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138A -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138A
KR20200104138A KR1020190022707A KR20190022707A KR20200104138A KR 20200104138 A KR20200104138 A KR 20200104138A KR 1020190022707 A KR1020190022707 A KR 1020190022707A KR 20190022707 A KR20190022707 A KR 20190022707A KR 20200104138 A KR20200104138 A KR 2020010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tape
impact resistan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939B1 (ko
Inventor
구태욱
김덕수
조강희
조초원
유바울
홍순화
김경빈
박민수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19002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3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내충격폼층 및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내충격폼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충격폼층은 5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9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제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발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내충격폼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는 점착력, 내충격성 및 재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착면과의 부착과정에서 기포형성이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ADHESIVE TAPE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개시된 내용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력, 내충격성 및 재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착면과의 부착과정에서 기포형성이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부품 등을 접착 및 고정시키기 위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는데, 점착 테이프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는 디스플레이의 테두리 등을 고정하면서도 외부 불순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한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 점착 테이프는, 액자상 등의 형상으로 타발되고, 표시 화면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표시 화면의 대화면화에 따라 개구부 면적이 증대되고 있고, 그것에 의해 표시 화면주변의 접합 고정 부분이 협폭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점착 테이프는 해마다 점착면적이 줄어들고 있고, 점착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더욱 우수한 점착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유리면도 박막화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기기의 유리면이 균열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기기 유리면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내충격성이 우수한 발포층을 적용한 양면테이프가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발포층이 적용된 점착테이프의 경우 점착층과 발포층을 별도로 형성해야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향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재작업성이 낮고, 피착면의 부착과정에서 기포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373235호(2014.03.05) 한국특허공개 제10-2017-0018150호(2017.02.16)
개시된 내용은 점착력, 내충격성 및 재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착면과의 부착과정에서 기포형성이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내충격폼층 및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내충격폼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충격폼층은 5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9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제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적층체의 타면에는 제2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점착층의 외표면에는 엠보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엠보패턴은 음각의 깊이가 상기 제1점착층 두께의 10 내지 95%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기재층은 2.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티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 및 고무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아크릴 수지 혼합물은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내지 90 중량부 및 아크릴산 1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은 5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는 점착력, 내충격성 및 재작업성이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착면과의 부착과정에서 기포형성이 억제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내충격폼층(20) 및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내충격폼층(2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점착층(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는 상기 적층체의 타면에 제2점착층(40)을 형성하여 점착력이 더욱 향상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기재층(10)은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2.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티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 및 고무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2.5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1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양면테이프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소형화 및 박막화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상기 내충격폼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5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9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제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발포하여 이루어지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상부면에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발포제 5 중량부, 경화제 1 중량부 및 용제 10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코팅 후 160 내지 180℃로 건조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발포를 하여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내충격폼층(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 혼합물은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내지 90 중량부 및 아크릴산 1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0 내지 800000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는 0.1 내지 9 중량부가 함유되며 상기 아크릴 수지 혼합물을 발포시켜 내충격성이 우수한 내충격폼층(20)을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SDI사의 MSH-32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내충격폼층(20)의 발포효율성이 저하되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9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내충격폼층(20)의 발포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 수지 혼합물을 경화시킬 수 있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매는 상기 아크릴 수지 혼합물과 상기 발포제 및 경화제가 고르게 혼합되어 균질한 물성을 나타내는 내충격폼층(20)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메틸에틸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충격폼층(20)의 두께가 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의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상기 내충격폼층(20)의 두께가 40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의 내충격성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품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1점착층(30)은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내충격폼층(2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일면에 5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내충격폼층(2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피점착면에 점착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점착층(30)에 함유되는 아크릴 수지 혼합물은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5 내지 95 중량부 및 아크릴산 3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데,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 내지 700000인 것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점착층(30)의 외표면에는 엠보패턴(3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엠보패턴(31)은 음각의 깊이가 상기 제1점착층 두께의 10 내지 9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점착층(30)의 외표면에 엠보패턴(31)이 형성되면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는 피점착면에 잘못 적용되었을 때,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우수한 재작업성이 부여될 뿐만 아니라,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는 피점착면에 적용할 때, 기포형성이 억제되어 우수한 밀착도를 나타내는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엠보패턴(31)의 음각 깊이가 상기 제1점착층(30) 두께의 10%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엠보패턴(31)의 음각 깊이가 95%를 초과하게되면 상기 제1점착층(30)에 엠보패턴(31)을 형성하는 고정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1점착층(30)에 엠보패턴(31)을 형성하는 방법은 엠보패턴이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텔리이트 이형필름에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코팅 후 120℃로 건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점착층(40)은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내충격폼층(2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타면에 5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점착층(30)과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데,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를 양면테이프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점착층(30) 및 상기 제2점착층(40)의 두께가 5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개시된 점착테이프의 점착성능이 저하되며, 상기 제1점착층(30) 및 상기 제2점창층(40)의 두께가 35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개시된 점착테이프의 점착성능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며, 점착테이프를 재작업하는 과정에서 피점착면에 잔사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점착테이프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내충격폼층과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제조
1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기재층의 상부면에 아크릴 수지 혼합물(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아크릴산 10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750,000) 100 중량부, 발포제(SDI사 MSH-320) 5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코팅 후 170℃로 건조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발포하여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내충격폼층(밀도 0.7g/cm3, 내충격폼층 30% 압축시 반발력 0.18MPa)을 형성하여 내충격폼층과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1점착층의 제조
75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엠보 패턴이 형성되고 이형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상부면에 아크릴 수지 혼합물(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3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및 아크릴산 2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650,000) 100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코팅한 후에 120℃로 건조하여 2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제1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제2점착층의 제조
25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이형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상부면에 아크릴 수지 혼합물(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3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및 아크릴산 2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650,000) 100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코팅 후 120℃로 건조하여 2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제2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적층체에 형성된 기재층의 외표면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제1점착층을 합지하고,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내충격폼층의 외표면에는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제2점착층을 합지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적층체에 형성된 기재층의 외표면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제1점착층을 합지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내충격폼층과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 대신 1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기재층의 상부면에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제2점착층을 합지하고, 상기 제2점착층의 상부면에 아크릴 수지 혼합물(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아크릴산 10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750,000) 100 중량부, 발포제(SDI사 MSH-320) 5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코팅 후 170℃로 건조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발포하여 제조된 8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내충격폼층(밀도 0.7g/cm3, 내충격폼층 30% 압축시 반발력 0.18MP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1점착층에 엠보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점착테이프의 점착력, 내충격성, 및 기포억제 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점착테이프의 점착력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점착테이프를 25mm(폭)×200mm(길이)의 크기로 각각 10개씩 준비하고, 각 5개씩 엠보 패턴면에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SUS 피착면에 2kg의 압착롤을 사용하여 부착 시킨 후에 상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에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각 5개의 샘플은 엠보 패턴 반대면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 하였다.
또한, 내충격성은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점착테이프를 가로 48mm×세로 48mm로 절단한 후에 내부면을 가로 47.3mm×세로 47.3mm 잘라내어 살폭이 0.7mm인 사각틀 형태의 시편을 준비 하였다. 준비된 시편을 가로 60mm×세로 60mm×두께 2mm SUS 판위에 안착시키고 해당 상부면에 가로 55mm×세로 55mm×두께 0.8mm의 유리판을 안착시키고, 상기 유리판의 가운데에 16g의 강철구 가 떨어지도록 위치를 고정한 후에, 해당 강철구를 10cm부터 5cm 단위로 높이를 증가 시키면서 강철구를 떨궈 유리판이 깨지는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기포억제 성능은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점착테이프를 가로 48mm×세로 48mm로 잘라 시편화 한 후에 제1점착층에 형성된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가로 55mm ×세로 55mm×두께 0.8mm의 유리판의 상부면에 기포가 포집된 형태로 부착 시키고, 유리판에 부착된 시편을 2kg 압착롤로 1회 압착하여 유리판과 시편을 합지한 후에 기포가 제거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기포가 제거 되면 OK로 표기하고 기포가 제거되지 않고 포집된 형태를 유지하면 NG으로 표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점착테이프는 점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점착테이프에 비해 적층구조가 간소화될 뿐만 아니라, 내충격폼층을 두텁게 적용할 수 있어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엠보패턴이 형성된 제1점착층이 적용되어 우수한 기포제거 능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개시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는 점착력, 내충격성 및 재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착면과의 부착과정에서 기포형성이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10 ; 기재층
20 ; 내충격폼층
30 ; 제1점착층
31 ; 엠보패턴
40 ; 제2점착층

Claims (8)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내충격폼층; 및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내충격폼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충격폼층은 5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9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제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타면에는 제2점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의 외표면에는 엠보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엠보패턴은 음각의 깊이가 상기 제1점착층 두께의 10 내지 9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2.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티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 및 고무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 혼합물은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내지 90 중량부 및 아크릴산 1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보상 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은 5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KR1020190022707A 2019-02-26 2019-02-26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KR102234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07A KR102234939B1 (ko) 2019-02-26 2019-02-26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07A KR102234939B1 (ko) 2019-02-26 2019-02-26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38A true KR20200104138A (ko) 2020-09-03
KR102234939B1 KR102234939B1 (ko) 2021-04-01

Family

ID=7246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707A KR102234939B1 (ko) 2019-02-26 2019-02-26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43U (ja) * 1992-04-03 1994-03-15 日栄化工株式会社 粘着加工シート及び剥離紙
JP2003277701A (ja) * 2002-03-22 2003-10-02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
KR101373235B1 (ko) 2012-06-29 2014-03-13 (주)넥스디스플레이 단차 보상 테잎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lcd 모듈
KR20170018150A (ko) 2015-08-05 2017-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3397A (ko) * 2016-01-08 2017-07-18 (주)노바텍 기재층 제조방법 및 테이프 제조방법
KR2018004638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43U (ja) * 1992-04-03 1994-03-15 日栄化工株式会社 粘着加工シート及び剥離紙
JP2003277701A (ja) * 2002-03-22 2003-10-02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
KR101373235B1 (ko) 2012-06-29 2014-03-13 (주)넥스디스플레이 단차 보상 테잎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lcd 모듈
KR20170018150A (ko) 2015-08-05 2017-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3397A (ko) * 2016-01-08 2017-07-18 (주)노바텍 기재층 제조방법 및 테이프 제조방법
KR2018004638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939B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326B1 (ko) 평면판 접합용 수지적층체 및 적층평면판
JP6946553B2 (ja) ディスプレイ機器用耐衝撃性両面テープ
US9394465B2 (en)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TWI643756B (zh) Image display device
JP5370796B1 (ja) 粘着テープ
KR101961674B1 (ko)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160128379A (ko)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5945000B2 (ja) 再剥離性を備えた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再剥離方法
US20170152404A1 (en) Method for recycling optical device constituent members and method for evaluating reworkability of optical device constituent laminate
KR102044248B1 (ko)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 다층 구조의 광학용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234939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KR20160037721A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6104829A (ja) 粘着シート、その貼り合わせ方法、その製造方法、貼合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089040B1 (ko)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1672467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점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I591142B (zh) 黏著劑及其應用裝置
KR102234940B1 (ko)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테이프
KR102208901B1 (ko) 단차보상 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KR101698526B1 (ko) 다공성 필러를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
KR102058013B1 (ko) 공압출 필름을 이용한 방수테이프
KR20200120783A (ko)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KR102457272B1 (ko)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3194A (ko)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JP5417259B2 (ja) 積層体、それに用いる樹脂シート及び該積層体の用途
JP2011218720A (ja) 積層体、それに用いる樹脂シート及び該積層体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