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184A - 비전력공급된 해제가능한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 및 통지 - Google Patents

비전력공급된 해제가능한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 및 통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184A
KR20170007184A KR1020160086813A KR20160086813A KR20170007184A KR 20170007184 A KR20170007184 A KR 20170007184A KR 1020160086813 A KR1020160086813 A KR 1020160086813A KR 20160086813 A KR20160086813 A KR 20160086813A KR 20170007184 A KR20170007184 A KR 2017000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electronic device
charging device
aler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980B1 (ko
Inventor
케빈 엠. 린치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0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Abstract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충전 디바이스가 초기에 전자 디바이스와 맞물리거나 전자 디바이스에 접속될 때 외부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경보 유닛은,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 대해 하나 이상의 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경보 또는 경보들은,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린 전자 디바이스에 그리고/또는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나 경보 유닛에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전력공급된 해제가능한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 및 통지{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AN UNPOWERED RELEASABLE CHARGING DEVICE}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7월 10일자로 출원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an Unpowered Releasable Charging Device"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190,930호의 35 U.S.C. § 119(e) 하의 혜택을 주장하며, 이 가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완전히 개시된 것처럼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 또는 무선 에너지 전달 디바이스와 같은 비전력공급된 전력 또는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 및 통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주기적으로 충전될 필요가 있는 배터리를 가진다. 전력이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되어 다양한 기술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플러깅되어 전력을 공급하거나,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유선 및 무선 충전 디바이스들은, 벽 콘센트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등의 전원에 플러깅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를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린 직후에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되기 시작할 것을 기대한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초기에 전자 디바이스를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 비전력공급될(예를 들어, 플러깅되지 않음)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처음 전자 디바이스를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 충전 디바이스가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기간 이후에 돌아올 때 전자 디바이스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충전될 것을 기대한다. 대신에, 사용자는 충전 디바이스 자체가 비전력공급되기 때문에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전자 디바이스가 초기에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에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를 통해 그리고/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를 통해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에 관한 하나 이상의 통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처리 디바이스, 및 처리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검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는 검출 유닛의 출력에 기초하여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을 검출하고,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며,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할 수 없음)에 있을 때 경보 유닛에 경보 신호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경보 유닛은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경보 유닛은 햅틱 디바이스, 오디오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및/또는 광원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보는, 오디오 경보, 시각적 경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보 메시지 또는 광원 번쩍임), 및/또는 햅틱 경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을 검출하는 단계, 및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의 검출 시에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면, 사용자에 대해 하나 이상의 경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가 전력부족 상태(underpowered)인 경우 하나 이상의 경보가 생성될 수 있고, 여기서 충전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충분한 양의 전력을 갖지 않는다. 초기 경보 또는 경보들 이후에 동일한 경보(들) 또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경보(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경보는,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린 전자 디바이스, 충전 디바이스, 및/또는 충전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시스템은 충전 디바이스와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트리거링 요소가 충전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처리 디바이스, 및 처리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검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유닛은 충전 디바이스에서의 트리거링 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처리 디바이스는 트리거링 요소가 검출 유닛과 맞물린 것에 기초하여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을 검출하고,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며,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때 경보 신호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경보 유닛은 처리 디바이스로부터의 경보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그것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물들, 수정물들 및 등가물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가능한 경우에 도면들에 공통인 동일한 피쳐들을 지정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이용되었다.
도 1은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해제가능한 충전 디바이스(releasable charging device)에 접속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맞물림해제된 구성의 다른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와 충전기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맞물린 구성의 도 4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404)와 충전기 디바이스(402)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외부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술들을 예시한다.
도 11은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며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14는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며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2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는) 충전될 디바이스가 초기에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에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실시예들은 충전 디바이스와의 맞물림을 검출할 수 있고, 맞물림의 검출 시에, 충전 디바이스가 전력공급되는지 또는 비전력공급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충전 디바이스와의 맞물림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 및/또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또는 기술들은 충전될 디바이스 또는 충전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비전력공급(unpowered)"이란, 충전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린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이나 다른 신호를 제공할 수 없는 충전 디바이스의 상태를 지칭한다. 일례에서, 전력 케이블의 커넥터는 전자 디바이스의 포트 내로 삽입될 수 있지만, 전력 케이블의 플러그가 벽 콘센트에 플러깅되지 않으면, 전력 케이블은 어떠한 전력도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예에서, 전력 케이블의 플러그는 벽 콘센트에 플러깅될 수 있지만, 전력 케이블이 손상되었거나 결함이 있어서(예를 들어, 절단되어서) 전력 케이블은 여전히 전자 디바이스에 어떠한 전력도 공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역시, 이 제2 예에서의 전력 케이블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맞물리다(engage)" 및 "맞물림(engagement)"이란, 충전 디바이스가 전력공급된 상태에 있을 때 전력 전달이 발생할 수 있는 충전 디바이스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지칭한다. 전자 디바이스간의 접속은 물리적(예를 들어, 유선)이거나, 무선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맞물림은 충전 디바이스의 커넥터(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 도크)가 전자 디바이스의 포트 내로 삽입되는 물리적 삽입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일부(예를 들어, 제1 표면)를 충전 디바이스의 일부(예를 들어, 제2 표면)와 교합(mating)함으로써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릴 수 있다. 그러면, 근접장(near-field) 기술들(예를 들어, 유도식 또는 자기식 결합)을 이용하여 전력이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접장(far-field) 기술들(예를 들어, 라디오파)을 이용하여 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 내의 검출 유닛에 의해 감지되거나 검출 유닛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트리거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링 요소 및/또는 검출 유닛은, 임의의 적절한 전기, 기계, 광학, 자기, 전자기, 또는 전기기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트리거링 요소와 검출 유닛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또는 능동적으로 충전될 디바이스와 충전 디바이스 사이의 맞물림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 검출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를 충전될 디바이스에 송신하거나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나타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충전 디바이스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신호를 충전 디바이스에 송신한 다음에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 대기하여 충전 디바이스가 응답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로의 전력의 전달을 개시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수동 검출에서, 충전 디바이스 내의 컴포넌트 또는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와 맞물리거나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에서의 트리거링 요소는 자기 요소(예를 들어, 자석)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내의 검출 유닛은, 자기 요소의 존재 및/또는 자기장 강도를 수동으로 검출하는, 홀 효과(Hall Effect) 센서 등의, 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는 자기 요소의 존재 및/또는 자기장 강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와의 맞물림을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례에서, 충전 디바이스의 표면(예를 들어, 유도식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표면) 상에 미리 결정된 패턴이 제공될 수 있고, 이미지 센서가 패턴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패턴의 일례는 바코드이다. 대안적으로, 반드시 인간의 눈에 의해 검출가능할 필요는 없는, 충전 표면 상의 상이한 컬러 및/또는 형상의 패턴이 이미지 센서에 의해 광학적으로 수동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일단 충전 디바이스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초기 맞물림이 검출되고 나면, 전자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로부터의 전력의 수신을 예상하거나 전력을 수신을 개시할 수 있다. 특정 기간 이후에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력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전자 디바이스는 전력의 결핍으로부터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결함있거나 또는 동작불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는 앞서언급된 예시의 구조를 통해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능동적으로 검출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임의의 전력 수신의 실패에 기인하여 충전 디바이스가 전력이 결핍되어 있다고 수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트리거링 요소에만 임시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내부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 플러그 또는 충전 표면은,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와 맞물려 있지만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을 때(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가 벽 콘센트에 플러깅되어 있지 않을 때) 전자 디바이스 내의 광 센서를 향하여 임의의 적절한 스펙트럼의 광을 임시로 방출하는 광원(예를 들어, LED)을 포함할 수 있다. 광의 번쩍임은 충전 디바이스가 존재하고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는 것을 전자 디바이스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디바이스는 그 비전력공급 상태를 전자 디바이스에게 능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에 관한 하나 이상의 경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경보 메시지 또는 그래픽이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려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오디오, 시각적, 및/또는 햅틱 경보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이벤트들 중 하나 이상이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보가,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린 전자 디바이스에 및/또는 사용자가 이러한 경보를 수신하도록 지정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top)", "하부(bottom)", "정면(front)", "배면(back)", "선단(leading)", "후단(trailing)" 등의, 방향 용어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들)의 배향을 참조하여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컴포넌트들은 다수의 상이한 배향으로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용어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이용되며 어떠한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단순화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 내의 배터리를 충전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충전 디바이스(102)와 맞물리게 한다. 충전 디바이스(102)는 전원(104)에 접속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104)은, 충전 디바이스(102)가 전력 케이블(예를 들어, 전력 코드, USB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외부 전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104)은 충전 디바이스(102)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충전 디바이스(102)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은 복수의 전원(외부 및/또는 내부)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는 전원들 모두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102)는, 전원(104)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전자 디바이스(10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사례에서, 충전 디바이스(102)는, 충전 디바이스(102)가 전원(104)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서 또는 전원(104) 그 자체가 전력을 공급할 수 없어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전원(104)이 벽 콘센트일 때, 전기 전력은 일시적으로 이용불가능하거나(예를 들어, 정전(power outage)) 턴 오프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전원(104)은 충전 디바이스(102)에 접속된 배터리일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102)는 배터리가 충전되어 있지 않을 때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역시, 이러한 전력의 결핍은,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충전 디바이스(102)가 동작불가능(예를 들어, 언플러깅됨, 비전력공급됨, 고장 상태에 있음 등)하다고 수동으로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초기에 충전 디바이스(102)와 맞물릴 때에 충전 디바이스(102)가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구조들이 개시된다. 추가적으로, 충전 디바이스(102)가 전력을 제공할 수 없다고 전자 디바이스(100)가 결정할 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경보는 전자 디바이스(100) 내의 하나 이상의 경보 유닛(106)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경보는, 시각적, 햅틱, 및/또는 오디오 경보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파선(110)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는 경보 디바이스(108) 상에서 하나 이상의 경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경보 디바이스(108)는, 예를 들어, 스마트 전화기, 착용가능 디바이스, 및 태블릿이나 랩톱 컴퓨팅 디바이스 등의, 임의의 적절한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해제가능한 충전 디바이스에 접속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들의 사시도들이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전화기로서 도시된 한편, 전자 디바이스(300)는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다른 실시예들은 이들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과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될 때 경보를 제공하는 것은 임의의 적절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랩톱 컴퓨터,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착용가능 통신 디바이스, 스마트 시계, 착용가능 건강 모니터링 디바이스, 원격 제어 디바이스, 게이밍 디바이스, 및 외부 충전 디바이스와 해제가능하게 접속되거나 맞물리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200, 300)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200, 300)의 내부 컴포넌트들에 대한 외측 표면 또는 부분적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인클로져(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져(202)는 디스플레이(204)와 (이 예에서는 버튼으로서 도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디바이스(20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인클로져(202)는, 정면 피스 또는 배면 피스와 같이 서로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클로져(202)는 디스플레이(204)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단일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인클로져(202)는, 플라스틱 및 금속을 포함한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인클로져(202)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 구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4)는 터치 입력, 힘 입력, 온도 입력 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4)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 발광 다이오드(LED) 기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기술, 또는 유기 전계 발광(OEL) 기술을 이용하는 멀티-터치 감지 터치스크린 디바이스를 포함한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4)는 전자 디바이스(200, 300) 상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출력 디바이스(206)는, 기계적 버튼, 소프트 버튼(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움직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입력을 수락하는 버튼), 디스플레이 상의 아이콘이나 이미지 등일 수 있는, 입력 버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출력 디바이스(206)는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 유리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자 디바이스(200, 300)는, 마이크로폰, 스피커,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생체인식), 및 네트워크 통신 포트 등의 하나 이상의 포트 등의, 다른 유형의 입력/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210, 310)의 플러그(208, 308)(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는 전자 디바이스(200, 300) 내의 각각의 포트(212, 312)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210, 310)는 전자 디바이스(200, 300) 내의 검출 유닛에 의해 감지되거나 검출 유닛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트리거링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링 요소의 이 상호작용 또는 감지는, 충전 디바이스(210, 310)가 처음 포트(212, 312) 내로 삽입될 때 전자 디바이스(200, 300)가 충전 디바이스(210, 310)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각 맞물림해제된 상태와 맞물린 상태에 있는, 다른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와 충전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전자 디바이스(404)는 충전 디바이스(402)로부터 무선으로(예를 들어, 유도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착용가능 통신 디바이스이다. 착용가능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무선 전자 통신, 및/또는 심박 데이터, 혈압 데이터, 온도 데이터, 산소 레벨 데이터, 다이어트/영양 정보, 의료 리마인더, 건강-관련 팁이나 정보, 또는 다른 건강-관련된 데이터 등의(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건강-관련 정보나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400)은 손목시계 또는 스마트 시계를 도시하고 있지만, 시스템은 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유도식으로 에너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휴대용 또는 준-휴대용(semi-portable) 전자 디바이스는 에너지를 유도식으로 수신할 수 있고, 임의의 휴대용 또는 준-휴대용 도킹 스테이션 또는 충전 디바이스는 유도식으로 에너지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402)와 전자 디바이스(404) 각각은, 그 내부에 전자적, 기계적 및 구조적 컴포넌트들을 인클로징하는 인클로져(406, 408)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져들(406, 408)은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인클로져들이 형태와 기능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인클로져(202)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402)는 전력 케이블(410)에 의해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402)는, USB 케이블 등의 케이블을 통해 벽 콘센트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충전 디바이스(402)는 배터리 동작형일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충전 디바이스(402)의 인클로져(406)에 결합된 전력 케이블(410)과 함께 도시되어 있지만, 전력 케이블(410)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410)은 제거가능하며, 충전 디바이스(402)의 인클로져(406) 내의 개방된 리셉터클 또는 애퍼쳐 내에 들어맞도록 크기가 정해진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404)는, 충전 디바이스(402)의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과 인터페이싱하거나, 정렬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 표면(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404)와 충전 디바이스(402)는 서로에 관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충전 디바이스(402)의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은 전자 디바이스(404)의 상보적 형상과 맞물리는 특정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예시적인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은 선택된 곡선을 따르는 오목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404)의 제1 인터페이스 표면(412)은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과 동일하거나 상당히 유사한 곡선을 따르는 볼록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2, 414)은 임의의 주어진 형상과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2, 414)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충전 및 전자 디바이스들(402, 404)은 하나 이상의 정렬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서로에 관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충전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402, 404)에 하나 이상의 자기 디바이스들이 포함되어 디바이스들을 정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404)가 충전 디바이스(402)와 접촉할 때 충전 디바이스(402)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자기 요소들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충전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402, 404) 내의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들이 디바이스들을 정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들(402, 404)의 인터페이스 표면들 및/또는 인클로져들 내의 돌출부 및 대응하는 오목자국들 등의 정렬 피쳐들이 충전 및 전자 디바이스들(402, 404)를 정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표면들, 하나 이상의 정렬 메커니즘, 및 하나 이상의 정렬 피쳐들의 설계 또는 구성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렬 피쳐들은, 전자 디바이스(404)가 충전 디바이스(402)와 접촉할 때 충전 디바이스(402)의 존재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측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식 또는 다른 방식으로의) 디바이스들의 정렬은, 특히 트리거링 요소가 충전 디바이스 상에 비대칭적으로 또는 불균일하게 위치해 있는 상황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트리거링 요소"란,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더 상세히 샘플 트리거링 요소가 논의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예시적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들과는 상이한, 더 적은 개수의, 또는 더 많은 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락커 버튼, 푸시 버튼, 및/또는 슬라이딩 버튼 등의, 복수의 버튼을 입력/출력 디바이스(206)로서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외부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술들을 예시한다. 충전 디바이스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충전 디바이스(402)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되는 기술들은 전력 케이블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충전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 있다. 트리거링 요소는 충전 디바이스 내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링 요소(600)는 충전 디바이스(402)의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트리거링 요소(600)는, 하나 이상의 컬러의 및/또는 상이하게 성형된 구조적 요소,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징되거나 전기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도전성 콘택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트리거링 요소(600)는 미리 결정된 패턴(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징되거나 감지될 수 있는 상이한 흡수 및/또는 반사 속성을 갖는 재료의 패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트리거링 요소(600)는, 전자 디바이스 내의 대응하는 스위치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기계적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도 7에서, 트리거링 요소(700)는 충전 디바이스(4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트리거링 요소(700)는, 홀 효과 센서 등의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 디바이스(402) 내의 위치에 놓인 제1 자기 요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위치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자기 요소와 제2 자기 요소 사이에서 생성되는 자기 인력장 또는 척력장은 제2 자기 요소가 스위치를 활성화하게 할 수 있다.
도 8a는 도 5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전자 디바이스(404)와 충전 디바이스(402)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충전 디바이스(402)는 광 파이프(800)를 포함하고 전자 디바이스(404)는 광 파이프(800)의 각각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위치한 방출기(804)와 검출기(80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출기(804)는 광원(가시 또는 비가시 광원)일 수 있고 검출기(806)는 광 센서일 수 있다. 방출기(804)가 턴 온될 때, 광(808)은 광 파이프(800)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검출기(806)는, 전자 디바이스(404)가 충전 디바이스(402)의 표면 상에 놓여 있을 때에만 방출기(804)에 의해 생성된 광을 검출할 수 있고 방출기(804)와 검출기(806)는 광 파이프(800)와 정렬된다.
도 9a는 충전 디바이스(402)(도 4)의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의 상부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방출기(804)는 입력 개구(900) 내로 광을 방출하고 광 파이프(800)는 방출기(804)가 턴 온될 때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으로부터 광을 방출하는 링(902)을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링(902)은 연속된 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402)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별 포인트 또는 세그먼트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별 포인트들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예를 들어, 원형)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개별 포인트들이 고리형 배열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로 위치할 수 있다.
도 8b는 도 5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전자 디바이스(404)와 충전 디바이스(402)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충전 디바이스(402)는 광 파이프(800)를 포함하고 전자 디바이스(404)는 방출기(804)와 검출기(806)를 포함한다. 방출기(804)가 턴 온될 때, 광(808)은 광 파이프(800)를 통해 검출기(806)로 전파된다. 검출기(806)는, 전자 디바이스(404)가 충전 디바이스(402)와 접촉할 때 광(808)을 검출할 수 있다. 도 9b는 충전 디바이스(402)(도 4)의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의 상부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방출기(804)는 광 파이프(800)의 입력 개구(900) 내로 광(808)을 방출하고, 광 파이프(800)는 광(808)이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으로부터 방출되도록 출력 개구(904)에서 광(808)을 방출한다.
도 8c는 도 5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전자 디바이스(404)와 충전 디바이스(402)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충전 디바이스(402)는 복수의 광 파이프(800)를 포함하고 전자 디바이스(404)는 복수의 방출기(804)와 검출기(806)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출기(804)가 턴 온될 때, 광(808)은 대응하는 광 파이프(800)를 통해 각각의 검출기(806)로 전파된다. 도 9c는 충전 디바이스(402)(도 4)의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의 상부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방출기(804)는 각각의 입력 개구(900A, 900B) 내로 광(808)을 방출하고, 광 파이프(800)는 광(808)이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으로부터 방출되도록 대응하는 출력 개구(904A, 904B)에서 광(808)을 방출한다. 방출기(804)는, 개별적으로, 상이한 그룹들로, 또는 한 번에 모두 턴 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방출기(804)는 광의 동일한 파장을 방출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기(804)는 다른 방출기(들)(804)에 의해 방출되는 파장들과는 상이한 광의 파장을 방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방출기(804)를 상이한 검출기(806)와 쌍을 이루게 하도록 상이하게 광 파이프(8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 포인트들의 상이한 배열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충전 디바이스(402)와 전자 디바이스(404)의 확대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요소(1000)는 제2 인터페이스 표면(414)에 형성된 애퍼쳐(1002)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요소(1000)는 애퍼쳐(1002) 내의 하나 이상의 표면 위에 형성되는 패턴일 수 있다. 도 10에서, 트리거링 요소(1000)는 애퍼쳐(1002)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트리거링 요소(1000)는 전자 디바이스(404)에 의해 이미징되거나 감지될 수 있는 상이한 흡수 및/또는 반사 속성을 갖는 재료의 패턴 또는 바코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404)와 충전 디바이스(402)를 정렬함으로써 트리거링 요소(1000)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애퍼쳐(1002)는 전자 디바이스(404)의 배면 상의 구조물과 맞물릴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404) 내의 광원(1004)은 트리거링 요소(1000)를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404) 내의 광 센서(1006)는 트리거링 요소(1000)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404) 내의 이미지 센서는 조사된 트리거링 요소(1000)의 이미지를 포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402)는, 트리거링 요소(1000), 반사된 광을 검출할 수 있는 광 센서(1006), 또는 트리거링 요소(1000)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조사하도록 위치한 광원(10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충전 디바이스가 맞물려 있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방법들, 트리거링 요소들, 기술들, 및 다른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샘플 실시예 및 검출 유닛/트리거링 요소들이 설명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정렬은 충전 디바이스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 디바이스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적절한 정렬은, 상보형의 만곡된 제1 및 제2 인터페이싱 표면들, 액츄에이터들, 자석들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요소가 플러그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전기 요소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회로를 완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근접 센서가 충전 디바이스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포트 또는 애퍼쳐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내의 처리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근접 센서의 출력 또는 회로의 출력(예를 들어, 전류 또는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광학적 검출을 통해 충전 디바이스와의 맞물림을 검출할 수 있다. 일례에서, 충전 디바이스의 표면(예를 들어, 유도식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표면) 상에 바코드 또는 매트릭스 바 코드가 제공될 수 있고, 이미지 센서가 바코드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전 표면 상의 상이한 컬러 및/또는 형상들의 패턴이 이미지 센서에 의해 광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충전 디바이스 상의 충전 표면은 텍스쳐링되거나, 상이한 반사 및/또는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전력 케이블 플러그 또는 충전 표면은,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와 맞물려 있고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때(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가 벽 콘센트에 플러깅되어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 내의 광 센서를 향하여 광을 방출하는 광원(예를 들어, LED)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내의 처리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광 센서의 출력 또는 이미지들을 분석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면,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초기에, 블록(1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와의 처음 접속 또는 맞물림을 검출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자 디바이스 내의 포트에 의해 수용되는 플러그 내에 또는 충전 표면 내에 기계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기계 요소는 전자 디바이스 내의 스위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내의 처리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 디바이스는, 자기 요소(예를 들어, 자석)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는, 자기 요소의 존재 및/또는 자기장 강도를 검출하는, 홀 효과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자기 요소의 존재 및/또는 자기장 강도의 검출에 기초하여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광학적 검출을 포함한, 다른 샘플 구조들 및 트리거링 요소들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1의 블록(1102)을 참조하면,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 후에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는지에 관해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내의 처리 디바이스는 배터리에 접속된 신호 라인을 모니터링하여 신호 라인 상의 신호 레벨(예를 들어, 전류 또는 전압)이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충분한지를(예를 들어, 신호 레벨이 임계 레벨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유도식 충전 디바이스가 벽 콘센트에 플러깅되어 있지 않을 때 배터리에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예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유도식 전력 전달 수신기를 통해 충전 디바이스를 "핑(ping)" 해보고 충전 디바이스 내의 유도식 전력 전달 송신기로부터의 응답 핑이나 전력의 전달을 대기할 수 있다. "핑"은 충전 디바이스에 또는 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의 짧은 버스트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응답 핑이 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지 않거나,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의 전달을 시작하지 않으면, 충전 디바이스가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면, 프로세스는 블록(1104)으로 가고 하나 이상의 초기 경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일례로서, 경보 메시지 또는 그래픽이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려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오디오, 시각적, 및/또는 햅틱 경보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이벤트들 중 하나 이상이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보가,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린 전자 디바이스에 및/또는 사용자가 이러한 경보를 수신하도록 지정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블록(1102)로 돌아가서,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때(충전 디바이스가 전력공급된 상태에 있을 때), 이 방법은 블록(1106)으로 가서, 충전 디바이스가 초기에 전자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에 전력부족 상태인지에 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전력 또는 충전을 위해 외부 배터리 디바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배터리 팩 상의 전하의 양을 검출하거나, 외부 배터리 팩이 배터리 팩 상의 잔여 전하에 관한 데이터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잔여 전하가 배터리를 주어진 레벨(예를 들어, 임계 레벨)로 충전하거나 주어진 시간량 동안 전력을 제공하기에 불충분하다면, 이 방법은 블록(1104)에서 계속된다.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블록(1100)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와 처음 맞물릴 때에만 충전 디바이스가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지를 검출한다. 후속하는 이용가능한 전력량에서의 감소 및/또는 후속하는 전력의 소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지 않고, 이들 이벤트들 중 하나가 발생할 때 경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일단 블록(1104)에서 초기 경보 또는 경보들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블록(1108)에서 계속되어, 전자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또는 초기 경보(들) 이후의 선택된 시간들에서 계속 경보(들)를 제공할 것인지에 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초기 경보 이후에 주어진 시간량이 경과한 이후에 경보 또는 경보들이 생성될 수 있고 외부 충전 디바이스들은 비전력공급 상태에 머문다.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후속 경보(들)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면 프로세스는 블록(1100)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와 처음 맞물릴 때에만 충전 디바이스의 비전력공급 상태에 관한 경보 또는 경보들을 생성한다. 후속하는 이용가능한 전력량에서의 감소 및/또는 후속하는 전력의 소실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므로, 이들 이벤트들 중 하나가 발생할 때 경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위해 하나 이상의 후속 경보를 제공하려 할 때, 이 방법은 블록(1110)으로 가서, 경보의 유형 및/또는 경보의 프리젠테이션이 변경될 것인지에 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초기 경보와는 상이한 경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초기 경보는 오디오 경보이고 후속 경보는 시각적 경보(예를 들어, 경보 메시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경보(들)(예를 들어, 경보의 프리젠테이션)를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은 변경되거나 보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린 전자 디바이스 이외의(또는 이에 추가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 이상의 후속 경보들이 수신될 수 있다.
경보(들)의 유형 및/또는 프리젠테이션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면, 프로세스는 블록(1112)에서 계속되어 역시 사용자를 위해 하나 이상의 초기 경보가 생성된다. 그 다음, 이 방법은 블록(1108)으로 복귀한다. 경보(들)의 유형 및/또는 프리젠테이션이 변할 때, 이 방법은 블록(1114)으로 가서 사용자를 위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경보들이 생성된다. 그 다음, 이 프로세스는 블록(1108)으로 복귀한다. 예를 들어, 비전력공급된 충전 디바이스가 초기에 전자 디바이스(404)와 맞물리거나 전자 디바이스에 접속될 때 오디오 경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상의 경보 메시지 등의 시각적 경보 또는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의 LED 광원의 활성화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2는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초기에, 블록(1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가 비스캐닝 모드에 있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가 표면을 검출하는지에 관해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스캐닝 모드는,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402))의 존재를 검출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모드이다. 그러나, 비스캐닝 모드에 있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 내의 다른 센서나 디바이스가 표면의 존재를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때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내의 처리 디바이스는, 가속도계, 터치 센서, 힘 센서, 및/또는 생체인식 센서 등의 하나 이상의 센서의 출력을 모니터링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움직이고 있거나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가 움직이고 있거나 및/또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고 있을 때 비스캐닝 모드에 머물러 있거나 비스캐닝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또는 대안으로서 스캐닝 모드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비스캐닝 모드에 있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가 표면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블록(1202)으로 가서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스캐닝 모드에 있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가 표면을 검출하는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스캐닝 모드는,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려고 시도하는 모드이다. 제1 스캐닝 모드는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거나, 제1 스캐닝 모드는 선택된 시간들에서(예를 들어, 검출 스캔들 사이의 주어진 시간 간격에 대해)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스캔할 수 있다. 일례로서, 스캐닝 동작은 스케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비스캐닝 모드에 있는 동안(블록(1200)) 또는 제1 스캐닝 모드에 있는 동안(블록(1202)) 표면의 존재를 검출한다면, 이 방법은 블록(1204)에서 계속되어 전자 디바이스는 표면이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표면인지를 결정한다. 표면이 충전 표면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기술들 중 임의의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표면은, 하나 이상의 컬러의 및/또는 상이하게 성형된 구조적 요소, 패턴,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징되거나 전기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도전성 콘택 등의 하나 이상의 트리거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방출기로부터 전자 디바이스 내의 검출기로 광을 전파하는 광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이 충전 표면이 아니라면, 이 방법은 블록(1206)에서 계속되어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스캐닝 모드로 스위칭된다. 제2 스캐닝 모드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검출 스캔들 사이의 더 큰 시간 간격과 함께 표면이 충전 표면인지를 계속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를 충전 표면 상으로 슬라이딩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후속해서 제2 스캐닝 모드에 따라 표면이 충전 표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자신이 충전 디바이스 이외의 표면 상에 놓여 있다고 결정한다면, 전자 디바이스는, 모션 검출기(예를 들어, 가속도계)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이것이 움직이고 있거나 또는 움직였다는 것을 검출할 때까지 어떠한 활성 스캔도 중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가 트리거링 요소 또는 다른 충전 디바이스 표시자를 검출하지 못하는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이것이 안정적이라고(예를 들어, 적절한 모션 센서에 의해 어떠한 모션도 검출되지 않음) 결정함으로써, 자신이 충전 표면 이외의 표면 상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비충전 표면 상에 있는 동안 스캐닝 동작을 중단하거나 이러한 동작의 빈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 디바이스는 그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제2 스캐닝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 대신에 블록(1200)으로 복귀할 수 있다.
표면이 충전 표면이면(블록(1204)), 이 방법은 블록(1208)으로 가서 전자 디바이스는 충전 표면이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일례로서, 전자 디바이스 내의 처리 디바이스는 유도식 전력 전달 수신기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신호 레벨이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불충분하다면, 처리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가 전력을 제공할 수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는 벽 콘센트에 플러깅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을 때 충전 디바이스에 전력을 임시로 제공하는 내부 전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가 벽 콘센트에 플러깅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전자 디바이스에게 통지하는 통신 신호를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신호는 또한 배터리의 충전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 신호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에 전력을 송신하여 충전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경보 유닛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된다는 경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광원(예를 들어, LED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경보 유닛은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 내의 컴포넌트들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블록(1208)으로 되돌아가서, 충전 표면이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면, 프로세스는 블록(1210)으로 가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경보를 제공한다. 충전 표면이 전력공급된 상태에 있다면, 이 방법은 블록(1212)에서 계속되어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있는 동안 스캐닝 및 비스캐닝 모드들이 디스에이블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계 등의 착용가능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착용가능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착용가능 전자 디바이스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처리 디바이스는 근접 센서의 출력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착용가능 디바이스는 용량식 센서 또는 다른 적절한 센서를 이용하여 밴드가 닫혀있거나 벗겨져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착용가능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지 않을 때 스캐닝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을 때 비스캐닝 모드에 진입하거나 비스캐닝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조건이나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에만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의 존재를 체크하는 스캐닝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조건이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가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을 시도하지 않는 비스캐닝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블록들을 상이한 순서로 수행하거나 및/또는 블록들을 추가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일례로서, 블록(1106)은 일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블록들(1108, 1110, 1112, 및 1114)은 다른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2에서, 블록(1206) 및/또는 블록(1212)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면,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할 수 있고 경보 디바이스에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예시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디바이스(1300)는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들(200 및 300)로서 이용되기에 적절하다. 전자 디바이스(1300)는, 하나 이상의 처리 디바이스(1302), 메모리(1304), 디스플레이(1306), 전원(1308),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I/O) 디바이스(1310),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312), 검출 유닛(1314), 및 경보 유닛(1316)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이 이하에서 논의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처리 디바이스(1302)는 전자 디바이스(1300)의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들)(1302)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중 실질적으로 모두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시스템 버스(1318) 또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들은, 처리 디바이스(들)(1302), 메모리(1304), 디스플레이(1306), 전원(1308), I/O 디바이스(들)(1310),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312), 검출 유닛(1314), 및/또는 경보 유닛(1316) 사이에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처리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1300)와 맞물린 외부 충전 디바이스(1320)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처리 디바이스(1302)는, 외부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을 때(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이 벽 콘센트에 플러깅되어 있지 않을 때) 경보가 생성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들)(1302)는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처리,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처리 디바이스(130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이러한 디바이스들 중 복수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될 때, 용어 "처리 디바이스"는,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유닛, 복수의 프로세서, 복수의 처리 유닛, 또는 적절히 구성된 계산 요소 또는 요소들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모리(1304)는 전자 디바이스(130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4)는, 오디오 파일, 문서 파일, 타이밍 및 제어 신호, 동작 설정 및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 등의, 전기적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4)는 임의 유형의 메모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단지 예시로서, 메모리(1304)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착탈식 메모리, 또는 다른 유형의 저장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6)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6)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 발광 다이오드(LED) 기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기술, 유기 전계 발광(OEL) 기술,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멀티-터치 감지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6)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300)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멀티-터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원(1308)은 전자 디바이스(1300)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1308)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또는 충전가능한 배터리, 또는 전자 디바이스를 벽 콘센트 등의 다른 전원에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I/O 디바이스(131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또는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I/O 디바이스(들)(1310)는 터치스크린 또는 트랙패드 등의 터치 감지 입력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버튼, 마이크로폰, 햅틱 디바이스,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312)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의 또는 이로부터의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전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 접속의 예로서는, 셀룰러, Wi-Fi, 블루투스, 적외선, RFID, 이더넷, 및 NFC가 포함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검출 유닛(1314)은, 외부 충전 디바이스(1320) 내의 트리거링 요소(1322)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전기, 기계, 광학, 자기, 전자기, 또는 전기기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유사하게, 트리거링 요소(1322)는, 검출 유닛(1314)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전기, 기계, 광학, 자기, 전자기, 또는 전기기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링 요소(1322)는, 회로에 접속된 콘택 패드, 홀 효과 센서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자기 요소, 광원, 또는 충전 디바이스의 플러그 또는 충전 표면에 형성된 패턴일 수 있다.
검출 유닛(1314)은, 충전 디바이스가 처음 전자 디바이스(1300)와 맞물리거나 이에 접속될 때 충전 디바이스(1320)의 존재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검출 유닛(1314)은, 스위치, 자기 요소, 광학 센서, PPG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처리 디바이스(1302)는, 검출 유닛(1314)에 의해 생성된 상태, 출력 신호, 또는 데이터를 모니터링, 수신, 및/또는 분석함으로써, 충전 디바이스(1320)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 디바이스(1302)는 또한, 전원(1308)이 외부 충전 디바이스(1320)로부터 전력(1324)을 수신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 디바이스(1302)는 하나 이상의 경보 유닛(1316)에 경보 제어 및 타이밍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경보 유닛은 외부 충전 디바이스(1320)의 비전력공급 상태를 사용자에게 경보하도록 설계된 출력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경보 유닛은 디스플레이(13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디바이스(1310)(예를 들어, 스피커, 햅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경보 유닛(1316)은 경보만을 위해 이용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유닛(1316)은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을 때 턴 온되거나 번쩍이는 광원일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1302)는, 비전력공급된 외부 충전 디바이스(1320)가 초기에 전자 디바이스(1300)와 맞물리거나 전자 디바이스에 접속될 때 하나 이상의 경보가 생성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처리 디바이스(1302)는, 외부 충전 디바이스(1320)가 처음 전자 디바이스(1300)와 맞물릴 때 외부 충전 디바이스(1320)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초기 경보(들)가 생성된 이후에 주기적으로 또는 선택된 시간들에서 하나 이상의 경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처리 디바이스(1302)는 경보를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의 개수와 유형을 보충하거나 변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디바이스(1302)는,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312 및 1328)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300)와 통신하는 경보 디바이스(1326)에 타이밍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312, 1328)는 전자 디바이스(1300)와 경보 디바이스(1326) 사이에 통신 링크(1330)를 확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통신 링크(1330)는 물리적 링크로서 또는 무선 링크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경보 디바이스(1326)는 스마트 전화기,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랩톱이나 데스크톱 컴퓨터 등의, 제2 전자 디바이스이다. 경보 디바이스(1326)에 송신되는 경보 타이밍 및 제어 신호는, 하나 이상의 경보 유닛(1334)이 사용자를 위해 경보를 생성하게 하는 처리 디바이스(133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경보 유닛(1334)은, 각각 햅틱 경보, 제1 시각적 경보(예를 들어, 경보 메시지), 제2 시각적 경보(예를 들어, 번쩍이는 광), 및/또는 오디오 경보를 생성하는, 햅틱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광원,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 디바이스(1326)는 전자 디바이스(1300)와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경보를 생성하거나, 경보 디바이스(1326)는 전자 디바이스(1300) 대신에 경보(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처리 디바이스(1302)는 경보 타이밍 및 제어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가 처음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리고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고 전자 디바이스가 결정할 때 생성될 경보의 유형을 명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자신의 포켓 내에 스마트 전화기를 소지하기 때문에 스마트 전화기에서 햅틱 경보를 수신하기로 선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한 주의 요일(예를 들어, 주일 대 주말) 및/또는 하루의 시간 등의, 하나 이상의 요인에 기초하여, 경보 유형을 명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월요일 내지 금요일 사용자는 일과 중에 컴퓨터에서 시각적 경보를 수신할 것을 선택할 수 있고, 다른 모든 시간에서는 사용자는 포켓에 스마트 전화기를 소지하고 근처의 표면(예를 들어, 테이블 또는 침실용 스탠드) 상에 스마트 전화기를 두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마트 전화기에서 오디오 경보를 수신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시계일 수 있고 경보 디바이스는 스마트 전화기일 수 있다. 스마트 시계 및 스마트 전화기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스마트 시계가 처음 충전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 스마트 시계는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스마트 시계는 하나 이상의 경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마트 시계는 경보 타이밍 및 제어 신호를 스마트 전화기에 송신할 수 있고, 스마트 전화기는 사용자에 대해 하나 이상의 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트리거링 요소에만 임시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내부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와 맞물려 있고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을 때 내부 전원으로부터 광을 수신하여 임의의 적절한 스펙트럼의 광을 전자 디바이스 내의 광 센서 쪽으로 짧게 방출하는 광원(예를 들어, LED)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번쩍임은 충전 디바이스가 존재하지만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다는 것을 전자 디바이스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면, 충전 디바이스를 검출할 수 있고 경보 디바이스에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2 예시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404)로서 이용하기에 적절하며, 충전 디바이스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충전 디바이스(402)로서 이용하기에 적절하다. 충전 디바이스(402)는 유도식 전력 전달 송신기(1402)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전원(140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식 전력 전달 송신기(1402)는 송신기 코일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DC-AC 변환기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전원은, 전력 케이블(도 4의 410 참조)에 의해 충전 디바이스(402)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또는 벽 콘센트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디바이스(404)는 유도식 전력 전달 수신기(14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도식 전력 전달 수신기(1404)는 AC-DC 변환기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수신기 코일을 포함한다. 유도식 전력 전달 수신기(1404)는 충전가능한 배터리(1406) 등의 부하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다.
송신기 코일과 수신기 코일은 함께 변압기를 형성한다. 변압기는 송신기 코일과 수신기 코일 사이의 유도식 결합을 통해 전력을 전달한다(에너지 전달은 화살표(1408)로 표현됨). 본질적으로, 에너지는, 송신기 코일을 통해 흐르는 AC 신호에 의한 가변 자속의 생성을 통해 송신기 코일로부터 수신기 코일로 전달된다. 가변 자속은 수신기 코일에서 전류를 유도한다. 수신기 코일에서 유도된 AC 신호는 DC 신호로 변환된다. DC 신호는 배터리(1406)를 충전하는데 이용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달된 에너지는 전자 디바이스(404)와 충전 디바이스(402) 사이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통신 신호는 화살표(1410)로 표현됨).
충전 디바이스(402) 내의 처리 디바이스(1412)는, 유도식 전력 전달 송신기(1402),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414), 및 선택사항으로서 트리거링 요소(1416)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도 1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처리 디바이스(1412)는 충전 디바이스(402)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센서,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1412)는, 유도식 전력 전달 송신기(1402),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414), 및 트리거링 요소(1416)의 동작을 제어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404) 내의 처리 디바이스(1418)는, 유도식 전력 전달 수신기(1404),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420), 검출 유닛(1422), 및 경보 유닛(1424)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도 1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처리 디바이스(1418)는 전자 디바이스(404)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센서,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1418)는, 유도식 전력 전달 수신기(1404),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420), 검출 유닛(1422), 및/또는 경보 유닛(1424)의 동작을 제어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들(1412, 1418) 및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414, 1420)는, 형태와 기능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된 처리 디바이스들(1302) 및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312)와 유사하므로, 이들 컴포넌트들은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414, 1420)는 전자 디바이스와 충전 디바이스 사이에 통신 링크(1426)를 확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와 충전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위해 유도식 에너지 전달이 이용될 수 있다(화살표(1410) 참조). 통신 링크(1426)는 유도식 에너지 전달로부터 분리된 추가적인 통신 메커니즘이다.
도 13의 검출 유닛(1314)과 같이, 검출 유닛(1422)은, 외부 충전 디바이스(402) 내의 트리거링 요소(1416)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전기, 기계, 광학, 자기, 전자기, 또는 전기기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트리거링 요소(1416)는, 검출 유닛(1422)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전기, 기계, 광학, 자기, 전자기, 또는 전기기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링 요소(1416)는, 회로에 접속된 콘택 패드, 자기 요소, 광원, 또는 충전 디바이스의 플러그 또는 충전 표면에 형성된 패턴일 수 있다.
검출 유닛(1422)은, 충전 디바이스(402)가 처음 전자 디바이스(404)와 맞물리거나 이에 접속될 때 충전 디바이스(402)의 존재를 검출한다. 예시적인 검출 유닛(1422)은, 스위치, 홀 효과 센서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자기 요소, 광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처리 디바이스(1418)는, 검출 유닛(1422)에 의해 생성된 상태, 출력 신호, 또는 데이터를 모니터링, 수신, 및/또는 분석함으로써, 충전 디바이스(402)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 디바이스(1418)는 또한, 배터리(1406)가 외부 충전 디바이스(402)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유도식 에너지 전달 수신기(1404)는, 충전 디바이스(402) 내의 유도식 전력 전달 송신기(1402)에 핑을 전달하고 유도식 전력 전달 송신기(1402)로부터 응답 핑을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못함으로써, 검출 유닛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402)가 응답 핑을 송신한다면, 또는 대안적으로 전력의 송신을 시작한다면, 전자 디바이스(404)는 충전 디바이스(402)의 존재와 충전 디바이스(402)의 전력공급된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 디바이스(402)가 응답 핑을 송신하지 않는다면, 또는 대안적으로 전력의 송신을 시작하지 않는다면, 전자 디바이스(404)는 충전 디바이스(402)의 부재 또는 충전 디바이스(402)의 비전력공급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404)는 또한 경보 디바이스(1326)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504)는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1420)를 이용하여 경보 디바이스(1326)와 통신할 수 있다. 경보 디바이스(1326)는 도 13에 도시된 경보 디바이스(1326)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는 예시적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 충전 디바이스, 및/또는 경보 디바이스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들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고 도 13 또는 도 14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별개의 디스플레이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거나 이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별개의 메모리는 클라우드-기반의 시스템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 및 도 14는,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1300, 404), 충전 디바이스(1320, 402), 및 경보 디바이스(1326)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들은, 선택사항으로서,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의 원리를 실행하기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3 및 도 14에 기술된 기능 블록들은, 선택사항으로서,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결합되거나 서브-블록들로 분리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블록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 또는 분리 또는 추가의 정의를 지원한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경보 유닛", "검출 유닛", 및 "트리거링 요소"는, 각각의 유닛 또는 요소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특별히 그 특정 피쳐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형들 및 수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본 출원은 이들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피쳐들은 또한 호환되는 경우에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실시예들의 피쳐들은 호환되는 경우에 교환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비전력공급 상태(unpowered state)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비전력공급 상태에 있을 때 경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는 제1 경보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충분한 양의 전력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충분한 양의 전력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없을 때 상기 제1 경보 또는 상이한 제2 경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는, 제1 경보 신호를 제1 경보 유닛에 제공하여 상기 제1 경보 유닛이 상기 제1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경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경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는, 제2 경보 신호를 제2 경보 유닛에 제공하여 상기 제2 경보 유닛이 상기 제2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경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보 유닛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 상기 충전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제2 경보 유닛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 상기 충전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 상기 경보를 계속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는 제1 경보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경보가 생성된 이후부터 주어진 시간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이한 제2 경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디바이스;
    상기 처리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고, 충전 디바이스에서의 트리거링 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 및
    상기 처리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처리 디바이스로부터의 경보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링 요소가 상기 검출 유닛과 맞물리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디바이스와의 상기 검출된 초기 맞물림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고;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 신호가 상기 경보 유닛에 송신되게 하도록
    되어 있는 전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는 제1 경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제1 경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충전 디바이스와의 상기 검출된 초기 맞물림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충분한 양의 전력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충분한 양의 전력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없을 때, 상기 제1 경보 신호 또는 제2 경보 신호가 상기 경보 유닛에 송신되게 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 유닛은 상기 수신된 제1 또는 제2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경보 또는 제2 경보를 생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유닛은 햅틱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상기 햅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햅틱 출력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유닛은 오디오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오디오 경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유닛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보 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유닛은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상기 광원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전기 요소, 기계 요소, 광학 요소 또는 자기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는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링 요소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요소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링 요소는 상기 광원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요소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링 요소는 홀 효과(Hall Effect)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요소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링 요소는 기계적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처리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유도식 전력 전달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링 요소는 유도식 전력 전달 송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는 제1 경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1 경보 신호가 상기 경보 유닛으로 송신된 이후부터 주어진 시간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이한 제2 경보 신호가 상기 경보 유닛으로 송신되게 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 유닛은 상기 상이한 제2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이한 제2 경보를 생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시스템으로서,
    전자 디바이스 -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처리 디바이스;
    상기 처리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고, 충전 디바이스에서의 트리거링 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 및
    상기 처리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제1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함 -; 및
    경보 디바이스 - 상기 경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처리 디바이스와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경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
    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링 요소가 상기 검출 유닛과 맞물리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을 검출하고;
    상기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출림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고;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 신호가 상기 경보 유닛으로 송신되게 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충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는 제1 경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제1 경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충전 디바이스와의 초기 맞물림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충분한 양의 전력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충분한 양의 전력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없을 때, 상기 제1 경보 신호 또는 제2 경보 신호가 상기 경보 유닛에 송신되게 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 유닛은 수신된 상기 제1 또는 제2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경보 또는 제2 경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디바이스는 제1 경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유닛은 제1 경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제1 경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신호는 제1 경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제2 경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경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3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처리 디바이스와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제2 경보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제2 경보 신호가 상기 제2 경보 유닛으로 송신되게 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경보 유닛은 상기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2 경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KR1020160086813A 2015-07-10 2016-07-08 비전력공급된 해제가능한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 및 통지 KR101956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90930P 2015-07-10 2015-07-10
US62/190,930 2015-07-10
US15/179,922 2016-06-10
US15/179,922 US10666084B2 (en) 2015-07-10 2016-06-10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an unpowered releasable charg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184A true KR20170007184A (ko) 2017-01-18
KR101956980B1 KR101956980B1 (ko) 2019-03-11

Family

ID=5640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813A KR101956980B1 (ko) 2015-07-10 2016-07-08 비전력공급된 해제가능한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 및 통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66084B2 (ko)
EP (1) EP3116093A1 (ko)
JP (1) JP6472774B2 (ko)
KR (1) KR101956980B1 (ko)
CN (2) CN206004333U (ko)
AU (3) AU2016204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1531A1 (en) 2014-02-23 2017-01-04 Apple Inc. Adjusting filter in a coupled coil system
KR20180069107A (ko) 2014-02-23 2018-06-22 애플 인크.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의 임피던스 매칭
US10032557B1 (en) 2014-05-29 2018-07-24 Apple Inc. Tuning of primary and secondary resonant frequency for improved efficiency of inductive power transfer
US9537353B1 (en) 2014-06-03 2017-01-03 Apple Inc. Methods for detecting mated coils
US9685814B1 (en) 2014-06-13 2017-06-20 Apple Inc. Detection of coil coupling in an inductive charging system
US9813041B1 (en) 2014-07-31 2017-11-07 Apple Inc. Automatic boost control for resonant coupled coils
US10014733B2 (en) 2014-08-28 2018-07-03 Apple Inc. Temperature management in a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
US10193372B2 (en) 2014-09-02 2019-01-29 Apple Inc. Operating an inductive energy transfer system
US10666084B2 (en) 2015-07-10 2020-05-26 Apple Inc.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an unpowered releasable charging device
US10644531B1 (en) 2016-09-22 2020-05-05 Apple Inc. Adaptable power rectifier for wireless charger system
US10523063B2 (en) 2017-04-07 2019-12-31 Apple Inc. Common mode noise compensation in wireless power systems
US10389274B2 (en) 2017-04-07 2019-08-20 Apple Inc. Boosted output inverter for electronic devices
US10739730B2 (en) * 2017-11-07 2020-08-11 University of Alaska Anchorage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notifications
ES2952374T3 (es) * 2018-03-27 2023-10-31 Ddsports Inc Unidad de carga inalámbrica y método para dispositivos de juego con baterías recargables
EP4246770A3 (en) * 2018-05-23 2024-01-03 Wi-Charge Ltd Wireless power system having identifiable receivers
CN114884233A (zh) * 2022-07-13 2022-08-09 北京紫光芯能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接收系统、设备及方法,计算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608A (ja) * 1994-11-21 1996-06-07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用電話制御システム
JPH10173741A (ja) * 1996-12-11 1998-06-26 Tamura Electric Works Ltd 携帯端末装置
JP2001069388A (ja) * 1999-08-30 2001-03-1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及び充電器
KR20070023337A (ko) * 2005-08-24 2007-02-28 주식회사 팬택 접촉 불량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거치대 및 그 방법
JP2011259612A (ja) * 2010-06-09 2011-12-22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車両の充電状態報知装置
KR20120097155A (ko) * 2011-02-24 2012-09-03 김남철 Tta 표준 충전기용 승압젠더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시스템
US20140266005A1 (en) * 2013-03-14 2014-09-18 Tyco Fire & Security Gmbh Accelerometer-based battery charge status indicator
JP2014193087A (ja) * 2013-03-28 2014-10-06 Ntt Docomo Inc 充電装置及び充電検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8899A (en) 1979-06-15 1981-05-19 Sperry Corporation Bridge-doubler rectifier
US5293308A (en) 1991-03-26 1994-03-08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Inductive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849300B2 (ja) 1993-03-15 1999-01-20 ローム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機
JP3306675B2 (ja) 1993-04-21 2002-07-24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
US5639989A (en) 1994-04-19 1997-06-17 Motorola Inc. Shielded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8331850A (ja) 1995-05-30 1996-12-13 Nemic Lambda Kk 電源装置
US20010044588A1 (en) 1996-02-22 2001-11-22 Mault James R. Monitoring system
JP3551304B2 (ja) 2000-05-22 2004-08-04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US6198260B1 (en) 2000-06-05 2001-03-06 Technical Witts, Inc. Zero voltage switching active reset power converters
US6960968B2 (en) 2002-06-26 2005-11-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lanar resonato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6972543B1 (en) 2003-08-21 2005-12-06 Stryker Corporation Series resonant inductive charging circuit
WO2005092177A1 (en) 2004-03-22 2005-10-06 Bodymedia, Inc. Non-invasive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EP1633122A3 (en) 2004-08-27 2006-08-09 Vodafone K.K. Server for delivering content by the separate delivery method
KR100554889B1 (ko) 2005-03-21 2006-03-0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 시스템
US7352344B2 (en) 2005-04-20 2008-04-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Driver circuit for plasma display panels
US7430679B2 (en) 2005-08-31 2008-09-30 Apple Inc. Charging of mobile devices
US7952322B2 (en) 2006-01-31 2011-05-31 Mojo Mobility, Inc.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US8169185B2 (en) 2006-01-31 2012-05-01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of portable devices
DE602007000498D1 (de) 2006-04-11 2009-03-12 Shinetsu Chemical Co Siliziumhaltige, folienbildende Zusammensetzung, siliziumhaltige Folie, siliziumhaltiges, folientragendes Substrat und Strukturierungsverfahren
US7948208B2 (en) 2006-06-01 2011-05-24 Mojo Mobility, Inc.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EP2050177B1 (en) 2006-08-09 2017-12-13 Mbda Uk Limited Inductive power system
WO2008050260A1 (en) 2006-10-26 2008-05-02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Inductive pow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80060535A (ko) * 2006-12-27 2008-07-02 주식회사 유진로봇 자율 이동 로봇의 자동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자동충전 방법
CN101232190A (zh) 2007-01-22 2008-07-30 陆健 多功能电源适配器
US20080284609A1 (en) 2007-05-17 2008-11-20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RF Integrated circuit having an on-chip thermal sensing circuit
US7641358B1 (en) 2007-06-13 2010-01-05 Sunlite Safety Products, LLC Explosion proof lantern
EP2026462B1 (en) 2007-08-06 2012-05-02 STE s.a.s. di G. Moiraghi & C. A surface acoustic wave driving circuit and oscillator therefor
US8024491B1 (en) 2007-08-20 2011-09-2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tecting a connection to an unpowered host
US20100201315A1 (en) * 2007-09-27 2010-08-1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harger, and charging device
CN101809687A (zh) 2007-09-28 2010-08-18 捷通国际有限公司 多相感应供电系统
KR101437975B1 (ko) * 2007-12-06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CA2709867C (en) 2007-12-21 2016-02-23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ircuitry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CN102089952B (zh) 2008-04-03 2014-03-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功率传输系统
JP2009251895A (ja) 2008-04-04 2009-10-29 Sony Corp 電力交換装置、電力交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力交換システム
US20110050164A1 (en) 2008-05-07 2011-03-03 Afshin Partovi System and methods for inductive charging, and improvements and uses thereof
US8278784B2 (en) 2008-07-28 2012-10-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electronic devices
US7893564B2 (en) 2008-08-05 2011-02-22 Broadcom Corporation Phased array wireless resonant power delivery system
US9627913B2 (en) 2008-08-18 2017-04-18 Nxp B.V. Mobile device to control a charge pad system
US8421274B2 (en) 2008-09-12 2013-04-16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
JP2010074945A (ja) 2008-09-18 2010-04-02 Sanken Electric Co Ltd Dc/acコ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回路
US8712324B2 (en) 2008-09-26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Inductive signal transfer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AU2009298384A1 (en) 2008-10-03 2010-04-08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ower system
US10355526B2 (en) 2008-11-26 2019-07-16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Bi-directional inductive power transfer
JP4835697B2 (ja) 2009-01-08 2011-12-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回路
CN102257696B (zh) 2009-02-11 2015-06-17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子装置的无线电力和数据传递
US8338991B2 (en) 2009-03-20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impedance tuning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WI504096B (zh) 2009-04-08 2015-10-11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可選擇性線圈陣列及其系統與方法
JP5362437B2 (ja) 2009-05-12 2013-12-11 長野日本無線株式会社 電力伝送システム
JP5451174B2 (ja) * 2009-05-14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充電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5446452B2 (ja) * 2009-05-21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被電力供給装置、電力供給装置システム、位置決め制御方法
BRPI1009631B1 (pt) 2009-05-25 2019-10-29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método para detectar um receptor através de um transmissor, e transmissor para detectar um receptor
JP5362453B2 (ja) 2009-06-16 2013-12-11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台
US8274178B2 (en) 2009-06-21 2012-09-25 Christopher Allen Tucker System of transmission of wireless energy
KR20110050831A (ko) 2009-11-09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서 무접점 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459058B2 (ja) 2009-11-09 2014-04-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共鳴型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362037B2 (ja) 2009-12-24 2013-12-11 株式会社東芝 無線電力伝送装置
US20110198937A1 (en) 2010-02-15 2011-08-18 Qualcomm Incorporated Impedance neutral wireless power receivers
US20110221387A1 (en) * 2010-03-09 2011-09-15 Robert Louis Steigerwald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n electric or hybrid-electric vehicle
KR20110108596A (ko) 2010-03-29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송수신시스템
TWM389991U (en) 2010-03-30 2010-10-01 Winharbor Technology Co Ltd Adapter with wireless charging
CN101814757B (zh) 2010-04-14 2012-03-0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供电方法及供电系统
US8725330B2 (en) 2010-06-02 2014-05-13 Bryan Marc Failing Increasing vehicle security
CN102270872B (zh) * 2010-06-03 2013-05-01 富达通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线感应式充电器识别方法
WO2011156555A2 (en) 2010-06-10 2011-12-1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il configurations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EP2580844A4 (en) 2010-06-11 2016-05-25 Mojo Mobility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SUPPORTING INTEROPERABILITY AND MULTIPOLAR MAGNETS FOR USE WITH THIS SYSTEM
US8482250B2 (en) 2010-08-06 2013-07-09 Cynetic Designs Ltd. Inductive transmission of power and data through ceramic armor panels
TWM405520U (en) 2010-10-29 2011-06-11 Digi Triumph Technology Inc Uninterrupted power detection system(I)
EP2632762B1 (en) 2010-10-29 2017-05-31 Qualcomm Incorporated(1/3) Wireless energy transfer via coupled parasitic resonators
FI20100427L (fi) 2010-12-21 2012-06-23 Harri Heikki Tapani Elo Menetelmä ja laite samanaikaista tasasuuntausta, säätöä ja tehokertoimen korjausta varten
US10141770B2 (en) 2011-01-18 2018-11-27 Mojo Mobility, Inc. Powering and/or charging with a plurality of protocols
US9178369B2 (en) 2011-01-18 2015-11-03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ing freedom, and support of different voltages, protocols, and power levels in a wireless power system
US10115520B2 (en) 2011-01-18 2018-10-30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496732B2 (en) 2011-01-18 2016-11-15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356659B2 (en) 2011-01-18 2016-05-31 Mojo Mobility, Inc. Charger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20130285605A1 (en) 2011-01-18 2013-10-31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243555B1 (ko) * 2011-02-10 2013-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충전시스템
US9148201B2 (en) 2011-02-1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120255039A1 (en) 2011-03-31 2012-10-04 Keith Sipes Protected Digital Storage Device
US9030421B2 (en) 2011-04-01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Touchscreen controller with adjustable parameters
EP2719056B1 (en) 2011-06-08 2016-08-17 LG Innotek Co., Ltd.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2014518502A (ja) 2011-06-10 2014-07-28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誘導電力受信器の検出、特徴付け及び追跡を行うシステム及び方法
US9099885B2 (en) 2011-06-17 2015-08-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JPWO2013011905A1 (ja) 2011-07-15 2015-02-23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台、パック電池と充電台、及び、パック電池
US9018904B2 (en) 2011-08-12 2015-04-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Wireless battery charging apparatus mounted in a vehicle designed to redu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O2013024396A1 (en) 2011-08-16 2013-0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resonant matching circuit for wireless power receivers
US8797301B2 (en) 2012-02-15 2014-08-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Active stylus to host data transmitting method
JP5720501B2 (ja) 2011-08-29 2015-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携帯端末充電装置
JP2013059236A (ja) 2011-09-09 2013-03-28 Sony Corp 検知装置、受電装置、送電装置、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検知方法
US9760195B2 (en) 2011-09-23 2017-09-12 Apple Inc. Power management for integrated touch screens
WO2013047557A1 (ja) * 2011-09-27 2013-04-04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充電器と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CN102355035B (zh) 2011-09-27 2014-01-08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发送装置、无线充电系统以及无线充电控制方法
KR101781650B1 (ko) 2011-10-04 2017-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다중 충전을 위한 방법 및 전력 송신기
US9551805B2 (en) 2011-10-13 2017-01-24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in an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via coupling coefficient measurement
US20130101127A1 (en) 2011-10-21 2013-04-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an activation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coustic signals
KR101338732B1 (ko) 2011-11-10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KR101831993B1 (ko) 2011-11-18 201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919760B2 (ja) 2011-11-29 2016-05-18 スズキ株式会社 充電補助装置
US9197065B2 (en) 2011-12-06 2015-11-24 Varentec, Inc. Compact dynamic phase angle regulators
US9507447B2 (en) 2011-12-08 2016-11-29 Atmel Corporation Touch sensor with inductive charging
US9385786B2 (en) 2011-12-14 2016-07-05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in a mobile device through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tenna
US9093857B2 (en) 2011-12-20 2015-07-28 Sony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charging apparatus
US9160180B2 (en) 2011-12-29 2015-10-13 Sony Corporation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with a wireless feeding method
US9496731B2 (en) 2012-01-20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by using resonant coupling and system for the same
JP5662954B2 (ja) 2012-02-08 2015-02-04 株式会社東芝 制御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装置
US20130214909A1 (en) 2012-02-22 2013-08-22 Qualcomm Incorporated Airplane mode for wireless transmitter device and system using short-range wireless broadcasts
JP2013183497A (ja) 2012-02-29 2013-09-12 Equos Research Co Ltd 電力伝送システム
US9225391B2 (en) 2012-03-19 2015-12-29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922525B2 (en) 2012-03-19 2014-12-30 Htc Corporation Touch-controll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wireless signal interference to touch sensing function
US9722447B2 (en) 2012-03-21 2017-08-01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r powering devices, such as robots, electric vehicles, or other mobile devices or equipment
WO2013170173A2 (en) 2012-05-11 2013-11-14 Momentum Dynamics Corporatio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djustable reactance
CN202712982U (zh) 2012-06-04 2013-01-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的发送装置及无线充电系统
CN103457362B (zh) 2012-06-04 2016-02-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的发送装置、无线充电系统及无线充电控制方法
US20150364931A1 (en) 2012-06-11 2015-12-17 Powerbyproxi Limite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N103512144B (zh) 2012-06-15 2016-12-21 艾默生电气公司 将分体式加热通风空调系统连接到因特网和/或智能仪表
US9726518B2 (en) 2012-07-13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metal objects in a predetermined space
US9679695B2 (en) 2012-07-16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Tuning circuit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JP2014023281A (ja) 2012-07-18 2014-02-03 Panasonic Corp 伝送コイル装置及び携帯無線端末
US20140035378A1 (en) 2012-07-31 2014-02-06 Witricity Corporation Prevention of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touch surfaces
US9859744B2 (en) 2012-08-03 2018-01-02 Mediatek Singapore Pte. Ltd. Dual-mode wireless power receiver
US9154189B2 (en) 2012-08-17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system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ing
JP5801268B2 (ja) 2012-09-03 2015-10-28 株式会社東芝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102096560B1 (ko) 2012-09-11 2020-04-03 필립스 아이피 벤쳐스 비.브이. 무선 전력 제어
TW201415749A (zh) 2012-10-12 2014-04-16 Espower Electronics Inc 多機型無線電源供應系統
US9768643B2 (en) 2012-11-02 2017-09-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continuing power transmission while suppressing heatup of foreign objects
US9864730B2 (en) 2012-11-05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Thermal aware headphones
US9564776B2 (en) * 2012-11-07 2017-02-07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ing presence of a magnet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US9065157B2 (en) 2012-11-08 2015-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rmal conditions during wireless charging
US20140191568A1 (en) 2013-01-04 2014-07-10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or charging multiple receivers wirelessly with a power transmitter
US20140197782A1 (en) 2013-01-15 2014-07-17 Lite-On It Corporation Wireless charger with combined electric radiation shielding and capacitive sensing functions
US9755534B2 (en) 2013-02-14 2017-09-05 Nuvolta Technologies, Inc. High efficiency high frequency resonant power conversion
JPWO2014132465A1 (ja) 2013-02-28 2017-02-02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JP5449593B1 (ja) 2013-03-05 2014-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給電制御方法
US20140266018A1 (en) 2013-03-12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the power capability of a wireless charger
US9998180B2 (en) 2013-03-13 2018-06-1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modulating power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US9318915B2 (en) 2013-03-20 2016-04-19 Halo2Cloud Llc Portable power charger with wireless and direct charging connectivity
EP3282546B1 (en) 2013-03-21 2019-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3269092B (zh) 2013-03-28 2016-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无线充电器进行充电的方法和无线充电器
US9837846B2 (en) 2013-04-12 2017-12-05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or charging receivers or devices having small surface areas or volumes
US9352661B2 (en) 2013-04-29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Induction power transfer system with coupling and reactance selection
KR101787796B1 (ko) 2013-05-03 201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US20140347007A1 (en) 2013-05-23 2014-11-27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WP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50001950A1 (en) 2013-07-01 2015-01-01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energy
RU2658324C2 (ru) 2013-07-17 2018-06-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Беспроводная индукционная передача энергии с управлением температурой приемника
US20150022194A1 (en) * 2013-07-18 2015-01-22 Blackberry Limited Magnetometer for aligning a portable device on a planar charging surface of an inductive charging unit
US10320234B2 (en) 2013-08-02 2019-06-11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ultimode wireless power receivers and related methods
US9376027B2 (en) 2013-09-13 2016-06-28 Deere & Company Robotic mower inductive charging station
US9531300B2 (en) 2013-09-16 2016-12-27 Enphase Energy, Inc. Single phase cycloconverter with integrated line-cycle energy storage
CN103545893A (zh) 2013-10-30 2014-01-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充电安全控制方法及系统
US9582034B2 (en) * 2013-11-29 2017-02-28 Motiv,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JP2015146723A (ja) * 2014-01-06 2015-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装置
US20150214750A1 (en) * 2014-01-28 2015-07-30 Powermat Technologies Ltd. Wireless power system
JP6233780B2 (ja) 2014-01-31 2017-11-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US9800076B2 (en) 2014-02-14 2017-10-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power transfer
EP3111531A1 (en) 2014-02-23 2017-01-04 Apple Inc. Adjusting filter in a coupled coil system
KR20180069107A (ko) 2014-02-23 2018-06-22 애플 인크.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의 임피던스 매칭
KR101962319B1 (ko) 2014-03-24 2019-03-26 애플 인크. 유도 전력 전달에서의 자기 차폐
EP2928038A1 (en) 2014-03-31 2015-10-07 ABB Technology A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KR101806592B1 (ko) 2014-04-09 2017-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US9537363B2 (en) 2014-04-30 2017-0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ic motor-driven compressor having an electrical terminal block assembly
US10135303B2 (en) 2014-05-19 2018-11-20 Apple Inc. Operating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t multiple frequencies
US10032557B1 (en) 2014-05-29 2018-07-24 Apple Inc. Tuning of primary and secondary resonant frequency for improved efficiency of inductive power transfer
US9923382B2 (en) 2014-05-30 2018-03-20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Active rectifier for efficient wireless power transfer
US10027185B2 (en) 2014-05-30 2018-07-17 Apple Inc. Reducing the impact of an inductive energy transfer system on a touch sensing device
US9537353B1 (en) 2014-06-03 2017-01-03 Apple Inc. Methods for detecting mated coils
US9685814B1 (en) 2014-06-13 2017-06-20 Apple Inc. Detection of coil coupling in an inductive charging system
US9460846B2 (en) 2014-06-20 2016-10-04 Apple Inc. Methods for forming shield materials onto inductive coils
US9811204B2 (en) 2014-06-23 2017-11-07 Apple Inc. Time multiplexed touch detection and power charging
US9813041B1 (en) 2014-07-31 2017-11-07 Apple Inc. Automatic boost control for resonant coupled coils
EP2983266B1 (en) 2014-08-05 2017-02-22 Panasonic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U2015302418B2 (en) 2014-08-12 2020-08-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transfer
KR20160021613A (ko) 2014-08-18 2016-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제공 시스템
US10014733B2 (en) 2014-08-28 2018-07-03 Apple Inc. Temperature management in a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
US10193372B2 (en) 2014-09-02 2019-01-29 Apple Inc. Operating an inductive energy transfer system
WO2016051484A1 (ja) 2014-09-30 2016-04-0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KR20160046195A (ko) 2014-10-20 2016-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9197082B1 (en) * 2014-12-09 2015-11-24 Jack Ke Zhang Techniques for power source management using a wrist-worn device
US10581284B2 (en) 2014-12-16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US20160181849A1 (en) 2014-12-22 2016-06-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in wireless charging devices
US9716433B2 (en) 2015-01-15 2017-07-25 R2 Semiconductor, Inc. Control of conversion ratios of a power source block and a bidirectional active filter
US20160261137A1 (en) 2015-03-06 2016-09-08 Mediatek Inc.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using capacitive sensing for device detection
US9837864B2 (en) 2015-03-26 2017-12-0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s having multiple transmit coils and related method
US9685802B1 (en) * 2015-04-29 2017-06-20 Verily Life Sciences, LLC Detection of accessory presence and orientation
US10666084B2 (en) 2015-07-10 2020-05-26 Apple Inc.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an unpowered releasable charging device
KR101771804B1 (ko) 2015-09-25 2017-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JP2017068623A (ja) 2015-09-30 2017-04-0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提示方法および情報提示装置
US9831787B1 (en) 2016-05-27 2017-11-28 Nxp B.V. Resonant power converter with switchable reflected output voltage
US10483803B2 (en) 2016-08-23 2019-11-19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US20180233955A1 (en) 2017-02-15 2018-08-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0523063B2 (en) 2017-04-07 2019-12-31 Apple Inc. Common mode noise compensation in wireless power systems
US10389274B2 (en) 2017-04-07 2019-08-20 Apple Inc. Boosted output inverter for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608A (ja) * 1994-11-21 1996-06-07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用電話制御システム
JPH10173741A (ja) * 1996-12-11 1998-06-26 Tamura Electric Works Ltd 携帯端末装置
JP2001069388A (ja) * 1999-08-30 2001-03-1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及び充電器
KR20070023337A (ko) * 2005-08-24 2007-02-28 주식회사 팬택 접촉 불량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거치대 및 그 방법
JP2011259612A (ja) * 2010-06-09 2011-12-22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車両の充電状態報知装置
KR20120097155A (ko) * 2011-02-24 2012-09-03 김남철 Tta 표준 충전기용 승압젠더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시스템
US20140266005A1 (en) * 2013-03-14 2014-09-18 Tyco Fire & Security Gmbh Accelerometer-based battery charge status indicator
JP2014193087A (ja) * 2013-03-28 2014-10-06 Ntt Docomo Inc 充電装置及び充電検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6084B2 (en) 2020-05-26
CN206004333U (zh) 2017-03-08
EP3116093A1 (en) 2017-01-11
AU2016100925B4 (en) 2017-03-02
US20170012463A1 (en) 2017-01-12
AU2018202768B2 (en) 2019-04-11
AU2016100925A4 (en) 2016-07-21
JP6472774B2 (ja) 2019-02-20
JP2017034979A (ja) 2017-02-09
CN106340913A (zh) 2017-01-18
AU2018202768A1 (en) 2018-05-10
KR101956980B1 (ko) 2019-03-11
CN106340913B (zh) 2019-08-23
AU2016204234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980B1 (ko) 비전력공급된 해제가능한 충전 디바이스의 검출 및 통지
US2014027421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594159B2 (en) Methods for detecting mated coils
US11102340B2 (en) Mobile system with wireless earbud
US20180203482A1 (en) Auxiliary electronic device attachable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173052B2 (en) Bluetooth low energy watch with event indicators and activation
CN111193660A (zh) 基于设备模式来协调跨设备的消息提示呈现
US10123104B1 (en) Mobile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US20190025889A1 (en) Pivotally engageable modula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KR20160093475A (ko) 신체 장착형 장치
KR20160028392A (ko) 유도성 에너지 전달 시스템의 작동
US20160064947A1 (en) Adjusting Oper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Environmental Data
TWM444558U (zh) 無線輸入裝置
JP2007117491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US11936205B2 (en) Wireless power systems with charging status information
US10088894B2 (en) Implanted devices and related user interfaces
CN106535085B (zh) 用于数据传送的方法和系统
US20170337430A1 (en) Bae baby monitor watch systems
EP2975624A1 (en) Switch device
JP5918407B2 (ja) 電子装置および操作表示装置
TWM406736U (en) Warning device and warning component for water level and water temperature
CN113143707A (zh) 按摩设备、手环及遥控按摩设备的方法
CN115332891A (zh) 一种可穿戴设备和扩展坞
KR20150137207A (ko)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의 컨테이너유닛
JP2015122801A (ja) 電子装置および操作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