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679A -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679A
KR20180078679A KR1020160183686A KR20160183686A KR20180078679A KR 20180078679 A KR20180078679 A KR 20180078679A KR 1020160183686 A KR1020160183686 A KR 1020160183686A KR 20160183686 A KR20160183686 A KR 20160183686A KR 20180078679 A KR20180078679 A KR 20180078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s
present
management system
manufacturing process
proces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흥식
Original Assignee
(주) 유노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노믹 filed Critical (주) 유노믹
Priority to KR102016018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679A/ko
Publication of KR2018007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상기 로봇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복수 개의 각 로봇들의 드라이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각 로봇들의 구동을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하는 메인 PLC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을 하나의 메인 PLC부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함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MANUFACTUR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을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하는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량생산 체제와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해 산업용 로봇을 이용한 생산 공정화가 다방면 산업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비중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차량의 생산라인에 있어서도 상기 산업용 로봇을 이용한 제작 공정이 적용되고 있다.
산업용 로봇이 생산공정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로봇뿐만 아니라 이들을 제어하는 주변기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 주변기기로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컨트롤러와, 제어반에 해당되는 인터록 패널(Interlock Panel)과, 타이머 컨택터(Timer contactor) 등이 있다.
차량 생산라인에 배치된 N개의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종래에는 이들 각각의 로봇에 N개의 PLC와 제어반을 개별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로봇을 개별 PLC로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다.
이러한 경우, 주변기기의 개수가 많아져 생산 설비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설비공간 차지율이 높아서 공간적 제약이 크며,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생산 단가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개별 PLC 제어의 경우, 어느 한 측 로봇의 PLC 제어 부분이 어느 다른 측 로봇의 PLC 제어 내용과 충돌할 수 있어, 인터록 제어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차량 제작 과정에서의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며 제품의 불량률을 높일 수 있다.
KR 10-2016-0035446 A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을 하나의 메인 PLC부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함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상기 로봇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복수 개의 각 로봇들의 드라이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각 로봇들의 구동을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하는 메인 PLC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을 하나의 메인 PLC부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함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의 구동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크게 입력부 및 메인 PLC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는 작업자로부터 상기 로봇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입력부는 상기 제어신호의 터치식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로봇들의 상태 및 상기 로봇들이 배치된 가동라인을 실시간 화면으로 표시하는 터치화면부와, 상기 제어신호 중 로봇에 대한 주요 조작신호들의 입력이 가능한 복수 개의 조작버튼들을 구비한 상태일 수 있다.
메인 PLC부는 복수 개의 각 로봇들의 드라이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각 로봇들의 구동을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입력부와 상기 메인 PLC부 사이의 데이터를 중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광대역/로컬영역 네트워크 또는 3G/4G/5G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메인 PLC부와 통신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을 하나의 메인 PLC부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함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생산라인에 구비된 로봇들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상기 로봇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복수 개의 각 로봇들의 드라이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각 로봇들의 구동을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하는 메인 PLC부를 포함하는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KR1020160183686A 2016-12-30 2016-12-30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80078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86A KR20180078679A (ko) 2016-12-30 2016-12-30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86A KR20180078679A (ko) 2016-12-30 2016-12-30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679A true KR20180078679A (ko) 2018-07-10

Family

ID=6291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686A KR20180078679A (ko) 2016-12-30 2016-12-30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6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8210A1 (de) 2018-07-06 2020-01-09 Hyundai Mobis Co.,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mpensation eines Richtungswink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8210A1 (de) 2018-07-06 2020-01-09 Hyundai Mobis Co.,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mpensation eines Richtungswink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3790B2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接続された複数の制御装置を備えるロボットシステム
EP1464452A3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robots
US9342068B2 (en) Motion controller and motor control system
CN106292422A (zh) 基于can总线的多个立柱升降控制系统
KR20130133579A (ko) Mes와 plc 간 데이터 전송용 인터페이스 모듈
RU2012121154A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аци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автоматизации
KR20180078679A (ko)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70082713A (ko) Plc기반 필드버스 실습장비
US20220134500A1 (en) Pallet transfer system, pallet transfer method, and pallet transfer program
KR101231165B1 (ko) 점검기능을 구비한 무대장치 제어시스템
TW201701090A (zh) 生產線系統
US11254001B2 (en) Controller, control system and ladder program
JP2010079355A (ja) 複数plc間の協調制御システム
CN106664019B (zh) 具有网络接口的开关电源
DE102015211199A1 (de) Verfahren zum Visualisieren von Zuständen von Ein- und Ausgängen einer Steuereinheit einer Maschine oder Anlage mit einem mobilen Anzeigegerät
CN207530735U (zh) 一种舞台吊杆电机变频切换矩阵控制系统
RU2669073C1 (ru) Распределенная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CN106354104B (zh) 生产线系统
KR20100123476A (ko) 중앙 집중식 제어 패널
JP5511331B2 (ja) 制御システム
CN204360145U (zh) 一种实现堆垛机变频器多组参数切换的装置
JP2005267297A (ja) Plc更新方法
KR20150136638A (ko) 부하 및 트래픽 분산이 가능한 컨베이어 시스템
CN110554665B (zh) 生成配方的方法、可编程逻辑控制器、成批系统和介质
Filipkowski When to use multi-function safety rel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