 및 광경화시켜 각각 50㎛ 두께의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1 컬러층이 형성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은 포함하지 않고 아크릴계 발포층에 제1 착색제를 포함함)
실시예 1에서 준비한 동일한 발포용 조성물에 흑색 착색제로서 카본 블랙 0.25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발포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흑색층이 형성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은 포함하지 않고, 상기 흑색 착색제를 더 혼합한 발포용 조성물을 사용하며 상기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3,0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UV 조사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아크릴계 발포층,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1 컬러층이 형성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은 포함하지 않고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에 제1 착색제를 포함함)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점착 조성물에 흑색 착색제로서 카본블랙 0.25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흑색층이 형성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은 포함하지 않고, 상기 흑색 착색제를 더 혼합한 점착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아크릴계 발포층, 제1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 2에 따른 각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인장 강도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 2에 따른 각각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에 대하여 JIS K 7113의 규격에 따라 인장강도 측정기(Zwick Roell社, 모델명: Z1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 속도: 50 mm/min.
실험예 2: 충격 강도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 2에 따른 각각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에 대하여 낙구충격시험기(Dupont type impact teste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중앙에 10㎜ 지름의 홀(hole)이 형성된 50㎜x50㎜x2㎜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PC) 기재에,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 2에 따른 각각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매개로 20㎜x20㎜x3㎜의 유리를 부착하여 적층체 시편을 준비하였다.
상기 적층체 시편의 유리면에 대하여 100g의 추를 높이 50mm에서부터 500mm까지 순차적으로 50mm씩 올린 위치에서 낙하시키면서 유리와 양면 점착 테이프가 탈착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여 낙구충격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 상기 유리와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가 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이 탈착될 때까지 추의 무게를 150g, 200g, 300g 및 400g으로 증가시키면서 낙구충격 시험을 실시하였고, 추의 무게가 150g인 경우 350~500mm, 200g인 경우 400~500mm, 300g 및 400g인 경우에는 350~500mm 높이 내에서 순차적으로 50mm씩 올린 위치에서 낙하시켰다.
그에 따라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 2에 따른 각각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에 대하여 상기 유리와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가 탈착된 경우의 추의 무게 및 높이를 측정하여 이들로부터 충격 강도를 계산하였다.
실험예 3: 점착력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 2에 따른 각각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에 포함된 아크릴계 점착층 각각에 대하여 ASTM D 3330에 따라 만능시험기(UTM) (Texture Analyzer XT Plus, Stable micro systems社)을 사용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통해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 2에서 사용한 각각의 점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각각의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하였고, 이에 대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폭 50mm, 길이 120mm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기판을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물이 50:50 부피비로 혼합된 용액으로 세정한 후, 건조하였다. 이어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상기 각각의 아크릴계 점착층의 일면에 부착하고, 이들의 다른 일면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기판을 부착시킨 후, 2Kg 롤러로 왕복 2회 롤링함으로써 적층체 시편을 5개씩 준비하였다. 또한 이어서, 상기 각각의 시편을 상온에서 약 30분 동안 방치한 후 상온에서 300mm/분의 박리속도 및 180°의 박리각도 조건으로 상기 적층체 시편을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기판으로부터 박리시키면서 박리 강도를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박리 강도로서 평가하였다.
인장강도
(MPa)
충격강도
(mJ)
점착력
(g/in)
아크릴계 발포층 형성시 UV 조사량
(mJ/cm2)
실시예1 208 0.980 2800 1200
비교예1 10 0.662 2800 3000
비교예2 12 0.441 2,300 12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는 인장강도 및 충격, 전단강도가 모두 높은 수준으로 측정되어 우수한 내충격성 및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음을 명확히 확인하였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층이 우수한 점착 물성을 구현하면서 아크릴계 발포층 형성시 소모되는 UV 조사량이 적어 광경화 반응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명확히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통하여 상기 제1 컬러층의 흑색 색상이 노출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통하여 상기 제2 컬러층의 회색 색상이 노출되어, 육안으로 양 표면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반면, 상기 비교예 1, 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모두 인장강도가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어 치수안정성이 열등하였고, 비교예 1의 경우 아크릴계 발포층 형성시 소모되는 UV 조사량이 많아 광경화 반응의 효율이 낮았으며, 비교예 2의 경우 아크릴계 점착층의 점착 물성이 낮음을 명확히 확인하였다.
100: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110: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120: 제1 컬러층
130: 제2 컬러층
140: 아크릴계 발포층
151: 제1 아크릴계 점착층
152: 제2 아크릴계 점착층

Claims (23)

  1. 순차적으로,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아크릴계 발포층; 제1 컬러층;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제2 컬러층;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컬러층은 흑색 색상을 띠고, 상기 제2 컬러층은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각각은 별도의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고 투명한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통하여 상기 제1 컬러층의 흑색 색상이 노출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통하여 상기 제2 컬러층의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이 노출되어, 양 표면의 구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흑색 색상이 노출되는 제1 아크릴계 점착층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향하고,
    상기 다른 색상이 노출되는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이 소정의 사출물 또는 백 커버(back cover)를 향하도록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흑색 색상이 노출되는 제1 아크릴계 점착층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향하고,
    상기 다른 색상이 노출되는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이 소정의 사출물 또는 백 커버(back cover)를 향하도록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의 두께가 0.1㎛ 내지 5㎛이고, 광투과율이 4.0% 이하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은 제1 착색제를 10 중량%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색제는 카본 블랙계 착색제, 흑연계 착색제, 산화철계 착색제, 안트라퀴논계 착색제, 산화코발트계 착색제, 산화구리계 착색제, 망간계 착색제, 산화 안티몬계 착색제, 산화 니켈계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기공의 평균 크기가 20㎛ 내지 200㎛이고, 기공률이 1%내지 40%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각각의 점착력이 각각의 점착력이 2,350g/in 내지 4,000g/in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모두 수행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V 조사는 500mJ/cm2 내지 2,5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모두 수행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하며,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기체는 0.001(cubic feet per minute, CFM) 내지 0.05CFM의 유량으로 주입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모노머 성분이 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대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량비가 9:1 내지 7:3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15.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컬러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제2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컬러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이 접하도록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모두에는 별도의 착색제를 포함시키지 않고 투명하게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통하여 상기 제1 컬러층의 흑색 색상이 노출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통하여 상기 제2 컬러층의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이 노출되어, 양 표면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인장 강도는 100MPa 내지 500MPa이 되고, 충격 강도는 0.7mJ 내지 2.0mJ이 되도록 제조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의 두께는 0.1㎛ 내지 5㎛가 되고, 광투과율은 4.0%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의 두께는 0.1㎛ 내지 5㎛가 되고, 광투과율은 4.0%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UV 조사는 500mJ/cm2 내지 2,5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하며,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기체는 약 0.001(cubic feet per minute, CFM) 내지 약 0.05CFM의 유량으로 주입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150110707A 2015-08-05 2015-08-05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707A KR101993803B1 (ko) 2015-08-05 2015-08-05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707A KR101993803B1 (ko) 2015-08-05 2015-08-05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50A true KR20170018150A (ko) 2017-02-16
KR101993803B1 KR101993803B1 (ko) 2019-06-28

Family

ID=5826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707A KR101993803B1 (ko) 2015-08-05 2015-08-05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8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299A (ko) *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영우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20200021286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영우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KR20200102795A (ko)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영우 단차보상 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KR20200104138A (ko)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KR20200117535A (ko) 2019-04-04 2020-10-14 주식회사 영우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KR20200120783A (ko) 2019-04-11 2020-10-22 주식회사 영우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KR20210031308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영우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테이프
US11319463B2 (en) 2018-10-16 2022-05-03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Multilayer adhesive fil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0544A (ko) * 2006-12-27 2008-07-02 한국스카파테이프(주) 기재층을 갖는 핸드폰용 양면 아크릴폼 테이프
JP2009040901A (ja) * 2007-08-09 2009-02-26 Dic Corp 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0544A (ko) * 2006-12-27 2008-07-02 한국스카파테이프(주) 기재층을 갖는 핸드폰용 양면 아크릴폼 테이프
JP2009040901A (ja) * 2007-08-09 2009-02-26 Dic Corp 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299A (ko) *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영우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20200021286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영우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US11319463B2 (en) 2018-10-16 2022-05-03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Multilayer adhesive film
KR20200102795A (ko)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영우 단차보상 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KR20200104138A (ko)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KR20200117535A (ko) 2019-04-04 2020-10-14 주식회사 영우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KR20200120783A (ko) 2019-04-11 2020-10-22 주식회사 영우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KR20210031308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영우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803B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803B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3799B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CN104053734B (zh) 粘合带
TWI487767B (zh) 黏著帶
CN101619198B (zh) 用于粘结电子组件的双面泡沫背衬的胶带
TWI424042B (zh) Double-sided adhesive tape
CN102876248B (zh) 双面压敏胶粘片
EP2436741B1 (en) Adhesive material having redetachability
TWI490306B (zh) 黏著帶
EP2551102B1 (en) Self-stick foam adhesive
EP1619228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TWI652326B (zh) 壓敏膠條及其用途
EP2995666B1 (en) Acrylic foam adhesive tape and flat-panel display applying same
KR20130105524A (ko) 양면 점착 시트
KR20140019759A (ko)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
KR101516117B1 (ko) 습식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폼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폼테이프
KR20160035704A (ko)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US11059999B2 (en) Acrylic rubber foam and double-sided adhesive tape comprising same
JP6314341B2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6326589B2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KR101658608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9125A (ko) 점착 시트 및 전자 기기
WO2022249726A1 (ja) 粘着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積層体
CN117460291A (zh) 一种oled显示模组器件
CN117321163A (zh) 粘合片、显示装置和层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