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11Y1 - 제면기 - Google Patents

제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11Y1
KR200487111Y1 KR2020170005323U KR20170005323U KR200487111Y1 KR 200487111 Y1 KR200487111 Y1 KR 200487111Y1 KR 2020170005323 U KR2020170005323 U KR 2020170005323U KR 20170005323 U KR20170005323 U KR 20170005323U KR 200487111 Y1 KR200487111 Y1 KR 200487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gap
moving
indicator
screw shaf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김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원 filed Critical 김주원
Priority to KR2020170005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4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using one or more rollers with an axis of rotation substantially parallel or oblique to the direction of dough transpo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롤러의 이동 거리를 표시하여 더욱더 간편하고 정확하게 롤갭을 조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조정된 롤갭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면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면(麵)을 제조하기 위해 반죽한 면재료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이동롤러와 고정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롤갭(roll gap)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면기에 있어서, 상기 롤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롤갭 조절유닛; 및 상기 롤갭 조절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롤러의 이동 거리를 표시하여 롤갭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롤갭 표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면기{Apparatus for making noodles}
본 고안은 제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갭(roll gap)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롤갭 표시유닛을 구비하여 더욱더 간편하고 정확하게 롤갭을 조정할 수 있게 한 제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 메밀가루, 감자, 녹말 등의 재료를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가늘게 썰든지 국수 틀에서 가늘게 빼낸 것을 삶아서 국물에 말거나 비벼먹는 음식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국수는 한자로 면(麵)이라고 하는데, 제조나 조리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빵보다도 역사가 깊어 기원전 6000 ~ 기원전 5000년경에 이미 아시아 지방에서 만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최근 인구증가에 따른 식품의 대량 소비 때문에 면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제면기가 개발되어 면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제면기는, 반죽한 면재료를 일정한 롤갭(roll gap)을 갖는 제면기 사이를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의 판상으로 압착한다.
이때, 원하는 두께로 면재료를 압착하기 위해서는 제면기의 롤러 간 간격, 즉 롤갭을 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제면기(1)는 작업자가 한 쌍의 롤러(2,2a) 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2)를 수동으로 이동시켜 롤갭을 조정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핸들을 수동으로 돌리면 그 핸들에 연결된 소정의 장치에 의해 롤러(2)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롤갭을 조정하게 된다. 도면 부호 (4)는 세절커터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조정되는 롤갭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핸들의 조작으로 인해 롤러가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이동되는지에 대한 표시가 없어 사용에 불편한 점이 많았으며, 이러한 사항들로 인해 면재료의 두께가 일정치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제면기에서 생산된 면제품의 두께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3-0130262호, 연속식 제면기의 롤갭 제어장치 및 방법.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20042호, 전동형 제면기의 반죽롤러 간격조절장치.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롤러의 이동 거리를 표시하여 더욱더 간편하고 정확하게 롤갭을 조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조정된 롤갭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면(麵)을 제조하기 위해 반죽한 면재료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이동롤러와 고정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롤갭(roll gap)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면기에 있어서, 상기 롤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롤갭 조절유닛; 및 상기 롤갭 조절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롤러의 이동 거리를 표시하여 롤갭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롤갭 표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롤갭 조절유닛은: 상기 이동롤러의 양단이 결합되며,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갖도록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의 반대측 면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좌우측 이동블록; 상기 좌우측 이동롤러의 이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1 경사면에 면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제2 경사면에 의해 상기 좌우측 이동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좌우측 조절블록;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에 나사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중심부를 기준으로 나선 방향이 좌우측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이 제자리 회전되도록 상기 나사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갭 표시유닛은;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의 이동거리를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구; 및 상기 표시구에 의한 이동 거리에 따라 롤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구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는 눈금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갭 표시유닛은: 상기 롤갭 조절유닛을 감싸도록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는 롤갭 표시유닛이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눈금자와 표시구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표시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표시구멍은: 상기 표시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표시구의 이동 거리보다는 긴 길이를 갖는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갭 표시유닛에는: 상기 표시구를 셋팅할 수 있도록 고정지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롤러와 이동롤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표면에는 세라믹 혹은 테프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코팅재가 코팅되어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에 의하면, 롤갭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롤갭 표시유닛의 설치로 인해 조절되는 롤갭을 더욱더 간편하고 정확하게 롤갭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제면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에 구비되는 롤갭 표시유닛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에 구비되는 롤갭 표시유닛에 구비되는 커버를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에 구비되는 롤갭 표시유닛에 구비되는 고정지그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에 구비되는 롤갭 표시유닛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에 구비되는 롤갭 표시유닛에 구비되는 커버를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에 구비되는 롤갭 표시유닛에 구비되는 고정지그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1)는 면(麵)을 제조하기 위해 반죽한 면재료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이동롤러(2)와 고정롤러(2a)가 한 쌍을 이루어 롤갭(roll gap)(G)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동롤러(2)와 고정롤러(2a)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표면에는 세라믹과 테프론 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코팅재가 코팅되는 코팅층(c)이 형성되어 반죽이 각 롤러에 점착되지 않고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면기(1)에는 상기 롤갭(G)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롤러(2)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롤갭 조절유닛(1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갭 조절유닛(110)은 좌우측 이동블록(112)이 상기 이동롤러(2)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좌우측 이동블록(112)은 스프링(112b)에 의해 복원력을 갖도록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좌우측 이동블록(112)에는 제1 경사면(1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경사면(112a)은 스프링(112b)이 설치되는 반대측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측 이동롤러(2)의 이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좌우측 조절블록(11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에는 상기 제1 경사면(112a)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114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112a)에 면 접촉되도록 설치됨에 의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이 이동되면 상기 제1,제2 경사면(112a,114a)에 의해 상기 좌우측 이동블록(112)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에는 나사축(116)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에 나사축(116)이 나사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나사축(116)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나선 방향이 좌우측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1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이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사축(11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118)이 나사축(116)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핸들(118)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116)이 제자리 회전되도록 상기 나사축(116)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119)는 상기 나사축(116)이 삽입되도록 지지봉(119a)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119a)을 지지할 수 있는 고정봉이 상기 지지봉(119a)에 인접하도록 소정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봉과 지지봉(119a)은 지지구(119c)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롤갭 조절유닛(110)은 상기 핸들(118)에 의해 나사축(116)을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부(119)에 의해 상기 나사축(116)은 제자리 회전된다. 즉, 상기 핸들(118)에 의해 나사축(116)이 회전될 때 지지봉(119a)은 지지구(119c)에 의해 고정봉에 고정된 상태임으로 상기 나사축(116)만이 제자리 회전된다.
또한, 상기 나사축(116)이 제자리 회전되면, 상기 나사축(116)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좌우측 조절블록(114)이 소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된다. 즉,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레일에 의해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나사축(116)이 회전될 때 좌우측 조절블록(114)은 회전되지 않고 나사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이동되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이 이동되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과 상기 제1,제2 경사면(112a,114a)에 의해 맞물리게 설치된 좌우측 이동블록(112)이 제1,제2 경사면(112a,114a)에 의해 좌우측 조절블록(114)의 이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동롤러(2)를 이동시켜 상기 롤갭(G)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이동롤러(2)의 이동을 위해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롤갭 조절유닛(110)에 의해 이동롤러(2)와 고정롤러(2a)의 간격, 즉 롤갭(G)을 조절할 수 있어 면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면기(1)에는 상기 롤갭 조절유닛(110)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롤러(2)의 이동 거리를 표시하여 롤갭(G)을 확인할 수 있도록 롤갭 표시유닛(12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롤갭 표시유닛(120)은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 중 어느 하나에 표시구(122)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의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구(122)의 의한 이동 거리에 따라 롤갭(G)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구(122)에 인접하는 고정 구조물에는 눈금자(124)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의 이동 거리만큼 상기 좌우측 이동블록(112)이 이동되면서 롤갭(G)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의 이동거리는, 곧 상기 이동롤러(2)의 이동거리가 되기 때문에 롤갭(G)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눈금자(124)에 의해 상기 표시구(122)의 이동거리를 확인하게 되면 롤갭(G)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고, 롤갭의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롤갭 표시유닛(120)에는 상기 롤갭 조절유닛(110)을 감싸도록 커버(12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버(126)에는 롤갭 표시유닛(120)이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눈금자(124)와 표시구(122)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표시구멍(12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시구멍(126a)은 표시구(122)가 이동될 수 있도록 표시구(122)의 이동 거리보다는 긴 길이를 갖는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갭 표시유닛(120)에는 상기 표시구(122)를 셋팅할 수 있도록 고정지그(12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지그(128)에는 볼트에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결합홈(128a)이 형성되어, 상기 롤갭 표시유닛(120)에 의해 눈금자(124)로 두께를 정한 후, 상기 고정지그(128)를 결합해 주면 다시금 두께를 눈금자로 맞출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핸들(118)을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축(116)에 의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이 이동되면서, 좌우측 조절블록(114)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표시구(122)가 함게 이동되면서 롤갭(G)을 표시하게 됨으로 일정한 면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고 제면되는 면의 두께를 앞쪽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 - 제면기 2 - 이동롤러
2a - 고정롤러 110 - 롤갭 조절유닛
112 - 이동블록 114 - 고정블록
116 - 나사축 118 - 핸들
119 - 지지부 120 - 롤갭 표시유닛
122 - 표시구 124 - 눈금자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면(麵)을 제조하기 위해 반죽한 면재료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이동롤러(2)와 고정롤러(2a)가 한 쌍을 이루도록 하여 롤갭(roll gap)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롤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롤러(2)의 양단이 결합되도록 하고, 스프링(112b)에 의한 복원력을 갖도록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12b)의 반대측 면에는 제1 경사면(112a)이 형성되도록 하는 좌우측 이동블록(112)과,
    상기 좌우측 이동블록(112)의 이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면(112a)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114a)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경사면(112a)에 면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2 경사면(112a, 114a)에 의해 상기 좌우측 이동블록(11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우측 조절블록(114)과,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에 나사 결합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나선 방향이 좌우측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나사축(116)과,
    상기 나사축(11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핸들(118)과,
    상기 핸들(118)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116)이 제자리 회전되도록 상기 나사축(116)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부(119)로서 구비되는 롤갭 조절유닛(11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 중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조절블록(114)과 함께 이동하는 표시구(122)와,
    상기 표시구(122)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갭(G)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구(122)에 인접하는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눈금자(124)와,
    상기 롤갭 조절유닛(11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126)와,
    상기 커버(126)에서 상기 눈금자(124)와 표시구(122)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상기 표시구(122)의 이동 거리보다는 긴 길이로 표시구멍(126a)을 형성하는 롤갭 표시유닛(120)이 구비되고,
    상기 롤갭 표시유닛(120)에는:
    상기 표시구(122)를 셋팅할 수 있도록 고정지그(12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
  4. 삭제
KR2020170005323U 2017-10-13 2017-10-13 제면기 KR200487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23U KR200487111Y1 (ko) 2017-10-13 2017-10-13 제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23U KR200487111Y1 (ko) 2017-10-13 2017-10-13 제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111Y1 true KR200487111Y1 (ko) 2018-09-11

Family

ID=6358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323U KR200487111Y1 (ko) 2017-10-13 2017-10-13 제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4847A (zh) * 2019-04-09 2019-06-14 涡阳县优顺福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绿色营养猫耳酥食品的制作方法
KR20200099338A (ko) 2019-02-14 2020-08-24 박재식 제면기용 면발 절단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026U (ko) * 1999-02-06 1999-06-25 이길영 제면기의로울러간격가변장치고정구조
KR200220042Y1 (ko) 2000-11-07 2001-04-16 유병권 전동형 제면기의 반죽롤러 간격조절장치
KR200421376Y1 (ko) * 2006-04-17 2006-07-14 윤오석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KR100650015B1 (ko) * 2005-12-24 2006-11-27 강창남 도우 제조기
KR20130130262A (ko) 2012-05-18 2013-12-02 서준우 연속식 제면기의 롤갭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691098B1 (ko) * 2010-05-06 2016-12-29 곽쾌열 제면기의 압연롤러 간격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026U (ko) * 1999-02-06 1999-06-25 이길영 제면기의로울러간격가변장치고정구조
KR200220042Y1 (ko) 2000-11-07 2001-04-16 유병권 전동형 제면기의 반죽롤러 간격조절장치
KR100650015B1 (ko) * 2005-12-24 2006-11-27 강창남 도우 제조기
KR200421376Y1 (ko) * 2006-04-17 2006-07-14 윤오석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KR101691098B1 (ko) * 2010-05-06 2016-12-29 곽쾌열 제면기의 압연롤러 간격 조절장치
KR20130130262A (ko) 2012-05-18 2013-12-02 서준우 연속식 제면기의 롤갭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338A (ko) 2019-02-14 2020-08-24 박재식 제면기용 면발 절단장치
CN109874847A (zh) * 2019-04-09 2019-06-14 涡阳县优顺福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绿色营养猫耳酥食品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3431B (zh) 涂胶装置及具有涂胶装置的制盒机
KR200487111Y1 (ko) 제면기
JPH03210142A (ja) 生地延展方法および装置
CN207305907U (zh) 全自动一体面条机中的二次压面机构
CN109717221A (zh) 一种制作面条用压面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50150267A1 (en) Apparatus for forming a flat-rolled continuously conveyed dough sheet
KR101691098B1 (ko) 제면기의 압연롤러 간격 조절장치
JP2015527053A (ja) 引き渡し構造体の調整可能なたわみ曲線を有する引き渡し装置
EP2708130B1 (en) Apparatus for extruding dough
RU177807U1 (ru) Станок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овой оболочки с начинкой, включающий в качестве тестораскаточного узла мультироллер
KR20160009034A (ko)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롤러 배열체
US2814260A (en) Pie making machine
EA2019919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ач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FI127162B (en) Cutter for cutting elongated foods
KR200421376Y1 (ko)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RU2552075C1 (ru) Способ раскатки теста
KR101354723B1 (ko) 연속식 제면기의 롤갭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04345B1 (ko) 라면 제조장치
EP1520475A1 (en) Device for laminating a sheet of dough
JP2012165706A (ja) 生地圧延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ITVR20010057A1 (it) Linea di trattamento di prodotti alimentari arrotolati particolarmente per l'ottenimento di croissant
CN207531789U (zh) 一种用于形成均匀薄片的浆料下料机
US328044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expanded metal products
WO2012108556A1 (ko) 라면 제조장치
TWM548445U (zh) 食品成型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