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798A -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오르토-테르페닐 - Google Patents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오르토-테르페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798A
KR20170008798A KR1020167035036A KR20167035036A KR20170008798A KR 20170008798 A KR20170008798 A KR 20170008798A KR 1020167035036 A KR1020167035036 A KR 1020167035036A KR 20167035036 A KR20167035036 A KR 20167035036A KR 20170008798 A KR20170008798 A KR 2017000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
terphenyl
graphene nanoribbons
formula
graph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게오르크 슈밥
클라우스 뮐렌
신량 펑
팀 둠슬라프
파스깔 뤼피외
로만 파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막스-플랑크-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비쎈샤프텐 에.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막스-플랑크-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비쎈샤프텐 에.파우.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7000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00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alogen atom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18Polycyclic aromatic halogenated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C01B31/0446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06Grap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06Graphene nano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22Electron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8Side-chains having aromatic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51Charge transpor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70Post-treatment
    • C08G2261/72Derivat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1Photovoltaic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2TFT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5Use in organic luminescent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50Photovoltaic [PV]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84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 Y10S977/842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for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
Figure pct00019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CN; NO2; 및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C1-C40 탄화수소 잔기 (이는 F, Cl, OH, NH2, CN 및/또는 NO2 로 1- 내지 5-회 치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CH2-기는 -O-, -NH-, -S-, -C(=O)O-, -OC(=O)- 및/또는 -C(=O)- 로 대체될 수 있음)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 및 Y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F, Cl, Br, I, 및 OTf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및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뿐만 아니라 상기 오르토-테르페닐로부터의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오르토-테르페닐 {ORTHO-TERPHENYLS FOR THE PREPARATION OF GRAPHENE NANORIBBONS}
본 발명은 오르토-테르페닐 및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뿐만 아니라 상기 오르토-테르페닐로부터의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핀은 2 차원 탄소 층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뛰어난 특성을 보유한다. 그래핀은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하고, 극도로 찢어짐에 저항성 (tear-resistant) 이고, 기체에 불투과성일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전기 및 열 전도체이다. 이들 뛰어난 특성으로 인해, 그래핀은 물리학, 재료 과학 및 화학에서 상당한 관심을 받아 왔다. 그래핀에 기초하는 트랜지스터는 현재 사용되는 실리콘 부품의 뒤를 이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래핀은 반금속이므로, 실리콘과 대조적으로, 전자 밴드 갭을 결여하고 그러므로 전자 응용물에 본질적인 스위칭 능력을 갖지 않는다.
그래핀 나노리본 (흔히 GNR 로 약칭됨) 은 그래핀 격자에서 유래하는 초박 너비를 갖는 그래핀의 스트립이다. 그래핀 나노리본은 신규한 그래핀 기반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유망한 빌딩 블록이다. 전기 전도성 지그 재그 엣지 (zig-zag edge) 그래핀 나노리본 (ZGNR) 및 지배적 반도성 암체어 엣지 (armchair edge) 그래핀 나노리본 (AGNR) 사이의 가장 중요한 구별을 넘어서, GNR 의 기하구조의 더욱 일반적인 변이는 1-차원 (ID) 양자 구속을 통해 갭 튜닝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리본 너비의 증가는 밴드 갭의 전반적 감소와, AGNR 을 위해 최대화되는 중첩되는 진동 특색을 초래한다.
GNR 의 제조를 위한 표준 '하향식 (top-down)' 방법, 예컨대 그래핀 격자의 리소그래피 패턴화 및 탄소 나노튜브의 지퍼열기 (예를 들어 US 2010/0047154 및 US 2011/0097258 에 기재되어 있음) 는 오직 상이한 GNR 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게다가, 10 nm 미만의 너비를 갖는 나노리본의 비율이 꽤 낮거나 심지어는 0 이다. 그러나, 고효율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에, 그래핀 나노리본의 너비는 정밀하게 제어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nm 미만이고, 그의 엣지는 부드러울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이상적인 엣지 형상으로부터의 극미한 편차라도 전자 특성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그러한 '하향식' 방법의 내재하는 제약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잘 정의된 GNR 의 실현은 여전히 달성하기 힘들다. 용액-매개 탈수소고리화 반응 (예를 들어 J. Wu, L. Gherghel, D. Watson, J. Li, Z. Wang, C.D. Simpson, U. Kolb, K. Mullen, Macromolecules 2003, 36, 7082-7089; L. Dossel, L. Gherghel, X. Feng, K. Mullen, Angew. Chem. Int. Ed. 2011, 50, 2540-2543; Y. Fogel, L. Zhi, A. Rouhanipour, D. Andrienko, H.J. Rader, K. Mullen, Macromolecules 2009, 42, 6878-6884; 및 A. Narita et al., Nature Chemistry 2014, 6, 126-132) 및 표면-지지 탈수소고리화 반응 (예를 들어 J. Cai et al., Nature 2010, 470-473; S. Blankenburg et al., ACS Nano 2012, 6, 2020; S. Linden et al., Phys. Rev. Lett. 2012, 108, 216801) 을 통한 '상향식 (bottom-up)' 화학 합성 접근법은 최근에 GNR 을 합성하기 위한 유망한 경로로서 부상했다.
'하향식' 방법과 대조적으로, 용액-매개 또는 표면-지지 탈수소고리화 반응에 기초하는 '상향식' 화학 합성 접근법은 맞춤 제조된 (tailor-made) 3 차원 폴리페닐렌 전구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잘 정의되고 균일한 GNR 을 제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폴리페닐렌-기반 중합체성 전구체는 현대 합성 화학의 능력 안에서 구조가 맞추어질 수 있는 소분자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러나, 모든 이들 '상향식' 접근법은 이제까지 오직 극미량의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허용했다. 더욱이, 수득되는 그래핀 나노리본은 그의 백본에 통계적으로 배열된 "꼬임 (kink)" 으로 인해 빈번히 잘못 정의되거나, 오직 낮은 분자량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래핀 나노리본의 신규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적합한 올리고페닐렌 단량체 및 적합한 중합체성 전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에 의해 해결된다;
Figure pct00001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CN; NO2; 및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C1-C40 탄화수소 잔기 (이는 F, Cl, OH, NH2, CN 및/또는 NO2 로 1- 내지 5-회 치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CH2-기는 -O-, -NH-, -S-, -C(=O)O-, -OC(=O)- 및/또는 -C(=O)- 로 대체될 수 있음)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 및 Y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F, Cl, Br, I, OTf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바람직하게는,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미치환 C1-C40 알킬 잔기, 및 미치환 C1-C40 알콕시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H, 미치환 C1-C20 알킬 잔기, 및 미치환 C1-C20 알콕시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 는 H 이다.
본 출원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R1 및 R2 는 H 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표현 "C1-C40 탄화수소 잔기" 는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모든 종류의 잔기를 포함한다. 예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4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2-C40 알케닐, 선형 또는 분지형 C2-C40 알키닐, 및 C6-C40 아릴이다.
C1-C40 알킬 잔기는 가능한 경우에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2-펜틸, 3-펜틸, 2,2-디메틸프로필, 1,1,3,3-테트라메틸펜틸, n-헥실, 1-메틸헥실, 1,1,3,3,5,5-헥사메틸헥실, n-헵틸, 이소헵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1-메틸헵틸, 3-메틸헵틸, n-옥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및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에이코사닐, 헤네이코사닐, 도코사닐, 트리코사닐, 테트라코사닐, 펜타코사닐, 헥사코사닐, 헵타코사닐, 옥타코사닐, 노나코사닐, 트리아콘타닐, 헨트리아콘타닐, 도트리아콘타닐, 트리트리아콘타닐, 테트라트리아콘타닐, 펜타트리아콘타닐, 헥사트리아콘타닐, 헵타트리아콘타닐, 옥타트리아콘타닐, 노나트리아콘타닐, 및 테트라콘타닐이다.
C2-C40 알케닐 잔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잔기, 예를 들어 비닐, 알릴, 메트알릴, 이소프로페닐, 2-부테닐, 3-부테닐, 이소부테닐, n-펜타-2,4-디에닐, 3-메틸-부트-2-에닐, n-옥트-2-에닐, n-도데스-2-에닐, 이소도데세닐, n-도데스-2-에닐 및 n-옥타데스-4-에닐이다.
C2-C40 알키닐 잔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이다. 예는, 에티닐, 1-프로핀-3-일, 1-부틴-4-일, 1-펜틴-5-일, 2-메틸-3-부틴-2-일, 1,4-펜타디인-3-일, 1,3-펜타디인-5-일, 1-헥신-6-일, 시스-3-메틸-2-펜텐-4-인-1-일, 트랜스-3-메틸-2-펜텐-4-인-1-일, 1,3-헥사디인-5-일, 1-옥틴-8-일, 1-노닌-9-일, 1-데신-10-일, 및 1-테트라코신-24-일이다.
C6-C40 아릴 잔기의 예는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일, 테르페닐일, 피레닐, 플루오레닐, 페난트릴, 안트릴, 테트라실, 펜타실 또는 헥사실이다.
C1-C40 알콕시 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 기,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아밀옥시, 이소아밀옥시, tert-아밀옥시, 헵틸옥시, 옥틸옥시, 이소옥틸옥시, 노닐옥시, 데실옥시, 운데실옥시, 도데실옥시, 테트라데실옥시, 펜타데실옥시, 헥사데실옥시, 헵타데실옥시, 옥타데실옥시, 노나데실옥시, 에이코사닐옥시, 헤네이코사닐옥시, 도코사닐옥시, 트리코사닐옥시, 테트라코사닐옥시, 펜타코사닐옥시, 헥사코사닐옥시, 헵타코사닐옥시, 옥타코사닐옥시, 노나코사닐옥시, 트리아콘타닐옥시, 헨트리아콘타닐옥시, 도트리아콘타닐옥시, 트리트리아콘타닐옥시, 테트라트리아콘타닐옥시, 펜타트리아콘타닐옥시, 헥사트리아콘타닐옥시, 헵타트리아콘타닐옥시, 옥타트리아콘타닐옥시, 노나트리아콘타닐옥시, 및 테트라콘타닐옥시이다.
본 발명의 문제는 또한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의 용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그러므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 방법이다:
(a)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을 중합하여 일반식 (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성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Figure pct00002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및
(b) 중합체성 전구체를 탈수소고리화하여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을 형성하는 단계,
Figure pct00003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a) 중합은 용액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일반식 (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성 전구체는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에서 또는 톨루엔 및 DMF 의 혼합물에서 야마모토-중축합 (T. Yamamoto, Progr. Polym. Sci. 1992, 17, 1153-1205; T. Yamamoto, Bull. Chem. Soc. Jpn. 1999, 72, 621-638; T. Yamamoto, T. Kohara, A. Yamamoto, Bull. Chem. Soc. Jpn. 1981, 54, 1720-1726.) 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야마모토-중축합에 적합한 촉매는 예를 들어 톨루엔 및 DMF 의 혼합물에서 비스(시클로옥타디엔)니켈(0), 1,5-시클로-옥타디엔 및 2,2'-바이피리딘의 화학량론적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치환기 R1 및 R2 에 따라, 중축합 반응은 50 내지 110℃ 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야마모토-중축합 반응의 켄칭 및 니켈 잔기의 분해는 반응 혼합물을 희석 메탄올 염산 내로 조심스럽게 적하함으로써 달성된다. 통상적으로,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며, 이는 여과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중축합 반응은, 예를 들어, 울만-유형 커플링 및 글레이서-유형 커플링에 의존한다. 적합한 공-단량체와 함께, 오르토-테르페닐은 또한 예를 들어 스즈키-미야우라-유형 커플링, 네기시-유형 커플링, 스틸레-유형 커플링 및 쿠마다-유형 커플링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b) 탈수소고리화는 용액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는 디클로로메탄 및 니트로메탄의 혼합물에서 루이스 산 예컨대 염화 제2철 (FeCl3), 몰리브데눔 클로리드 (MoCl5) 또는 구리 트리플레이트 (Cu(OTf)2)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는 무수 디클로로메탄 중 페닐요오드(III)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PIFA) 및 BF3 에테레이트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PIFA 는 루이스 산에 의해 활성화되었을 때 광범위한 기판과 쉽게 반응하여 바이아릴 생성물을 우수한 수율로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kada, T.; Arisawa, M.; Gyoten, M.; Hamada, R.; Tohma, H.; Kita, Y. J. Org. Chem. 1998, 63, 7698-7706). 게다가, 그것은 트리페닐렌 (King, B. T.; Kroulik, J.; Robertson, C. R.; Rempala, P.; Hilton, C. L.; Korinek, J. D.; Gortari, L. M. J. Org. Chem. 2007, 72, 2279-2288.) 및 헥사-페리-헥사벤조코로넨 (HBC) 유도체 (Rempala, P.; Kroulik, J.; King, B. T. J. Org. Chem. 2006, 71, 5067-5081.) 의 합성에 적용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염화 제2철을 적용할 때 빈번히 관찰되는, 원하지 않는 염소화가 이러한 절차에 의해 배제된다는 점이다. 그러한 유형의 탈수소고리화 반응의 적합한 변형예가 논문 "Cyclodehydrogenation in the Synthesis of Graphene-Type Molecules" (M. Kivala, D. Wu, X. Feng, C. Li, K. Mullen, 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2013, 373-420), 및 거기에서 인용된 문헌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액에서 수행되는 탈수소고리화에 의해 수득되는 그래핀 나노리본의 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200,000 g/mol 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a) 중합 및 (b) 탈수소고리화는 불활성 표면 위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은 고진공 조건 하에 이러한 표면 위에서 직접 성장에 의해 제조된다. 그에 의해,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은 첫째로 상승된 온도에서 중합되어 일반식 (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성 전구체를 형성하고, 이는 그 후 추가로 상승된 온도에서 반응되어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을 형성한다.
초고진공 (UHV) 조건을 사용하는 표면-지지 상향식 접근법이 J. Cai et al., Nature 466, pp. 470-473 (2010) 에서 및 그 후 소수의 문헌에서 기재되었다 (S. Blankenburg et al., ACS Nano 2012, 6, 2020; S. Linden et al., Phys. Rev. Lett. 2012, 108, 216801). 대안적으로, WO 2014/045148 A1 에서 공개된 표면-지지 상향식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초고진공이 적용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표현 "불활성 표면" 은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 및/또는 또는 일반식 (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성 전구체의 흡착/침적, 및 후속적 중합 및/또는 탈수소고리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화합물 자체와 비가역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모든 종류의 고체 기판의 표면을 포함한다. "불활성 표면" 은 바람직하게는 중합 및/또는 탈수소고리화 반응의 촉매로서 작용할 수 있다. 불활성 표면은 금속 표면 예컨대 Au, Ag, Cu, Al, W, Ni, Pt, 또는 Pd 표면, 바람직하게는 Au 및/또는 Ag 표면일 수 있다. 표면은 또한 금속 옥시드 표면 예컨대 실리콘 옥시드, 실리콘 옥시니트리드, 하프늄 실리케이트, 니트리드화 하프늄 실리케이트,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하프늄 디옥시드 및 지르코늄 디옥시드, 또는 알루미늄 옥시드, 구리 옥시드, 철 옥시드일 수 있다. 표면은 또한 반도성 재료 예컨대 실리콘, 게르마늄, 갈륨 아르세니드, 실리콘 카르비드, 및 몰리브데눔 디술피드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표면은 또한 재료 예컨대 보론 니트리드, 나트륨 클로리드, 또는 칼사이트일 수 있다. 표면은 전기 전도성, 반도성, 또는 절연성일 수 있다.
표면 위에서의 침적은 진공 침적 (승화) 과정, 용액 기반 과정 예컨대 스핀 코팅, 분무 코팅, 딥 코팅, 프린팅, 전기분무 침적, 또는 레이저 유도 탈착 또는 트랜스퍼 과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침적 과정은 또한 직접 표면 대 표면 트랜스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침적은 진공 침적 과정에 의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진공 승화 과정이다.
위에서 논의된 표면-지지 접근법에 따라, 반응 단계 (a) 및 (b) 에서 적용되는 압력은 통상적으로 10-5 mbar 미만, 빈번히 10-5 mbar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 에서 중합은 열 활성화에 의해 유도된다. 그러나, 중합을 유도하는 임의의 기타 에너지 입력 예컨대, 예를 들어, 방사선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활성화 온도는 이용되는 표면 및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의 치환 패턴에 의존적이다. 통상적으로, 온도는 100 내지 300℃ 범위이다.
임의로, 단계 (a) 는 단계 (b) 에서 일부 또는 전부 탈수소고리화를 수행하기 전에 1 회 또는 수 회 반복될 수 있다.
위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b) 는 일반식 (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성 전구체를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 탈수소고리화하여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탈수소고리화 반응은 통상적으로 200 내지 5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지지 접근법은 방법 단계 (a) 및 (b) 사이에 어떠한 중간 단계도 포함하지 않는다. 단계 (a) 및 (b) 는 서로 바로 뒤따르고/거나 겹쳐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 위에서의 직접 성장에 의해 수득된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의 분자량은 2,000 내지 1,0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100,000 g/mol 이다.
공유 결합된 2-차원 분자 배열은 주사 터널링 현미경 (STM) 기술에 의해 효율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 표면-한정된 공유 결합 형성의 예는 울만 커플링, 이미드화, 포르피린의 가교 및 헤테로시클릭 카르벤 및 폴리아민의 올리고머화를 수반한다. 표면 위에서의 그래핀 나노리본 및 그래핀 네트워크의 직접 성장에 관한 화학-추진 프로토콜은 Muelen (MPI-P Mainz, Germany) 및 Fasel (EMPA Duebendorf, Switzerland) 의 그룹에 의해 최근에 확립되었다 (Bieri, M.; Treier, M.; Cai, J.; Ait-Mansour, K.; Ruffieux, P.; Groening, O., Groening, P.; Kastler, M.; Rieger, R.; Feng, X.; Muellen, K.; Fasel, R.; Chem. Commun. 2009, 45, 6919; Bieri, M.; Nguyen, M. T.; Groening, O.; Cai, J.; Treier, M.; Ait-Mansour, K.; Ruffieux, P.; Pignedoli, C. A.; Passerone, D.; Kastler, M.; Muellen, K.; Fasel, R.; J.Am.Chem.Soc. 2010, 132, 16669; Treier, M.; Pignedoli, C. A.; Laino, T.; Rieger, R.; Muellen, K.; Passerone, D.; Fasel, R. Nature Chemistry 2011, 3, 61; Cai, J.; Ruffieux, P.; Jaafar, R.; Bieri, M.; Braun, T.; Blankenburg, S.; Muoth, M.; Seitsonen, A. P.; Saleh, M.; Feng, X.; Muellen, K.; Fasel, R. Nature 2010, 466, 470-473.). 이론에 구속되지 않으면서 이들 연구로부터 금속 표면 위에서의 나노리본 형성은 라디칼 경로를 통해 진행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초고진공 (UHV) 승화 (10-11 내지 10-5 mbar, 바람직하게는 10-10 내지 10-7 mbar) 를 통한 표면 위에서의 관능화된 단량체의 침적 후에, 100 내지 200℃ 로 어닐링함으로써 열 활성화시에 탈할로겐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바이라디칼 종을 생성하며, 이는 표면 위에서 확산하고 서로 커플링하여 탄소-탄소 결합의 형성을 초래한다. 이들 라디칼 부가 반응은 중간 열 수준 (10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20℃) 에서 진행하고, 더 높은 온도 (20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380 내지 420℃) 에서의 후속적 탈수소고리화의 전제조건이다. 충분한 분자량의 중합체성 종이 첫번째 시기 동안 형성되는 경우에만, 분자의 완전 흑연화가 후속적으로 진행하여 표면으로부터 재료의 열 탈착이 회피될 것이다.
UHV 표면-지지 중합 및 탈수소고리화 동안, 금속 기판 위에서의 평평한 배향을 보조하는 충분히 높은 강성 및 평면도의 관능성 단량체가 필요하다. 또한, 전구체 단량체의 관능기 패턴 및 기하구조에 의해 그들의 형상이 결정되므로 방법은 그래핀 나노리본의 위상적 맞춤을 허용한다. 이러한 표면-결합 프로토콜에서 용매-기반 과정이 수반되지 않으므로 단량체 디자인에서 가용화 알킬 사슬은 필요하지 않다.
본 출원의 추가의 양상은 일반식 (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중합체성 전구체이다:
Figure pct00004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본 출원의 또다른 양상은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이다:
Figure pct00005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은 아래 제시된 반응식 1 내지 3 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사용되는 반응 조건 및 용매는 순수하게 설명적이다; 물론 다른 조건 및 용매가 또한 사용될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의 합성을 위한 출발 재료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2,5-디할로아닐린 1 이 사용된다 (반응식 1). 반응 시퀀스의 첫번째 단계에서, 2,5-디할로아닐린 1 은 클로랄히드레이트 2 및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리드 와 염기성 조건 하에 반응되어 (2,5-디할로페닐)-2-(히드록시이미노)아세타미드 3 를 형성한다.
그 후, (2,5-디할로페닐)-2-(히드록시이미노)아세타미드 3 는 상승된 온도에서 황산에 적용되어 4,7-디할로인돌린-2,3-디온 4 을 산출한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6
물 중 4,7-디할로인돌린-2,3-디온 4 및 나트륨 히드록시드의 용액에 수소 퍼옥시드의 수성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 로 가열한다 (반응식 2). 냉각 및 산성 후처리 후에, 2-아미노-3,6-디할로벤조산 5 이 수득되며, 이를 후속적으로 요오드 및 이소아밀니트라이트와 반응시켜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 을 산출한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7
그 후,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 을 2 회 연속 스즈키 커플링 반응에 적용한다 (반응식 3).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 과 보론산 9 의 첫번째 스즈키 커플링 반응은 예를 들어 상승된 온도에서 디옥산 중에서 촉매량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Pd(PPh3)4) 및 염기 예컨대, 예를 들어, 나트륨 카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수득된 모노커플링된 바이페닐 (IV) 을 두번째 스즈키 반응에 적용할 수 있다.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은 예를 들어 모노커플링된 바이페닐 (IV), 아릴브론산 10, 팔라듐(0) 촉매 및 염기의 반응 혼합물을 디옥산 중에서 100℃ 로 수일 동안 가열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정제 후에,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을 중합에 적용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8
본원에서 공개된 그래핀 나노리본을 사용하는, 전자 디바이스, 광학 디바이스, 및 광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 광전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상보형 금속 옥시드 반도체 (CMOS), 상보형 인버터, D 플립-플랍 (flip-flop), 정류기, 및 링 발진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제조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그러므로 전자, 광학, 또는 광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의 용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유기 광전지 디바이스,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은, 그러므로, 또한 분자 전구체의 선택에 의해 특정 응용에 맞춰질 수 있는 잘 정의된 전자 밴드 갭을 나타내는 반도체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액체 매질 예컨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용해 또는 분산된 본원에 공개된 발명에 따른 화합물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조성물을 기판 위에 침적시켜 반도체 재료 전구체를 제공하고, 반도체 재료 전구체를 가공 (예를 들어 가열) 하여 본원에 공개된 화합물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도체 재료 (예를 들어 박막 반도체) 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액체 매질은 유기 용매, 무기 용매 예컨대 물,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세제, 분산제, 결합제, 상용화제, 경화제, 개시제, 보습제, 소포제, 습윤제, pH 조정제, 살생물제, 및 정균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및/또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알파-메틸스티렌, 폴리이소부텐,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는 분산제, 결합제, 상용화제, 및/또는 소포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침적 단계는 잉크젯 프린팅 및 다양한 접촉 프린팅 기술 (예를 들어 스크린-프린팅, 그라뷔어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패드 프린팅, 리소그래픽 프린팅, 플렉소그래픽 프린팅, 및 마이크로접촉 프린팅) 을 포함하는 프린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침적 단계는 스핀 코팅, 드롭-캐스팅, 존 캐스팅, 딥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프레잉 또는 진공 여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조 물품 예컨대 본 발명의 반도체 재료 및 기판 부품 및/또는 유전 부품을 갖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기판 부품은 도핑된 실리콘, 인듐 주석 옥시드 (ITO), ITO-코팅된 유리, ITO-코팅된 폴리이미드 또는 기타 플라스틱, 단독 또는 중합체 또는 다른 기판에 코팅된 알루미늄 또는 기타 금속, 도핑된 폴리티오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전 부품은 무기 유전 재료 예컨대 다양한 옥시드 (예를 들어 SiO2, Al2O3, HfO2), 유기 유전 재료 예컨대 다양한 중합체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할로에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자기 조립 초격자/자기 조립 나노유전 (SAS/SAND) 재료 (예를 들어 Yoon, M-H. et al., PNAS, 102 (13): 4678-4682 (2005) 에 기재됨),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유기/무기 유전 재료 (예를 들어 US 2007/0181961 A1 에 기재됨) 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복합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전기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 전극에 적합한 재료는 금속 (예를 들어 Au, Al, Ni, Cu), 투명 전도성 옥시드 (예를 들어 ITO, IZO, ZITO, GZO, GIO, GITO), 및 전도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 (PEDOT:PSS), 폴리아닐린 (PANI), 폴리피롤 (PPy) 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은 다양한 유기 전자, 광학, 및 광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 구체적으로,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OFET), 뿐만 아니라 센서, 커패시터, 단극성 회로, 상보형 회로 (예를 들어 인버터 회로) 등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은 그러므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을 포함하는, 박막 반도체를 포함하는 전자, 광학, 또는 광전자 디바이스이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유기 광전지 디바이스,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의 그래핀 나노리본이 유용한 기타 제조 물품은 광전지 또는 태양 전지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넓은 광학 흡수 및/또는 매우 양으로 변위한 환원 전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상기 응용물에 바람직하게 만든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p-n 접합을 형성하는 인접 p-유형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광전지 디자인에서 n-유형 반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은 기판 위에 침적되어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박막 반도체 형태일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이용은 당업자의 지식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재료를 혼입하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재료를 사용하여 탑-게이트 탑-컨택트 (top-gate top-contact) 커패시터 구조, 탑-게이트 바텀-컨택트 (top-gate bottom-contact) 커패시터 구조, 바텀-게이트 탑-컨택트 (bottom-gate top-contact) 커패시터 구조, 및 바텀-게이트 바텀-컨택트 (bottom-gate bottom-contact) 커패시터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OTFT 디바이스는 탑-컨택트 기하구조에서, 유전체로서 SiO2 를 사용하여, 도핑된 실리콘 기판 위의 본 발명의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적어도 본 발명의 화합물을 혼입하는 활성 반도체 층은 실온에서 또는 상승된 온도에서 침적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본 발명의 화합물을 혼입하는 활성 반도체 층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핀-코팅 또는 프린팅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탑-컨택트 디바이스의 경우에, 섀도우 마스크, 전자 빔 리소그래피 및 리프트-오프 (lift-off) 기술, 또는 당업자의 지식에 속하는 기타 적합한 구조화 방법을 사용하여 금속성 접점이 필름의 상부에 패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도 1 내지 7 은 하기를 보여준다:
도 1: 3',6'-디브로모-1,1':2',1"-테르페닐 8 (오르토-테르페닐 (I), 식에서, R1 = R2 = R3 = R4 = H, 및 X= Y =Br) 의 합성 경로.
도 2: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1H NMR (300 MHz, CD2Cl2).
도 3: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13C NMR (75 MHz, CD2Cl2).
도 4: 3',6'-디브로모-1,1':2',1"-테르페닐 81H NMR (300 MHz, CD2Cl2).
도 5: 3',6'-디브로모-1,1':2',1"-테르페닐 813C NMR (75 MHz, CD2Cl2).
도 6: Au 표면 위에서의 중합 및 탈수소고리화 후에 3',6'-디브로모-1,1':2',1"-테르페닐 8 로부터 수득되는, 9-AGNR 의 STM 이미지.
도 7: STM 이미지와 AGNR 구조의 화학 모델의 중첩을 보여주는 확대도면.
실시예 1 (2,5-디할로페닐)-2-(히드록시이미노)아세타미드 3 의 제조
Figure pct00009
(2,5-디할로페닐)-2-(히드록시이미노)아세타미드 3 를 S.-J. Garden, J.-C. Torres, A.-A. Ferreira, R.-B. Silva, A.-C. Pinto, Tetrahedron Lett. 1997, 38, 150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했다. 따라서, 1 L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에, 10 g (39.85 mmol) 2,5-디할로아닐린 1, 7.91 g (47.82 mmol) 클로랄히드레이트 2, 4.15 g (59.78 mmol)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리드 및 48 g 나트륨설페이트를 넣었다. 300 mL 의 에탄올 및 300 mL 의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 h 동안 80℃ 에서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헥산의 혼합물 (1:10) 로 세정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2,5-디할로페닐)-2-(히드록시이미노)아세타미드 3 를 백색 고체로서 72 % 수율로 얻었다.
1H-NMR: (300 MHz, DMSO): δ = 12.54 (s, 1H), 9.51 (s, 1H), 8.15 (d, 1H), 7.6 (m, 2H), 7.34 (dd, 1H) ppm.
13C-NMR: (300 MHz, DMSO): δ = 160.45, 143.10, 136.73, 134.18, 129.15, 126.50, 120.58, 114.96 ppm.
실시예 2 4,7-디할로인돌린-2,3-디온 4 의 제조
Figure pct00010
S.-J. Garden et al., Tetrahedron Lett. 1997, 38, 150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축된 황산 (45 mL) 을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에서 50℃ 로 가열했다. 건조된 (2,5-디할로페닐)-2-(히드록시이미노)아세타미드 3 (5 g, 15.6 mmol)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 ℃ 로 30 min 동안 가열했다. 결과적인 자주색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얼음 물 (300 mL) 위에 부어서, 4,7-디할로인돌린-2,3-디온 4 을 밝은 오렌지색 고체로서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4 를 56 % 수율로 얻었다.
1H-NMR: (300 MHz, DMSO): δ = 11.43 (s, 1H), 7.66 (d, 1H), 7.17 (d, 1H) ppm.
13C-NMR: (300 MHz, DMSO): δ = 181.08, 158.94, 151.06, 140.64, 127.86, 118.36, 103.68 ppm.
실시예 3 2-아미노-3,6-디할로벤조산 5 의 제조
Figure pct00011
2-아미노-3,6-디할로벤조산 5 을 문헌: V. Lisowski, M. Robba, S. Rault, J. Org. Chem. 2000, 65, 4193 에 기재된 합성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따라서, 4,7-디할로인돌린-2,3-디온 4 (3 g, 10 mmol) 을 50 mL 5% 나트륨 히드록시드에 용해시키고, 50℃ 로 가열했다. 30% 수소 퍼옥시드 (50 mL) 를 드롭방식으로 (dropwise) 첨가하고, 결과적인 혼합물을 50 ℃ 에서 부가적 30 min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 후에, 용액을 여과하고, 1M 염산으로 pH 4 로 산성화시켰다. 베이지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2-아미노-3,6-디할로벤조산 5 을 65% 수율로 얻었다.
1H-NMR: (300 MHz, DMSO): δ = 13.73 (b s, 1H), 7.38 (d, 1H), 6.79 (d, 1H), 5.58 (b s, 1H) ppm.
13C-NMR: (300 MHz, DMSO): δ = 167.32, 144.12, 134.32, 121.09, 118.96, 107.86 ppm.
실시예 4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 의 제조
Figure pct00012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 을 논문: O.S. Miljanic, K.P.C. Vollhardt, G.D. Whitener Synlett 2003, 29-34 에 공개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200 mL 1,2-디클로로에탄 중 요오드 (2.58 g, 10.17 mmol) 및 이소아밀 니트라이트 (1.64 mL, 12.21 mmol) 의 교반되고 환류되는 용액에 15 mL 디옥산 중 2-아미노-3,6-디할로벤조산 5 의 용액을 드롭방식으로 첨가했다. 결과적인 혼합물을 1 h 동안 환류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5%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로 세정했다. 유기 상을 마그네슘 설페이트 위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결과적인 잔류물을 헥산을 이용하여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 을 60% 수율로 무색 니들 (needle) 로서 얻었다. 분광 데이타는 문헌 값과 일치한다.
1H-NMR: (300 MHz, CD2Cl2): δ = 7.45 (s, 2H) ppm.
13C-NMR: (300 MHz, CD2Cl2): δ = 133.25, 128.09, 117.52 ppm.
실시예 5 3',6'-디브로모-1,1':2',1"-테르페닐 8 의 제조
Figure pct00013
1,4-디브로모-2,3-디아이오도벤젠 6 (250 mg, 0.5 mmol) 및 페닐보론산 (65.63 mg, 0,5 mmol) 을 10 mL 디옥산에 용해새키고, 1 mL 의 2 M 수성 나트륨 카르보네이트를 첨가했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45 min 동안 버블링시키고, 그 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60 mg, 0.1 mol%) 을 첨가했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부가적 15 min 동안 버블링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2 일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용액을 물/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마그네슘 설페이트 위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미가공 혼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PE:DCM 9:1) 에 의해 정제하여 모노커플링된 생성물 7 을 60% 수율로 얻었다.
두번째 요오드를 부가적 당량의 페닐보론산과의 유사한 스즈키 커플링 반응에서 커플링시켰다. 용액을 100℃ 에서 아르곤 하에 3 일 동안 교반했다. 미가공 반응 혼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PE:DCM 9:1) 에 의해 정제하여 3',6'-디브로모-1,1':2',1"-테르페닐 8 을 10% 수율로 얻었다. 무색 고체를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킬 수 있다.
1H-NMR: (300 MHz, CD2Cl2): δ = 7.49 (s, 2H), 7.12-7.05 (m, 6H), 6.93-6.90 (m, 4H) ppm.
13C-NMR: (300 MHz, CD2Cl2): δ = 144.24, 140.56, 133.14, 130.23, 127.85, 127.45, 123.63 ppm.
FD-MS: m/z = 388.0
실시예 6 그래핀 나노리본의 표면-지지 제조
Au(111) 단결정 (Surface Preparation Laboratory, Netherlands) 을 N=9 암체어 그래핀 나노리본 (9-AGNR) 의 성장을 위한 기판으로서 사용했다. 첫째로 기판을 아르곤 이온 충격 및 480℃ 로의 어닐링 및 그 후 침적을 위한 실온으로의 냉각의 반복되는 사이클에 의해 클리닝했다. 3',6'-디브로모-1,1':2',1"-테르페닐 8 을 클리닝한 표면 위로 승화에 의해 ~1Å/min 의 속도로 침적시켰다. 그 후 Au(111) 기판을 중합을 유도하도록 175℃ 에서 10 min 동안 및 GNR 을 형성하도록 400℃ 에서 10 min 동안 후-어닐링했다. Omicron Nanotechnology GmbH, Germany 로부터의 저온 STM (LT-STM) 을 사용하여 9-AGNR 샘플의 형태를 특성분석했다. 모델과 STM 이미지 사이의 일치는 9-AGNR 이 Au(111) 표면 위에서 3',6'-디브로모-1,1':2',1"-테르페닐 8 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6).

Claims (16)

  1. 일반식 (I) 의 오르토-테르페닐;
    Figure pct00014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CN; NO2; 및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C1-C40 탄화수소 잔기 (이는 F, Cl, OH, NH2, CN 및/또는 NO2 로 1- 내지 5-회 치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CH2-기는 -O-, -NH-, -S-, -C(=O)O-, -OC(=O)- 및/또는 -C(=O)- 로 대체될 수 있음)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 및 Y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F, Cl, Br, I, 및 OTf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2. 제 1 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미치환 C1-C40 알킬 잔기; 및 미치환 C1-C40 알콕시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오르토-테르페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H, 미치환 C1-C20 알킬 잔기, 및 미치환 C1-C20 알콕시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4 는 H 인 오르토-테르페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는 H 인 오르토-테르페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 및 Y 는 동일한 오르토-테르페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 및 Y 는 Br 인 오르토-테르페닐.
  7.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르토-테르페닐의 용도.
  8.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 방법:
    (a)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르토-테르페닐을 중합하여 일반식 (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성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Figure pct00015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음; 및
    (b) 중합체성 전구체를 탈수소고리화하여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을 형성하는 단계,
    Figure pct00016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음.
  9. 제 8 항에 있어서, (a) 중합은 용액에서 수행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b) 탈수소고리화는 용액에서 수행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a) 중합 및 (b) 탈수소고리화는 불활성 표면 위에서 수행되는 방법.
  12. 일반식 (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중합체성 전구체:
    Figure pct00017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음.
  13. 일반식 (III) 의 반복 단위를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
    Figure pct00018

    식에서, R1, R2, R3 및 R4 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음.
  14. 전자, 광학, 또는 광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제 13 항에 따른 그래핀 나노리본의 용도.
  15. 제 13 항에 따른 그래핀 나노리본을 포함하는 박막 반도체를 포함하는 전자, 광학, 또는 광전자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유기 광전지 디바이스,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인 디바이스.
KR1020167035036A 2014-05-15 2015-05-12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오르토-테르페닐 KR201700087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68466 2014-05-15
EP14168466.2 2014-05-15
PCT/EP2015/060421 WO2015173215A1 (en) 2014-05-15 2015-05-12 Ortho-terphenyls for the preparation of graphene nanoribb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798A true KR20170008798A (ko) 2017-01-24

Family

ID=5077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036A KR20170008798A (ko) 2014-05-15 2015-05-12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오르토-테르페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81192A1 (ko)
EP (1) EP3142994A1 (ko)
JP (1) JP2017520618A (ko)
KR (1) KR20170008798A (ko)
CN (1) CN106660803A (ko)
TW (1) TW201600499A (ko)
WO (1) WO2015173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1023B2 (en) 2015-03-12 2019-11-12 British Columbia Cancer Agency Branch Bisphenol ether derivativ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WO2017131190A1 (ja) * 2016-01-28 2017-08-03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98033A1 (en) 2016-04-15 2017-10-19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Bisphenol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drogen receptor activity modulators
JP6842042B2 (ja) * 2017-03-31 2021-03-17 富士通株式会社 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前駆体分子
JP6867590B2 (ja) * 2017-06-16 2021-04-28 富士通株式会社 化合物、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の製造方法
JP6973208B2 (ja) * 2018-03-15 2021-11-24 富士通株式会社 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前駆体、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及び電子装置、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前駆体の製造方法及び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の製造方法
JP7226017B2 (ja) * 2019-03-28 2023-02-21 富士通株式会社 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前駆体及び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の製造方法
JP7315166B2 (ja) * 2019-06-10 2023-07-26 富士通株式会社 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ネットワーク膜の製造方法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CN111039845A (zh) * 2019-12-18 2020-04-21 大连奇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4-氟-7-溴靛红的制备方法
WO2021177144A1 (ja) * 2020-03-04 2021-09-10 国立大学法人東海国立大学機構 ナフチルシロール類の製造方法、並びに複素環式基を有するナフチルシロール類及び複素環式基を有する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
WO2021212032A1 (en) 2020-04-17 2021-10-21 Essa Pharma, Inc. Solid forms of an n-terminal domain androgen receptor inhibitor and uses thereof
WO2022226349A1 (en) * 2021-04-22 2022-10-27 Essa Pharma, Inc. Androgen receptor modulators and methods for their 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003A (ja) * 1991-09-24 1993-04-06 Mita Ind Co Ltd アゾ系化合物およびジアゾニウム塩
WO2007075748A2 (en) 2005-12-20 2007-07-05 Northwestern University Intercalated superlattic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for modulating dielectric property
KR101040967B1 (ko) 2008-08-22 2011-06-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그라핀 리본의 제조 방법
KR101096518B1 (ko) 2009-10-23 2011-12-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구조제어된 그라핀 리본의 제조 방법
JP2015534535A (ja) 2012-09-20 2015-12-03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0618A (ja) 2017-07-27
EP3142994A1 (en) 2017-03-22
US20170081192A1 (en) 2017-03-23
CN106660803A (zh) 2017-05-10
WO2015173215A1 (en) 2015-11-19
TW201600499A (zh) 2016-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8798A (ko)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를 위한 오르토-테르페닐
Sun et al. Oriented covalent organic framework film on graphene for robust ambipolar vertical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
TWI427067B (zh) 〔1〕苯並噻吩並〔3,2-b〕〔1〕苯並噻吩化合物和製備彼之方法和使用彼之有機電子裝置
TWI579316B (zh) 用於製造石墨烯奈米帶之聚合性先質及其製備方法
US20160207774A1 (en) Oligophenylene monomers and polymeric precursors for producing graphene nanoribbons
KR102333861B1 (ko) 제어된 지그-재그 에지 및 코브 에지 배열을 갖는 그래핀 나노리본
TW201130782A (en) Leaving substituent-containing compound,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 organic semiconductor film containing the material, organic electronic device containing the film, method for producing film-like product, pi-electron conjugated compound and method
TWI577683B (zh) 芳香族雜環化合物、其製造方法、有機半導體材料、有機半導體元件、有機半導體膜、有機薄膜電晶體及有機光伏元件
US20150299381A1 (en) Polymeric precursors for producing graphene nanoribbons and suitable oligophenylene monomers for preparing them
JP6664710B2 (ja) 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22974A (ja) 有機半導体材料及び有機半導体素子
JP6275117B2 (ja) 有機トランジスタ用有機半導体材料及び有機トランジスタ素子
Ma et al. Graphene Nanoribbons from Tetraphenylethene‐Based Polymeric Precursor: Chemical Synthesis and Application in Thin‐Film Field‐Effect Transistor
Wang Polyarene-based π-conjugated system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mechanistic studies
JP2014136700A (ja) 含フッ素化合物および該含フッ素化合物を用いた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