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875A - 방현재, 방현재의 부착 방법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현재, 방현재의 부착 방법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875A
KR20170017875A KR1020167030922A KR20167030922A KR20170017875A KR 20170017875 A KR20170017875 A KR 20170017875A KR 1020167030922 A KR1020167030922 A KR 1020167030922A KR 20167030922 A KR20167030922 A KR 20167030922A KR 20170017875 A KR20170017875 A KR 2017001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ing
present
room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084B1 (ko
Inventor
마사미츠 이케베
히로아키 코다
토시유키 후쿠이
Original Assignee
시바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안벽(11)에 부착되는 방현재(10)는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12)와, 완충부(12)를 안벽(11)에 부착하기 위한 안벽 고정부(14a, 14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안벽 고정부(14a, 14b)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고정 부재(18a, 18b)를 포함한다. 또한 안벽 고정부(14a, 14b)는 방현재(10)를 안벽(11)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6a~16d)을 구비한다. 이렇게 하여 구성하면 고정 부재(18a, 18b)가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므로, 고정 부재(18a, 18b)의 표면 및 고정 부재(18a, 18b)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6a~16d)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도 녹의 발생이 경감된다.

Description

방현재, 방현재의 부착 방법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FENDER, FENDER MOUNTING METHOD, AND FEND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방현재(防舷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벽 등에 부착되는 방현재, 방현재의 부착 방법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형상의 방현재가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V자형(일본국 특개 2003-55938호 공보), 원뿔대형(일본국 특개 2001-172940호 공보), 직사각형형(일본국 특개 2000-309913호 공보), 원통형(일본국 특개 평7-197431호 공보) 등의 방현재가 제안되어 있다. 또 방현재 중에는 안벽 등에 부착하는 고정 부분에 보강판이 매설되어 있는 것 같은 것도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55938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3-55938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1-172940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0-309913호 공보 일본국 특개 평7-197431호 공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보강판에는 일반적으로 철판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이 때문에 보강판이 녹스는 것을 막기 위해서, 보강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단부나 볼트 고정을 위한 관통 구멍 부분을 고무 등으로 피복할 필요가 있었다. 또 고무 등에 의해 보강판을 피복하고 있어도, 충격이나 경년열화에 의한 고무의 파손에 의해 보강판이 외부에 노출되어버리는 일도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안벽 고정부에 설치된 고정 부재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어서, 부식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방현재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안벽 등에 부착되는 방현재로서,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와, 완충부를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안벽 고정부를 구비하고, 안벽 고정부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녹 방지성)을 가지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 부재가 방현재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도 녹의 발생이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에 있어서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철 재료보다 비중이 작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철 재료보다 비중이 작은 재료를 고정 부재에 사용하므로, 방현재 전체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또는 제2 국면에 있어서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완충부는 고무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고정 부재는 가연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현재를 폐기할 때 고정 부재와 완충부를 합쳐서 소각 처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내지 제3 국면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안벽 고정부로서 안벽 등에 접하도록 평판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안벽 등에 접하는 측과 반대인 측에 있어서 완충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현재를 안벽에 부착했을 때 고정 부재 자체가 안벽 등에 직접적으로 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내지 제3 국면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안벽 고정부에 있어서 매설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 부재는 안벽 고정부에 있어서 매설되어 있고, 피복 부재 등에 의해 피복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피복 부재 등에 의해 고정 부재를 피복하고 있었던 경우에도, 피복 부재가 파손되거나 하여 고정 부재가 노출되는 경우도 생각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고정 부재는 방청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녹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내지 제5 국면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또한 안벽 고정부는 방현재를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관통 구멍은 고정 부재를 관통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 부재를 관통하고 있는 부분은 외부에 노출되지만, 고정 부재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기 때문에 녹의 발생은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7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내지 제6 국면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완충부는 선박과 접하는 측에 설치되는 충격받이판(受衝板)과 충격받이판을 고정하기 위한 충격받이판 고정부를 포함하고, 충격받이판 고정부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충격받이판을 구비하는 것 같은 방현재에 있어서도, 안벽 고정부의 고정 부재와 마찬가지의 녹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의 부착 방법은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와,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안벽 고정부를 구비하는 방현재를 안벽에 부착하는 방현재의 부착 방법으로서, 안벽 고정부에 있어서 설치 장소가 되는 안벽 등에 있어서의 부착 볼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고정 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공정과, 부착 볼트를 사용하여 안벽 고정부를 관통 구멍을 통하여 안벽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현재를 부착하는 안벽의 설치 현장에 맞춘 관통 구멍을 녹을 신경쓰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의 제조 방법은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와, 완충부를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안벽 고정부를 구비하는 방현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완충부에 상당하는 부재를 안벽 고정부에 상당하는 부재에 접속하고, 긴 방향으로 뻗고 짧은 방향의 단면이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방현재 소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방현재 소재를 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로 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안벽 고정부에 있어서 설치 장소가 되는 안벽 등에 있어서의 부착 볼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고정 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녹 대책을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방현재 소재를 절단한 것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여 방현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고정 부재를 외부에 노출한 상태로 사용해도 녹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재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에 있어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방현재 전체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으므로, 운반, 폐기(일반적으로 운반, 폐기에 드는 비용은 중량에 따른 것이 된다)에 따른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또는 제2 국면에 있어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방현재를 폐기할 때 고정 부재와 완충부를 분별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내지 제3 국면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방현재를 안벽에 부착했을 때 안벽 등으로의 고정이 보다 강고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5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내지 제3 국면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피복 부재의 파손 등에 의해 고정 부재가 노출되어버려도 녹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내지 제5 국면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고정 부재의 녹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부재를 고무 등으로 피복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7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는 제1 국면 내지 제6 국면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충격받이판을 구비하는 것 같은 방현재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의 부착 방법은 녹을 신경쓰지 않고, 관통 구멍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재를 안벽에 부착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국면에 있어서의 방현재의 제조 방법은 녹 대책을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방현재 소재로 방현재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재의 제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보다 향상된 방현재, 방현재의 부착 방법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외관을 나타내는 경사 투영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II-II 라인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착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4)에 각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은 방현체 소체로부터 방현체를 잘라내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고, (2)는 방현체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폐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1)은 폐기하는 방현재를 안벽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2)는 방현재를 세세하게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외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외관을 나타내는 경사 투영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II-II선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방현재(10)의 중심선(이점쇄선 A-A)을 경계로 하여, 좌측에 정면도, 우측에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방현재(10)는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12)와, 완충부를 안벽(11)에 부착하기 위해서 안벽 고정부(14a, 14b)를 구비하고 있다.
완충부(12)는 고무(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클로로프렌 고무(CR) 등),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재료 등의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단면에서 본 형상이 대략 역V자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벽 고정부(14a, 14b)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SUS304 등)나 합성 수지(폴리에틸렌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18a, 18b)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 부재(18a, 18b)는 안벽(11)에 접하도록 평판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안벽(11)에 접하는 측과 반대인 측에 있어서 완충부(12)의 대략 역V자의 근본부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 부재(18a, 18b)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완충부(12)와 고정 부재(18a, 18b)는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여 접착하면 된다. 또 완충부(12)를 고무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완충부(12)와 고정 부재(18a, 18b)는 가황 접착을 행함으로써 일체화하면 된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완충부(12)와 고정 부재(18a, 18b)의 접착은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안벽 고정부(14a, 14b)는 방현재(10)를 안벽(11)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4개의 관통 구멍(16a~16d)을 구비한다. 관통 구멍(16a~16d)은 고정 부재(18a, 18b)와 완충부(12)의 접속 부분의 외측의 부착 부분에 있어서 설치되어 있고, 고정 부재(18a, 18b)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관통 구멍(16a, 16b) 각각의 중심선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이하의 도면에 대해서 동일).
이렇게 하여 구성하면 고정 부재(18a, 18b)가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므로, 고정 부재(18a, 18b)의 표면 및 고정 부재(18a, 18b)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6a~16d)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도 녹의 발생이 경감된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18a, 18b)를 외부에 노출한 상태에서 사용해도 녹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재(10)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고정 부재(18a, 18b)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 방현재의 완충부(12) 쪽이 열화가 빨리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면 완충부(12)가 고무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등). 방현재의 완충부(12) 쪽이 빨리 열화한 경우, 낡은 고무 재료 부분을 제거하여, 새로운 완충부(12)를 고정 부재(18a, 18b)에 부착하거나 하여, 고정 부재(18a, 18b)를 재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방현재(10)를 안벽(11)에 부착했을 때, 고정 부재(18a, 18b) 자체가 안벽(11)에 직접적으로 접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방현재(10)를 안벽에 부착했을 때, 안벽(11)으로의 고정이 보다 강고한 것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20)에 있어서는 고정 부재(28a, 28b)는 안벽 고정부(24a, 24b)에 있어서 매설되어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벽 고정부(24a, 24b)는 완충부(12)의 대략 역V자의 근본부와 각각 접속되어 있고, 고정 부재(28a, 28b)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는 완충부(12)와 마찬가지로 고무,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구성된다.
또 안벽 고정부(24a, 24b)와 완충부(12)의 접속 부분의 외측의 부착 부분에 있어서 관통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동 도면에서는 안벽 고정부(24b)측의 관통 구멍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 관통 구멍(26)의 내벽은 상기 서술한 피복 부재로 피복되고 있어, 외부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복 부재의 파손 등에 의해 고정 부재(28a, 28b)가 노출되어버려도 녹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재(2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30)에 있어서는 우선 완충부(12)는 그 동체부의 형상이 원통형이다. 또한 안벽 고정부(24) 및 고정 부재(28)는 각각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안벽 고정부(24a, 24b) 및 고정 부재(28a, 28b)와 마찬가지인데, 완충부(12)의 형상에 맞추어 차양형상의 플랜지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 완충부(12)는 안벽(11)에 부착되는 측과 반대측, 즉 선박과 접하는 측에 설치되는 충격받이판(32)과, 충격받이판(32)을 고정하기 위한 충격받이판 고정부(3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충격받이판 고정부(34)는 동체부로부터 돌출된 차양형상의 플랜지로서 구성하고 있고,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가 매설되어 있다.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는 고정 부재(28)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또는 수지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충격받이판 고정부(34)에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를 매설하는 수법에 대해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안벽 고정부(24a, 24b)에 고정 부재(28a, 28b)를 매설한 수법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또 충격받이판(32) 및 충격받이판 고정부(34)에는 각각 충격받이판(32)을 충격받이판 고정부(34)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볼트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36a 및 36b)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충격받이판(32)을 구비하는 것 같은 원통형의 방현재(30)에 있어서도, 안벽 고정부(24)의 고정 부재(28)와 마찬가지의 녹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충격받이판(32)을 구비하는 것 같은 방현재(30)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40)에 있어서는 우선 완충부(12)의 한 쌍의 동체부가 충격받이판(32)의 이면으로부터 안벽(11)을 향하여 ハ자형으로 끝이 넓어지도록 뻗는 형상이다(직사각형형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안벽 고정부(44a, 44b) 및 고정 부재(48a, 48b)는 각각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안벽 고정부(24) 및 고정 부재(28)와 대응하고 있는데, 형상을 완충부(12)에 맞추어 변경하고 있다. 즉 안벽 고정부(44a, 44b) 및 고정 부재(48a, 48b)는 완충부(12)의 형상에 맞추어 동체부로부터 단면 방향의 양측으로 뻗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안벽 고정부(44a)에 설치되는 관통 구멍(26a, 26b)은 관통 구멍(26a) 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안벽 고정부(44b)에 대해서도 안벽 고정부(44a)와 마찬가지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는데, 동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관통 구멍의 중심선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 충격받이판 고정부(34a, 34b) 및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a, 38b)는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충격받이판 고정부(34) 및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와 대응하고 있는데, 형상을 완충부(12)에 맞추어 변경하고 있다. 즉 충격받이판 고정부(34a, 34b) 및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a, 38b)는 완충부(12)의 형상에 맞추어 동체부로부터 단면 방향의 양측으로 뻗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충격받이판(32)을 구비하는 것 같은 직사각형형의 방현재(4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녹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착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1)을 참조하여, 안벽(11)에는 방현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볼트(55a, 55b)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착 볼트(55a, 55b)는 간격(W)만큼 이간하여 안벽(11)에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2)를 참조하여, 안벽(11)에 부착하기 위한 방현재(50)를 준비한다. 방현재(50)는 예시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역V자형·노출 타입의 것을 채용하는데,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현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단계에서는 고정 부재(58a, 58b)(안벽 고정부(54a, 54b))에는 관통 구멍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어서 (3)을 참조하여, 안벽 고정부(54a, 54b)에 있어서 각각 설치 장소가 되는 안벽(11)에 있어서의 부착 볼트(55a, 55b)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16a, 16b)을 설치한다. 즉 완충부(12)의 양측에 접속되는 고정 부재(58a, 58b)에 있어서 각각 안벽(11)의 부착 볼트(55a, 55b)에 맞추어 간격(W)으로 관통 구멍(16a, 16b)을 설치한다.
이어서 (4)를 참조하여, (3)에서 관통 구멍(16a, 16b)을 설치한 방현재(50)를 안벽(11)에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부재(58a, 58b) 각각의 관통 구멍(16a, 16b)을 안벽(11)의 부착 볼트(55a, 55b)에 위치맞춤하고, 관통 구멍(16a, 16b)으로부터 부착 볼트(55a, 55b)를 삽입통과시켜, 적당히 와셔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방현재(50)와 안벽(11)을 체결함으로써 부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현재(50)를 부착하는 안벽(11)의 설치 현장에 맞춘 관통 구멍(16a, 16b)을 녹을 신경쓰지 않고 고정 부재(58a, 58b)(안벽 고정부(54a, 54b))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녹을 신경쓰지 않고 관통 구멍(16a, 16b)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재(50)를 안벽(11)에 부착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관통 구멍(16a, 16b)의 크기를 설치 현장에 있어서 수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방현재의 현장으로의 반입 전(공장 출하시 등)에 뚫은 관통 구멍(16a, 16b)의 위치가 어긋나 있었던 경우, 설치 현장에 있어서 관통 구멍(16a, 16b)을 부착 위치에 맞추어 조금 크게 하기 위해서 관통 구멍(16a, 16b)을 깎아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서는 방현재 소재(60)를 절단하여 완충부(62A) 및 안벽 고정부(64a, 64b)를 구비하는 방현재(60A)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1)을 참조하여, 완충부에 상당하는 부재(62)를 안벽 고정부에 상당하는 부재(64R, 64L)에 접속하고, 긴 방향(Y)으로 뻗고 짧은 방향(X)의 단면이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방현재 소재(60)를 준비한다.
완충부에 상당하는 부재(62)는 짧은 방향(X)의 단면에서 보아 역V자형상을 하고 있고, 역V자의 근본부는 안벽 고정부에 상당하는 부재(64R, 64L)와 접속되어 있다.
안벽 고정부에 상당하는 부재(64R, 64L)는 완충부에 상당하는 부재(62)의 역V자의 근본부로부터 외측으로 뻗어 설치되는 연장설치부(65R, 65L)와, 연장설치부(65R, 65L)보다 안벽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에 상당하는 부재(68R, 68L)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에 상당하는 부재(68R, 68L)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고정 부재에 상당하는 부재(68R, 68L)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평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연장설치부(65R, 65L)는 고정 부재에 상당하는 부재(68R, 68L)의 안벽측과 반대측의 면을 피복하도록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현재 소재(60)를 긴 방향(Y)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로 긴 방향(Y)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선(C1~C3)을 따라 절단한다. 이것에 의해 방현재(60A~60D)가 얻어진다. 이하 방현재(60A)에 대해서 예시하면, 방현재(60A)는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62A)와, 연장설치부(65a, 65b) 및 고정 부재(68a, 68b)를 포함하는 안벽 고정부(64a, 64b)를 구비하고 있다(동 도면의 (2)를 참조). 또한 방현재(60A)의 각 부와 방현재 소재(60)의 각 부를 대응지으면, 완충부(62A)는 완충부에 상당하는 부재(62)에 대응하고 있고, 연장설치부(65a, 65b)는 연장설치부(65R, 65L)에 대응하고 있으며, 고정 부재(68a, 68b)는 고정 부재에 상당하는 부재(68R, 68L)에 대응하고 있고, 안벽 고정부(64a, 64b)는 안벽 고정부에 상당하는 부재(64R, 64L)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방현재(60B~60D)에 대해서도 방현재(60A)와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현재(60A)의 안벽 고정부(64a, 64b)에 있어서 설치 장소가 되는 안벽 등에 있어서의 부착 볼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16a~16d)을 설치한다. 관통 구멍(16a~16d)은 연장설치부(65a, 65b)와 고정 부재(68a, 68b)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녹 대책을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방현재 소재(60)를 절단한 것에 관통 구멍(16a~16d)을 설치하여, 원하는 방현재(60A)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방현재(60A)의 제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폐기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방현재(60A)는 제6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완충부(62A)는 고무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고정 부재(68a, 68b)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가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우선 (1)을 참조하여, 폭 방향(X)의 절단선(C11 및 C12)을 따라 방현재(60A)를 절단함으로써 절단편(71~73)을 얻는다.
이어서 (2)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절단편(71)에 대해서 설명하면, 절단편(71)을 (1)에 나타낸 길이 방향(Y)의 절단선(C21 및 C22)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절단소편(71a~71e)을 얻는다. 절단편(72 및 7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Y)의 절단선(C21 및 C22)을 따라 절단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완충부(62A)는 고무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고정 부재(68a, 68b)는 가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소편(71a~71e)을 합쳐서 소각 처분할 수 있다. 즉 방현재(60A)를 폐기할 때, 고정 부재(68a, 68b)와 완충부(62A)를 구별없이 소각 처분할 수 있다. 따라서 방현재(60A)를 폐기할 때, 고정 부재(68a, 68b)와 완충부(62A)를 분별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공정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 방향(Y)의 절단선(C21 및 C22)을 따라 방현재(60A)를 절단한 후에 폭 방향(X)의 절단선(C11 및 C12)으로의 절단을 행해도 된다.
또 길이 방향(Y)의 절단선(C21 및 C22)과 폭 방향(X)의 절단선(C11 및 C12)은 원하는 크기의 절단편이 얻어지도록 임의의 수 및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추가로 서술하면 폭 방향(X)의 절단선이 관통 구멍(16a~16d)을 통과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절단 면적이 줄어들어 절단시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10)에 있어서는 완충부(12)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M자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완충부(12)는 그 중심 부분에 리브(13)를 가지고 있다. 고정 부재(18a, 18b)는 안벽(11)에 접하는 측과 반대인 측에 있어서 완충부(12)의 대략 M자의 근본부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부에 리브(13)를 가지는 것 같은 완충부(12)를 구비하는 방현재(10)에도 적용할 수 있고, 방현재(10)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80)에 있어서는 안벽(11)의 천단의 코너에 부착하는 타입이다.
완충부(12)는 안벽(11)의 측벽에 부착하는 정면부(12a)와 안벽(11)의 천단에 부착하는 상단부(12b)를 포함한다. 정면부(12a)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역P자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정면부(12a)는 안벽(11)의 반대측에 대하여 볼록하게 되는 곡면을 가지고, 중공으로 되어 있다. 상단부(12b)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안벽 고정부(84a, 84b)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SUS304 등)나 합성 수지(폴리에틸렌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88a, 88b)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 부재(88)는 안벽(11)의 측벽에 부착하는 정면부(88a)와 안벽(11)의 천단에 부착하는 상단부(88b)를 포함하고, 정면부(88a)와 상단부(88b)는 단면에서 본 형상이 안벽(11)의 천단과 측벽이 이루는 코너를 따라 대략 역L자형상이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고정 부재(88)의 정면부(88a)와 상단부(88b)는 안벽(11)에 접하는 측과 반대인 측에 있어서 각각 완충부(12)의 정면부(12a)와 상단부(12b)와 접속되어 있다.
고정 부재(88)의 정면부(88a) 및 상단부(12b)는 각각 방현재(10)를 안벽(11)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6a, 16b)을 구비하고 있고, 관통 구멍(16a, 16b)의 주변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벽(11)의 천단의 코너에 부착하는 타입으로서, 정면부(88a)가 단면에서 보아 대략 역P자형상이 되는 것 같은 완충부(12)를 구비하는 방현재(80)에도 적용할 수 있고, 방현재(80)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9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80)에 있어서는 완충부(12)의 정면부(12a)는 제9 실시형태와 상이하며 단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원형의 구멍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벽(11)의 천단의 코너에 부착하는 타입으로서, 정면부(88a)가 단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형상이 되는 것 같은 완충부(12)를 구비하는 방현재(80)에도 적용할 수 있고, 방현재(80)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9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80)에 있어서는 안벽(11)의 코너부에 부착하는 타입이다. 우선 완충부(12)의 정면부(12a)와 상단부(12b)는 J-J선 부근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고, 이 J-J선 부근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단면에서 보아 원호를 그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안벽(11)의 정면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88a)는 안벽(11)에 접하는 측과 반대인 측에 있어서 완충부(12)의 정면부(12a)의 연직 부분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또 안벽(11)의 천단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88b)는 안벽(11)에 접하는 측과 반대인 측에 있어서 완충부(12)의 상단부(12b)의 평탄 부분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고정 부재(88a, 88b)는 각각 방현재(10)를 안벽(11)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6a, 16b)을 구비하고 있고, 관통 구멍(16a, 16b)의 주변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관통 구멍(16a)과 관통 구멍(16b)은 상이한 단면 상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단면 상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벽(11)의 코너부에 부착하는 타입의 방현재(80)에도 적용할 수 있고, 방현재(80)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외관도이다. (a)는 방현재의 정면도이며, (b)는 방현재의 저면도이며, (c)는 방현재의 측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의 (a)~(c)를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90)에 있어서는 사다리형의 타입이다. 즉 본 발명에는 완충성을 가지고 방현재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면 다른 기능을 가지는 것도 포함된다.
완충부(12)는 고무 재료 등의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보아 양측에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사이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스텝 부재를 구비한다.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는 저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또 (a)에 나타내는 K-K 라인에 있어서의 화살표로 본 단면형상은 안벽(11)측이 해방된 コ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コ자형상의 해방부에는 고정 부재(98)(안벽 고정부(94))가 배치된다. 고정 부재(98)(안벽 고정부(94))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SUS304 등)나 합성 수지(폴리에틸렌 등) 등으로 구성된다.
또 고정 부재(98)에는 소정 간격으로 관통 구멍(96a, 96b, 96c)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다리형의 방현재(90)에도 적용할 수 있고, 방현재(90)의 부식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하지 않은 바람직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안벽 고정부(14a, 14b)가 관통 구멍(16a~16d)을 구비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관통 구멍(16a~16d)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하는 것도 가능한 점에서, 관통 구멍(16a~16d)은 필수는 아니다. 관통 구멍(16a~16d)을 구비하지 않는 방현재(10)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추가로 서술하면 안벽 고정부(14a, 14b)는 5개 이상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제4, 제8~제11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철 재료보다 비중이 작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를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철 재료보다 비중이 작은 재료를 고정 부재에 사용하므로, 방현재 전체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현재의 운반, 폐기에 드는 비용은 중량에 따른 것이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중량을 가볍게 한 쪽이 보다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현재는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하지 않은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현재의 형상을 원뿔대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를 스테인레스 또는 수지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는 철 재료에 의해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6 및 제7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현재(60A)에 있어서 안벽 고정부(64a, 64b)에 설치하는 관통 구멍(16a~16d)의 구멍 직경은 연장설치부(65a, 65b)와 고정 부재(68a, 68b) 사이에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볼트의 머리부 및 와셔의 사이즈에 맞추어, 연장설치부(65a, 65b)에 설치하는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을 고정 부재(68a, 68b)에 설치하는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보다 크게 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볼트의 머리부 및 와셔가 고정 부재(68a, 68b)에 접하기 때문에, 방현재를 안벽에 부착했을 때, 안벽 등으로의 고정이 보다 강고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연장설치부(65a, 65b)와 고정 부재(68a, 68b) 사이에서 따로따로 관통 구멍을 설치해도 된다. 또는 연장설치부(65a, 65b) 및 고정 부재(68a, 68b)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일단 뚫어두고나서, 연장설치부(65a, 65b)에 설치한 관통 구멍의 주위를 볼트의 머리부 및 와셔의 사이즈에 맞추어 잘라내어, 연장설치부(65a, 65b)에 설치한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을 넓혀도 된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현재 소재(60)를 긴 방향(Y)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로 긴 방향(Y)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선(C1~C3)을 따라 절단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방현재 소재(60)를 절단하는 방향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방현재 소재(60)를 절단하는 방향은 필요한 방현재의 형상에 따라 긴 방향(Y)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로 긴 방향(Y)에 직교 방향 이외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완충부(62A)가 고무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고정 부재(68a, 68b)가 가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관없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재(10)에서는 안벽 고정부(14a)는 고정 부재(18a) 및 탄성재(19a)를 포함하고, 안벽 고정부(14b)는 고정 부재(18b) 및 탄성재(19b)를 포함한다. 또 탄성재(19a, 19b)를 통하여 완충부(12)와 고정 부재(18a, 18b)가 접합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고정 부재(18a, 18b)는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부재(18a, 18b)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보다 구체적인 접합 방법에 대해서는 우선 고정 부재(18a, 18b)의 표면에 각각 미리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탄성재(19a, 19b)를 부착해둔다. 고정 부재(18a, 18b)와 탄성재(19a, 19b)의 부착시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일체화해도 되고, 열 융착에 의해 일체화해도 된다.
이어서 완충부(12)에 대하여 탄성재(19a, 19b)를 통하여 고정 부재(18a, 18b)를 부착한다. 완충부(12)가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완충부(12)와 고정 부재(18a, 18b)에 부착한 탄성재(19a, 19b)는 예를 들면 가황 접착에 의해 부착해도 되고, 접착제를 통하여 부착해도 된다. 또 완충부(12)가 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경우, 완충부(12)와 탄성재(19a, 19b)는 예를 들면 접착제를 통하여 부착해도 되고, 경화 전의 완충부(12)에 대하여 탄성재(19a, 19b)를 부착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완충부(12)와 고정 부재(18a, 18b)를 불균일 없이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현재는 예를 들면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안벽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또 본 발명에 따른 방현재의 부착 방법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은 이와 같은 방현재의 부착 및 제조에 적합하다.

Claims (9)

  1. 안벽 등에 부착되는 방현재(10, 20, 30, 40, 80, 90)로서,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12)와,
    상기 완충부를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안벽 고정부(14a, 14b, 24, 24a, 24b, 44a, 44b, 84a, 84b, 94)를 구비하고,
    상기 안벽 고정부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고정 부재(18a, 18b, 28, 28a, 28b, 48a, 48b, 88a, 88b, 98)를 포함하는 방현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철 재료보다 비중이 작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고무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가연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안벽 고정부로서 안벽 등에 접하도록 평판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안벽 등에 접하는 측과 반대인 측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안벽 고정부에 있어서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안벽 고정부는 상기 방현재를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6a~16d, 96a~96c)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고정 부재를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선박과 접하는 측에 설치되는 충격받이판(32)과 상기 충격받이판을 고정하기 위한 충격받이판 고정부(34, 34a, 34b)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받이판 고정부는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충격받이판 고정 부재(38, 38a, 3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재.
  8.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와,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고정 부재(58a, 58b)를 포함하는 안벽 고정부(54a, 54b)를 구비하는 방현재(50)를 안벽에 부착하는 방현재의 부착 방법으로서,
    상기 안벽 고정부에 있어서, 설치 장소가 되는 안벽 등에 있어서의 부착 볼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상기 고정 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부착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안벽 고정부를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안벽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현재의 부착 방법.
  9. 선박의 접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를 안벽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 재료보다 높은 방청성을 가지는 고정 부재(68a, 68b)를 포함하는 안벽 고정부(64a, 64b)를 구비하는 방현재(60A)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완충부에 상당하는 부재(62)를 안벽 고정부에 상당하는 부재(64R, 64L)에 접속하고, 긴 방향으로 뻗고 짧은 방향의 단면이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방현재 소재(60)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방현재 소재를 상기 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로 상기 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안벽 고정부에 있어서, 설치 장소가 되는 안벽 등에 있어서의 부착 볼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상기 고정 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현재의 제조 방법.
KR1020167030922A 2014-06-17 2015-03-20 방현재, 안벽,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 KR102492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3926 2014-06-17
JPJP-P-2014-123926 2014-06-17
JPJP-P-2015-039920 2015-03-02
JP2015039920A JP6648972B2 (ja) 2014-06-17 2015-03-02 防舷材、岸壁及び防舷材の製造方法
PCT/JP2015/058408 WO2015194220A1 (ja) 2014-06-17 2015-03-20 防舷材、防舷材の取付方法及び防舷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75A true KR20170017875A (ko) 2017-02-15
KR102492084B1 KR102492084B1 (ko) 2023-01-26

Family

ID=5493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922A KR102492084B1 (ko) 2014-06-17 2015-03-20 방현재, 안벽,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59450A4 (ko)
JP (1) JP6648972B2 (ko)
KR (1) KR102492084B1 (ko)
CN (1) CN106661853B (ko)
MY (1) MY196136A (ko)
SG (1) SG11201609012XA (ko)
WO (1) WO2015194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522A (ko) * 2020-01-20 2021-07-28 (주)동양기업 선박 손상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방현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957U (en) * 1981-09-18 1983-11-25 Woong Seok Seo Rubber fender for quay
JPS59210112A (ja) * 1983-05-12 1984-11-28 Bridgestone Corp 防舷材
JPH07197431A (ja) 1993-12-28 1995-08-01 Shibata Ind Co Ltd 防舷材
JPH0959959A (ja) * 1995-08-25 1997-03-04 Sumitomo Rubber Ind Ltd 防舷材
JP2000309913A (ja) 1999-04-26 2000-11-07 Bridgestone Corp 防舷材
JP2001172940A (ja) 1999-12-20 2001-06-26 Sumitomo Rubber Ind Ltd 防舷材
JP2003055938A (ja) 2001-08-16 2003-02-26 Sumitomo Rubber Ind Ltd 防舷材
JP2003227121A (ja) * 2002-02-04 2003-08-15 Shibata Ind Co Ltd 弾性材製品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取り付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7123A (en) * 1967-09-06 1970-04-21 Seibu Gomu Kagaku Kk Fender for dock wall
JPS56100914A (en) * 1980-01-17 1981-08-13 Bridgestone Corp Composite fender
JPH07292620A (ja) * 1994-04-28 1995-11-07 Nitta Ind Corp 浮き桟橋
DE69827135D1 (en) * 1997-08-08 2004-11-25 Valpar Ind Ltd Fender
JP2009150173A (ja) * 2007-12-21 2009-07-09 Bridgestone Corp 防舷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705993U (zh) * 2012-01-17 2013-01-30 大连巅峰橡胶机带有限公司 一种橡胶护舷装置
CN202559298U (zh) * 2012-01-17 2012-11-28 大连巅峰橡胶机带有限公司 一种含内埋钢板的拱形橡胶护舷装置
JP5865121B2 (ja) * 2012-02-28 2016-02-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舷材
JP2017040060A (ja) * 2015-08-18 2017-02-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防舷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957U (en) * 1981-09-18 1983-11-25 Woong Seok Seo Rubber fender for quay
JPS59210112A (ja) * 1983-05-12 1984-11-28 Bridgestone Corp 防舷材
JPH07197431A (ja) 1993-12-28 1995-08-01 Shibata Ind Co Ltd 防舷材
JPH0959959A (ja) * 1995-08-25 1997-03-04 Sumitomo Rubber Ind Ltd 防舷材
JP2000309913A (ja) 1999-04-26 2000-11-07 Bridgestone Corp 防舷材
JP2001172940A (ja) 1999-12-20 2001-06-26 Sumitomo Rubber Ind Ltd 防舷材
JP2003055938A (ja) 2001-08-16 2003-02-26 Sumitomo Rubber Ind Ltd 防舷材
JP2003227121A (ja) * 2002-02-04 2003-08-15 Shibata Ind Co Ltd 弾性材製品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取り付け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보강판에는 일반적으로 철판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이 때문에 보강판이 녹스는 것을 막기 위해서, 보강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단부나 볼트 고정을 위한 관통 구멍 부분을 고무 등으로 피복할 필요가 있었다. 또 고무 등에 의해 보강판을 피복하고 있어도, 충격이나 경년열화에 의한 고무의 파손에 의해 보강판이 외부에 노출되어버리는 일도 우려된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1853B (zh) 2019-10-29
SG11201609012XA (en) 2016-12-29
KR102492084B1 (ko) 2023-01-26
JP6648972B2 (ja) 2020-02-19
EP3159450A1 (en) 2017-04-26
CN106661853A (zh) 2017-05-10
MY196136A (en) 2023-03-16
WO2015194220A1 (ja) 2015-12-23
EP3159450A4 (en) 2018-02-14
JP2016020625A (ja)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3388B2 (ja) 軸降伏型弾塑性履歴ブレース及び制振鉄骨構造物
JP2000064424A (ja) 耐震補強金具
KR101900397B1 (ko) 배관용 내진장치
KR102175516B1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US8366181B2 (en) Structural reinforcer applied to cut-out area of structural member
JP5422865B2 (ja) 耐震補強体
KR20170017875A (ko) 방현재, 방현재의 부착 방법 및 방현재의 제조 방법
JP2002235380A (ja) ブレースダンパー
JP2017171154A (ja) 車体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822923B1 (ko)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결합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부재 설치방법
JP2010024664A (ja) 防舷材
CN112469622B (zh) 包括金属插入件和支柱部件的交通工具部件
KR20190004440A (ko) 차량용 센터 필러 유닛
KR100696418B1 (ko) 조립식 패널 코너핀
KR101972400B1 (ko) 내장탑차 제조방법
JP6756801B2 (ja) 車両のルーフサイドメンバ
JP2006111044A (ja) エネルギー吸収体、車両用衝撃吸収体及び梱包用衝撃吸収体
JP4763180B2 (ja) 耐震補強材
KR101486709B1 (ko) 조립식 물탱크용 단위패널
JP3150716U (ja) 建築物及び建造物の補強構造
CN210859449U (zh) 一种板材减震隔离支撑密封装置
JP4889050B2 (ja) 建築物及び建造物の補強部材並びに補強構造
KR20190072221A (ko) 압출재용 벌크헤드
KR200477200Y1 (ko) 도어 프레임용 파이프
JP2013040454A (ja) 鋼床版uリブ用ダイヤフラム構造および鋼床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