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376Y1 -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376Y1
KR200421376Y1 KR2020060010153U KR20060010153U KR200421376Y1 KR 200421376 Y1 KR200421376 Y1 KR 200421376Y1 KR 2020060010153 U KR2020060010153 U KR 2020060010153U KR 20060010153 U KR20060010153 U KR 20060010153U KR 200421376 Y1 KR200421376 Y1 KR 200421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roller
control
rollers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오석
Original Assignee
윤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오석 filed Critical 윤오석
Priority to KR2020060010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3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면기의 면 두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거쳐 소정의 두께로 가공 · 배출되는 면의 두께를 감지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을 자동제어함에 따라 면의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특히 후가공을 통하여 세절된 면을 포장함에 있어 포장 중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구동모터(11)에 의해 맞접하여 회전하는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로 구성된 구동부(10)와, 상기 가변롤러(13)의 양단을 상 · 하로 승강시키도록 조절핸들(21)과 제어모터(22)로 구성된 조절부(20)와, 상기 구동부(10)를 통해 압착된 평면 형태의 반죽(50)의 두께를 측정하여 제어하는 측정 및 제어부(30)와, 일정한 두께로 배출되는 평면형태의 반죽(50)을 단위 면의 형태로 절단하는 후가공 공정으로 구성되어, 면의 두께가 항시 일정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거쳐 소정의 두께로 가공 · 배출되는 면의 두께를 가이드롤러와 검출롤러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을 자동제어함으로써 면의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가공을 통하여 세절된 단위규격의 면을 포장함에 있어서 포장 중량이 미달되거나 초과하는 제품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제면기, 면두께, 자동제어, 제어모터, 가변롤러, 라면, 국수

Description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Noodle thickness control unit for noodle-mak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이드 플레이트 10: 구동부
11: 구동모터 12: 구동롤러
13: 가변롤러 20: 조절부
21: 조절핸들 22: 제어모터
23: 제어봉 30: 측정 및 제어부
31: 검출롤러 32: 가이드롤러
33: 검출부재 40: 절단부
41: 세절롤러 42: 구획패널
50: 반죽
본 고안은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거쳐 소정의 두께로 가공 · 배출되는 면의 두께를 감지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을 자동제어함에 따라 면의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특히 후가공을 통하여 세절된 면을 포장함에 있어 포장 중량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면기는 밀가루 등과 같은 반죽가루를 물과 일정한 비율로 반죽하고, 이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가압 및 세절히는 장치로서, 국수, 라면 등의 제조공장에서 대량생산을 위하여 각각의 공정(예컨대, 반죽, 가압, 세절 등)을 수행하는 반죽기, 압연기, 세절기 등이 연설되어 가공라인이 구축된다.
여기서, 압연기를 통하여 판 형태로 가압되는 반죽물은 설정된 두께를 가지도록 다수로 연설되는 가압기를 수차례 통과하여 균일한 두께로 가공되는바, 이 과정에서 면의 두께가 설정된 수치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원하는 면두께로 가공된다.
즉, 작업자가 다수로 연설된 압연기를 거쳐 마지막 압연기를 통과하는 면의 두께를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여 검사한 다음, 검사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된 수치와의 오차만큼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바, 이때 롤러는 양단이 동체 상에 고정된 상태로 구동되는 고정롤러와, 고정롤러와 대향하면서 양단이 가이드레일을 타고 슬라이드 이송되는 가변롤러가 설치되고, 여기서 가변롤러는 조절핸들과 기어 트레인에 의해 연통되는 이송크루를 통하여 양단이 독립구동되어 작업자가 수시로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면의 두께를 측정함과 동시에 측정수치를 바탕으로 조절핸들을 조작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다시 면두께를 재측정하는 두께보정작업을 수회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운 단점으로 인해 두께 보정시간이 지연되고, 이는 면의 불량 폭을 연장시켜 면두께를 균일화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측정한 면두께의 값을 바탕으로 롤러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한다 하더라도 면이 미건조된 상태 즉, 수분이 내포된 상태이므로 작업장의 실례온도 및 습도 등과 같은 주변환경에 따라 수분 증발량의 차이로 인해 면의 두께 편차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주변환경에 의한 면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만한 장치가 아직까지 제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서로 대향하 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거쳐 소정의 두께로 가공 · 배출되는 면의 두께를 가이드롤러와 검출롤러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을 자동제어함으로써 면의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후가공을 통하여 세절된 단위규격의 면을 포장함에 있어서 포장 중량이 미달되거나 초과하는 제품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거쳐 소정의 두께로 가공 · 배출되는 면의 두께를 감지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을 자동제어함에 따라 면의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특히 후가공을 통하여 세절된 면을 포장함에 있어 포장 중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구동모터(11)에 의해 맞접하여 회전하는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로 구성된 구동부(10)와, 상기 가변롤러(13)의 양단을 상 · 하로 승강시키도록 조절핸들(21)과 제어모터(22)로 구성된 조절부(20)와, 상기 구동부(10)를 통해 압착된 평면 형태의 반죽(50)의 두께를 측정하 여 제어하는 측정 및 제어부(30)와, 일정한 두께로 배출되는 평면형태의 반죽(50)을 단위 면의 형태로 절단하는 후가공 공정으로 구성되어, 면의 두께가 항시 일정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입설된 가이드 플레이트(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 상부에는 조절핸들(21)과 제어모터(22)가 구비되어 상기 가변롤러(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 플레이트(1)의 양측면으로는 압착된 반죽(50)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검출롤러(31)와 검출부재(33)가 구비되어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1)의 후측으로는 세절롤러(41)와 구획패널(42)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우선, 구동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측 가이드 플레이트(1)의 측면에 설치된 구동모터(11)와 연결된 구동롤러(12)는 가이드 플레이트(1)를 가로질러 결합된 구성을 갖는바, 구동모터(11)의 회전력에 의해 자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11)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가변롤러(13)는 후술하는 조절부(2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가변롤러(13)는 구동롤러(12)와 평행을 이루어 대향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가변롤러(13)와 구동롤러(12)의 사이를 지나는 평면 형태의 반죽(50)을 균일한 두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변롤러(13)와 구동롤러(12)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되, 그 표면에는 세라믹과 테프론 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코팅재가 형성되어 있어서 반죽(50)이 각 롤러(12, 13)에 점착되지 않고 압착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가변롤러(13)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조절부(20)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이드 플레이트(1)의 상단에 설치되되, 일측 가이드 플레이트(1) 상단으로는 조절핸들(21)이 설치되고, 타측 가이드 플레이트(1) 상단으로는 제어모터(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핸들(21)과 제어모터(22)는 한 쌍씩 구비되어 상기 가변롤러(13)의 양측단을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조절핸들(21)과 제어모터(22)는 각각의 제어봉(23)으로 연결되어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제어봉(23)과 연결된 가변롤러(13)는 조절핸들(21)을 돌리거나 제어모터(22)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 혹은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평면형태의 반죽(50)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두께의 불균형이 있을 시, 상기 조절부(20)의 제어모터(22)를 작동시키는 측정 및 제어부(40)는 검 출롤러(31)와 가이드롤러(32) 및 검출부재(33)로 구성되는바, 상기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에 의해 압착된 평면형태의 반죽(50)의 양측부를 검출롤러(31)와 가이드롤러(32)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두께를 측정하도록 하며, 측정된 두께가 기준치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검출롤러(31)와 가이드롤러(32)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가이드롤러(32)는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검출롤러(31)가 두께만큼 이동하게 되며, 그 이동된 거리를 검출부재(33)가 감지하여 이를 가변롤러(13)에 신호를 보내줌으로써 검출된 두께만큼 가변롤러(13)가 반죽(50)을 더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검출부재(33)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할 수 있는바, 검출롤러(31)가 이동된 거리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어떠한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리니어 게이지 또는 포토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미세하게 변화하는 검출롤러(31)의 변화도 정확하게 검출하여 가변롤러(13)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구동부(10)와 측정 및 제어부(30)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배출되는 평면형태의 반죽(50)을 단위 면의 형태로 절단하는 절단부(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의 배면측으로는 평면형태의 반죽(50)을 동일한 폭을 갖도록 소폭으로 세절하는 세절롤러(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세절된 면은 구획패널(42)을 통해 동일한 가닥수로 나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양측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를 설치하고, 그에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를 설치하되, 구동모터(11)와 연결 · 설치하며, 가이드 플레이트(1)의 일측 상단으로는 조절핸들(21)을 설치하고, 타측 상단으로는 제어모터(22)를 설치하되, 제어봉(23)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가이드 플레이트(1)의 하측으로 가이드롤러(32)를 설치하고, 그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검출롤러(31)를 설치하며, 검출롤러(32)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검출부재(33)를 가이드 플레이트(1)에 설치한 후, 가이드 플레이트(1)의 배면측에 세절롤러(41)와 구획패널(42)을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의 조립 및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 조립 설치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선행공정에서 일정두께를 가진 압착된 평면형태의 반죽(50)이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 사이로 공급되면, 구동모터(11)에 의해 더욱 얇은 평면형태로 가압되며,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 사이를 통과한 반죽(50)은 가이드롤러(32)와 검출롤러(31) 사이를 통과하면서 그 두께가 측정되도록 한다.
이때, 기준치보다 그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검출롤러(31)와 가이드롤러(32)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바, 검출롤러(31)가 움직인 거리를 검출부재(33)가 측정하여 이를 제어모터(22)로 신호를 주게 되면, 제어모터(22)가 그 신호를 받아 들여 두껍게 측정된 가변롤러(13)측을 하강시켜 얇게 제작되도록 하며, 실시간으로 검출부재(33)가 보내주는 신호에 따라 가변롤러(13)가 작동함으로써 항시 정확한 두께로 제어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그 후, 세절롤러(41)를 통해 면의 형태로 세절되며, 구획패널(42)을 통해 동일한 중량으로 나뉘어 후가공 공정으로 이송됨으로써 본 고안의 작동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두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모터(22) 등의 고장이나 기타 여러 가지 변수로 인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바, 가이드 플레이트(1) 상단에 형성된 조절핸들(21)을 돌림으로써 가변롤러(13)가 상승 혹은 하강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를 거쳐 소정의 두께로 가공 · 배출되는 면의 두께를 가이드롤러와 검출롤러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을 자동제어함으로써 면의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가공을 통하여 세절된 단위규격의 면을 포장함에 있어서 포장 중량이 미달되거나 초과하는 제품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에 있어서,
    대응되는 형태로 입설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구동모터(11)에 의해 맞접하여 회전하는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로 구성된 구동부(1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변롤러(13)의 양단을 상 · 하로 승강시키도록 조절핸들(21)과 제어모터(22) 및 제어봉(23)으로 구성된 조절부(2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의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10)를 통해 압착된 평면 형태의 반죽(50)의 두께를 측정하여 제어하는 검출롤러(31)와 가이드 롤러(32) 및 검출부재(33)로 구성된 측정 및 제어부(30)로 구성되어, 면의 두께가 항시 일정한 상태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롤러(12)와 가변롤러(13)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되, 그 표면에는 세라믹과 테프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코팅재가 코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검출부재(33)는 리니어 게이지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KR2020060010153U 2006-04-17 2006-04-17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KR200421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53U KR200421376Y1 (ko) 2006-04-17 2006-04-17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53U KR200421376Y1 (ko) 2006-04-17 2006-04-17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376Y1 true KR200421376Y1 (ko) 2006-07-14

Family

ID=4177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153U KR200421376Y1 (ko) 2006-04-17 2006-04-17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37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33B1 (ko) 2011-09-19 2013-09-13 주식회사 신양에코스타 도판 장치
KR101354723B1 (ko) * 2012-05-18 2014-01-24 서준우 연속식 제면기의 롤갭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87111Y1 (ko) * 2017-10-13 2018-09-11 김주원 제면기
KR20190000886U (ko) * 2017-09-29 2019-04-08 농업회사법인 무진푸드주식회사 면 가닥 성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33B1 (ko) 2011-09-19 2013-09-13 주식회사 신양에코스타 도판 장치
KR101354723B1 (ko) * 2012-05-18 2014-01-24 서준우 연속식 제면기의 롤갭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90000886U (ko) * 2017-09-29 2019-04-08 농업회사법인 무진푸드주식회사 면 가닥 성형장치
KR200489617Y1 (ko) * 2017-09-29 2019-07-12 농업회사법인 홍성풀무 주식회사 면 가닥 성형장치
KR200487111Y1 (ko) * 2017-10-13 2018-09-11 김주원 제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283B1 (ko) 반죽물의 제조중 그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
RU22251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пищевого тест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пищевого теста (варианты)
EP3168038B1 (en) Gluing device and carton-forming machine having same
US5470599A (en) Method of controlling masa sheet thickness produced by tortilla sheeter
KR200421376Y1 (ko) 제면기의 면두께 제어장치
RU22010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пищевого теста (варианты)
JP6163215B2 (ja) タブレットプレスの測定装置の較正及びバランシング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10008506A1 (en) Food Dough Cutting Method and Cutting Apparatus
MX2007001979A (es) Metodo para laminado y procesamiento de masa.
CN101677581B (zh) 坯料计量输送机及坯料计量切断装置
EP029622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chining doughy material
JP5994220B2 (ja) 電極シートの検査装置
CN202269329U (zh) 一种辊印机压力平衡自动调节装置
JP2018093746A (ja) 巻寿司連続製造装置
KR200487111Y1 (ko) 제면기
JPH0926315A (ja) バ−材の真直度修正装置及びその修正方法
KR101096015B1 (ko) 단위길이당 중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중기
CN111157043B (zh) 气凝胶毡检测系统以及检测方法
JPS6246142B2 (ko)
US7340997B2 (en) Press comprising a correction of a press band course
US20060278094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tly producing a pastry strand
CN220289306U (zh) 一种饰面纸的实时检测装置
KR100661250B1 (ko) 면류 생산 시스템 및 이의 중량 자동 조절장치
CN211906013U (zh) 一种粘结片单重的在线控制系统
WO1996032634A1 (fr) Capteur d'humidite pour produits en bois et dispositif automatique de mesure de la teneur en humid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