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703A - 라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703A
KR20170009703A KR1020160031347A KR20160031347A KR20170009703A KR 20170009703 A KR20170009703 A KR 20170009703A KR 1020160031347 A KR1020160031347 A KR 1020160031347A KR 20160031347 A KR20160031347 A KR 20160031347A KR 20170009703 A KR20170009703 A KR 20170009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door
power management
emergency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920B1 (ko
Inventor
노리유키 쿠리야마
타케시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9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3/0017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복수의 장치로 이루어진 라인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전체에서 통합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라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10, 20, 30, 40)와 전체의 전원을 개폐하는 키 스위치(51), 전원관리 컨트롤러(52) 및 상위 제어장치인 시스템 컨트롤러(53)를 설치한다. 전원관리 컨트롤러(52)는 각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정지 스위치(13, 23, 33, 43) 및 도어 스위치(14, 24, 34, 44)의 상태에 응하여 각 장치의 전원관리부(11, 21, 31, 41)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1개의 키 스위치(51)에 의한 라인 시스템 전체의 전원 개폐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라인 시스템{LINE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와 상위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전원관리에 특징을 갖는 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기의 제조 등에 있어서는, 복수의 장치를 직렬로 배치하여 제조 라인을 구성하여, 1개의 장치에서 가공한 제품을 다음 장치로 순차 반송하는 것에 의해 복잡한 가공을 실행하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기판 처리 장치가 통신 라인을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기판 처리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복수 대의 전원판으로 이루어지며, 각 전원판을 동시에 기동시키는 전원판 기동회로에서, 각 기동스위치의 투입정보에 기초해서 논리 처리하여, 논리 회로의 제어에 의해 전원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4951516호 공보 일본실용신안등록 제2503299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복수의 장치가 라인 형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시스템(이하, 라인 시스템이라고 한다)에 있어서는, 각 장치는 각각 전원 스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라인 시스템 전체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라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각각의 전원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장치로 라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나 전원관리 컨트롤러가 장치의 수만큼 이용되고 있으므로, 대부분이 중복하게 되어, 시스템 전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 대의 장치로 이루어진 라인 시스템에 대해서 시스템 전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라인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와, 전체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전원 스위치에 접속되어 상기 각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관리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라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장치는 내부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와, 상기 전원관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제어회로부와, 각각의 각 장치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오프가 되는 도어 스위치와, 상기 라인 시스템의 적어도 1개의 장치에 설치된 비상정지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각 전원관리 컨트롤러는 상기 각 장치의 도어 스위치 및 비상정지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스위치의 투입에 의해 상기 각 장치의 도어 스위치 및 비상정지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각 장치의 전원관리부를 통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장치는 각각 비상정지 스위치를 가지며, 각각의 비상정지 스위치는 직렬접속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도어 스위치는 각 도어 스위치의 출력을 직렬접속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인 시스템 전체를 1개의 전원 스위치로 전원투입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원 스위치와 전원관리 컨트롤러는 라인 시스템 전체에서 1개이며, 중복된 구성이 삭제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라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라인 시스템의 전원관리 컨트롤러와 1개의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라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라인 시스템(1)은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장치(10, 20, 30, 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로더(LD)장치(10)는 기판을 본 제조 시스템에 반입하는 로더 장치이며, 스크라이브 장치(20)는 기판을 스크라이브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브레이크 장치(30)는 스크라이브한 기판을 브레이크하는 브레이크 장치, 언로드 장치(40)는 브레이크된 기판을 언로드하는 언로드 장치로 한다. 이들 장치(10, 20, 30, 40)에 대해서 각 장치에 고유한 구성은 생략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 관련 있는 전원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더 장치(10)는 전원관리부(11)와 제어회로부(12)를 가지고 있다. 전원관리부(11)는 후술하는 전원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며, 제어회로부(12)는 로더 장치(10)의 각부의 제어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로더 장치(10)에는 로더 장치(10)를 비상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 스위치(비상 SW)(13)와, 도어 스위치(도어 SW)(14)가 설치된다. 비상정지 스위치(13)는 사용자가 기기에 이상이 있음을 느낀 때 투입하는 스위치이다. 또 도어 스위치(14)는 로더 장치(10)의 도어에 설치되며,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다. 도어 스위치(14)는 통상은 온 상태에 있고, 점검 등을 위해 장치의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적으로 오프가 된다.
다른 장치(20, 30, 40)에 대해서도 로더 장치(10)와 마찬가지로, 각각 전원관리부(21, 31, 41), 제어회로부(22, 32, 42)를 가지며, 비상정지 스위치(23, 33, 43)와 도어 스위치(24, 34, 44)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비상정지 스위치(13, 23, 33, 43)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전원관리 컨트롤러로 출력된다. 또 마찬가지로 도어 스위치(14, 24, 34, 44)에 대해서도 직렬 접속되어 있으며, 그 신호가 전원관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 장치(10, 20, 30, 40)로 구성되는 라인 시스템에는 전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키 스위치(키 SW)(51), 전원관리 컨트롤러(52) 및 시스템 컨트롤러(53)가 설치된다. 키 스위치(51)는 이 라인 시스템 전체의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다. 또한, 전원관리 컨트롤러(52)는 키 스위치(51)가 투입되었을 때에, 각 장치의 비상정지 스위치(13, 23, 33, 43)나 도어 스위치(14, 24, 34, 44)가 온 상태이면 각 장치(10, 20, 30, 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각 장치의 비상 스위치(13, 23, 33, 43), 도어 스위치(14, 24, 34, 44)가 오프가 되면 전원을 정지한다. 시스템 컨트롤러(53)는 이 라인 시스템(1)의 상위 제어장치이며, 통신회선을 통하여 각 장치(10, 20, 30, 40)의 각 제어회로부 (12, 22, 32, 42)에 접속되어, 각각의 장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 등을 출력하는 것이다.
다음에, 각 장치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키 스위치(51)와 전원관리 컨트롤러(52) 및 로더 장치(10)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록 도이다. 전원관리 컨트롤러(52)는 비상정지 유닛(52a)과 도어 인터록 유닛(52b)을 가지고 있다. 비상정지 유닛(52a)은 각 장치의 비상정지 버튼(13, 23...)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스위치 중 1개의 스위치라도 사용자에 의해 비상시에 투입된 경우에 각 장치의 전원관리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 인터록 유닛(52b)은 각 장치의 도어 스위치(14, 24...)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인터록 유닛(52b)은 어느 하나의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때에 이상 상태로서 각 장치에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더 장치(10)의 전원관리부(11)는 비상정지 유닛(52a)에 의해서 구동되는 릴레이(X1, X2) 및 도어 인터록 유닛(52b)에 의해서 구동되는 릴레이(X3)와 각 릴레이의 릴레이 접점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X1, X2)의 접점은 입력이 되는 상용교류인 AC200V의 3상 라인에 접속되어 있으며, 릴레이 접점을 통해서 제어회로부(12)의 회로(12a)에 접속된다. 또, 릴레이(X3)도 마찬가지로 릴레이(X2)의 출력측 접점에서 분기하여 릴레이(X3)의 접점을 통해서 회로(12b)에 접속된다. 회로(12a)는 이 로더 장치(10)의 각부의 안전을 유지하는 센서 등의 회로부이다. 또 회로(12b)는 시스템 컨트롤러(53)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로더 장치(10)의 각부를 제어하는 모터 등에 접속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회로부이며, 동작에 필요한 모터나 액츄에이터, 모니터 등은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각 장치의 비상정지 스위치(13, 23, 33, 43)는 투입되어 있지 않고,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하면, 비상정지 스위치(13, 23, 33, 43) 및 도어 스위치(14, 24, 34, 44)는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키 스위치(51)를 투입하여, 전원관리 컨트롤러(52)에 전원 공급을 지시한다. 이 때에는 전원관리 컨트롤러(52)의 비상정지 유닛(52a), 도어 인터록 유닛(52b)은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지령한다. 즉 이 경우에는 릴레이(X1~X3)가 통전되고, 릴레이(X1~X3)의 접점을 통해서 제어회로부(12)의 2개의 회로(12a, 12b)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53)와 각 장치(10, 20, 30, 40)의 제어회로부(12, 22, 32, 42)의 상호 통신에 의한 라인 시스템이 순차적으로 필요한 동작을 실행하여, 라인 시스템이 가동한다.
그리고 어느 1개의 장치, 예를 들면 스크라이브 장치(20)의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 스위치(24)가 오프가 된다. 이에 의해서 전원관리 컨트롤러(52)의 도어 인터록 유닛(52b)에 신호가 전달되어, 도어 인터록 유닛(52b)으로부터의 각 장치의 전원관리부(11, 21, 31, 41)의 릴레이(X3)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접점이 개방된다. 따라서 각 장치(10, 20, 30, 40)에서는 회로(12b)의 전원 공급이 정지된다. 이 경우에는 회로(12a)에는 그대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각 장치의 센서 등은 그대로 동작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라인 시스템(1)이 가동 상태에서 어느 1개의 비상정지 스위치, 예를 들면 로더 장치(10)의 비상정지 스위치(13)가 어떤 이상을 발견한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면 비상정지 스위치(13)는 오프가 된다. 이 때문에 전원관리 컨트롤러(52)는 각 장치(10, 20, 30, 40)의 전원관리부(11, 21, 31, 41)의 릴레이(X1, X2)의 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전원 AC200V로부터 각 장치의 회로(12a, 12b)의 어느 것에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며, 동작을 정지한다. 이러한 동작 정지는 모든 장치(10, 20, 30, 40)의 전체에서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 스위치나 전원관리 컨트롤러를 각 장치에서 분리하여, 공통된 장치로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시스템 전체의 회로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도어 스위치나 비상정지 스위치를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어느 하나의 도어가 개방된 도어 스위치가 오프로 된 경우, 또는 어느 하나의 비상정지 스위치가 투입된 경우에 전원관리 컨트롤러(52)에서 전원관리부로 신호를 공급하여 전원 공급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 스위치는 반드시 직렬적으로 접속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장치의 도어가 열려서 도어 스위치가 오프로 된 경우에는 그 장치만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장치에 각각 비상정지 스위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장치 자체가 소형이며, 장치 간의 간격이 작은 경우에는 복수의 장치에 1개의 비상정지 스위치를 설치하여, 그들 장치의 어딘가에 이상 상태가 있더라도 비상정지 스위치를 투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시스템 전체의 표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장치가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는 라인 시스템의 전원 제어에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라인 시스템
10, 20, 30, 40 : 장치
11, 21, 31, 41 : 전원관리부
12, 22, 32, 42 : 제어회로부
12a, 12b : 회로
13, 23, 33, 43 : 비상정지 스위치
14, 24, 34, 44 : 도어 스위치
51 : 키 스위치
52 : 전원관리 컨트롤러
53 : 시스템 컨트롤러

Claims (3)

  1. 복수의 장치와,
    전체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전원 스위치에 접속되어 상기 각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관리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라인 시스템으로,
    상기 각 장치는,
    내부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부와,
    상기 전원관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제어회로부와,
    각각의 각 장치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오프가 되는 도어 스위치와,
    상기 라인 시스템의 적어도 1개의 장치에 설치된 비상정지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각 전원관리 컨트롤러는, 상기 각 장치의 도어 스위치 및 비상정지 스위치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의 투입에 의해 상기 각 장치의 도어 스위치 및 비상정지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각 장치의 전원관리부를 통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것인 라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치는 각각 비상정지 스위치를 구비하며, 각각의 비상정지 스위치는 직렬접속된 것인 라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스위치는 각 도어 스위치의 출력을 직렬접속한 것인 라인 시스템.
KR1020160031347A 2015-07-16 2016-03-16 라인 시스템 KR102538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1919A JP6672625B2 (ja) 2015-07-16 2015-07-16 ラインシステム
JPJP-P-2015-141919 2015-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703A true KR20170009703A (ko) 2017-01-25
KR102538920B1 KR102538920B1 (ko) 2023-06-01

Family

ID=5784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47A KR102538920B1 (ko) 2015-07-16 2016-03-16 라인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2625B2 (ko)
KR (1) KR102538920B1 (ko)
CN (1) CN106354104B (ko)
TW (1) TWI7005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9317B (zh) * 2018-03-12 2019-05-1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為一生產線決定一控制條件組之裝置及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817A (ko) * 1992-03-05 1993-10-20 나종성 전원자동절환시스템 및 전원자동절환방법
KR940023257A (ko) * 1993-03-26 1994-10-22 이용규 도어 비디오폰의 도어 개방시 모니터 자동 제어 장치
JP2503299B2 (ja) 1990-10-02 1996-06-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タ転送方法
JP2010176873A (ja) * 2009-01-27 2010-08-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常停止回路装置
JP4951516B2 (ja) 2005-09-26 2012-06-1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
JP2014137607A (ja) * 2013-01-15 2014-07-28 Omron Corp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3606A4 (en) * 2001-06-22 2009-03-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SECURITY NETWORK SYSTEM, SECURITY SLAVE, AND COMMUNICATION METHOD
TW200535389A (en) * 2004-01-29 2005-11-01 Toshiba Kk Refrigerator
JP2005307877A (ja) * 2004-04-22 2005-11-04 Fujitsu Ten Ltd 車両の遠隔始動装置
CN1884012B (zh) * 2005-06-22 2011-08-03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集成式集装箱关封
JP4761555B2 (ja) * 2006-08-23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729941B2 (en) * 2006-11-17 2010-06-01 Integrated Illuminati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lighting systems to enhance brand recognition
CN101277026A (zh) * 2008-03-28 2008-10-01 张旭 智能远程低压大功率供电系统及其工作方法
CN101916978B (zh) * 2010-07-30 2012-11-21 杭州泛太石油设备科技有限公司 录井仪紧急状态下ups电源断电控制器
CN202502400U (zh) * 2012-03-27 2012-10-24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分区域控制的设备紧急停电装置
CN202995368U (zh) * 2012-11-16 2013-06-12 凯盛重工有限公司 掘进机电控箱的电控门锁保护装置
CN103291523B (zh) * 2013-05-02 2015-09-23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点火控制系统及控制发动机在加油时不能点火的方法
CN204086429U (zh) * 2014-09-26 2015-01-07 卡尔迈耶(中国)有限公司 电气控制柜功能测试装置
CN204390938U (zh) * 2015-02-06 2015-06-10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电气操作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299B2 (ja) 1990-10-02 1996-06-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タ転送方法
KR930020817A (ko) * 1992-03-05 1993-10-20 나종성 전원자동절환시스템 및 전원자동절환방법
KR940023257A (ko) * 1993-03-26 1994-10-22 이용규 도어 비디오폰의 도어 개방시 모니터 자동 제어 장치
JP4951516B2 (ja) 2005-09-26 2012-06-1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
JP2010176873A (ja) * 2009-01-27 2010-08-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常停止回路装置
JP2014137607A (ja) * 2013-01-15 2014-07-28 Omron Corp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920B1 (ko) 2023-06-01
TW201704919A (zh) 2017-02-01
CN106354104A (zh) 2017-01-25
JP6672625B2 (ja) 2020-03-25
TWI700570B (zh) 2020-08-01
CN106354104B (zh) 2021-02-19
JP2017028762A (ja)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8899B2 (en) Emergency-stop device
US10969759B2 (en) Safety controller module
CN100366402C (zh) 紧急停止电路
KR101799999B1 (ko)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JP2011145877A (ja) 制御システム
US78684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power delivery
JP4196757B2 (ja) セーフティコントローラ
CN108367888B (zh) 人员运送设备、维护方法以及维护控制器
US20070078629A1 (en) Distributed control system diagnostic logging system and method
EP3432098A1 (en) Re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relay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09703A (ko) 라인 시스템
CN114347025A (zh) 协作机器人功能安全控制电路,控制方法及协作机器人
US11101091B2 (en) Modular safety relay circuit for the safe switching on and/or off of at least one machine
JP2005107898A (ja) セーフティ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JP2004330346A (ja) ロボット制御装置
JP2007162267A (ja) 電動開閉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100554314B1 (ko) 이중화된 피엘씨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US10937283B2 (en) Switching device for selectively switching an electrical load, in particular for shutting down a dangerous machine installation
US11726466B2 (en) Safety detector and safety detection system including said safety detector
KR20180078679A (ko)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JP6779153B2 (ja) 制御盤の切替装置
Diniş et al. Control of mechanism for pushing trucks using siemens PLC
JP5630305B2 (ja) 機械設備の制御装置
JP2017111520A (ja) メイン制御プログラムとサブ制御回路とでハイブリッドされた、自動機械や電気機器のコントロール方法
KR20110113496A (ko) 릴레이 출력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