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194A -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 Google Patents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194A
KR20200053194A KR1020180136498A KR20180136498A KR20200053194A KR 20200053194 A KR20200053194 A KR 20200053194A KR 1020180136498 A KR1020180136498 A KR 1020180136498A KR 20180136498 A KR20180136498 A KR 20180136498A KR 20200053194 A KR20200053194 A KR 2020005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ided tape
adhesive laye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950B1 (ko
Inventor
구태욱
김덕수
조초원
홍순화
박민수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180136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09J2201/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층, 상기 완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층은 우레탄수지, 발포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발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양면테이프는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과 충전제가 함유된 점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WATERPROOF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IMPROVED FRACTURE RESISTANT}
개시된 내용은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과 충전제가 함유된 점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내는 방수 양면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에는 조립을 위해 양면 점착 테이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전자 기기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패널을 터치 패널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에 접착하거나, 터치 패널 모듈과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을 접착하기 위해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양면 점착 테이프는, 액자상 등의 형상으로 타발되고, 표시 화면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표시 화면의 대화면화에 따라 개구부 면적이 증대되고 있고, 그것에 의해 표시 화면주변의 접합 고정 부분이 협폭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점착 테이프는 해마다 점착면적이 줄어들고 있고, 점착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더욱 우수한 점착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에 따라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가 박막화되고 있으며, 점착성능 외에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방수성능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방수성능이 부여된 양면테이프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평소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형성된 점착층의 방수성능이 유지되지만,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점착층에 균열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27184호(2015.06.02)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126588호(2015.11.12)
개시된 내용은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과 충전제가 함유된 점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내는 방수 양면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층, 상기 완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층은 우레탄수지, 발포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발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기재층은 25 내지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완충충은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우레탄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16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발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충전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2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2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충전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2점착층에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무기충전제 0.1 내지 0.3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무기충전제는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는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과 충전제가 함유된 점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내는 양면테이프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층(20), 상기 완충층(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점착층(30) 및 상기 기재층(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점착층(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층(20)은 우레탄수지, 발포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발포하여 형성된다.
상기 기재층(10)은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25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외력에 의해 개시된 방수 양면테이프가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격을 분산시켜주는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25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외력에 의해 개시된 방수 양면테이프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고,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10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양면테이프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소형화 및 박막화되고 있는 전자제품에 적용이 곤란해진다.
상기 완충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개시된 양면테이프의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외력에 의해 양면테이프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내파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층(10)은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형성되며,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7:3의 중량부로 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7:3의 중량부로 중합하여 형성된 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120000을 나타낸다.
상기 발포제는 우레탄 수지나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입자크기가 0.001 내지 50㎛이며, 아크릴로니트릴로 코팅된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SDI(Supply & Demand in Industry)사의 MSH-320)이 상용화되어 있는데, 상기 발포제는 가열하게 되면 shell부분에 아크릴로니트릴이 연화되고, 동시에 발포제 내에 내포되어 있던 탄화수소가 gas화 되는 물성을 나타내는데, 초경량의 중공미소구의 형태를 띠기 때문에 최종 발포제품의 경량화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자체적으로 우수한 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최종 발포제품에 기계적 강도를 유지 및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발포제품에 일정한 크기의 미세 닫힘셀 구조를 형성하여 발포제품의 표면성을 개선하며, 내수축성을 부여하여 발포제품의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용매는 상기 우레탄 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화제로는 상기 완충층(20)을 제조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층(20)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기와 같이 개시된 양면테이프의 내파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완충층(20)의 두께가 19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개시된 양면테이프의 내파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양면테이프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1점착층(30)은 상기 완충층(20)의 상부면에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완충층(20)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10)과 피착물을 강력하게 점착하여 외력에 의해 양면테이프가 피착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면테이프가 적용된 전자제품에 방수성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점착층(30)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거나,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충전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제1점착층(30)에 경화제를 대신하여 발포제나 충전제를 사용하게 되면 내파괴성이 더욱 향상된 양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 내지 7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매는 아크릴 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 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상기 완충층(20)에 사용된 발포제와 동일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제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탄산칼슘으로 코팅한 중공미소구인 MFL-7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점착층(30)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제1점착층(30)의 두께가 19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양면테이프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2점착층(40)은 상기 기재층(10)의 타면에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기재층(10)과 피착물을 강력하게 점착하고, 양면테이프의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켜 외력에 의해 양면테이프가 피착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면테이프가 적용된 전자제품에 방수성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점착층(40)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충전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충전제가 함유된 제2점착층(40)은 내충격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때, 상기 제2점착층(40)에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무기충전제 0.1 내지 0.3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무기충전제는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무기충전제가 더 함유되면 제2점착층(40)의 내충격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 내지 7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매는 아크릴 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 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상기 완충층에 사용된 발포제와 동일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제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탄산칼슘으로 코팅한 중공미소구인 MFL-7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점착층(40)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제2점착층(40)의 두께가 19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양면테이프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양면테이프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5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기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 중량부 및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 30 중량부로 중합, 중량평균 분자량 110,000)와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 발포제(SDI사 MSH-320) 1 중량부 및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4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하고 100℃로 건조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하고, 용매 성분이 제거된 코팅층을 170℃에서 발포하여 50㎛ 두께의 완충층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아크릴 수지(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및 아크릴산 5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0) 100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코팅 후 170℃로 건조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해서 75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제1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아크릴 수지(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및 아크릴산 5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0) 100 중량부, 발포제(SDI사 MSH-320) 1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코팅 후 170℃로 건조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발포하여 75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제2점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2점착층에 발포제를 대신 충전제(SDI사 MFL-7) 1 중량부를 사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1점착층에 경화제 대신 발포제(SDI사 MSH-320)를 사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1점착층에 경화제 대신 충전제(SDI사 MFL-7)를 사용하고, 제2점착층에 발포제 대신 충전제(SDI사 MFL-7)를 사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2점착층에 무기충전제인 이산화규소(에보닉사 R 972, SiO2) 0.2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2점착층에 무기충전제인 이산화규소(에보닉사 R 972, SiO2) 0.2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기재층의 제1점착층에 상부면에 경화제 대신 충전제(SDI사 MFL-7)를 사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2점착층의 발포제 대신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에 무기충전제인 이산화규소(에보닉사 R 972, SiO2) 0.2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방수 양면테이프의 충격변형(수직, 전단), 재작업성, 잔사 및 방수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충격변형 평가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양면테이프를 가로 15.5mm×세로 15.5mm×살폭 0.7mm로 절단한 후에 가로 45mm×세로 45mm×두께 4mm×가운데 hole이 10mm인 마그네슘(Mg) 플레이트의 중앙에 부착하고 해당 샘플 상면에 가로 20mm×세로 20mm인 강화 유리 플레이트를 부착 시키고, 준비된 샘플을 24℃에서 72시간 방치하여 샘플과 플레이트를 고정시킨 후에 진행하였다.
1)충격변형 수직 평가
높이 50mm×길이 50mm인 블록 2개를 간격 35mm로 위치시킨 후 상기 준비된 샘플을 강화 유리 플레이트가 아래를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마그네슘 플레이트 hole 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지름 5mm의 스테인리스 금속 막대를 위치 시킨 후에 50g의 추를 높이 150mm에서 금속 막대 위로 낙하시켜 마그네슘 플레이트와 강화 유리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횟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플레이트 분리는 충격에 의해 방수테이프의 변형 및 파괴에 의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2) 충격변형 전단 평가
높이 50mm×길이 50mm인 블록 2개를 고정 할 수 있는 지그에 위치시키고 상기 준비된 샘플을 세로로 세운 후 10mm가 블록사이에 물리도록 하여 고정시킨 후에 세로로 위치한 강화 유리 플레이트 상부면에 지름 5mm의 스테인리스 금속 막대를 위치시키고 50g의 추를 높이 500mm에서 금속 막대 위로 낙하시켜 마그네슘 플레이트와 강화 유리 플레이트가 분리 되는 횟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재작업성 및 잔사 평가는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양면테이프를 가로 25mm×세로 150mm로 자른 후 가로 70mm×세로 200mm인 강화 유리 시편에 부착하고 상온에서 72시간 경과 후 샘플을 제거 하였을때, 파단 없이 깨끗이 제거 되면 OK로 표기하고 파단이 발생 하면 NG라고 표기 하였으며, 강화 유리면에 점착제가 잔류하면 잔사 존재라고 표기하였다.
또한, 방수성(Waterproof) 평가는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양면테이프를 가로 48mm×세로 48mm로 절단한 후에 가로 47.3mm×세로 47.3mm로 잘라내어 사각형 모양이 유지되는 형태로 살폭이 0.7mm인 샘플을 준비하고, 가로 60mm×세로 60mm×두께 6.5mm인 마그네슘(Mg)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PC) 플레이트 위에 샘플을 부착 시킨 후에 가로 50mm×세로 50mm×두께 2.8mm인 유리 플레이트를 부착시켜 준비된 샘플을 24℃에서 72시간 방치시킨 후 물 2m가 채워진 수조에 투입하고, 144시간 경과 후 샘플을 수거하여 누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누수가 없는 샘플은 Pass로 표기하였고 누수가 발생된 샘플은 NG로 표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 1 내지 7을 통해 제조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는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방수 양면테이프에 비해 충격변형 성능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는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과 충전제가 함유된 점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내는 양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10 ; 기재층
20 ; 완충층
30 ; 제1점착층
40 ; 제2점착층

Claims (10)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층;
    상기 완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층은 우레탄수지, 발포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발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25 내지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충은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우레탄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발포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160 내지 180℃의 온도에서 발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충전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충전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층에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무기충전제 0.1 내지 0.3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제는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20180136498A 2018-11-08 2018-11-08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218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498A KR102187950B1 (ko) 2018-11-08 2018-11-08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498A KR102187950B1 (ko) 2018-11-08 2018-11-08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94A true KR20200053194A (ko) 2020-05-18
KR102187950B1 KR102187950B1 (ko) 2020-12-08

Family

ID=7091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498A KR102187950B1 (ko) 2018-11-08 2018-11-08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560A (ko) * 2008-12-15 2010-06-24 헨켈코리아 유한회사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패널 접착제 조성물
KR101527184B1 (ko) 2013-10-14 2015-06-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 부품 공정용 양면 점착 백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부품의 분리방법
KR20150126588A (ko) 2013-03-05 2015-11-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KR20180004969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과 방수성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KR2018004638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560A (ko) * 2008-12-15 2010-06-24 헨켈코리아 유한회사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패널 접착제 조성물
KR20150126588A (ko) 2013-03-05 2015-11-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527184B1 (ko) 2013-10-14 2015-06-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 부품 공정용 양면 점착 백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부품의 분리방법
KR20180004969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과 방수성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KR2018004638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950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851B1 (ko)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KR20130092112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테이프
KR20170098842A (ko) 표면 보호 패널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표면 보호 패널
KR101879849B1 (ko) 고무입자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접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용 접착 테이프
KR102089040B1 (ko)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1923545B1 (ko) 방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용 접착 테이프
TW201331332A (zh) 行動電子機器構件固定用雙面黏著片材
KR101748102B1 (ko) 점착 테이프
KR102042224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양면테이프
KR20210070521A (ko) 고온 점착 특성이 우수한 방수테이프
KR20200053194A (ko)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20160037721A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 테이프
WO2016125976A1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테이프
KR20170092517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KR102234940B1 (ko)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테이프
KR102244481B1 (ko) 변형 복원력이 우수한 방수테이프
KR101672467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점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2225B1 (ko)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2208901B1 (ko) 단차보상 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KR20190059621A (ko) 폴리티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접착 테이프
KR20160097101A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테이프
KR20160097099A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테이프
KR102234939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KR20200120783A (ko)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KR102058014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방수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