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269A - 중합체 발포체 - Google Patents

중합체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269A
KR20170007269A KR1020167030401A KR20167030401A KR20170007269A KR 20170007269 A KR20170007269 A KR 20170007269A KR 1020167030401 A KR1020167030401 A KR 1020167030401A KR 20167030401 A KR20167030401 A KR 20167030401A KR 20170007269 A KR20170007269 A KR 20170007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sition
foam
measured
astm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730B1 (ko
Inventor
존 티펫
존 아쉬바흐
펭퀴 리
더글라스 버마스터
제프리 이. 나이린
마크 메이홀
리랜드 다니엘스
Original Assignee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268,826 external-priority patent/US20150315349A1/en
Application filed by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52Organo-metal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7Visc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6CO2, N2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6Unsatur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GPC에 의해 측정된 바 8 이상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다음: 0.1g/10 분 내지 10 g/10 분의 용융 유동 속도; 2,000 Pa.s 내지 6,000 Pa.s의 용융 유동 점도; 2 내지 8의 다이 팽윤; 및 0.3 초 내지 1.2 초의 다이 팽윤 특성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발포체의 형태일 수 있다. 발포체를 형성하는 공정은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발포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체는 폴리올레핀 및 극성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오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는 0.25 g/cc 미만의 발포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중합체 발포체{POLYMER FOAMS}
본 출원은 2014년 5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005,613호의 비임시 출원이고, 2014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268,826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일반적으로 중합체로 제조된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들은 다양한 발포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특히 경량 에너지 관리 또는 쿠셔닝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들은 자동차 부품, 포장, 깔개(dunnage), 단열재, 반복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중합체 조성물를 포함한다. 그 중합체 조성물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바 8 이상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을 포함한다. 이 중합체 조성물은 다음 특성들: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0.1g/10 분 내지 10 g/10 분의 용융 유동 속도;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2,000 Pa.s 내지 6,000 Pa.s의 용융 유동 점도; ASTM D-3835에 의해 측정된 바 2 내지 8의 다이 팽윤; 및 0.3 초 내지 1.2 초의 다이 팽윤 특성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현예는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과 극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극성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0.001% 내지 3 중량%이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이오노머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발포체는 0.25 g/cc 미만의 발포체 밀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일 공정을 포함한다. 그 공정은 GPC에 의해 측정된 바 8 이상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정은 또한 상기 중합체 조성물과 발포제를 혼합하여 중합체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다음 특성들: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0.1g/10 분 내지 10 g/10 분의 용융 유동 속도;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2,000 Pa.s 내지 6,000 Pa.s의 용융 유동 점도; ASTM D-3835에 의해 측정된 바 2 내지 8의 다이 팽윤; 및 0.3 초 내지 1.2 초의 다이 팽윤 특성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
도입 및 정의
이제 상세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그 설명은 특정 구현예들, 버전 및 실시예들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구현예들, 버전들 또는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 않고, 이들은 그 정보가 이용 가능한 정보 및 기술과 합해질 때 본 발명을 당업자가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의 다양한 용어들을 이하에 나타낸다.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가 아래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정도까지, 출원 당시 간행된 출판물 및 발행된 특허에 반영된 바의 용어를 고려하여 가장 광범위한 정의가 당업자들에게 주어져야 한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재된 모든 화합물들은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화합물들의 목록은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범위 및/또는 숫자 한계가 명시적으로 아래에 언급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종말점들은 교환 가능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임의의 범위는 명시적으로 언급된 범위 또는 한계 내에 속하는 유사한 크기의 반복 범위를 포함한다.
중합체들
본 발명에 유용한 중합체들은 스티렌계 중합체들 및 폴리올레핀류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류의 예들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류는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클로로프렌, 부틸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니트릴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폴리아크릴계 고무, 실리콘 고무,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플루오로엘라스토머류, 퍼플루오로엘라스토머류,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류, 클로로술폰화된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올레핀류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들은 예를 들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플라스토머류, 고밀도 폴리에틸렌류, 저밀도 폴리에틸렌류,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는 상기한 것들의 기능화된 버전, 예를 들면 말레산염화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티렌계 중합체들의 예들은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p-메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o-클로로스티렌, 비닐 피리딘의 단독 중합체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스티렌계 중합체들은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공단량체들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α-메틸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류; 알킬화 스티렌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와 1 내지 8개의 탄소를 갖는 알코올류의 에스테르류; 비닐카르바졸 및 말레산 무수물 등의 N-비닐 화합물; 예를 들면, 제한 없이 디비닐벤젠 또는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개의 중합 가능한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들의 예들은 제한 없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셀룰로이드,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알콜, 플루오로플라스틱류, 이오노머류, 폴리아세탈, 폴리아크릴레이트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릴에테르케톤, 폴리부타디엔, 폴리부틸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틸렌클로리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락트산, 폴리메틸펜텐,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프탈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는 중합체 매트릭스에 내장된 엘라스토머성 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성 상은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및 2-클로로-1,3-부타디엔 등의 공액 디엔 단량체, 또는 C4 내지 C9 디엔류와 같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예컨대 부타디엔 단량체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용어 "프로필렌계"는 용어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면 중합체의 총 중량과 상대적으로 적어도 약 5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7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75 중량%, 또는 적어도 약 8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85 중량% 또는 적어도 약 90 중량% 또는 적어도 95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을 갖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또는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들은 "미니-랜덤"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미니-랜덤 폴리프로필렌은 약 1.0 중량% 미만의 공단량체를 갖는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미니-랜덤 폴리프로필렌 중의 상기 공단량체는 에틸렌이다.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들은 예를 들면 적어도 약 100℃, 또는 약 115℃ 내지 약 175℃의 융점(Tm) (DSC에 의해 측정된 바)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들은 예를 들면(ASTM D5492-06에 의해 측정된 바) 약 15 중량% 이하, 또는 약 12 중량% 이하, 또는 약 10 중량% 이하, 또는 약 6 중량% 이하, 또는 약 5 중량% 이하 또는 약 4 중량% 이하의 크실렌 가용성 재료(XS)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들은 예를 들면, GPC에 의해 측정된 바 약 2 내지 약 50, 약 6 내지 약 30 또는 8 이상의 분자량 분포 (Mw/Mn)를 가질 수 있다. 이들 프로필렌계 중합체들은 예를 들면 약 0.01 dg/분 내지 약 20 dg/분, 또는 약 0.01 dg/분 내지 약 10 dg/분, 또는 10 dg/분 미만의 용융 유동 속도(MFR)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들은 에틸렌 계 중합체들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용어 "에틸렌 계"는 용어 "에틸렌 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과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면 중합체의 총 중량에 상대적으로 적어도 약 5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7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75 중량%, 또는 적어도 약 8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85 중량% 또는 적어도 약 90 중량%, 또는 적어도 95 중량%의 폴리에틸렌을 갖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상기 에틸렌 계 중합체들은 예를 들면 약 0.86 g/cc 내지 약 0.98 g/cc, 또는 약 0.88 g/cc 내지 약 0.965 g/cc, 또는 약 0.90 g/cc 내지 약 0.965 g/cc 또는 약 0.925 g/cc 내지 약 0.97 g/cc의 밀도 (ASTM D-792에 의해 측정된 바)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 계 중합체들은 예를 들면 약 0.01 dg/분 내지 약 1000 dg/분, 또는 약 0.01 dg/분 내지 약 25 dg/분, 또는 약 0.03 dg/분 내지 약 15 dg/분 또는 약 0.05 dg/분 내지 약 10 dg/분의 용융 지수 (MI2)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올레핀 계 중합체들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올레핀 계 중합체들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올레핀 계 중합체들은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용어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면, ASTM D-792에 의해 측정된 바 약 0.92 g/cc 내지 약 0.94 g/cc 또는 약 0.926 g/cc 내지 약 0.94 g/cc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 계 중합체들을 지칭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올레핀 계 중합체들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용어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면, ASTM D-792에 의해 측정된 바 약 0.94 g/cc 내지 약 0.97 g/cc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 계 중합체들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비제한적인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계 중합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하나 이상의 이오노머들과 합해져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는 예를 들면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이라 일컬어지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들을 갖는 유기 금속성 염 등의 관능화된 유기 금속성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들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아연 디아크릴레이트, 아연 디메틸아크릴레이트, 구리 디아크릴레이트, 구리 디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금속성 디아크릴레이트류이다. 다른 유기 금속성 염들은 아연 디-비닐아세테이트, 아연 디-에틸푸마레이트, 구리 디-비닐아세테이트, 구리 디에틸푸마레이트, 알루미늄 트리아크릴레이트, 알루미늄 트리메틸아크릴레이트, 알루미늄 트리-비닐아세테이트, 알루미늄 트리-에틸푸마레이트, 지르코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지르코늄 테트라메틸아크릴레이트, 지르코늄 테트라-비닐아세테이트, 지르코늄 테트라-에틸 푸마레이트, 소듐 아크릴레이트, 소듐 메타크릴레이트, 은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금속성 디아크릴레이트의 일 예는 제품 Dymalink 9200 (이전에 SR732) 또는 Dymalink 9201이고, 이들 둘 다는 Cray Valley Specialty Chemicals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Dymalink 9200은 약 207 g/몰의 분자량을 갖는 백색 분말로서 이용할 수 있다. Dymalink 9201은 금속성 디아크릴레이트를 펠렛 농축물로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와 이오노머의 중합체 조성물은 0.001 내지 8 중량%의 이오노머, 0.01 내지 6 중량%의 이오노머, 또는 5 중량% 이하의 이오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구현예들에서, 첨가제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과 합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첨가제는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일 수 있다. 이들 구현예들에서, 상기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은 ROC(O)O-O(O)COR1의 일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식에서 R 및 R1은 알킬기 및/또는 아릴 기를 나타낸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들의 비제한적인 예들 디(4-tert-부틸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세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미리스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이소프로필 sec-부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sec-부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존재하는 경우, 상기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은 0.001 내지 3 중량%의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 0.01 내지 2.5 중량%의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 또는 2 중량% 이하의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와 상기 중합체의 혼합은 금속 아크릴레이트 염이 적절히 분산된다면 단일 및 트윈 스크류 압출기, Banbury 믹서, 또는 롤 밀을 포함하는 고강도 혼합 장비로 매질을 사용하는 용융 혼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혼합에 이용되는 온도는 상기 중합체의 융점을 30℃ 초과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이오노머는 200℃ 이상, 또는 200 내지 260℃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에서,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이 사용될 때와 같이, 상기 이오노머는 그대로 형성될 수 있고, 즉, 용융 혼합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이오노머는 아연 옥사이드를 상기 중합체와 혼합하면서 아크릴산과 혼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 극성 중합체일 수 있다. 이들 구현예들에서, 상기 극성 중합체는 0.001 내지 3 중량%의 중합체 조성물, 0.01 내지 2.5 중량%의 중합체 조성물, 또는 2 중량% 이하의 중합체 조성물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상기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 및 상기 극성 중합체 모두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그것과 상이한 폴리올레핀 등의 무극성 중합체일 수 있다. 그 예들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극성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중합체와 물리적으로 블렌딩될 수 있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혼합될 수 있고, 즉, 상기 무극성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반응기들에서의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중합체의 형성 중에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중합체와 함께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무극성 중합체는 단일 및 트윈 스크류 압출기, Banbury 믹서, 또는 롤 밀에 의해서와 같이 물리적으로 블렌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올레핀 계 중합체는 이오노머의 부재 하에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극성 중합체와 혼합되어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구현예들에서, 상기 극성 중합체는 0.001 내지 3 중량%의 중합체 조성물, 0.01 내지 2.5 중량%의 중합체 조성물, 또는 2 중량% 이하의 중합체 조성물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산 소거제, 윤활제, 대전 방지 첨가제, 조핵제 /청징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 등의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첨가제들은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상대적으로 0.01 내지 5 중량%, 선택적으로 0.1 내지 3 중량%, 선택적으로 0.5 내지 2 중량%의 정량으로 존재한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펠렛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유동 속도는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 0.1g/10 분 내지 10 g/10 분 또는 1 g/10 분 내지 3.5 g/10 분 또는 1.5 g/10 분 내지 3 g/10 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유동 점도는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 2,000 Pa.s 내지 6,000 Pa.s 또는 2,700 Pa.s 내지 5,200 Pa.s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다이 팽윤은 ASTM D-3835에 의해 측정된 바 2 내지 8, 또는 3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다이 팽윤 특성 시간은 0.3 초 내지 1.2 초 또는 0.4 내지 1.1 초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다음 특성들: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 0.1g/10 분 to 10 g/10 분 또는 1 g/10 분 to 3.5 g/10 분 또는 1.5 g/10 분 및 3 g/10 분의 용융 유동 속도;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 2,000 Pa.s 내지 6,000 Pa.s 또는 2,700 Pa.s 내지 5,200 Pa.s의 용융 유동 점도; ASTM D-3835에 의해 측정된 바 2 내지 8, 또는 3 내지 5의 다이 팽윤; 및 0.3 초 내지 1.2 초 또는 0.4 내지 1.1 초의 다이 팽윤 특성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품 애플리케이션
상기 중합체 조성물들 블렌드들은 중합체 발포된 시이트 또는 필름들 내의 발포된 중합체 층들(이하 총체적으로 "중합체 발포체"라 지칭됨)의 제조에 유용하다. 상기 중합체 발포체는 중합체 조성물 및 발포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발포에 앞서, 펠렛화되거나 또는 펠렛화되지 않은 중합체 조성물은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산 소거제, 윤활제, 대전 방지 첨가제, 조핵제 /청징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 등의 첨가제들과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본원에서 이전에 기재된 유형일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예를 들면 물리적 팽창제(blowing agent), 화학적 팽창제들, 등과 같이 중합체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호환될 수 있는 임의의 발포제일 수 있다. 물리적 발포제들은 일반적으로 조성물 내에 공극을 남기면서 이 조성물을 신속히 대피시킬 수 있는 불연성 가스이다. 화학적 발포제들은 승온에서 흡열적으로 분해되는 화학적 화합물이다. 화학적 발포제들의 분해는 중합체 조성물 내에 비말 동반되는 가스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중합체 조성물 내의 공극의 형성을 선도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발포제들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제한 없이 펜탄, 이소펜탄 이산화 탄소, 질소, 수증기,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2,3-디메틸프로판, 1-펜텐, 시클로펜텐, n-헥산, 2-메틸펜탄, 3-메틸펜탄, 2,3-디메틸부탄, 1-헥센, 시클로헥산, n-헵탄, 2-메틸헥산, 2,2-디메틸펜탄, 2,3-디메틸펜탄,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발포된 중합체성 조성물은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상기 발포제와 접촉시키고, 예를 들면 컴파운딩 또는 압출에 의해 성분들을 철저히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압출기 내에서 가열함으로써 가소되거나 또는 용융되고, 발포제와 접촉하고 철저히 혼합된다. 대안으로, 상기 중합체는 혼합물을 압출기(예, 벌크 혼합을 통해)로 도입하기에 앞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압출기로 도입하는 동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발포제와 접촉될 수 있다.
첨가제들 및 발포체 제조 방법들의 실시예들은 Berry Plastics Corporation에 의해 2012년 6월 18일자로 출원된 PCT/US2012/043018에서 밝혀질 수 있고, 이는 참조로 본원에 완전히 인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발포체 시이트는 ASTM-D-790에 의해 측정된 바 1.0 X 104 내지 5.0 X 104 psi, 1.5 X 104 내지 3.5 X 104 psi, 또는 2.0 X 104 내지 3.0 X 104 psi의 굴곡 탄성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몇몇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발포체 시이트의 굴곡 강도는 ASTM-D-790에 의해 측정된 바 500 내지 1400 psi, 600 내지 1100 psi, 또는 700 내지 1000 psi이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발포체 시이트는 80% 미만, 50% 미만, 또는 30% 미만의 개방 셀 함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개방되지 않은 상기 중합체 발포체 내의 셀들은 폐쇄 셀들이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발포체 시이트의 밀도는 0.50 g/cc 미만, 0.25 g/cc 미만 또는 0.20 g/cc 미만이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상기 중합체 발포체 시이트는 0.15 내지 0.20의 밀도 및 30% 내지 40%의 개방 셀 함량을 갖는다.
실시예
실시예 1 -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및 대응하는 밀도 및 개방 셀 함량
6의 MWD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가 발포되었다. 3개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들이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여 형성되었고;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동 비율, MWD,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 조성물, 및 첨가제들이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3개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들이 CO2에 의해 발포되었다. 대응하는 밀도 및 개방 셀 함량 백분율이 측정되었고,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MFR은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 ASTM-D-1238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MWD는 GPC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 및 첨가제 조성물 백분율은 중량 단위이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2
용융 유동 속도, 용융 유동 점도, 다이 팽윤, 및 다이 팽윤 특성 시간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미분지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류(전체 PP 3354, 전체 PP 3462, 전체 miPP M3282MZ, 전체 PP 3276, 전체 PP 3281, 전체 Finaplas® 1471, 및 전체 Finaplas® 1251)에 대해 측정되었다. 용융 유동 속도, 용융 유동 점도, 다이 팽윤, 및 다이 팽윤 특성 시간은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분지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류(Borealis Daploy WB140HMS 및 Montell Pro-fax PF814)에 대해 측정되었다. 6개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들이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여 형성되었다; 용융 유동 속도, 용융 유동 점도, 다이 팽윤, 및 다이 팽윤 특성 시간, 및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성분들은 표 3에 열거되어 있다. Perkadox 24L은 Akzo Nobel에 의해 제조된 디세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이다. 전체 PP 3354, 전체 PP 3462, 전체 miPP M3282MZ, 전체 PP 3276, 전체 PP 3281, 전체 Finaplas® 1471, 및 전체 Finaplas® 1251은 Total PetroChemicals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들이다. SR351은 BASF에 의해 제조된 2,2-비스(프로프-2-에노일옥시메틸)부틸프로프-2-에노에이트이다.
Figure pct00003
용융 유동 속도는 ASTM D-1238을 사용하여,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 측정되었다. 용융 유동 점도는 ASTM D-1238을 사용하여, 190℃ 및 2.16 kg의 부하에서 측정되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다이 팽윤은 ASTM D-3835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들 내의 성분들의 백분율은 중량 단위이다.
실시예 3 -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들의 굴곡 특성
상용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수지 및 PP 조성물 2로 제조된 발포체들의 굴곡 특성이 측정되었고, 표 4에 도포화된다.
Figure pct00004
굴곡 탄성율 및 굴곡 강도는 ASTM-D-790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실시예 4
표 5에 열거된 실시예로부터 수지들 및 중합체 조성물들은 팽창제로서 CO2를 사용하여 발포체들 내로 제조되었다. 상기 발포체의 발포체 밀도 역시 표 5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pct00005
맥락에 따라, 본원에서 본 "개시"에 대한 모든 참조는 몇몇 경우에는 특정한 특이적 구현예들 만을 지칭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그것은 반드시 모든 청구항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청구항에 인용된 중요한 문제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한 것들은 본 발명의 구현예들, 버전들 및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고, 이는 본 특허의 정보가 이용 가능한 정보 및 기술과 합해질 때 본 발명을 당업자가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포함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 구현예들, 버전들 및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구현예들, 버전들 및 실시예들은 그의 기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고안될 수 있고, 그의 범위는 다음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25)

  1. GPC에 의해 측정된 바 8 이상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로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다음 특성들: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0.1g/10 분 내지 10 g/10 분의 용융 유동 속도;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2,000 Pa.s 내지 6,000 Pa.s의 용융 유동 점도;
    ASTM D-3835에 의해 측정된 바 2 내지 8의 다이 팽윤; 및
    0.3 초 내지 1.2 초의 다이 팽윤 특성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인, 중합체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ASTM-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10 dg/분 미만의 용융 유동 속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무극성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이 상기 중합체 조성물 내에 0.01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이 금속성 디아크릴레이트인, 중합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이 아연 디아크릴레이트, 아연 디메틸아크릴레이트, 구리 디아크릴레이트, 구리 디메틸아크릴레이트, 아연 디-비닐아세테이트, 아연 디-에틸푸마레이트, 구리 디-비닐아세테이트, 구리 디에틸푸마레이트, 알루미늄 트리아크릴레이트, 알루미늄 트리메틸아크릴레이트, 알루미늄 트리-비닐아세테이트, 알루미늄 트리-에틸푸마레이트, 지르코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지르코늄 테트라메틸아크릴레이트, 지르코늄 테트라-비닐아세테이트, 지르코늄 테트라-에틸 푸마레이트, 소듐 아크릴레이트, 소듐 메타크릴레이트, 은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중합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이 디(4-tert-부틸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세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미리스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이소프로필 sec-부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sec-부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중합체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과산화물이 상기 중합체 조성물 내에 0.0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극성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중합체가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중합체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중가 상기 중합체 조성물 내에 0.0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중합체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0.1g/10 분 내지 10 g/10 분의 용융 유동 속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2,000 Pa.s 내지 6,000 Pa.s의 용융 유동 점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ASTM D-3835에 의해 측정된 바 2 내지 8의 다이 팽윤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0.3 초 내지 1.2 초의 다이 팽윤 특성 시간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18. 제1항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포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ASTM-D-790에 의해 측정된 바 1.5 X 104 내지 3.5 X 104 psi의 굴곡 탄성율을 갖는, 발포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ASTM-D-790에 의해 측정된 바 600 내지 1100 psi의 굴곡 강도를 갖는, 발포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의 밀도는 0.50 g/cc 미만인, 발포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의 밀도는 0.20 g/cc 미만인, 발포체.
  23. 금속성 아크릴레이트 염 및 GPC에 의해 측정된 바 8 이상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발포제와 혼합하여 중합체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다음 특성들: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0.1g/10 분 내지 10 g/10 분의 용융 유동 속도;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된 바 2,000 Pa.s 내지 6,000 Pa.s의 용융 유동 점도;
    ASTM D-3835에 의해 측정된 바 2 내지 8의 다이 팽윤; 및
    0.3 초 내지 1.2 초의 다이 팽윤 특성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펜탄, 이소펜탄 이산화 탄소, 질소, 수증기,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2,3-디메틸프로판, 1-펜텐, 시클로펜텐, n-헥산, 2-메틸펜탄, 3-메틸펜탄, 2,3-디메틸부탄, 1-헥센, 시클로헥산, n-헵탄, 2-메틸헥산, 2,2-디메틸펜탄, 2,3-디메틸펜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방법.
  25. 폴리올레핀 및 극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포체로서, 상기 극성 중합체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0.001% 내지 3 중량%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이오노머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발포체는 0.25 g/cc 미만의 발포체 밀도를 갖는, 발포체.
KR1020167030401A 2014-05-02 2015-05-01 중합체 발포체 KR102335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68,826 2014-05-02
US14/268,826 US20150315349A1 (en) 2014-05-02 2014-05-02 Polymer foams
US201462005613P 2014-05-30 2014-05-30
US62/005,613 2014-05-30
US14/601,399 2015-01-21
US14/601,399 US9505906B1 (en) 2014-05-02 2015-01-21 Polymer foams
PCT/US2015/028724 WO2015168510A1 (en) 2014-05-02 2015-05-01 Polymer foa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69A true KR20170007269A (ko) 2017-01-18
KR102335730B1 KR102335730B1 (ko) 2021-12-08

Family

ID=5435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401A KR102335730B1 (ko) 2014-05-02 2015-05-01 중합체 발포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05906B1 (ko)
EP (1) EP3137659A4 (ko)
JP (2) JP2017514977A (ko)
KR (1) KR102335730B1 (ko)
CN (1) CN106232881B (ko)
BR (1) BR112016025707B1 (ko)
CA (1) CA2948140C (ko)
MX (1) MX2016014440A (ko)
WO (1) WO2015168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1996A1 (en) * 2015-12-03 2017-06-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porosity microcellular polyethylene
US20170282410A1 (en) * 2016-03-31 2017-10-05 Fina Technology, Inc. Production processing aid
US20220025143A1 (en) * 2018-09-26 2022-01-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train Hardened Poly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s
CN112888731A (zh) * 2018-09-28 2021-06-01 性能材料北美股份有限公司 聚酰胺泡沫的制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784A (ko) * 2000-08-10 2002-02-21 요시우라 하루끼 개질폴리프로필렌, 개질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개질폴리프로필렌조성물 및 발포체
JP2002105256A (ja) * 2000-09-28 2002-04-10 Grand Polymer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発泡体
KR20020064176A (ko) * 2001-02-01 2002-08-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가교발포체용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그의 용도
WO2008126660A1 (ja) * 2007-04-05 2008-10-23 Toray Industries, Inc. ポリ乳酸発泡体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1172A (en) 1972-04-03 1977-01-04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olymers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process therefor
IT1157941B (it) * 1982-05-11 1987-02-18 Bayer Italia Spa Materiale espanso poliolefinico saldabile dielettricamente
US6069183A (en) * 1998-04-07 2000-05-30 Tenneco Packaging Inc. Foamable composition using high density polyethylene
JP2001131327A (ja) * 1999-11-05 2001-05-1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の型内発泡成形体
JP4493821B2 (ja) * 2000-09-04 2010-06-30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改質ポリプロピレンの製造方法および発泡体
JP5043252B2 (ja) * 2000-08-23 2012-10-10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改質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発泡体
JP4267187B2 (ja) * 2000-08-10 2009-05-27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法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発泡体
JP4050520B2 (ja) * 2001-02-01 2008-02-20 三井化学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架橋発泡体用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6602956B2 (en) * 2001-11-13 2003-08-05 Solvay Engineered Polymers Melt strength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4831647B2 (ja) * 2002-02-22 2011-12-07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
US7629416B2 (en) 2002-08-12 2009-12-0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US7354656B2 (en) 2002-11-26 2008-04-08 Michigan State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Floor covering made from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lactide-based composite formulation
JP2006143769A (ja) * 2004-11-16 2006-06-08 Prime Polymer:Kk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発泡成形体
JP4836472B2 (ja) * 2005-03-23 2011-12-14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発泡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系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CN101248135B (zh) 2005-06-24 2013-03-2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增塑官能化丙烯共聚物粘合剂组合物
WO2007001694A1 (en) 2005-06-24 2007-01-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unctionalized propylene copolymer adheside composition
JP5551362B2 (ja) 2005-08-24 2014-07-16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それから作製された物品、ならびにそれら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US8476326B2 (en) 2006-09-22 2013-07-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ibrillated polyolefin foam
JP2008150474A (ja) * 2006-12-15 2008-07-03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法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発泡体
JP5166811B2 (ja) * 2007-09-27 2013-03-21 三井化学株式会社 軟質発泡体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5166893B2 (ja) * 2008-01-29 2013-03-2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変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18306B2 (en) 2008-01-30 2012-11-27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a triggering composition
CN101925643B (zh) 2008-02-06 2013-03-06 陶氏环球技术公司 苯乙烯类聚合物和聚烯烃的低密度泡沫体共混物的制品及制备方法
US9139728B2 (en) * 2008-06-30 2015-09-22 Fina Technology, Inc. Single pellet polymeric compositions
JP2012144692A (ja) 2010-12-20 2012-08-02 Sumitomo Chemical Co Ltd 組成物
US20120164425A1 (en) 2010-12-28 2012-06-28 Basf Se Foam sheet based on styrene polymer-polyolefin mixtures
US8715449B2 (en) 2011-06-17 2014-05-06 Berry Plastics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n insulated container having artwork
JP5914141B2 (ja) * 2011-07-29 2016-05-11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発泡体製造方法、及び発泡シール材
US9045615B2 (en) * 2011-08-24 2015-06-02 Fina Technology, Inc. Metal carboxylate additives for thermoplastics
JP5893938B2 (ja) * 2012-01-30 2016-03-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MX2016000374A (es) * 2013-07-23 2016-04-29 Fina Technology Sales de acrilato metalicas para incrementar la resistencia de fusion del polimer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784A (ko) * 2000-08-10 2002-02-21 요시우라 하루끼 개질폴리프로필렌, 개질폴리프로필렌의 제조방법,개질폴리프로필렌조성물 및 발포체
JP2002105256A (ja) * 2000-09-28 2002-04-10 Grand Polymer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発泡体
KR20020064176A (ko) * 2001-02-01 2002-08-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가교발포체용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그의 용도
WO2008126660A1 (ja) * 2007-04-05 2008-10-23 Toray Industries, Inc. ポリ乳酸発泡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7659A4 (en) 2018-02-14
EP3137659A1 (en) 2017-03-08
MX2016014440A (es) 2017-02-23
CN106232881A (zh) 2016-12-14
BR112016025707B1 (pt) 2021-11-09
CA2948140C (en) 2022-12-06
WO2015168510A1 (en) 2015-11-05
CN106232881B (zh) 2020-12-08
US9505906B1 (en) 2016-11-29
KR102335730B1 (ko) 2021-12-08
JP6960497B2 (ja) 2021-11-05
JP2017514977A (ja) 2017-06-08
JP2020117719A (ja) 2020-08-06
BR112016025707A2 (pt) 2017-08-15
CA2948140A1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979A (ko) 중합체 발포체
JP6960497B2 (ja) ポリマーフォーム
JP7057752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該予備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7123022B2 (ja) ポリマー発泡体
WO2021100645A1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
EP4112678A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foamed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olypropylene-based resin foam molded body
US8168722B2 (en) Interpolymer resin particles
JP6093795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US9963585B2 (en) Polymer composition and compound therefrom for isotropic film, extruded and molded article
WO2016067814A1 (ja) 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発泡樹脂製容器、及び、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の製造方法
JP200812097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体
JP6568798B2 (ja) 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樹脂発泡体及び発泡樹脂製容器、及び、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の製造方法
JP200118782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およびポリスチレン系樹脂の混合樹脂押出発泡ボード
JPS61176636A (ja) ポリプロピレン架橋発泡体用組成物
JP200416193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2015168780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及び型内発泡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