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81U -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81U
KR20170003281U KR2020160001340U KR20160001340U KR20170003281U KR 20170003281 U KR20170003281 U KR 20170003281U KR 2020160001340 U KR2020160001340 U KR 2020160001340U KR 20160001340 U KR20160001340 U KR 20160001340U KR 20170003281 U KR20170003281 U KR 201700032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roller
forming
filt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882Y1 (ko
Inventor
최병권
Original Assignee
최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권 filed Critical 최병권
Priority to KR2020160001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8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4Apparatus for cutting out noodles from a sheet or ribbon of dough by an engaging pair of grooved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이 평평한 이송롤러의 하측에 도삭면 성형용 성형홈과 성형돌기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성형면이 표면에 형성된 절단롤러를 설치하고, 성형돌기부의 최고점에 면과 면 사이를 잘라주기 위한 절단날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절단롤러의 외주연에는 성형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설치하므로서, 개략적으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게되는 도삭면을 이송롤러와 절단롤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절단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면과 면 사이를 완벽하게 잘라줌으로 인해 제조되는 도삭면이 서로 붙어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롤러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필터를 설치하여 절단롤러의 표면에 이물질이 붙어있지 않도록 하여 제조되는 도삭면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Roller device for manufacturing noodles}
본 고안은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이 평평한 이송롤러의 하측에 도삭면 성형용 성형홈과 성형돌기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성형면이 표면에 형성된 절단롤러를 설치하고, 성형돌기부의 최고점에 면과 면 사이를 잘라주기 위한 절단날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절단롤러의 외주연에는 성형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설치하므로서, 개략적으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게되는 도삭면을 이송롤러와 절단롤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절단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면과 면 사이를 완벽하게 잘라줌으로 인해 제조되는 도삭면이 서로 붙어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롤러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필터를 설치하여 절단롤러의 표면에 이물질이 붙어있지 않도록 하여 제조되는 도삭면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면기는 모터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한쌍의 절단롤러를 이용하여 밀가루 반죽된 반죽물을 면(국수)으로 만들어내는 기계를 일컷는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절단롤러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롤러(1)의 표면에 서로 맞물리는 요철형태의 성형면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절단롤러(1) 사이로 반죽물을 통과시키면 대략적으로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게되는 면(국수)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절단롤러는 서로 맞물리는 형태의 요철면에 의해 면을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삭면과 같이 면의 단면 모양이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면은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도삭면이라 함은 반죽물을 작업틀에 평평하게 올려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특수 제작된 칼을 전후진 시켜가면서 반죽을 절삭하여 만드는 것이며, 이때 만들어지는 면의 단면은 대략적으로 도 5 와 같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제조된다.
이와같은 형상의 도삭면을 자동화된 제면기를 이용해서 제조하고자 할 경우 도삭면의 단면이 비대칭적이어서 절단롤러의 표면을 도삭면의 형상에 맞춰 가공하기 어려워 도삭면을 자동 생산할 수 있는 제면기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464299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표면이 평평한 이송롤러의 하측에 도삭면 성형용 성형홈과 성형돌기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성형면이 표면에 형성된 절단롤러를 설치하고, 성형돌기부의 최고점에 면과 면 사이를 잘라주기 위한 절단날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절단롤러의 외주연에는 성형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설치하므로서, 개략적으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게되는 도삭면을 이송롤러와 절단롤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절단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면과 면 사이를 완벽하게 잘라줌으로 인해 제조되는 도삭면이 서로 붙어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롤러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필터를 설치하여 절단롤러의 표면에 이물질이 붙어있지 않도록 하여 제조되는 도삭면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표면이 평평한 이송롤러(10)와;
이송롤러(10)의 하측에 맞대어져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도삭면 제조용 성형홈(24)과 성형돌기부(23)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성형면(22)이 표면에 형성된 절단롤러(20); 로 구성하되,
성형돌기부(23)의 최고점에 제조되는 면과 면 사이를 잘라주기 위한 절단날(27)을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략적으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게되는 도삭면을 이송롤러와 절단롤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절단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면과 면 사이를 완벽하게 잘라줌으로 인해 제조되는 도삭면이 서로 붙어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롤러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필터를 설치하여 절단롤러의 표면에 이물질이 붙어있지 않도록 하여 제조되는 도삭면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롤러장치에 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 는 도삭면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6 은 종래 제면용 롤러장치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표면이 평평한 이송롤러(10)와;
이송롤러(10)의 하측에 맞대어져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도삭면 제조용 성형홈(24)과 성형돌기부(23)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성형면(22)이 표면에 형성된 절단롤러(20); 로 구성하되,
성형돌기부(23)의 최고점에 제조되는 면과 면 사이를 잘라주기 위한 절단날(27)을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단롤러(20)의 외주연에는 성형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필터(30)를 설치하되,
필터(30)는 단부에 성형면(22)에 대응하는 필터면(31)이 형성되고, 필터(30)의 중간부에는 일정각도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2)가 형성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성형돌기부(23)는 최고점에 형성되는 절단날(27)을 중심으로 그 일측에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 1 경사돌부(25)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제 1 경사돌부(25)에 비해 급경사를 이루는 제 2 경사돌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되는 도삭면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략적으로 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갖게된다.
도 5 와 같은 단면을 갖는 도삭면을 제조하기 위한 롤러장치는 이송롤러(10)와 절단롤러(20)로 대별 구성될 수 있다.
이송롤러(10)와 절단롤러(20)는 미도시된 모터의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회전작동하면서 밀가루 반죽을 절단하여 도삭면을 제조하게 된다.
이송롤러(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송롤러(10)의 양단에는 축(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송롤러(1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때에 따라서는 강성을 갖는 아크릴계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송롤러(10)에 맞대어져 회전하는 절단롤러(20)는 양단에 축(21)이 형성되어 있고, 절단롤러(20)의 표면에는 도삭면 제조를 위한 성형면(22)이 요철되게 형성된다.
성형면(22)은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성형홈(24)과 성형돌기부(23)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데, 성형돌기부(23)의 최고점에는 제조되는 면과 면 사이를 잘라주기 위한 절단날(27)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성형홈(24)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물이 도사면 형태로 성형될 때 절단날(27)이 면과 면 사이를 완전하게 절단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도삭면과 도삭면 사이가 붙어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의 롤러장치는 종래와 같이 한쌍의 절단롤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표면이 평평한 이송롤러(10)와 성형면(22)을 갖는 절단롤러(20)를 이용하여 도삭면을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형면(22)을 이루는 성형돌기부(23)의 최고점에 절단날(27)을 돌출되게 형성하지 않으면 제조되는 도삭면이 서로 붙어있는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과 같이 성형돌기부(23)의 최고점에 약 0.5mm ~ 1.5mm의 높이로 절단날(27)을 돌출되게 형성하게되면 제조되는 도삭면의 면과 면 사이가 완전하게 절단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성형돌기부(23)는 최고점에 형성되는 절단날(27)을 중심으로 그 일측에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 1 경사돌부(25)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제 1 경사돌부(25)에 비해 급경사를 이루는 제 2 경사돌부(26)를 형성하여 이룬다.
상기와 같은 제 1 경사돌부(25)와 제 2 경사돌부(26)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도삭면을 제조할 수 있게된다.
또한, 절단롤러(20)의 외주연에는 성형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필터(30)를 설치하되,
필터(30)는 단부에 성형면(22)에 대응하는 필터면(31)이 형성되고, 필터(30)의 중간부에는 일정각도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2)가 형성되며, 필터(30)에는 다수의 장착홀(33)이 타공된다.
필터(3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롤러(20)의 직하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30)의 설치 위치를 절단롤러(20)의 직하방에 한정하지 않고 절단롤러(20)의 하단에 주변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절단롤러(20)의 성형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하면 만족한다.
장착홀(33)은 필터(30)를 미도시된 제면기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롤러(10)와 절단롤러(20)의 축(11)(21)은 제면기 본체에 지지하여 설치되며, 미도시된 모터의 동력을 체인 또는 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10: 이송롤러, 11: 축,
20: 절단롤러, 21: 축,
22: 성형면, 23: 성형돌기부,
24: 성형홈, 25: 제 1 경사돌부,
26: 제 2 경사돌부, 27: 절단날,
30: 필터, 31: 필터면,
32: 절곡부, 33: 장착홀,

Claims (3)

  1. 표면이 평평한 이송롤러(10)와;
    이송롤러(10)의 하측에 맞대어져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도삭면 제조용 성형홈(24)과 성형돌기부(23)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성형면(22)이 표면에 형성된 절단롤러(20); 로 구성하되,
    성형돌기부(23)의 최고점에 제조되는 면과 면 사이를 잘라주기 위한 절단날(27)을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절단롤러(20)의 외주연에는 성형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필터(30)를 설치하되,
    필터(30)는 단부에 성형면(22)에 대응하는 필터면(31)이 형성되고, 필터(30)의 중간부에는 일정각도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2)가 형성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성형돌기부(23)는 최고점에 형성되는 절단날(27)을 중심으로 그 일측에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 1 경사돌부(25)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제 1 경사돌부(25)에 비해 급경사를 이루는 제 2 경사돌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KR2020160001340U 2016-03-14 2016-03-14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KR200485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40U KR200485882Y1 (ko) 2016-03-14 2016-03-14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40U KR200485882Y1 (ko) 2016-03-14 2016-03-14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81U true KR20170003281U (ko) 2017-09-22
KR200485882Y1 KR200485882Y1 (ko) 2018-03-07

Family

ID=6057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40U KR200485882Y1 (ko) 2016-03-14 2016-03-14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032A (zh) * 2017-12-04 2018-04-20 裴学华 套管式轧面刀
KR102387738B1 (ko) * 2021-09-08 2022-04-18 이경진 면발의 굵기가 상이한 롤러형 제면기
KR102387746B1 (ko) * 2021-09-08 2022-04-18 이경진 면발의 굵기가 상이한 실린더형 제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103A (ja) * 1998-04-01 1999-10-12 Hatsukarimen:Kk 麺及び製麺方法
KR200192033Y1 (ko) * 2000-03-07 2000-08-16 곽보신 제빵용 반죽 압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103A (ja) * 1998-04-01 1999-10-12 Hatsukarimen:Kk 麺及び製麺方法
KR200192033Y1 (ko) * 2000-03-07 2000-08-16 곽보신 제빵용 반죽 압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032A (zh) * 2017-12-04 2018-04-20 裴学华 套管式轧面刀
CN107927032B (zh) * 2017-12-04 2019-09-27 裴学华 套管式轧面刀
KR102387738B1 (ko) * 2021-09-08 2022-04-18 이경진 면발의 굵기가 상이한 롤러형 제면기
KR102387746B1 (ko) * 2021-09-08 2022-04-18 이경진 면발의 굵기가 상이한 실린더형 제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82Y1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882Y1 (ko)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US20100170404A1 (en) Multiple Blade Accessory for a Food Processor
CN101745938A (zh) 切孔刀模
JP5435561B2 (ja) 回転刃、および回転刃を有する小型電気機器
PT98111B (pt) Maquina e processo para formar automaticamente productos a base de massa de farinha
KR20130110673A (ko) 호빙머신의 버 제거용 툴
EP1582316A3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ner cutter for an electric shaver
JP5233015B1 (ja) 切断加工用刃物
CN209125873U (zh) 用于毛发切削装置的切削机构以及毛发切削装置
JP5940055B2 (ja) ベルト取外具
US10188118B2 (en) Cutter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oodles
CN209884523U (zh) 一种用于卫生巾生产线的裁切模具
KR101691924B1 (ko) 회전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
JP6770496B2 (ja) エラストマー製品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構造
JP3129584U (ja) 紙用シュレッダの刃部
WO2007081157A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rc type clipper blade, and its nail clipper blade and its nail clipper
CN204907680U (zh) 一种用于饼干生产的成型装置
KR20150050293A (ko) 수제비 성형 로울러 제조방법 및 그 로울러, 그 로울러를 이용한 수제비 성형장치
TW201119581A (en) Shaping device to automatically shape and guide dough into dough sheet.
CN201098934Y (zh) 表板凹凸专用刀
US11559914B2 (en) Cutting apparatus for foodstuffs
JP2018007651A (ja) 手打ち風麺用切刃装置
JP2019025493A (ja) 中子用バリ取り工具
KR101892707B1 (ko) 귀금속 가공용 면취기
JP6864351B2 (ja) 粉粒体分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