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885A -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가 포함된 시계 - Google Patents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가 포함된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885A
KR20170004885A KR1020160082879A KR20160082879A KR20170004885A KR 20170004885 A KR20170004885 A KR 20170004885A KR 1020160082879 A KR1020160082879 A KR 1020160082879A KR 20160082879 A KR20160082879 A KR 20160082879A KR 20170004885 A KR20170004885 A KR 20170004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dial
bezel
pocket
magnetic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롬 다비드
Original Assignee
불가리 오를로쥬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불가리 오를로쥬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불가리 오를로쥬리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7000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26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a near-field communication signal
    • G04R20/28Tuning or receiv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8Adjustable guide marks or pointers for indicating determined points of time
    • G04B19/283Adjustable guide marks or pointers for indicating determined points of time on rotatable rings, i.e. beze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3/00Protecting clockworks by shields or other means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26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a near-field communication sign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04R60/08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inside beze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04R60/10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inside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를 수신/송신할 수 있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4)를 포함하는 다이얼(1) 및/또는 베젤(2)이 구비된 시계(35)에 관한 것으로, 상기 통신 장치(4)는 상기 시계(35)의 다이얼(1) 또는 베젤(2) 부분에 배열되며 특히 페라이트로 만들어진 자기 차폐(8)와 연관된다.

Description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가 포함된 시계{TIMEPIECE COMPRI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NFC 또는 RFID 타입이며 안테나에 연결되는 전자 칩을 가진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식, 기계식, 또는 수정 진동체(quartz movement)와 같은 전자식 무브먼트를 구비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수명주기 과정을 통한 추적(tracking)을 개선하거나 또는 발생될 수도 있는 불법 복제를 대비하기 위해 시계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방식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동작 과정에서, 통신 장치는 관련 주변기기로부터 근접 거리에 있음을 자체적으로 탐지하여 해당 기기에게 자신의 정보에 관한 무선 신호를 전송할 경우에 그 기기에 연결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종래 기술에서의 이러한 통신 장치는 케이싱, 케이스밴드, 손목밴드, 또는 심지어 유리와 같은 시계 부품들의 내부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계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의 주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이것은 신뢰도 부족 때문에 종종 곤란함을 겪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금속성인 시계의 부품들에의 이러한 통신 장치의 특정 배치는 많은 전자기 교란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교란은 그것이 주변기기에 근접해 있을 경우 통신 장치에 의해 방사되는 신호들의 반사 및/또는 흡수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교란은 주변기기와의 연결 확립이나 이 연결 유지의 맥락에서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대형 안테나를 가진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시계 특히 그 부품에 이러한 안테나를 통합하는 것은 복잡하고도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통합은 유지 및/또는 수리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후속적인 개입을 어렵게 만든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시계와 관련된 이러한 문제점들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설계에서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다이얼 및/또는 베젤을 구비하는 시계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칩 및 안테나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시계의 다이얼 또는 베젤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이 통신 장치는 특히 페라이트(ferrite)로 만들어진 자기 스크린과 연동되는 시계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 통신 장치가 다이얼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다이얼은, 상기 통신 장치가 배치되는 하부면을 갖고;
- 통신 장치가 다이얼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다이얼은, 상기 통신 장치가 배치되는 포켓이 구비된 하부면을 갖고;
- 통신 장치가 다이얼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다이얼은, 상기 통신 장치가 배치되는 상부면을 갖고;
- 통신 장치가 다이얼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다이얼은, 상기 통신 장치가 배치되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 통신 장치가 베젤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베젤은, 상기 통신 장치가 배치되는 포켓을 가진 하부면을 포함하는 모노블럭 피스(monobloc piece)이고;
- 자기 스크린은, 통신 장치가 다이얼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하부면 상의 포켓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다이얼의 하부면에 위치되거나, 또는 자기 스크린은, 통신 장치가 베젤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하부면 상의 포켓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베젤의 하부면에 위치되고;
- 베젤은 제 1 및 제 2 부품들을 포함하며, 제 2 부품은 상기 통신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된 제 2 내부면을 포함하고;
- 자기 스크린은 포켓의 바닥 벽 및/또는 측면 벽에 위치되고;
- 다이얼 및/또는 베젤 각각은 전기 전도 특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 자기 스크린은 특히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 및/또는 하나의 플레이트(plate) 및/또는 하나의 필름 및/또는 하나의 금속 퇴적물을 포함하고;
- 통신 장치는 전자 칩 및 안테나가 접착되는 플라스틱 또는 적층 복합재료들로 이루어진 기판을 포함하며, 또한
- 통신 장치는 NFC 또는 RFID 기술 타입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은 한정이 아닌 예시를 위해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두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계의 다이얼에 대한 제 1 변형예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다이얼에 대한 제 1 변형예의 단면도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에 대한 제 1 변형예의 상부면의 도면이고;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이얼에 대한 제 1 변형예의 단면도 AA이고;
-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에 대한 제 2 변형예의 단면도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계의 다이얼에 대한 제 2 변형예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에 대한 제 3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에 대한 제 4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젤에 대한 제 1 변형예를 포함하는 시계의 케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젤의 제 2 변형예를 포함하는 시계의 케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 도 11a는 자기 스크린이 없는 시계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또한
-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스크린을 포함하는 시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시계(3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밴드(22) 및 바닥부(24)를 갖는 케이스(20)를 구비한다. 이 시계(35)의 케이스(20)는 자동적, 기계적 또는 심지어 전자적 무브먼트, 예를 들어 수정 운동체를 수용할 수도 있다. 이 무브먼트의 상단에는 다이얼(1) 및 그 상단에 유리(21)가 놓이게 되는 시계침 세트가 놓이게 된다. 이 시계(35)는 또한 고정되거나 회전할 수 있는 베젤(2)을 포함하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케이스밴드(22)의 모서리의 영역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자기 스크린(8)뿐만 아니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4)도 포함하는 시계(35)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도 1 내지 도 8의 도면들에서, 시계(35)의 제 1 실시예는 다이얼의 영역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4)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이 시계(35)의 제 2 실시에에서는, 통신 장치(4)가 시계(35)의 베젤(2)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 통신 장치(4)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타입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타입의 단거리 고주파에 관한 무선 통신 기술들을 구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통신 장치(4)는 HF(high frequencies), 예를 들어 13.56 MHz에서 작동한다. 그러나, 다른 변형예들에서는, 이것이 다음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작동할 수도 있다:
- LF(low frequencies), 예를 들어 125 kHz 내지 134.2 kHz;
- UHF(ultrahigh frequencies), 예를 들어 860 MHz 내지 960 MHz;
- SHF(superhigh frequencies), 예를 들어 2.45 GHz.
따라서, 이러한 기술들은 시계(35)가 근거리에서 다른 관련 주변기기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거리는 0 내지 20 cm,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cm일 수 있다. 이 통신 장치(4)는 각각의 관련 주변기기에 의해 방사되는 무선 주파수들에 의해서 에너지가 공급되는 수동형일 수 있다. 즉, 수동형으로 기능하는 이 통신 장치(4)는, 전력 공급되는 칩에서의 전기 유도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또한, 블루투스 기술과는 다르게, 이 통신 장치는 매우 한정된 데이터 양 및 매우 근접한 범위의 전송들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송들이 제어되어 높은 수준의 보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시계(35)와 각 관련 주변기기 간의 짧은 거리는 관련 주변기기와의 연결 확립에 관한 임의의 비자발적 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불법 복제 행위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모든 권한이 없는 연결 시도들을 제한하는 것을 돕는다.
더 정확하게는, 이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4)는 전자 칩(6)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에 연결되는 칩(6)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더 정확하게는 장치(4)의 칩(6)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은 메모리 요소들(13b)과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a)를 포함한다. 이 칩(6)은 프로그램 코드 명령들을 실행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칩(6)의 메모리 요소들(13b)은 시계(35)에 관한 정보 또는 이 시계의 착용자에 관한 정보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플라스틱 또는 적층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칩(6)과 안테나(5)가 접착되는 기판(16)을 포함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 시계(35)에 있어서, 자기 차폐 요소로도 알려져 있는 자기 스크린(8)은, 통신 장치(4)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의 주파수 대역들에 적응된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을 갖는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4)가 HF 대역에서 작동하고 있는 경우, 자기 스크린(8)은 강한 초기 투자율 μ'(μ' > 100)과 낮은 자기 손실 μ"(μ" < 7)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투자율 μ'가 150이 되고 자기 손실 μ"는 5가 된다.
이러한 자기 스크린(8)은 바람직하게는 1000 KΩ/m보다 큰 전기 저항을 가지며 또한 50 내지 200 ㎛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80 ㎛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자기 스크린(8)은 페라이트(ferrite)와 같은 금속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자기 스크린(8)은 통신 장치에 의해 송수신되는 자기장의 변형을 방지하게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 변형은 케이스(20) 또는 더 정확하게는 시계(35)의 무브먼트와 같은 통신 장치(4) 근처에 위치한 각종 금속 부품들(33)의 존재에 기인하는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자기 스크린(8)은 이들 금속 부품들(33)이 통신 장치(4)의 성능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가 있다. 이 악영향은 이 통신 장치(4)에 의해 발생 또는 수신되는 자기장의 감쇠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도 9a는 베젤(1) 및/또는 다이얼(2)의 영역에 배치된 통신 장치(4) 및 금속 부품들(33) 예를 들어 케이스(20) 또는 무브먼트도 포함하는 시계(31)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시계(31)는 자기 스크린(8)이 없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통신 장치(4)가 자속(magnetic flux) 선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경우, 이 자속 선들이 통신 장치(4)의 근처에 위치된 이 금속 부품들(33)의 영역(zone)을 통과하게 된다. 이 금속 부품들(33)을 통과하는 이 자기장의 변화는 이 영역들에서 "푸코 전류(Foucault currents)"로 알려진 전류의 형태를 생성하기 쉽다. 이 영역들에서의 전류의 생성은 자기장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9b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경우로서, 시계(35)가 통신 장치(4) 및 금속 부품들(33) 이외에, 자기 스크린(8)를 포함한다. 이 자기 스크린(8)은 후술하는 상이한 구성들에 따라, 통신 장치(4)와 이 장치(4)의 근처에 있는 금속 부품들(3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들 하에서는, 통신 장치(4)가 자기장을 발생할 경우, 이 자기장이 통신 장치(4)의 근처에 위치된 이 금속 부품들(33)의 영역들을 통과하지 못한다. 실제에 있어서, 자기 스크린(8)은 이 자기장으로부터 야기되는 자속 선들을 변경함으로써 이 자이장을 채널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자속 선들은 금속 부품들(33)을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금속 부품들(33)은 그 후에 통신 장치(4)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자기적으로 격리된다. 다시 말하면, 자기 스크린(8)은 2개의 영역으로 시계(35)를 분리할 수가 있는데, 제 1 영역은 통신 장치(4)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들을 포함하고 제 2 영역은 자기 스크린(8)의 작동에 따라 이 자기장들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자기 스크린(8)은 그 근처에 포함된 금속 부품들(33)로부터 안테나(5)를 격리시킴으로써 통신 장치(4)의 안테나(5)에 의한 무선 신호들의 송/수신 효율 및 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 자기 스크린(8)은 가요성이거나 강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페라이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페라이트의 금속 입자로 밸러스트된(ballasted) 것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 하나의 플레이트, 하나의 필름 또는 하나의 금속 피복(deposit)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러한 자기 스크린(8)은 작은 설치 면적을 갖는다.
시계(35)에서, 자기 스크린(8)은 이 통신 장치(4)와 관련하여, 또는 이 통신 장치(4) 및 통신 장치(4)의 근처에 포함되는 상기 시계(35)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 부품(33)과 관련하여 시계(35)에 배치됨으로써, 통신 장치(4)와 연동된다. 후술하는 2개의 실시예의 상이한 변형예들에서, 자기 스크린(8)은, 통신 장치(4)와의 사이에 대략 0 내지 2500 ㎛의 간격이 존재하고/하거나 이 자기 스크린(8)이 통신 장치(4)와 상기 장치(4)의 근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33) 사이에 배치되도록, 통신 장치(4)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통신 장치(4)와 연동된다.
자기 스크린(8)과 통신 장치(4) 사이의 간격이 기본적으로 0일 경우, 통신 장치(4) 내에 포함된 또는 탑재된 지지체에 대한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접착 또는 진공 증착 기술에 의하여 자기 스크린을 제조함으로써, 자기 스크린(8)이 통신 장치(4)와 연동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그리고, 우수한 전기 절연 특성을 갖는 지지체를 선택한다. 이 지지체는 재료 층, 필름, 밴드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 지지체는 통신 장치(4)의 안테나(5)의 영역에 단독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또는 칩(6)의 안테나(5)의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이 자기 스크린(8)은 이 통신 장치(4)의 아래에서 시계(35)에 배치됨으로써, 즉, 상기 시계(35)의 금속 부품(33)을 구성하는 무브먼트와 이 통신 장치(4)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통신 장치(4)와 연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자기 스크린(8)은 통신 장치(4)의 안테나(5)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칩(6)과 접촉함으로써 통신 장치(4)와 연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계(35)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다이얼(1)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 제 1 실시예는 통신 장치(4)가 배치되는 다이얼(1)에 대한 4개의 변형예를 포함한다. 하나의 이러한 다이얼(1)은 모노블럭 설계(monobloc design)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얼(1)은 양호한 강도 및 적절한 디스플레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강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이 재료는 전기 전도 특성이 없으며, 예를 들어 합성 사파이어, 세라믹, 또는 폴리아미드-나일론(PA12),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페닐설폰(PPSu)과 같은 사출 성형 또는 주형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형 형상을 갖는 이 다이얼(1)은, 상기 시계(35)의 무브먼트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하부면(11b)의 반대편에 있는 가시적 표시면을 구성하는 상부면(11a)을 포함한다.
다이얼(1)은 하부면 및 상부면(11b, 11a)을 서로 결합시키는 주변 벽(25)을 포함한다. 상부면 및 하부면(11a, 11b)은 서로 평행할 수 있으며, 주변 벽(25)과 이들 면들(11a, 11b) 각각 사이의 교차 지점들은 주변 모서리들(27a, 27b)을 규정하게 됨에 유의한다.
이 다이얼(1)은 최저부(feet)(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최저부(34)는 다이얼의 제조 과정에서 기하학적 기준으로서 사용되며 또한 이 다이얼(1)을 케이스(20) 및/또는 무브먼트에 고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그리고, 케이스(20) 및/또는 무브먼트는, 다이얼(1)이 케이스(20) 및/또는 무브먼트와 조립될 경우 이들 최저부(34)가 맞물리게 되는 오리피스들을 포함한다. 오리피스들에 횡방향으로 나사 구멍에 맞물리게 되는 나사와 같은 고정 요소들이 다이얼(1) 및 케이스(20) 및/또는 무브먼트 간의 기계적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이들 최저부(34)는 다이얼의 하부면(11b)의 영역에(도 1, 2 및 4에 도시됨) 및/또는 주변 벽(25)의 영역에(도 5 및 도 6에 도시됨)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최저부(34)는 예를 들어, 러그(lugs)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상부면(11a)은, 주변 영역 부분에, 시간 및 분 마킹(7)과 같은, 시간 표시 마킹(7)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마킹(7)은 인덱스 또는 숫자(로마자 또는 아랍어), 소형의 보석 또는 준보석과 같은 장식 요소, 또는 두 세개의 장식 요소의 조합일 수 있다. 다이얼(1)은 또한 무브먼트의 키네마틱 체인(kinematic chain)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면(11a) 상에서 시계(35)의 시계침들을 움직일 수 있는 샤프트의 한쪽 자유단이 통과하는 축 통과 오리피스(10)를 갖는다. 다이얼(1)은 또한 날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개구부(9)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다이얼(1)의 제 1 변형예에서, 통신 장치(4)는 다이얼(1)의 하부면(11b)에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이 변형예에서 하부면(11b)은 통신 장치(4)가 탑재될 수 있는 포켓(3)을 포함한다. 이 포켓(3)은 다이얼(1)의 축 통과 오리피스(10)의 주위의 이 하부면(11b)에 규정된다. 이 포켓(3)은 포켓(3)의 바닥을 형성하는 벽(15a)(이하, 바닥 벽(15a)이라 칭함), 및 측면 벽(15b)을 가지며, 이 측면 벽(15b)은 바람직하게는 바닥 벽(15a)에 수직하다. 바닥 벽(15a) 및 측면 벽(15b) 각각은 본질적으로 평면인 표면을 갖는다. 바닥 벽(15a)의 표면은 이 포켓(3)을 형성하지 않는 하부면(11b)의 부분(12)에 평행하거나, 또는 상부면(11a)에 평행한 평면에 포함된다.
이 포켓(3)의 측면 벽(15b)은 포켓(3)의 개구부를 규정하는 모서리(26)와 하부면(11b)의 부분(12)으로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포켓(3)은 일반적인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 이것은 날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다이얼(1)에 만들어진 개구부(9)에 관한 리세스(recess)를 형성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 이 포켓(3)은 대략 하부면(11b)의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이 표면의 80% 상에 규정된다. 또한, 이 포켓(3)은 대략 30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400 ㎛의 깊이(P1)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에 연결된 칩(6)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4)가, 다이얼(1)에 형성된 포켓(3) 내에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칩(6) 및 안테나(5)는 접착에 의하여 또는 포켓(3)의 이 바닥 벽(15a)에 존재하는 고정 요소들로의 고정에 의하여 바닥 벽(15a)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안테나(5)는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또는 진공 증착에 의하여 이 바닥 벽(15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얼(1)의 변형예에서는, 칩(6)과 안테나(5)가 접합되는 플라스틱 또는 적층 복합재료들로 이루어지는 기판(16)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4)의 대안이 특히 접착에 의해, 마찬가지로 이 포켓(3)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얼(1)의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자기 스크린(8)과 연동될 경우, 다이얼(1)의 개구부가 이 자기 스크린(8)에 의해 전부 또는 일부 폐쇄된다. 이 자기 스크린(8)은 포켓(3)의 개구부의 모서리(26)에, 즉, 포켓(3)을 구성하지 않는 하부면(11b)의 부분(12)에 접착, 피팅, 또는 용접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영역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자기 스크린(8)은 피팅에 의하여 배치됨으로써 포켓(3)의 이 개구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부와 본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자기 스크린(8)은 강성이며, 개구부의 모서리(26)는 자기 스크린(8)의 형상과 협력할 수 있는 피팅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 포켓(3) 내의 통신 장치(4) 배치는 시계(35)의 케이스(20)에 있어서 이 장치(4)의 설치 면적을 제한함으로써, 무브먼트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이얼(1)의 제 2 변형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에 연결된 칩(6)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4)가 다이얼(1)의 하부면(11b)의 영역에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칩(6) 및 안테나(5)는 접착에 의하여 또는 이 하부면(11b)에 존재하는 고정 요소들에의 피팅에 의하여 하부면(11b)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안테나(5)는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또는 진공 증착에 의하여 하부면(1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얼(1)의 변형예에서는, 칩(6)과 안테나(5)가 접합되는 플라스틱 또는 적층 복합재료들로 이루어지는 기판(16)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4)의 대안이 특히 접착에 의해, 마찬가지로 하부면(1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자기 스크린(8)과 연동되는 경우, 자기 스크린(8)이 통신 장치(4)를 덮도록 하부면(11b)에 배치되어 있다. 더 정확하게는, 이 자기 스크린(8)은 하부면(11b)과 무브먼트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안테나(5) 아래에 또는 안테나(5) 및 칩(6)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 자기 스크린(8)은 하부면(11b)에 배치된 통신 장치(4)를 덮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층, 하나의 필름 또는 하나의 금속 피복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4)의 안테나(5) 또는 안테나(5) 및 칩(6)은 자기 스크린(8)과 하부면(11b) 사이에 포함된다. 이 자기 스크린(8)은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접착, 또는 진공 증착 기술에 의하여 통신 장치(4)를 덮도록 하부면(11b)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제 2 변형예는 특히 그 주변 벽(25)에 배치된 최저부를 가진 다이얼(1)에 적응됨에 유의한다. 실제에 있어서, 이러한 구성에서, 통신 장치(4) 및 특히 안테나는 하부면(11b) 상에 있는 다이얼(1)의 최저부(34)의 존재로 인하여, 더 큰 하부면(11b)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다이얼(1)의 제 3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다이얼(1)의 상부면(11a)에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이 변형예에서는 이 통신 장치(4)의 안테나(5)가, 예를 들어, 금속의 와이어, 층, 필름, 또는 금속 피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요소는 아래에서 규정되는, 비배타적이고 비한정적인 상이한 대안예들에 의하여 상부면(11a)에 배치될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제 1 대안예에서는, 안테나(5)가 이 금속 요소의 부품(1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이 상부면(11a)에 존재하는 마킹(7)을 가진 금속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마킹(7) 및 부품(14)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 2 대안예에서는, 안테나(5)가, 마킹(7)이 위치된 다이얼(1)의 상부면(11a)에 규정되는 주변 영역 부분에 배치되는 금속 요소일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요소는 이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고, 다이얼(1) 주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턴을 행하여서 마킹(7)과 만나게 된다.
제 3 대안예에서는, 금속 요소는 이 상부면(11a)에 규정된 주변 모서리(27a)의 영역에서 또는, 선택적으로는, 마킹(7)과 이 모서리(27a) 사이에서 상부면(1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대안예들에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요소는 명백하지 않도록 하는 다이얼(1)의 두께에서의 오버 몰딩에 의하여 또는 주입 몰딩에 의하여 상부면(11a) 상에 배치된다. 금속 요소는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에칭, 접착, 진공 증착 기술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상부면(11a)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미적 형태를 갖는 모티브를 구성하도록 이 다이얼(1)의 상부면(11a) 상에서 그것이 보일 수 있게 된다.
마킹(7)이 부품(14)과 함께 안테나(5)를 형성하는 경우, 이들 마킹(7)은 전술한 기술들, 예를 들어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접착, 또는 진공 증착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안테나(5)가 통신 장치(4)의 칩(6)에 연결된다. 이 칩(6)은 명백하지 않도록 하는 오버 몰딩 또는 주입 몰딩 기술에 의하여 다이얼(1)의 상부면(11a) 상에 배치된다. 칩(6)은 접착 기술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상부면(11a)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미적 형태를 갖는 모티브를 구성하도록 이 다이얼(1)의 상부면(11a) 상에서 그것이 보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이얼(1)의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자기 스크린(8)과 연동되는 경우, 자기 스크린(8)이 다이얼(1)의 하부면(11b) 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것은 상부면(11a) 상에 배치되어, 안테나(5) 또는 안테나(5) 및 칩(6)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 자기 스크린(8)은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접착, 또는 진공 증착 기술에 의하여, 다이얼(1)의 2개의 면(11a, 11b) 중의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층, 하나의 필름 또는 하나의 금속 피복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이 자기 스크린(8)은 오버 몰딩 또는 주입 몰딩 기술에 의하여 다이얼(1)에 배치되어, 안테나(5) 또는 안테나(5) 및 칩(6) 아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다이얼(1)의 제 4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는 상부면 및 하부면(11a, 11b) 사이에서 다이얼(1)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통신 장치(4)는, 칩(6)과 안테나(5)가 접합되는 플라스틱 또는 적층 복합 재료들로 만들어진 기판(16)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4)는 오버 몰딩 또는 주입 몰딩 기술에 의하여 다이얼(1)에 탑재된다.
이러한 다이얼(1)의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자기 스크린(8)과 연동되는 경우, 자기 스크린(8)은 다이얼(1)의 하부면(11b)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 자기 스크린(8)은 적어도 하나의 층, 하나의 필름, 또는 하나의 금속 피복을 포함하며, 또한 이것은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접착, 또는 진공 증착 기술에 의하여 다이얼(1)의 하부면(11b)에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자기 스크린(8)은 오버 몰딩 또는 주입 몰딩 기술에 의하여 통신 장치(4) 아래에서 다이얼(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계(35)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베젤(2)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 제 2 실시예는 베젤(2)에 대한 2개의 상이한 변형예들을 규정한다. 이러한 2개의 변형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베젤(2)은 양호한 강도를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 특성을 갖지 않을 수 있는 강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료는 예를 들어, 합성 사파이어, 세라믹, 또는 폴리아미드-나일론(PA12),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페닐설폰(PPSu)와 같은 사출 성형 또는 주형 폴리머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베젤(2)은 원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면(23a) 뿐만 아니라 하부면(23b)도 포함한다. 이 상부면(23a)은 시간 표시 마킹들을 포함하는 가시적 표시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베젤(2)의 제 1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베젤(2)에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이 변형예에서, 베젤(2)은 그 하부면(23b)이 통신 장치(4)가 위치될 수 있는 포켓(18)을 포함하는 모노블럭 피스(monobloc piece)이다. 이 포켓(18)은 베젤(2)의 하부면(23b)으로 연장되는 목구멍형(throat) 또는 환형 그루브를 형성한다. 이 포켓(18)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횡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포켓(18)은 바닥 벽(19a) 및 측면 벽(19b)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이 측면 벽(19b)은 바닥 벽(19a)에 수직하다. 바닥 벽(19a) 및 측면 벽(19b) 각각은 본질적으로 평면인 표면을 갖는다.
이 포켓(18)의 측면 벽(19b)은 이 포켓(18)을 구성하지 않는 하부면(23b)의 부분(29)으로, 포켓(18)의 개구부를 규정하는 모서리(28)를 형성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이 포켓(18)의 개구부는 하부면(23b)의 대략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이 면(23b)의 50%로 규정된다. 이 포켓(18)은 대략 200 내지 2500 ㎛, 바람직하게는 1000 ㎛의 깊이(P2)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에 연결된 칩(6)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4)는 베젤(2)에 형성되어 있는 포켓(18)에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칩(6) 및 안테나(5)는 접착에 의하거나 또는 포켓(18)의 바닥 벽(19a) 및/또는 측면 벽(19b)에 존재하는 고정 요소들에의 피팅에 의하여, 바닥 벽(19a) 및/또는 측면 벽(19b)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안테나(5)는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또는 진공 증착에 의하여, 바닥 벽(19a) 및/또는 측면 벽(19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젤(2)의 변형예에서는, 칩(6)과 안테나(5)가 접합되는 플라스틱 또는 적층 복합재료들로 만들어진 기판(16)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4)의 대안이, 특히 접착(gluing), 또는 피팅, 또는 치수 조정을 통한 기계적 내성을 갖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이 포켓(18)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젤(2)의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자기 스크린(8)과 연동되는 경우, 포켓(18)의 개구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자기 스크린(8)에 의해 덮임으로써, 통신 장치(4)의 성능을 최적화하게 된다. 이 자기 스크린(8)은 포켓(18)의 개구부의 모서리(28), 즉, 하부면(23b)의 부분(29)에의 접착, 피팅, 또는 용접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영역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자기 스크린(8)은, 피팅 또는 접착에 의해 배치됨으로써 포켓(18)의 이 개구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질적으로 개구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자기 스크린(8)은 강성이며, 개구부의 모서리(28)는 자기 스크린(8)의 형상과 협력할 수 있는 피팅 영역을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베젤(2)의 제 2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베젤(2)에 배치된다. 더 정확하게, 이 변형예에서는, 베젤(2)이 제 1 부품(17a) 및 제 2 부품(17b)을 갖는다. 제 1 부품(17a)은 베젤(2)의 상부면(23a) 및 제 1 내부면(30a)을 포함하며, 또한 제 2 부품(17b)은 베젤(2)의 하부면(23b) 및 제 2 내부면(30b)을 포함한다. 제 1 부품(17a)이 제 2 부품(17b)과 조립되어 베젤(2)의 이 변형예를 형성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내부면들(30a, 30b)은 그들의 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접촉하면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및 제 2 내부면들(30a, 30b)은 연결 요소들을 갖고 있다. 이 제 1 및 제 2 내부면들(30a, 30b) 각각의 연결 요소들은, 그들이 서로 조립되는 경우 이들 2개의 부품(17a, 17b) 간의 기계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보적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 2 부품(17b)의 제 2 내부면(30b)이, 통신 장치(4)가 배치될 수 있는 포켓(18)을 갖고 있다. 이 포켓(18)은 베젤(2)의 제 2 부품(17b)의 제 2 내부면(30b)으로 연장되는 목구멍형 또는 환형 그루브를 형성한다. 이 포켓(18)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횡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포켓(18)은 그 각각이 본질적으로 평면인 표면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벽(19a) 및 측면 벽(19b)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이 측면 벽(19b)은 바닥 벽(19a)에 수직이다.
이 포켓(18)의 측면 벽(19b)은, 이 포켓(18)을 구성하지 않는 제 2 내부면(30b)의 부분(29)으로, 포켓(18)의 개구부를 규정하는 모서리(28)를 형성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이 포켓(18)의 개구부가 제 2 내부면(30b)의 대략 30 내지 70%, 및 바람직하게는 이 표면의 50%로 규정된다. 이 포켓(18)은 대략 200 내지 2500 ㎛, 바람직하게는 1000 ㎛의 깊이(P3)를 갖는다.
이 변형예에서는, 통신 장치(4)가 자기 스크린(8)과 연동되는 경우, 자기 스크린(8)이 포켓(18)에 배치되어 있다. 이 자기 스크린(8)은 포켓(18)의 바닥 벽(19a) 및/또는 측면 벽(19b)에 적용되는 층, 필름 또는 금속 피복에 해당할 수 있다. 이 자기 스크린(8)의 포켓(18)에의 적용은 금속 페인트의 프린팅, 실크 스크리닝, 또는 진공 증착 기술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4)는 자기 스크린(8) 위의 포켓(18)에 배치되어 있다. 더 정확하게는, 칩(6) 및 안테나(5)는, 통신 장치(4)의 안테나(5)가 자기 스크린(8)과 접촉하지 않도록, 접착 또는 피팅에 의하여 바닥 벽(19a) 및/또는 측면 벽(19b)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지지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암 또는 재료 층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 층은 포켓(18)에 배치된 자기 스크린(8)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전기적 절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4)는 제 1 부품(17a)의 제 1 내부면(30a)에 규정된 연결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연결 영역은 제 1 및 제 2 부품들(17a, 17b)이 서로 조립되는 경우 포켓(18)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이러한 베젤(2)의 변형예에서는, 칩 및 안테나(5)가 접착되는 플라스틱 또는 적층 복합재료들로 만들어지는 기판(16)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4)의 대안이, 특히 제 2 변형예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원리들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이 포켓(18)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제 1 부품(17a)이 제 2 부품(17b)과 조립되어 베젤(2)을 형성하는 경우, 이 포켓(18)의 개구부가 폐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2개의 실시예들에서는, 통신 장치(4) 및 자기 스크린(8)이, 예를 들어 동일한 포리머 조각에 오버 몰딩됨으로써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듈은 전술한 상이한 변형예들에 따라 다이얼(1) 및 베젤(2)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모듈의 이들 상이한 변형예들에서의 배치는, 시계(35)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관련 주변기기의 방향으로 안테나(5)가 최적 방사하도록 행해진다.
이 시계(35)에서는, 케이스(20)가, 다이얼(1)의 베젤(2)의 영역에 배치된 통신 장치(4)의 성능을 최적화/최대화하도록 구성된다. 실제에 있어서, 이 케이스(20)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전기 전도 특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합성 사파이어, 세라믹, 또는 폴리아미드-나일론(PA12),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페닐설폰(PPSu)과 같은 사출 성형 또는 주형 폴리머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0)는 전체적으로 이러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케이스(20)는 부분적으로만 이러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로 설계된 이들 부품들 중의 일부만, 예를 들어 다이얼(1) 및 베젤(2)의 레벨 위에 위치된 케이스밴드의 부분과 같은, 다이얼(1)의 상단에 위치되는 부품들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1), 베젤(2), 또는 심지어 케이스(20)의 전부 또는 일부도 전기 전도 특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전기적 비전도성은 전류 흐름에 저항하는 능력으로 특징지어지는, 그것의 저항에 의해 정량화된다. 이러한 재료의 저항은 1012 Ω/cm 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1013 Ω/cm 보다 크다.
다이얼(1) 및 베젤(2)과 같은 시계의 상부 부분들에의 통신 장치 배치는, 상기 시계(35) 착용자의 손목밴드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교란 영향을 제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주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및 일반화를 또한 포함한다.

Claims (13)

  1.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4)를 포함하는 다이얼(1) 및/또는 베젤(2)을 구비하는 시계(35)로서,
    상기 통신 장치(4)는 칩(6) 및 안테나(5)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시계(35)의 다이얼(1) 또는 베젤(2)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신 장치(4)는 특히 페라이트(ferrite)로 만들어진 자기 스크린(8)과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4)가 상기 다이얼(1)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다이얼(1)은, 상기 통신 장치(4)가 배치되는 하부면(11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4)가 상기 다이얼(1)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다이얼(1)은, 상기 통신 장치(4)가 배치되는 포켓(3)이 구비된 하부면(11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4)가 상기 다이얼(1)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다이얼(1)은, 상기 통신 장치(4)가 배치되는 상부면(11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4)가 상기 다이얼(1)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다이얼(1)은, 상기 통신 장치(4)가 배치되는 상부면 및 하부면(11a, 11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4)가 상기 베젤(2)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베젤(2)은, 상기 통신 장치(4)가 배치되는 포켓(18)을 가진 하부면(23b)을 포함하는 모노블럭 피스(monobloc pie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자기 스크린(8)은, 상기 통신 장치(4)가 상기 다이얼(1)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하부면(11b) 상의 포켓(3)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다이얼(1)의 하부면(11b)에 위치되거나, 또는
    - 상기 자기 스크린(8)은, 상기 통신 장치(4)가 상기 베젤(2)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하부면(23b) 상의 포켓(18)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베젤(2)의 하부면(23b)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2)은 제 1 및 제 2 부품들(17a, 17b)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품(17b)은 상기 통신 장치(4)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18)이 구비된 제 2 내부면(3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스크린(8)은 상기 포켓(18)의 바닥 벽(19a) 및/또는 측면 벽(19b)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1) 및/또는 상기 베젤(2) 각각은 전기 전도 특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스크린(8)은 특히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 및/또는 하나의 플레이트(plate) 및/또는 하나의 필름 및/또는 하나의 금속 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4)는 전자 칩(6) 및 안테나(5)가 접착되는 플라스틱 또는 적층 복합재료들로 이루어진 기판(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4)는 NFC 또는 RFID 기술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35).
KR1020160082879A 2015-07-01 2016-06-30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가 포함된 시계 KR20170004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4746.6 2015-07-01
EP15174746.6A EP3112958B1 (fr) 2015-07-01 2015-07-01 Piece d'horlogeri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885A true KR20170004885A (ko) 2017-01-11

Family

ID=5351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879A KR20170004885A (ko) 2015-07-01 2016-06-30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가 포함된 시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77441B2 (ko)
EP (1) EP3112958B1 (ko)
JP (1) JP6916599B2 (ko)
KR (1) KR20170004885A (ko)
CN (1) CN106325058A (ko)
CA (1) CA2934409C (ko)
TW (1) TWI7250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3587B1 (fr) * 2016-09-09 2020-02-19 Montres Tudor S.A. Glace de montre
TWI682638B (zh) 2017-09-29 2020-01-11 巨擘科技股份有限公司 腕錶及適用於腕錶之短距離通信信號強度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0525A5 (fr) 1996-11-22 2000-09-29 Ebauchesfabrik Eta Ag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e antenne de réception et/ou de transmission d'un signal radio-diffusé.
DE19724707A1 (de) * 1997-06-13 1998-12-24 Junghans Uhren Gmbh Kleinuhr mit Transponder
DE19724708A1 (de) * 1997-06-13 1998-12-17 Junghans Uhren Gmbh Kleinuhr mit Transponder
EP1274150A1 (fr) * 2001-07-05 2003-01-08 Eta SA Fabriques d'Ebauches Montre-bracelet avec antenne
DE602007000074D1 (de) * 2006-08-25 2008-09-25 Winwatch S A Analoguhr, die einen Mikrotransponder umfasst, der mit einer Resonatorantenne verbunden ist, die die Entfernung zum Ablesen des Mikrotransponders mit einem RFID-Lesegerät vergrößern soll
JP2008298585A (ja) * 2007-05-31 2008-12-11 Casio Comput Co Ltd 受信装置及び電波時計
CH700537A2 (fr) * 2009-03-13 2010-09-15 Winwatch S A Joint pour la fermeture étanche entre la glace et la carrure d'une boîte de montre comprenant un module électronique et montre-bracelet équipée d'un tel dispositif.
CH701919B1 (fr) * 2009-10-07 2015-02-27 Winwatch Ip Ltd Réhaut pour cadran de montre comportant un module électronique et montre-bracelet équipée d'un tel dispositif.
JP5810680B2 (ja) * 2011-06-30 2015-11-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式時計
US8902716B2 (en) * 2011-06-17 2014-12-02 Casio Computer Co., Ltd. Sensitivity adjustment device, radio wave communication device and watch
JP5935422B2 (ja) * 2012-03-19 2016-06-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感度調整装置及び電波通信機器
TW201426221A (zh) * 2012-12-21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nfc天線的手錶
TW201426220A (zh) * 2012-12-21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手錶及其nfc天線
US9172148B2 (en) * 2013-02-08 2015-10-27 Garmin Switzerland Gmbh Watch with bezel antenna configuration
GB2517422B (en) * 2013-08-19 2017-04-05 Arm Ip Ltd Placement of an antenna in a wrist worn device
JP5954307B2 (ja) 2013-12-18 2016-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時計及び操作設定切り替えシステム
CN103943945B (zh) * 2014-02-21 2016-09-14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手表天线及设有该手表天线的手表
CN104466363A (zh) 2014-12-11 2015-03-25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用于可穿戴式装置的nfc天线结构及智能手表
TWM502861U (zh) * 2015-03-02 2015-06-11 Quanta Comp Inc 穿戴式電子裝置
KR20160129336A (ko) * 2015-04-30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34409C (en) 2023-12-12
EP3112958A1 (fr) 2017-01-04
CN106325058A (zh) 2017-01-11
US20170003660A1 (en) 2017-01-05
JP6916599B2 (ja) 2021-08-11
EP3112958B1 (fr) 2022-03-16
JP2017032549A (ja) 2017-02-09
TWI725038B (zh) 2021-04-21
US10877441B2 (en) 2020-12-29
TW201716890A (zh) 2017-05-16
CA2934409A1 (en) 2017-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52546U (zh) 带有从导电可穿戴设备载体装置隔离的辐射元件的设备
JP6005321B2 (ja) 多目的アンテナ
KR100991562B1 (ko) Rfid 응답기의 안테나구조
US20070008227A1 (en) Electromagnetically transparent decorative metallic surface
KR20170061572A (ko) 안테나를 내장한 비접촉식 금속카드
KR20150134271A (ko)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438337A (zh) 耦合之天線結構及方法
JP2013205333A (ja) 通信機能付きの時計
KR102047036B1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7038350A (ja) アンテナ装置、電子機器およびアンテナ装置の実装方法
KR20170004885A (ko) 근거리 자기장 통신 장치가 포함된 시계
CN105745788B (zh) 多环路天线模块及具有其的可携带终端
KR20150105513A (ko) 안테나를 구비하는 금속재 카드
KR101758133B1 (ko) 적층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US20210119490A1 (en) An rf power harvesting insert for a wristwatch
JP2005134223A (ja) タグ又はリーダ/ライタ内蔵腕時計
CN107431267A (zh) 天线模块及具有该天线模块的便携设备
TWI578610B (zh) 天線系統
CN107453022A (zh) 天线装置和具备其的便携式无线设备
WO2018194950A1 (en) Antenna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205355246U (zh) 无线通信装置
EP3575889B1 (en) Wearable device
KR20170027139A (ko) 안테나 모듈
KR20160140026A (ko) 접착 부재와 이를 구비하는 적층 구조물 및 모바일 단말기
KR20190005690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