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292A - 스태빌라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292A
KR20170011292A KR1020150103679A KR20150103679A KR20170011292A KR 20170011292 A KR20170011292 A KR 20170011292A KR 1020150103679 A KR1020150103679 A KR 1020150103679A KR 20150103679 A KR20150103679 A KR 20150103679A KR 20170011292 A KR20170011292 A KR 20170011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ball stud
stabilizer
link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경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292A/ko
Publication of KR2017001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차폭을 가로지르는 스태빌라이저바와. 일단부에 볼 스터드가 구비되어, 스태빌라이저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스트러트에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바링크와, 스태빌라이저바와 볼 스터드 사이에 개재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스태빌라이저바에 대한 볼 스터드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장치{STABILIZER APPARATUS}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 스터드를 감싸는 더스트커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차량의 선회 시 원심력에 의한 차량의 좌우 비틀림을 억제하여, 차량의 평형을 유지하고,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서브프레임에 고정되는 스태빌라이저바와, 스테빌라이저바의 양단부와 스트러트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바링크로 구성된다.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볼 스터드의 분해 또는 조립 과정에서 볼 스터드를 둘러싸는 더스트커버가 변형 및 파손되며, 더스트커버의 변형에 의하여 더스트커버와 볼 스터드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면, 볼 스터드가 손상되거나, 작동 중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1839호(2012.03.09 공개, 발명의 명칭: 스트러트 마운팅 타입 스태빌라이저바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스트커버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여, 더스트커버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볼 스터드의 손상 및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차폭을 가로지르는 스태빌라이저바; 일단부에 볼 스터드가 구비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스트러트에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바링크;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와 상기 볼 스터드 사이에 개재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에 대한 상기 볼 스터드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바디;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 스터드가 결합되고, 상기 볼 스터드와 대향하는 면에 제한부삽입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한부가 결합되는 링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링크는, 상기 볼 스터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터드결합부; 상기 스트러트에 결합되는 스트러트결합부; 및 상기 스터드결합부와 상기 스트러트결합부를 연결하는 링크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 스터드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에 대향하는 면에 제한부삽입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볼 스터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장치는 스태빌라이저바에 대한 볼 스터드의 회전을 제한하여 더스트커버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더스트커버의 형상을 유지하여, 더스트커버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볼 스터드의 손상 및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와 스태빌라이저바링크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와 스태빌라이저바링크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링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와 스태빌라이저바링크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장치(1)는 스태빌라이저바(100), 스태빌라이저바링크(200) 및 회전제한부(300)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바(100)는 차량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스태빌라이저바링크(200)를 매개로 스트러트(미도시)에 결합된다. 스태빌라이저바링크(200)는 일단부에 볼 스터드(210)가 구비되어 스태빌라이저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스트러트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바(100)는 서브프레임(10) 등에 구비되는 부쉬(11)에 끼워지며, 양단부는 스태빌라이저바링크(200)를 매개로 스트러트에 결합된다. 이로써 스태빌라이저바(100)는 차량이 곡선도 등을 주행할 때, 회전 반경의 외측으로 하중이 쏠리는 것을 억제하여 차량의 거동을 안정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와 스태빌라이저바링크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와 스태빌라이저바링크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회전제한부(300)는 스태빌라이저바(100)와 볼 스터드(210) 사이에 개재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스태빌라이저바(100)에 대한 볼 스터드(210)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00)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볼 스터드(21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00)는 내측으로 볼 스터드(210)가 삽입된 상태로, 볼 스터드(210) 및 스태빌라이저바(100)에 접하여 자력을 발생시켜, 스태빌라이저바(100)에 대한 볼 스터드(210)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볼 스터드(210)는 스태빌라이저바(100)에 관통 형성되는 스터드결합홀(131)에 삽입된 후, 너트(N)와 나사 결합되어 스태빌라이저바(10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 스터드(210)는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스터드결합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211)과, 볼(211)에서 연장 형성되어 스태빌라이저바(100)에 삽입, 고정되는 체결로드(213)를 포함한다.
체결로드(21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태빌라이저바(100)에 삽입 후 너트(N)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로드(213)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이 각지게 형성되는 이각부(215)가 형성되어, 볼 스터드(210)와 스태빌라이저바(100)의 결합 시 공구와 이각부(215)를 결합하여 볼 스터드(2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볼 스터드(210)는 이물질에 의한 오염 및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더스트커버(233)에 둘러싸여 보호된다. 더스트커버(233)는 하단부가 후술할 결합하우징(23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볼 스터드(210)에 접하여 볼 스터드(210)와의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00)에 의하여 볼 스터드(210)의 회전이 제한되면, 볼 스터드(210)의 분해, 조립 등의 경우 볼 스터드(210)와 함께 더스트커버(233)가 회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장치(1)는 더스트커버(233)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여, 더스트커버(233)와 볼 스터드(21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볼 스터드(210)의 손상 및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00)는 스태빌라이저바(10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바(100)는 스태빌라이저바디(110) 및 링크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바디(110)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차량의 서브프레임(10)에 장착되는 부쉬(11)에 결합된다.
링크결합부(130)는 스태빌라이저바디(110)의 단부에 형성되며, 볼 스터드(210)가 결합되고, 볼 스터드(210)와 대향하는 면에 제한부삽입홈부(40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전제한부(300)가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링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와 스태빌라이저바링크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00)는 스태빌라이저바링크(20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바링크(200)는 스터드결합부(230), 스트러트결합부(250) 및 링크바디부(270)를 포함한다.
스터드결합부(230)는 볼 스터드(21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 스터드(2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터드결합부(230)는 볼 스터드(210)의 볼(211)이 삽입되며 링크바디부(270)에 결합되는 결합하우징(231), 일단부가 결합하우징(23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볼 스터드(210)에 접하여 볼 스터드(210)와의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더스트커버(233)를 포함한다.
스트러트결합부(250)는 스트러트에 볼팅, 부싱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스트러트결합부(250)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링크바디부(270)는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각각 스터드결합부(230)와 스트러트결합부(25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볼 스터드(210)에는 스태빌라이저바(100)에 대향하는 면에 제한부삽입홈부(40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전제한부(300)가 제한부삽입홈부(400)에 본딩,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태빌라이저바(100)와 스태빌라이저바링크(200)를 결합하기 위하여 체결로드(213)를 스태빌라이저바(100)에 삽입한다. 체결로드(213)가 스태빌라이저바(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각부(215)에 결합하여 볼 스터드(210)의 회전을 방지한 후, 너트(N)와 체결로드(213)를 결합하여 체결로드(213)를 스태빌라이저바(100)에 고정한다.
볼 스터드(210)는 이각부(215)에 결합된 공구뿐만 아니라 회전제한부(300)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므로, 너트(N)와 체결로드(213)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공구와 이각부(215)의 결합이 불량하거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체결로드(213)와 너트(N)를 결합하는 경우 너트(N)의 회전력이 체결로드(213)에 전달되는데, 이러한 회전력 역시 회전제한부(300)의 자력에 의하여 상쇄되므로, 볼 스터드(210)의 회전에 의한 더스트커버(233)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스태빌라이저바(100)와 스태빌라이저바링크(200)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 이각부(215)에 공구를 결합한 상태에서 너트(N)를 회전시켜, 너트(N)와 체결로드(213)의 결합을 해제한다.
볼 스터드(210)는 이각부(215)에 결합된 공구뿐만 아니라, 회전제한부(300)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므로, 너트(N)와 체결로드(213)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만, 공구와 이각부(215)의 결합이 불량하거나 공구 등을 사용하여 이각부(215)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에도, 회전제한부(300)에 의하여 볼 스터드(21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더스트커버(233)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더스트커버(233)와 볼 스터드(21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장치(1)는 스태빌라이저바(100)에 대한 볼 스터드(210)의 회전을 제한하여 더스트커버(233)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장치(1)는 더스트커버(233)의 형상을 유지하여, 더스트커버(233)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볼 스터드(210)의 손상 및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스태빌라이저 장치 10: 서브프레임
100: 스태빌라이저바 110: 스태빌라이저바디
130: 링크결합부 131: 스터드결합홀
200: 스태빌라이저바링크 210: 볼 스터드
211: 볼 213: 체결로드
215: 이각부 230: 스터드결합부
231: 결합하우징 233: 더스트커버
250: 스트러트결합부 270: 링크바디부
300: 회전제한부 400: 제한부삽입홈부
N: 너트

Claims (5)

  1. 차폭을 가로지르는 스태빌라이저바;
    일단부에 볼 스터드가 구비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스트러트에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바링크;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와 상기 볼 스터드 사이에 개재되며,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에 대한 상기 볼 스터드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바디;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 스터드가 결합되고, 상기 볼 스터드와 대향하는 면에 제한부삽입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한부가 결합되는 링크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바링크는,
    상기 볼 스터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터드결합부;
    상기 스트러트에 결합되는 스트러트결합부; 및
    상기 스터드결합부와 상기 스트러트결합부를 연결하는 링크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 스터드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에 대향하는 면에 제한부삽입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볼 스터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KR1020150103679A 2015-07-22 2015-07-22 스태빌라이저 장치 KR20170011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679A KR20170011292A (ko) 2015-07-22 2015-07-22 스태빌라이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679A KR20170011292A (ko) 2015-07-22 2015-07-22 스태빌라이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92A true KR20170011292A (ko) 2017-02-02

Family

ID=5815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679A KR20170011292A (ko) 2015-07-22 2015-07-22 스태빌라이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6607A (zh) * 2020-06-28 2020-09-25 张华文 气压辅助耦合解耦的滑动关节磁力轴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6607A (zh) * 2020-06-28 2020-09-25 张华文 气压辅助耦合解耦的滑动关节磁力轴承
CN111706607B (zh) * 2020-06-28 2021-07-13 苏州普轮电子科技有限公司 气压辅助耦合解耦的滑动关节磁力轴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1292A (ko) 스태빌라이저 장치
US7827832B2 (en) Suds container made of plastic for a washing machine, with a connection for a vibration absorber
JP2011162093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KR20170099258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JP2018184018A (ja) リヤクッション装置
US20150030410A1 (en) Anti-rotation device for pivot and hinge device having anti-rotation device
JP2007303480A (ja) 自在継手のヨークとシャフトの結合構造
WO2019031148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832206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KR20170050214A (ko) 현가장치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착 구조체
KR20110123015A (ko) 차량 현가암의 부시 구조
JP2015231752A (ja) 車両用エンジン懸架装置
KR102394736B1 (ko) 차량용 부시장치
BR102016018789A2 (pt) estrutura de montagem de contrapeso de guidão de veículo do tipo para montar
KR20150033479A (ko) 로어암 부시장치
KR101711372B1 (ko) 너클 조립구조
KR102107632B1 (ko) 허브 베어링 조립장치
KR20100056710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체결유닛
KR20170063090A (ko) 체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스트럿과 너클의 체결 방법
KR100559865B1 (ko) 자동차의 로어암
JP2009034733A (ja) ボルト/ナットの供回り防止具
JP4543197B2 (ja) 止着用ブッシュ、及びそれを使用したリムレスメガネの止着構造
KR100737473B1 (ko) 자동차 스테빌라이저 바의 컨트롤 링크 연결구조
KR20040086719A (ko) 긁힘 방지용 소켓
KR20070065712A (ko) 차량의 쇽업소버와 브라켓 결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