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040B1 -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 Google Patents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040B1
KR102089040B1 KR1020180066934A KR20180066934A KR102089040B1 KR 102089040 B1 KR102089040 B1 KR 102089040B1 KR 1020180066934 A KR1020180066934 A KR 1020180066934A KR 20180066934 A KR20180066934 A KR 20180066934A KR 102089040 B1 KR102089040 B1 KR 10208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ided tape
buffer layer
waterproof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299A (ko
Inventor
구태욱
김덕수
조초원
박민수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18006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0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42Acryl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09J2201/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4Presence of a foam
    • C09J2400/243Presence of a foam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양면테이프는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WATERPROOF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IMPROVED FRACTURE RESISTANT}
개시된 내용은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내는 방수 양면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에는 조립을 위해 양면 점착 테이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전자 기기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패널을 터치 패널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에 접착하거나, 터치 패널 모듈과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을 접착하기 위해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양면 점착 테이프는, 액자상 등의 형상으로 타발되고, 표시 화면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표시 화면의 대화면화에 따라 개구부 면적이 증대되고 있고, 그것에 의해 표시 화면주변의 접합 고정 부분이 협폭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점착 테이프는 해마다 점착면적이 줄어들고 있고, 점착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더욱 우수한 점착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점차 얇아짐에 따라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가 박막화되고 있으며, 점착성능 외에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방수성능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방수성능이 부여된 양면테이프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평소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형성된 점착층의 방수성능이 유지되지만,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점착층에 균열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27184호(2015.06.02)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126588호(2015.11.12)
개시된 내용은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내는 방수 양면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하나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기재층은 25 내지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완충층은 10 내지 190㎛의 두께의 우레탄 발포체 또는 아크릴 발포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우레탄 발포체는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형성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1200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아크릴 발포체는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발포제는 입자크기가 0.001 내지 50㎛이며, 아크릴로니트릴로 코팅된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거나, 0.001 내지 50㎛의 입자크기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점착층은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는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내는 양면테이프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층(20) 및 상기 완충층(20)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양면에 형성되는 완충층(20) 및 상기 완충층(20)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기재층(10)은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25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외력에 의해 개시된 방수 양면테이프가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격을 분산시켜주는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25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외력에 의해 개시된 방수 양면테이프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고,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10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양면테이프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소형화 및 박막화되고 있는 전자제품에 적용이 곤란해진다.
상기 완충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우레탄 발포체 또는 아크릴 발포체로 이루어지는데, 개시된 양면테이프의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외력에 의해 양면테이프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내파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레탄 발포체는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형성되며,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7:3의 중량부로 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7:3의 중량부로 중합하여 형성된 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120000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아크릴 발포체는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며,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및 아크릴산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발포체나 상기 아크릴 발포체에 사용되는 발포제는 우레탄 수지나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입자크기가 0.001 내지 50㎛이며, 아크릴로니트릴로 코팅된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SDI(Supply & Demand in Industry)사의 MSH-320)이 상용화되어 있는데, 상기 발포제는 가열하게 되면 shell부분에 아크릴로니트릴이 연화되고, 동시에 발포제 내에 내포되어 있던 탄화수소가 gas화 되는 물성을 나타내는데, 초경량의 중공미소구의 형태를 띠기 때문에 최종 발포제품의 경량화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자체적으로 우수한 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최종 발포제품에 기계적 강도를 유지 및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발포제품에 일정한 크기의 미세 닫힘셀 구조를 형성하여 발포제품의 표면성을 개선하며, 내수축성을 부여하여 발포제품의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발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레탄 수지나 아크릴 수지 대비 발포제의 함량이 0.1 내지 1.5 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제로는 20 내지 4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은 발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레탄 수지나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3.5 내지 5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레탄 발포체나 상기 아크릴 발포체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상기 우레탄 수지나 아크릴 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화제로는 상기 우레탄 발포체나 상기 아크릴 발포체를 제조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층(20)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기와 같이 개시된 양면테이프의 내파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완충층(20)의 두께가 19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개시된 양면테이프의 내파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양면테이프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점착층(30)은 상기 완충층(20)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완충층(20)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10)과 피착물을 강력하게 점착하여 외력에 의해 양면테이프가 피착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면테이프가 적용된 전자제품에 방수성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 내지 7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매는 아크릴 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 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30)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점착층(30)의 두께가 19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양면테이프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는 25 내지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기재층(10)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에, 코팅된 혼합물을 100℃의 온도로 건조하고 170℃의 온도에서 발포시켜 10 내지 190㎛ 두께의 완충층(20)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20)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도포하여 10 내지 190㎛의 두께의 점착층(30)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양면테이프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5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기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중량부 및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 30 중량부로 중합, 중량평균 분자량 110000)와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 발포제(SDI사 MSH-320) 1 중량부 및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4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하고 100℃로 건조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하고, 용매 성분이 제거된 코팅층을 170℃에서 발포하여 50㎛ 두께의 완충층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아크릴 수지(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및 아크릴산 5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0) 100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75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완충층에 우레탄 수지를 대신해 아크릴 수지(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및 아크릴산 5 중량부)를 사용하여 아크릴 발포체로 이루어진 완충층을 형성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기재층의 양면에 아크릴 발포체로 완충층을 형성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기재층의 양면에 완충층을 형성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일면은 우레탄 발포체로 완충층을 형성하고, 타면은 아크릴 발포체로 완충층을 형성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발포제로 3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사용하여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완층층에 발포제를 적용하지 않고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완충층에 발포제를 적용하지 않고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완충층에 발포제를 적용하지 않고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4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완충층에 발포제를 적용하지 않고 방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방수 양면 테이프의 내충격성, 압출하중, 낙하분리 및 방수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내충격성은 강철 플레이트 및 SUS 플레이트를 충격량 측정 센서 상에 배치하고,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방수 양면 테이프를 가로 10cm × 세로 10c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제조된 시편을 각각 SUS 플레이트 상면에 부착시킨 후에, 16g의 강철구를 100cm 높이에서 낙하시켜 상기 센서를 통해 충격력을 측정하고, 시편이 적용되지 않은 SUS 플레이트에서의 충격량과 비교하여 충격 흡수율을 계산하였다.
충격 흡수율(%) = (시편이 없는 SUS 플레이트 충격량 - 시편이 부착된 SUS 플레이트 충격량) / 시편이 없는 SUS 플레이트 충격량 × 100
또한, 압출하중은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방수 양면 테이프를 가로 15.5mm × 세로 15.5mm로 자른 후 내부를 가로 14.8mm × 세로 14.8mm 잘라내어 살폭이 0.7mm인 사각틀의 형태로 샘플을 제조하고, 가운데 10Φ 크기로 구멍이 있는 가로 50mm × 세로 50mm × 두께 3.5mm 마그네슘(Mg)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PC) 플레이트 위에 샘플을 부착시킨 후에, 샘플의 상부면에 가로 20mm × 세로 20mm × 두께 2.8mm인 유리 플레이트를 부착시키고, 24℃에서 30분 동안 방치시킨 후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해서 10Φ 구멍에 뽀쪽한 팁으로 누르면서 유리 플레이트와 마그네슘 플레이트(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레이트)가 분리될 때의 하중 값(kgf)을 획득했다. 이렇게 획득된 값은 양면 테이프가 외부로부터의 주어진 힘을 견디는 정도(저항성)를 나타내며 하중 값이 높을 수록 내파괴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낙하분리는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방수 양면 테이프를 가로 48mm × 세로 48mm로 절단한 후에 내부를 가로 47.3mm × 세로 47.3mm로 잘라내어 살폭이 0.7mm인 사각틀 형태의 샘플을 준비하고, 가로 60mm × 세로 60mm × 두께 6.5mm 알루미늄(Al) 플레이트 위에 샘플을 부착시킨 후에 샘플의 상부면에 가로 50mm × 세로 50mm × 두께 2.8mm 유리 플레이트를 부착시키고 24℃에서 30분 방치 후 1.5m 자유 낙하시켰다. 알루미늄 플레이트와 유리플레이트가 분리될 때 까지 반복 낙하를 진행한 후에 분리될 때의 횟수와 분리면에서의 점착제가 남은 정도를 측정하여 점착제 잔사 %를 구했다. 알루미늄 플레이트 또는 유리 플레이트에서 테이프의 파괴 점착제가 한쪽면에만 존재할 시 잔사는 0%로 표기하였고 테이프가 파괴되어 알루미늄 플레이트와 유리 플레이트 양면에 점착제가 동일하게 존재할 때는 잔사 100%로 표기하였다. 분리되는 횟수가 높고 잔사가 0%에 가까울수록 테이프의 내파괴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방수(Waterproof)성능은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방수 양면 테이프를 가로 48mm × 세로 48mm로 자른 후 내부를 가로 47.3mm × 세로 47.3mm 잘라내어 살폭이 0.7mm인 사각틀 형태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샘플을 가로 60mm × 세로 60mm × 두께 6.5mm인 마그네슘(Mg)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PC) 플레이트 위에 부착시킨 후, 샘플의 상부면에 가로 50mm × 세로 50mm × 두께 2.8mm 유리 플레이트를 부착시키고 24℃에서 72시간 방치시킨 후에 물이 채워진 2m 깊이의 수조에 투입한 후에, 144시간 경과 후 샘플을 수거하여 샘플 내부에 누수 유/무를 확인 하였다. 누수가 없는 샘플은 Pass로 표기하였고 누수 된 샘플은 NG로 표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057115675-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 테이프는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방수 양면 테이프에 비해 내충격성, 압출하중 및 낙하분리 성능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는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이 우수한 완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파괴성을 나타내는 양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10 ; 기재층
20 ; 완충층
30 ; 점착층

Claims (11)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층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제는 입자크기가 0.001 내지 50㎛이며, 아크릴로니트릴로 코팅된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2.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층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제는 입자크기가 0.001 내지 50㎛이며, 아크릴로니트릴로 코팅된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25 내지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10 내지 19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형성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1200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7. 삭제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9. 삭제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10 내지 190㎛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및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20180066934A 2018-06-11 2018-06-11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208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34A KR102089040B1 (ko) 2018-06-11 2018-06-11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34A KR102089040B1 (ko) 2018-06-11 2018-06-11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299A KR20190140299A (ko) 2019-12-19
KR102089040B1 true KR102089040B1 (ko) 2020-03-13

Family

ID=6905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34A KR102089040B1 (ko) 2018-06-11 2018-06-11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563B1 (ko) * 2020-04-17 2021-10-28 주식회사 영우 열에 의해 박리되는 내충격 방수시트
CN117946597A (zh) * 2022-10-21 2024-04-30 德莎欧洲股份公司 一种性能对称可重工的双面胶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22B1 (ko) * 2016-07-05 2018-03-07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과 방수성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112A (ko) * 2012-02-10 2013-08-20 (주)앤디포스 내충격성이 우수한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테이프
JP6343463B2 (ja) 2013-03-05 2018-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KR101527184B1 (ko) 2013-10-14 2015-06-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 부품 공정용 양면 점착 백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부품의 분리방법
KR20160097101A (ko) * 2015-02-05 2016-08-17 주식회사 켐코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테이프
KR101993803B1 (ko) * 2015-08-05 2019-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22B1 (ko) * 2016-07-05 2018-03-07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과 방수성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299A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851B1 (ko)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EP3299162B1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622867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KR102089040B1 (ko)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20160058842A (ko) 점착테이프 및 전자 기기
CN102618182A (zh) 防水用两面粘着带
KR101748102B1 (ko) 점착 테이프
KR101994344B1 (ko) 곡면 부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필름
KR102042224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양면테이프
KR20210070521A (ko) 고온 점착 특성이 우수한 방수테이프
KR20160037721A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6104829A (ja) 粘着シート、その貼り合わせ方法、その製造方法、貼合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244481B1 (ko) 변형 복원력이 우수한 방수테이프
KR20170092517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WO2016125976A1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테이프
KR20200053194A (ko)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2234940B1 (ko)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테이프
KR102058013B1 (ko) 공압출 필름을 이용한 방수테이프
KR102042225B1 (ko)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KR102208901B1 (ko) 단차보상 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KR102234939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KR102575080B1 (ko) 디스플레이용 내충격 방수테이프
KR20200120783A (ko)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KR20160097101A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테이프
KR20160097099A (ko)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