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015B1 - 도우 제조기 - Google Patents

도우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015B1
KR100650015B1 KR1020050129191A KR20050129191A KR100650015B1 KR 100650015 B1 KR100650015 B1 KR 100650015B1 KR 1020050129191 A KR1020050129191 A KR 1020050129191A KR 20050129191 A KR20050129191 A KR 20050129191A KR 100650015 B1 KR100650015 B1 KR 10065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dough
lever
roll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만
강창남
Original Assignee
강창남
고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남, 고성만 filed Critical 강창남
Priority to KR102005012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8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우를 만들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정시 한쪽의 롤러만 조정하면 다른쪽의 롤러 간격도 자동으로 조정되어 롤러 간격 조정이 편리하고 또한 작업자의 손이 기계 안쪽으로 들어가면 이를 감지하여 모터가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도우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단의 롤러 사이로 밀가루 반죽을 통과시켜 원하는 형태의 도우를 만들기 위한 도우 제조기에 있어서, 서로 맞물린 1차상,하롤러 및 2차상,하롤러는 각각의 종동스프로킷휠이 체인을 통하여 모터의 구동스프로킷휠과 연결되고, 1차상,하롤러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1차두께조절부 및 2차상,하롤러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2차두께조절부가 구비되며, 1차두께조절부는 1차상롤러를 축지지 하는 1차레버, 1차레버와 핀으로 연결된 1차조절축, 1차조절축과 나사 결합되는 1차조절나사 및 1차레버를 고정시키는 1차고정나사로 구성되고, 2차두께조절부는 2차상롤러를 축지지 하는 2차레버, 2차레버와 핀으로 연결된 2차조절축, 2차조절축과 나사 결합되는 2차조절나사 및 2차레버를 고정시키는 2차고정나사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롤러, 모터, 안전바

Description

도우 제조기{Dough manufacture machine}
도 1은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일부 절단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두께조절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두께조절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본체 11 : 투입구
12 : 투입판 13 : 투출판
14,15 : 1차상,하롤러 16,17 : 2차상,하롤러
18 : 칼날 19 : 스프링
20 : 1차두께조절부 20a :편심축
20b : 편심축받이 20c : 메탈베어링
20d : 베어링 21 : 1차레버
22 : 1차조절나사축 23 : 핀
24 : 1차조절너트 25 : 1차조절손잡이
26 : 1차고정나사 27 : 안내홈
30 : 2차두께조절부 30a : 편심축
30b : 편심축받이 30c : 메탈베어링
30d : 베어링 31 : 2차레버
32 : 2차조절나사축 33 : 핀
34 : 2차조절너트 35 : 2차조절손잡이
36 : 2차고정나사 37 : 안내홈
40 : 모터 41 : 구동스프로킷휠
42 : 체인 43 : 종동스프로킷휠
50 : 안전바 51 : 스위치박스
본 발명은 도우(dough)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우를 원하는 두께로 항상 일정하게 만들 수 있으며 도우의 두께 조절이 쉽고 도우를 만들기 위한 구동장치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도우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우 제조기는 다수의 롤러 사이로 밀가루 반죽을 통과시켜 원하는 모양의 두께와 형상을 갖는 도우를 만들었다. 그러나 도우를 만들기 위한 롤러들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하여 롤러 양측에서 레버를 작동시켜 롤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두 사람이 동시에 레버를 조정해야 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혼자서 작업할 경우 한쪽 롤러의 두께를 조정한 뒤 반대편의 롤러 두께를 조정해야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우를 만드는 동안 작업자의 손이 기계 안쪽으로 들어가더라도 기계가 자동으로 멈추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롤러 사이에 손이 끼여 다칠 우려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우를 만들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정시 한쪽의 롤러만 조정하면 다른쪽의 롤러 간격도 자동으로 조정되어 롤러 간격 조정이 편리하고 또한 작업자의 손이 기계 안쪽으로 들어가면 이를 감지하여 모터가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도우 제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단의 롤러 사이로 밀가루 반죽을 통과시켜 원하는 형태의 도우를 만들기 위한 도우 제조기에 있어서, 서로 맞물린 1차상,하롤러 및 2차상,하롤러는 각각의 종동스프로킷휠이 체인을 통하여 모터의 구동스프로킷휠과 연결되고, 1차상,하롤러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1차두께조절부 및 2차상,하롤러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2차두께조절부가 구비되며, 1차두께조절부는 1차상롤러를 축지지 하는 1차레버, 1차레버와 핀으로 연결된 1차조절축, 1차조절축과 나사 결합되는 1차조절나사 및 1차레버를 고정시키는 1차고정나사로 구성되고, 2차두께조절부는 2차상롤러를 축지지 하는 2차레버, 2차레버와 핀으로 연결된 2차 조절축, 2차조절축과 나사 결합되는 2차조절나사 및 2차레버를 고정시키는 2차고정나사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일부 절단 단면도 이다. 본 발명 도우 제조기는 직사각형의 본체(10)가 구비되고 본체(10) 내부에 다단으로 롤러들이 구비된다. 이들 롤러는 1차상롤러(14) 및 1차하롤러(15)가 짝을 이루고 2차상롤러(16) 및 2차하롤러(17)가 짝을 이뤄 밀가루 반죽을 얇게 만들어 준다.
이들 롤러들은 한쪽 측면에 종동스프로킷휠(43)이 구비되고 모터(40)와 연결된 구동스프로킷휠(41)과 체인(42)으로 연결되어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각 롤러에는 밀가루반죽이 들러붙지 않고 잘 떨어지도록 칼날(18)이 스프링(19)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10)의 상측 후방에는 밀가루 반죽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방에는 1차측에서 눌러진 반죽을 받쳐주는 투입판(12)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2차측에서 최종적으로 눌러진 반죽을 배출하는 투출판(1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1차측에서의 반죽 두께를 조절하는 1차두께조절부(20) 및 2차측에서의 반죽 두께를 조절하는 2차두께조절부(30)가 구비된다. 이들 1,2차두께조절부(20)(30)는 본체(10)의 한쪽에만 구비되므로 롤러들의 간격 조절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두께조절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 도우 제조기의 두께조절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이다. 1차두께조절부(20)는 1차상롤러(14)의 한쪽을 축지지하는 1차레버(21)가 구비되며 1차레버(21)의 상측에는 핀(23)으로 연결된 1차조절너트(24)가 1차조절나사축(22)과 연결되고 1차조절나사축(22)에는 1차조절손잡이(25)가 형성된다. 1차조절나사축(22)은 1차조절너트(24)의 양쪽으로 체결되는 중공상의 나사캡(22a)에 의해 가려져 보호되며 1차조절나사축(22) 및 1차조절너트(24)는 3중나사로 구성되어 축방향의 이송량이 증가되며 적은 회전으로도 1차레버(21)를 많이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1차레버(21)에는 원호형 안내홈(27) 및 1차레버(21)를 고정시키는 1차고정나사(26)가 구비되며, 1차레버(21) 외주연에는 1차눈금(28) 및 지시바늘(29)이 구비된다.
1차상롤러(14)는 중공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편심축(20a)이 베어링(20d)을 통하여 관통 설치되고, 편심축(20a)의 양단은 편심축받이(20b)가 원하는 편심량 만큼 중심이 어긋난 상태로 결합된다. 한쪽 편심축받이(20b)는 메탈베어링(20c)을 통하여 1차레버(21)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쪽 편심축받이(20b)는 메탈베어링(20c)을 통하여 본체(10)에 축지지 된다. 그리고 1차상롤러(14) 한쪽에는 종동스프로킷휠(43)이 형성되어 모터의 동력이 체인을 통하여 전달되면 1차상롤러(14)가 베어링(20d)을 통하여 회전되면서 밀가루 반죽을 원하는 두께로 만들어 준다.
2차두께조절부(30)는 2차상롤러(16)의 한쪽을 축지지하는 2차레버(31)가 구비되며 2차레버(31)의 상측에는 핀(33)으로 연결된 2차조절너트(34)가 2차조절나사축(32)과 연결되고 2차조절나사축(32)에는 2차조절손잡이(35)가 형성된다. 2차조절 나사축(32)은 2차조절너트(34)의 양쪽으로 체결되는 중공상의 나사캡(32a)에 의해 가려져 보호되며 2차조절나사축(32) 및 2차조절너트(34)는 3중나사로 구성되어 축방향의 이송량이 증가되며 적은 회전으로도 2차레버(31)를 많이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2차레버(31)에는 원호형 안내홈(37) 및 2차레버(31)를 고정시키는 2차고정나사(36)가 구비되며, 2차레버(31) 외주연에는 2차눈금(38) 및 지시바늘(39)이 구비된다.
2차상롤러(16)는 중공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편심축(30a)이 베어링(30d)을 통하여 관통 설치되고, 편심축(30a)의 양단은 편심축받이(30b)가 원하는 편심량 만큼 중심이 어긋난 상태로 결합된다. 한쪽 편심축받이(30b)는 메탈베어링(30c)을 통하여 2차레버(31)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쪽 편심축받이(30b)는 메탈베어링(30c)을 통하여 본체(10)에 축지지 된다. 그리고 2차상롤러(16) 한쪽에는 종동스프로킷휠(43)이 형성되어 모터의 동력이 체인을 통하여 전달되면 1차상롤러(16)가 베어링(30d)을 통하여 회전되면서 밀가루 반죽을 원하는 두께로 만들어 준다.
본 발명은 2차두께조절부(30) 쪽으로 밀가루 반죽으로 투입할 때 작업자의 손이 롤러 사이에 끼지 않도록 안전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안전수단은 투입판(12) 후방 상측에 2차상롤러(16)와 나란하게 안전바(50)가 구비되며, 이 안전바(50)의 한쪽은 본체(10)의 한쪽으로 구비된 스위치박스(51)와 연결되어 안전바(50)가 움직일 때 이를 감지하여 모터(4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도우 제조기는 밀가루 반죽을 납작하게 만들기 위한 롤러들의 두께 조절이 한쪽에서 이뤄지므로 작업성이 편리한 특징을 갖는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1차두께조절부(20)는 이의 1차고정나사(26)를 풀고 1차조절손잡이(25)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역회전시킨다. 이때 1차조절손잡이(25)와 일체로 형성된 1차조절나사축(22)을 통하여 1차조절너트(24)가 왕복이동 되면서 이와 핀(23)으로 연결된 1차레버(21)가 회동되고 이와 축지지 된 1차상롤러(14)가 움직이면서 1차하롤러(15)와의 사이 간격이 조절된다. 결국 그 조절된 양 만큼 밀가루 반죽의 두께가 조절된다.
1차레버(21)가 회동되는 동안 이와 일체로 형성된 편심축받이(20b)가 메탈베어링(20c)을 통하여 함께 회동된다. 이와 동시에 1차레버(21) 반대편의 편심축받이(20b)가 메탈베어링(20c)을 통하여 회동되면 편심축받이(20b)들에 일정한 거리로 편심된 편심축(20a)이 회전되면서 볼베어링(20d)으로 축지지된 1차상롤러(14)가 편심량 만큼 회동되어 1차하롤러(15)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쪽 1차레버(21)만 움직이면 롤러들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그 두께 조절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2차두께조절부(30) 역시 상기 1차두께조절부(20)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롤러들의 두께 조절이 끝나면 스위치박스(51)를 ON시키고 반죽된 밀가루를 투입구(11)로 집어넣는다. 이때 모터(40)가 작동되면서 구동스프로킷휠(41)과 체인(42)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로킷휠(43)을 통하여 각 롤러들이 회전된다. 1차상롤러(14) 및 1차하롤러(15)들이 투입판(12) 쪽으로 회전되므로 밀가루 반죽이 한쪽으로 납작해져 투입판(12)으로 떨어진다. 이후 투입판(12)으로 떨어진 밀가루 반죽의 방 향으로 90도 회전시켜 2차두께조절부(30)로 집어넣으면 2차상롤러(16) 및 2차하롤러(17) 사이를 통과하면서 밀가루 반죽이 원하는 두께를 가지면서 투출판(13)으로 떨어져 원형 도우가 만들어 진다. 이러한 도우는 피자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제빵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2차두께조절부(30)로 밀가루 반죽으로 집어넣을 때 손가락이 롤러 사이에 끼지 않도록 안전바(50)가 구비된다. 안전바(50)는 투입판(12)의 안쪽으로 형성되므로 부주의로 손가락이 롤러 사이로 들어갈 때 이를 감지하여 안전바(50)가 상측으로 들리면 안전바(50)와 연결된 스위치박스(51)의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40)가 정지되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밀가루 반죽을 원하는 두께로 만들어주는 롤러들의 간격 조정이 본체의 한쪽에서 이뤄지므로 작업자 혼자서도 쉽게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두께조절부의 조절나사축이 나사캡으로 감싸져 노출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며, 안전바가 롤러 전방에 구비되어 손가락이 롤러 사이에 들어갈 때 이를 감지하여 모터의 전원을 차단시키므로 손가락이 롤러 사이에 끼여 다치는 일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다단의 롤러 사이로 밀가루 반죽을 통과시켜 원하는 형태의 도우를 만들기 위한 도우 제조기에 있어서,
    서로 맞물린 1차상,하롤러(14)(15) 및 2차상,하롤러(16)(17)는 각각의 종동스프로킷휠(43)이 체인(42)을 통하여 모터(40)의 구동스프로킷휠(41)과 연결되고,
    1차상,하롤러(14)(15)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1차두께조절부(20) 및 2차상,하롤러(16)(17)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2차두께조절부(30)가 구비되며,
    1차두께조절부(20)는 1차상롤러(14)를 축지지 하는 1차레버(21), 1차레버(21)와 핀(23)으로 연결된 1차조절너트(24), 1차조절너트(24)와 나사 결합되는 1차조절나사축(22) 및 1차레버(21)를 고정시키는 1차고정나사(26)로 구성되고,
    2차두께조절부(30)는 2차상롤러(16)를 축지지 하는 2차레버(31), 2차레버(31)와 핀(33)으로 연결된 2차조절너트(34), 2차조절너트(34)와 나사 결합되는 2차조절나사축(32) 및 2차레버(31)를 고정시키는 2차고정나사(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1차상롤러(14)는 베어링(20d)으로 축지지 되는 편심축(20a)이 동심원으로 내장되고, 편심축(20a)의 양단은 일정 거리 편심된 편심축받이(20b)가 본체(10)와 메탈베어링(20c)을 통하여 축지지 되고, 어느 한 편심축받이(20b)는 1차레버(21)와 일체로 연결되어 1차레버(21)가 회동되면 그 편심량 만큼 1차상,하롤러(14)(15)의 간격이 조절되며,
    2차상롤러(16)는 베어링(30d)으로 축지지 되는 편심축(30a)이 동심원으로 내장되고, 편심축(30a)의 양단은 일정 거리 편심된 편심축받이(30b)가 본체(10)와 메탈베어링(30c)을 통하여 축지지 되고, 어느 한 편심축받이(30b)는 2차레버(31)와 일체로 연결되어 1차레버(31)가 회동되면 그 편심량 만큼 2차상,하롤러(16)(17)의 간격이 조절됨을 특징으로하는 도우 제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2차상롤러(16) 전방에는 1차상,하롤러(14)(15) 사이를 통과한 반죽을 2차상,하롤러(16)(17) 사이로 투입할 때 작업자 손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바(50)가 구비되고,
    안전바(50)는 본체(10) 일측의 스위치박스(51)와 연결되어 안전바(50)가 움직이면 모터(4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2차상,하롤러(16)(17)가 정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제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1차상,하롤러(14)(15)에는 밀가루 반죽의 눌러 붙음을 방지하는 칼날(18)이 스프링(19)으로 연결되고,
    2차상,하롤러(16)(17)에는 밀가루 반죽의 눌러 붙음을 방지하는 칼날(18)이 스프링(19)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제조기.
KR1020050129191A 2005-12-24 2005-12-24 도우 제조기 KR10065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191A KR100650015B1 (ko) 2005-12-24 2005-12-24 도우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191A KR100650015B1 (ko) 2005-12-24 2005-12-24 도우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015B1 true KR100650015B1 (ko) 2006-11-27

Family

ID=3771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191A KR100650015B1 (ko) 2005-12-24 2005-12-24 도우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01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952A1 (de) * 2012-06-08 2013-12-15 Haas Food Equipment Gmbh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flach ausgewalzten, kontinuierlich geförderten Teigbandes
KR20160010125A (ko) 2014-07-18 2016-01-27 주식회사 라이스피엔씨 도우 성형장치
CN107006550A (zh) * 2017-04-26 2017-08-04 华北水利水电大学 全自动面片折叠输送装置及其制成的揉面机
CN107042332A (zh) * 2017-03-24 2017-08-15 山东易川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圆盘式剪切机
KR200487111Y1 (ko) * 2017-10-13 2018-09-11 김주원 제면기
CN110583724A (zh) * 2019-10-17 2019-12-20 武汉轻工大学 一种鲜湿面条自动成型制作装置
US20200029579A1 (en) * 2017-03-30 2020-01-30 Richard Koplar Winding machine for dough and method
KR20220001107U (ko) 2020-11-11 2022-05-18 박세철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도우 성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962A (ja) 1998-04-16 1999-10-26 Kawakami:Kk 麺生地圧延成形装置
KR20010087500A (ko) * 2000-03-07 2001-09-21 이상복 제빵용 반죽 압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962A (ja) 1998-04-16 1999-10-26 Kawakami:Kk 麺生地圧延成形装置
KR20010087500A (ko) * 2000-03-07 2001-09-21 이상복 제빵용 반죽 압연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952A1 (de) * 2012-06-08 2013-12-15 Haas Food Equipment Gmbh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flach ausgewalzten, kontinuierlich geförderten Teigbandes
AT512952B1 (de) * 2012-06-08 2015-04-15 Haas Food Equipment Gmbh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flach ausgewalzten, kontinuierlich geförderten Teigbandes
KR20160010125A (ko) 2014-07-18 2016-01-27 주식회사 라이스피엔씨 도우 성형장치
CN107042332A (zh) * 2017-03-24 2017-08-15 山东易川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圆盘式剪切机
CN107042332B (zh) * 2017-03-24 2020-03-13 山东易川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圆盘式剪切机
US20200029579A1 (en) * 2017-03-30 2020-01-30 Richard Koplar Winding machine for dough and method
US11849732B2 (en) * 2017-03-30 2023-12-26 Richard Koplar Winding machine for dough and method
CN107006550A (zh) * 2017-04-26 2017-08-04 华北水利水电大学 全自动面片折叠输送装置及其制成的揉面机
CN107006550B (zh) * 2017-04-26 2019-02-22 华北水利水电大学 全自动面片折叠输送装置及其制成的揉面机
KR200487111Y1 (ko) * 2017-10-13 2018-09-11 김주원 제면기
CN110583724A (zh) * 2019-10-17 2019-12-20 武汉轻工大学 一种鲜湿面条自动成型制作装置
KR20220001107U (ko) 2020-11-11 2022-05-18 박세철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도우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015B1 (ko) 도우 제조기
EP3326752B1 (en) Adjustable stroke mechanism for random orbital machine
US9468217B2 (en) Sheeter with thickness control
US20210187695A1 (en) Adjustable Stroke Mechanism For Random Orbital Machine
US20090254013A1 (en) Massage machine
EP3666055A1 (en) Garden tool
CN208258890U (zh) 披萨生产线圆饼切刀组件
KR101433022B1 (ko) 프로파일 가스켓의 가공장치
EP2576135B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führungsvorrichtung
IT201800003924A1 (it) Macinino per macchina da caffè automatica
CA2534749C (en) Device and method for gently producing a pastry strand
KR100901894B1 (ko) 국수제조기
CN209699216U (zh) 三维切丁机
KR200474905Y1 (ko) 국수 제조기
CN214629523U (zh) 一种多功能面条加工装置
US2142448A (en) Cutting mechanism
JPH0228004Y2 (ko)
KR200497005Y1 (ko)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도우 성형장치
KR20160003494U (ko) 제병기의 떡 절단장치
CN212877354U (zh) 一种打面间隙可调的滚动式打面机
CN214546871U (zh) 一种调节压面机滚筒开口尺寸的精确刻度调节装置
EP2138046B1 (en) Machine and method for working dough
CN211932303U (zh) 一种面皮厚薄压面机构
JP2009268419A (ja) 圧延装置
EP1897666A1 (en) Portable pl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