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033Y1 - 제빵용 반죽 압연기 - Google Patents

제빵용 반죽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033Y1
KR200192033Y1 KR2020000006305U KR20000006305U KR200192033Y1 KR 200192033 Y1 KR200192033 Y1 KR 200192033Y1 KR 2020000006305 U KR2020000006305 U KR 2020000006305U KR 20000006305 U KR20000006305 U KR 20000006305U KR 200192033 Y1 KR200192033 Y1 KR 200192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using
conveyor belt
support protrusion
auxili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보신
Original Assignee
곽보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보신 filed Critical 곽보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5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빵용 반죽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 전후에 지지돌부(112)를 형성하고 지지돌부(112) 사이에 삽입공간(111)을 형성시키며 지지돌부(112)의 대응면에 가이드공(113)을 형성시킨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좌우에 각각 설치하는 컨베어벨트(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사이에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를 수직으로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상하조절로울러(133)를 설치한 압연로울러(130)와,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 하부로울러(131,132)에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 하부로울러(131,132)와 컨베어벨트(120)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작동판(150)과,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설치된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부로울러(131)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하부로울러(132)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레버(160)로 구성하므로 제빵용 반죽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반죽시트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동력원으로 좌우 컨베어벨트의 이동속도의 각기 다르게 제어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하며 크기를 최소화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빵용 반죽 압연기 {a mill for rolling dough used for bread}
본 고안은 제빵용 반죽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편리하게 반죽을 원하는 두께로 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정하고 균일한 두께의 고품질 반죽시트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제빵용 반죽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제빵용 반죽시트는 숙련공이 수작업으로 반죽하여 밀대로 밀어 반죽시트를 형성하여 반죽하거나 2개의 로울러 사이를 반복적으로 통과시켜 반죽시트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제빵용 반죽시트는 반죽을 로울러의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이동하여 일정두께로 형성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죽시트는 원하는 두께를 얻기 위하여 상기한 방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측의 반죽시트를 다시 수작업으로 유입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러한 작업을 여러번 반복하여 보다 얇은 반죽시트를 얻을 수 있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입측의 컨베어벨트 이동속도 느리고 배출측의 컨베어벨트의 속도가 동일하여 배출된 반죽시트의 구김이 발생되거나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해소하기 위하여 배출측의 컨베어벨트를 빠르게 하는 경우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로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출측의 컨베어벨트의 길이가 길어야만 배출되는 신장된 반죽시트를 적절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장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불사용시 공간활용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제빵용 반죽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반죽시트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동력원으로 좌우 컨베어벨트의 이동속도의 각기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빵용 반죽 압연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컨베어벨트 부분을 접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정회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역회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간격조절레버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압연기 110; 하우징
111; 삽입공간 112; 지지돌부
113; 가이드공
120; 컨베어벨트 121; 지지플레이트
122; 구동로울러 123; 보조로울러
124; 브래킷 125; 걸림홈
126; 걸림돌기 127; 적재트레이
128; 리브 130; 압연로울러
131; 상부로울러 132; 하부로울러
133; 상하조절로울러 134; 안전커버
140; 구동모터 141; 구동스프로킷
142; 하부스프로킷 143; 상부스프로킷
144; 가이드스프로킷 145; 체인
150; 작동판 151; 메인기어
152; 제1보조기어 153; 제2보조기어
154; 2단컨베어기어 160; 간격조절레버
161; 편심캠 162; 샤프트
163; 스프링 164; 랫치
165; 간격지지구 166; 캡
167; 가이드편 170; 표면처리편
171; 제1표면처리편 172; 제2표면처리편
173; 스프링 174; 배출공
175; 적재함 180; 작동스위치
181; 메인스위치 182; 역동작스위치
183; 역동작발스위치 184; 리밋스위치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는 전후에 지지돌부를 형성하고 지지돌부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시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좌우에 각각 설치하는 컨베어벨트와, 상기 하우징의 지지돌부 사이에 상부로울러와 하부로울러를 수직으로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부로울러의 상측에 상하조절로울러를 설치한 압연로울러와, 상기 압연로울러의 상, 하부로울러에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압연로울러의 상, 하부로울러와 컨베어벨트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작동판과, 상기 압연로울러의 상부로울러의 상측에 설치된 상하조절로울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부로울러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하부로울러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레버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컨베어벨트 부분을 접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정회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역회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 간격조절레버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100)는 전후에 지지돌부(112)를 형성하고 지지돌부(112) 사이에 삽입공간(111)을 형성시키며 지지돌부(112)의 대응면에 가이드공(113)을 형성시킨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좌우에 각각 설치하는 컨베어벨트(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사이에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를 수직으로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상하조절로울러(133)를 설치한 압연로울러(130)와,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 하부로울러(131,132)에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 하부로울러(131,132)와 컨베어벨트(120)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작동판(150)과,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설치된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부로울러(131)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하부로울러(132)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레버(160)로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100)는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180)와 반죽시트의 표면 등에 묻은 찌꺼기를 제거하는 표면처리편(170)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컨베어벨트(120)는 하우징(110)의 좌우로 각각 설치하되 지지플레이트(121)의 하우징(110) 측단에 구동로울러(122)를 설치하고 외향측단에 보조로울러(123)를 설치한다. 또, 지지플레이트(121)의 길이방향에 직각되게 절단하여 측면에서 브래킷(124)으로 핀 연결하여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되 브래킷(124)의 소정위치에 걸림홈(125)을 형성하고 걸림홈(125)에 대향되는 걸림돌기(126)를 측방에 결합하여 펼친 상태에서 평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컨베어벨트(120)의 보조로울러(123)의 양단에 적재트레이(127)의 리브(128)를 결합시켜 압연로울러(130)를 통과한 반죽시트가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연로울러(130)는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사이에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를 수직으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상하조절로울러(133)를 설치하되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 및 상하조절로울러(133)를 좌우에서 덮을 수 있는 안전커버(134)를 설치한다. 여기서 안전커버(134)는 하단을 외향으로 절곡하여 절곡 부분이 컨베어벨트의 상면에 걸려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 및 상하조절로울러(133)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고 상단을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상측 지지돌부(112) 결합하여 회전되게 한다.또한, 상하조절로울러(133)는 일측을 약간 길게 형성하여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단부에 홈을 형성한다.
상기 구동모터(14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하고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에 구동스프로킷(141)을 부착하여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 및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일측 단부와 대응되게 하되 상부로울러(131)의 일측 단부에 상부스프로킷(143)을 부착하고 하부로울러(132)의 일측 단부에 하부스프로킷(142)을 부착하며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일측 단부에 베어링을 이용하여 공회전하는 가이드스프로킷(144)을 부착한다. 여기서 구동스프로킷(141), 하부스프로킷(142), 상부스프로킷(143) 및 가이드스프로킷(144)을 체인(145)으로 연결하여 구동모터(140)의 동작으로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판(150)은 중앙에 메인기어(151)를 설치하고 메인기어(151)를 하부로울러(132)에 타측단에 결합하여 연동되게 한다. 또, 작동판(150)의 상부 좌우에는 제1보조기어(152)를 각각 부착하고, 하부 좌우에는 제2보조기어(153)를 각각 부착하되 제1보조기어(152)가 하부로울러(132) 측에 위치하고 제1보조기어(151)의 두께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2보조기어(153)를 결합하여 단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컨베어벨트(120)의 구동로울러(122)에 2단컨베어기어(154)를 부착하여 제1보조기어(152)와 제2보조기어(153)와 각각 대향되게 한다. 한편, 제1보조기어(152)와 제2보조기어(153)의 기어비를 다르게 하고 2단컨베어기어(154)를 형성하여 좌우 컨베어벨트(120)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한다. 즉, 반죽의 유입측보다 배출측의 컨베어벨트(120)의 회전이 빠르도록 하여 반죽시트의 구김 등이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상기 간격조절레버(160)는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에 노출된 상하조절로울러(133) 단부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지지돌부(112)의 상하조절로울러(133)가 외부로 노출된 구멍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의 걸림홈을 형성시킨 간격지지구(165)를 부착하고 간격조절레버(160)의 하부에 간격지지구(165)의 걸림홈과 대향되는 랫치(164)를 돌출시키되 랫치(164)의 타측방향으로 스프링(163)을 결합시켜 탄력 설치한다. 또한, 간격조절레버(160)의 덮는 간격조절레버(160)용 삽입공과 체결공이 형성된 캡(166)을 구비하여 랫치(164), 스프링(163) 및 간격지지구(165)를 보호하되 간격조절레버(160)와 연동되게 한다. 즉, 통상의 체결수단으로 캡(166)의 체결공을 상하조절로울러(133)의 홈과, 홈에 삽입된 간격조절레버(160)를 동시에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하조절로울러(133)에 편심캠(161)을 양측에 부착하되 편심캠(161)과 상부로울러(131)를 샤프트로 연결하여 상하조절로울러(133)의 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상부로울러(13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하부로울러(132)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로울러(131)의 양측에는 가이드편(167)을 결합하고 가이드편(167)을 가이드공(113)에 결하여 상하 이동할 때 직진성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상기 표면처리편(170)은 제1표면처리편(171)과 제2표면처리편(172)을 구비하되, 제1표면처리면(171)은 하부로울러(132)와 컨베어벨트(120) 사이 각각에 설치하고, 제2표면처리편(172)은 상부로울러(131)의 좌우측에서 각각 스프링(173)으로 탄력 설치하여 상부로울러(131)에 밀착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제1표면처리편(171)은 컨베어벨트(1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그 사이에 배출공(174)을 형성시키고 컨베어벨트(120)와 동일높이로 설치한다. 한편, 배출공(174)의 하부에는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하측에 삽입하여 반죽찌꺼기를 적재하는 적재함(175)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스위치(180)는 구동모터(140)를 '온' 시키는 메인스위치(181)와 구동모터(14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역동작스위치(182)와 역동작발스위치(183)를 구비한다. 또, 안전커버(134)를 오픈하면 구동모터(140)의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리밋스위치(184)를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내부에 돌출된 안전커버(134)의 회전부분 단부에 설치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 컨베어벨트(120)에 반죽을 적정크기로 안치시킨 다음 간격조절레버(160)를 조정하여 상, 하부로울러(131,132)의 간격을 알맞게 조절한다.
즉, 간격조절레버(160)를 외향으로 젖혀 스프링(163)을 압축시켜 간격지지구(165)에 걸린 랫치(164)를 걸림 상태에서 해제시킨 다음 간격조절레버(160)를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때, 간격조절레버(160)의 회전으로 상하조절로울러(133)도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하조절레버(133)에 부착된 편심캠(161)도 회전하게 되므로 편심캠(161)과 샤프트(162)로 연결된 상부로울러(131)의 위치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부로울러(131)에 부착된 가이드편(167)이 가이드공(113)에 결합되어 상하수직운동을 가이드하여 직진성을 유지시켜 하부로울러(132)와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원하는 만큼의 간격이 유지되면 간격조절레버(160)의 랫치(164)를 다시 간격지지구(165)의 끼워 스프링(163)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원하는 두께의 세팅이 완료되면 메인스위치(181)를 '온'시켜 구동모터(140)를 동작시킨다.
이때,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에 부착된 구동스프로킷(141)과 하부스프로킷(142)과 상부스프로킷(143) 및 가이드스프로킷(144)이 체인(145)으로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가이드스프로킷(144)은 베어링으로 상하조절로울러(133)에 결합되어 공회전하게 되고 상부스프로킷(143)과 하부스프로킷(142)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부스프로킷(143)이 부착된 상부로울러(131)와 하부스프로킷(142)이 부착된 하부로울러(132)도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로울러(132)의 회전으로 타측에 부착된 메인기어(151)와 작동판(150)도 정회전하여 메인기어(151)에 치차 결합된 제1보조기어(152)와 제2보조기어(153)가 좌우에 설치된 2단컨베어기어(154)에 각각 치차 결합되어 컨베어벨트(120)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좌우 컨베어벨트(120)는 회전속도는 반죽의 유입측보다 반죽의 배출측이 빠르게 되는데,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비에 의하여 제1보조기어(152)가 좌측의 2단컨베어기어(154)의 작은 측 기어에 치차 결합되고 제2보조기어(153)가 우측의 2단컨베어기어(154)의 큰 측 기어에 치차 결합되므로 우측의 컨베어벨트(120)는 느린 속도로 회전하여 반죽을 공급하고 좌측의 컨베어벨트(120)는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배출되는 일정두께의 반죽시트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구김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죽의 이동이 완료되어 1차 반죽시트가 완성되면 필요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간격조절레버(160)를 다시 조정하여 상, 하부로울러(131,132)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1차 반죽시트를 보다 얇은 2 반죽시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역동작스위치(182) 또는 역동작발스위치(183)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40)를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상, 하부로울러(131,132)도 역회전하게 되고 1차 반죽시트는 다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보다 얇은 2차 반죽시트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좌우 컨베어벨트(120)는 회전속도는 1차 반죽시트의 유입측보다 배출측이 빠르게 되는데,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비에 의하여 제1보조기어(152)가 우측의 2단컨베어기어(154)의 작은측 기어에 치차 결합되고 제2보조기어(153)가 좌측의 2단컨베어기어(154)의 큰측 기어에 치차 결합되므로 좌측의 컨베어벨트(120)는 느린 속도로 회전하여 1차 반죽시트를 공급하고 우측의 컨베어벨트(120)는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배출되는 일정두께의 2차 반죽시트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구김 등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빵용 반죽 압연기(100)는 전후에 지지돌부(112)를 형성하고 지지돌부(112) 사이에 삽입공간(111)을 형성시키며 지지돌부(112)의 대응면에 가이드공(113)을 형성시킨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좌우에 각각 설치하는 컨베어벨트(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사이에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를 수직으로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상하조절로울러(133)를 설치한 압연로울러(130)와,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 하부로울러(131,132)에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 하부로울러(131,132)와 컨베어벨트(120)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작동판(150)과,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설치된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부로울러(131)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하부로울러(132)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레버(160)로 구성하므로 제빵용 반죽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반죽시트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동력원으로 좌우 컨베어벨트의 이동속도의 각기 다르게 제어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하며 크기를 최소화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후에 지지돌부(112)를 형성하고 지지돌부(112) 사이에 삽입공간(111)을 형성시키며 지지돌부(112)의 대응면에 가이드공(113)을 형성시킨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좌우로 지지플레이트(121)를 설치하되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측에 구동로울러(122)를 설치하고 외향 측에 보조로울러(123)를 설치하는 컨베어벨트(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사이에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를 수직으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상하조절로울러(133)를 설치하되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 및 상하조절로울러
    (133)를 좌우에서 덮을 수 있는 안전커버(134)를 설치한 압연로울러(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하고 회전축에 구동스프로킷(141)을 부착하여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 및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일측 단부와 대응되게 하며 상부로울러(131)의 일측 단부에 상부스프로킷(143)을 부착하고 하부로울러(132)의 일측 단부에 하부스프로킷(142)을 부착하며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일측 단부에 베어링을 이용하여 공회전하는 가이드스프로킷(144)을 부착하되 상, 하부로울러(131,132)에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 하부로울러(131,132)와 컨베어벨트(120)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작동판(150)과,
    상기 압연로울러(130)의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설치된 상하조절로울러(133)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부로울러(131)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하부로울러(132)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레버(160)와,
    상기 압연로울러(130)로 부터 배출되는 반죽시트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표면처리편(170)과,
    상기 구동모터(140)를 제어하는 작동스위치(18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반죽 압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어벨트(120)는 지지플레이트(121)의 길이방향에 직각되게 절단하여 측면에서 브래킷(124)으로 핀 연결하여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되 브래킷(124)의 소정위치에 걸림홈(125)을 형성하고 걸림홈(125)에 대향되는 걸림돌기(126)를 측방에 결합하여 펼친 상태에서 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며 보조로울러(123)의 양단에 적재트레이(127)의 리브(128)를 결합시켜 압연로울러(130)를 통과한 반죽시트가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반죽 압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로울러(130)는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사이에 상부로울러
    (131)와 하부로울러(132)를 수직으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부로울러(131)의 상측에 상하조절로울러(133)를 설치하되 상부로울러(131)와 하부로울러(132) 및 상하조절로울러(133)를 좌우에서 덮을 수 있는 안전커버(134)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반죽 압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150)은 중앙에 메인기어(151)를 설치하고 메인기어(151)를 하부로울러(132)에 타측단에 결합하여 연동되게 하며 작동판(150)의 상부 좌우에 제1보조기어(152)를 각각 부착하고, 하부 좌우에 제2보조기어(153)를 각각 부착하되 제1보조기어(152)가 하부로울러(132) 측에 위치하고 제1보조기어(151)의 두께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2보조기어(153)를 결합하여 단을 이루도록 하며 컨베어벨트(120)의 구동로울러(122)에 2단컨베어기어(154)를 부착하여 제1보조기어(152)와 제2보조기어(153)와 각각 대향되게 하고 제1보조기어(152)와 제2보조기어(153)의 기어비를 다르게 하고 2단컨베어기어(154)를 형성하여 좌우 컨베어벨트(120)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반죽 압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레버(160)는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에 노출된 상하조절로울러(133) 단부에 결합시키고 지지돌부(112)의 상하조절로울러(133)가 외부로 노출된 구멍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의 걸림홈을 형성시킨 간격지지구(165)를 부착하며 간격조절레버(160)의 하부에 간격지지구(165)의 걸림홈과 대향되는 랫치(164)를 돌출시키고 랫치(164)의 타측방향으로 스프링(163)을 결합시켜 탄력설치하며 캡(166)을 구비하되 상하조절로울러(133)에 편심캠(161)을 양측에 부착하고 편심캠(161)과 상부로울러(131)를 샤프트로 연결하여 상하조절로울러(133)의 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상부로울러(13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반죽 압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편(170)은 제1표면처리편(171)과 제2표면처리편(172)을 구비하되, 제1표면처리면(171)은 하부로울러(132)와 컨베어벨트(120) 사이 각각에 설치하고, 제2표면처리편(172)은 상부로울러(131)의 좌우측에서 각각 스프링(173)으로 탄력 설치하여 상부로울러(131)에 밀착되게 설치하며, 제1표면처리편(171)은 컨베어벨트(1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그 사이에 배출공(174)을 형성시키고 배출공(174)의 하부에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하측에 삽입하여 반죽찌꺼기를 적재하는 적재함(175)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반죽 압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180)는 구동모터(140)를 온 시키는 메인스위치(181)와 구동모터(14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역동작스위치(182)와 역동작발스위치(183)를 구비하고 안전커버(134)를 오픈하면 구동모터(140)의 전원을 차단하는 리밋스위치(18
    4)를 하우징(110)의 지지돌부(112) 내부에 돌출된 안전커버(134)의 회전부분 단부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반죽 압연기.
KR2020000006305U 2000-03-07 2000-03-07 제빵용 반죽 압연기 KR20019203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253A KR20010087500A (ko) 2000-03-07 2000-03-07 제빵용 반죽 압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253A Division KR20010087500A (ko) 2000-03-07 2000-03-07 제빵용 반죽 압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033Y1 true KR200192033Y1 (ko) 2000-08-16

Family

ID=196528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253A KR20010087500A (ko) 2000-03-07 2000-03-07 제빵용 반죽 압연기
KR2020000006305U KR200192033Y1 (ko) 2000-03-07 2000-03-07 제빵용 반죽 압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253A KR20010087500A (ko) 2000-03-07 2000-03-07 제빵용 반죽 압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875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1141A (zh) * 2015-11-14 2016-01-06 山东银鹰炊事机械有限公司 压面机轧辊间隙自动调整机构及方法
KR20170003281U (ko) * 2016-03-14 2017-09-22 최병권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CN109479913A (zh) * 2017-09-12 2019-03-19 山东省邹平江泷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压延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75A (ko) * 2002-03-27 2003-10-04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반죽물 압착장치
KR100465799B1 (ko) * 2002-07-19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71075B1 (ko) 2002-07-1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KR100465800B1 (ko) * 2002-07-19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50015B1 (ko) * 2005-12-24 2006-11-27 강창남 도우 제조기
KR200497005Y1 (ko) * 2020-11-11 2023-07-03 박세철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도우 성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1141A (zh) * 2015-11-14 2016-01-06 山东银鹰炊事机械有限公司 压面机轧辊间隙自动调整机构及方法
CN105211141B (zh) * 2015-11-14 2017-06-27 山东银鹰炊事机械有限公司 压面机轧辊间隙自动调整机构及方法
KR20170003281U (ko) * 2016-03-14 2017-09-22 최병권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KR200485882Y1 (ko) * 2016-03-14 2018-03-07 최병권 도삭면 제조용 롤러장치
CN109479913A (zh) * 2017-09-12 2019-03-19 山东省邹平江泷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压延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500A (ko)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2033Y1 (ko) 제빵용 반죽 압연기
US3730409A (en) Dispensing apparatus
CA2576909A1 (en) Dispenser for multiple rolls of sheet material
US4316349A (en) Portable abrasive belt finishing machine
JP2000007162A (ja) 給紙カセット
JP3842181B2 (ja) 米飯供給装置
US5797830A (en) Multi use paper and card stock cutter
US6003437A (en) Apparatus for making noodles
US10850414B2 (en) Sheet material processing device and sheet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CN115539779A (zh) 一种可调节投影仪角度的吸顶式投影仪
JP2001080753A (ja) 給紙装置
US2766040A (en) Folding machine with parti-circular buckle chutes
US6247691B1 (en) Positive drive mechanism for buckle folder and method
CN2325996Y (zh) 制面条机
KR101888906B1 (ko) 나사보관용 엠보 밴드의 제조장치
EP4286644A1 (en) Screen device
KR102164111B1 (ko) 나사못 보관부재의 배출장치
DE102017009539A1 (de) Stichsäge
JP3852022B2 (ja) 緩衝材成形装置
KR100473239B1 (ko) 재봉틀의 말린 직물 펼침 장치
GB2308506A (en) Motor/manually driven sliding variable resistor
KR19990039704U (ko) 절단각도가 가변되는 가래떡 절단장치.
JPS6034661Y2 (ja) バケツトエレベ−タにおける移送ベルトの緊張装置
JP3869161B2 (ja) スタッカ装置
JP2521683Y2 (ja) 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