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894B1 - 국수제조기 - Google Patents

국수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894B1
KR100901894B1 KR1020070095672A KR20070095672A KR100901894B1 KR 100901894 B1 KR100901894 B1 KR 100901894B1 KR 1020070095672 A KR1020070095672 A KR 1020070095672A KR 20070095672 A KR20070095672 A KR 20070095672A KR 100901894 B1 KR100901894 B1 KR 10090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ugh
noodle
fin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399A (ko
Inventor
박시두
한승훈
김대환
Original Assignee
박시두
한승훈
김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두, 한승훈, 김대환 filed Critical 박시두
Priority to KR102007009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8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호퍼내로 투입된 반죽물을 상하로 일렬되게 설치된 다수의 가압롤러를 통과하면서 한 번에 소정의 두께로 배출되어 절단하게 되므로 작업의 편리성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형상을 갖는 몸통(2)과; 상기 몸통(2) 상부에 반죽물이 투입되어지게 되는 투입호퍼(3)와; 상기 몸통(2) 내부 상단에 투입호퍼(3)로 투입된 반죽물을 가압하게 되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진 한 쌍의 제 1 가압롤러(4)와; 상기 제 1 가압롤러(4) 하부에 제 1 가압롤러(4)로부터 가압된 반죽물을 다시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제 2 가압롤러(5); 및 상기 제 2 가압롤러(5) 하부에 설치되어진 한 쌍의 제 3 가압롤러(6)와; 상기 제 3 가압롤러(6) 하부에 연계되어 각각의 가압롤러(4,5,6)를 통해 가압된 반죽물을 최종적인 국수로 제조되어지도록 얇게 가압하여 펴주게 되며, 구동벨트(12)로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지게 되는 최종롤러(7)와; 상기 최종롤러(7) 하부에 설치되어 최종롤러(7)에 의해 가압되어 제조된 국수나 라면 등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게 되는 절단롤러(8); 상기 몸통(2) 정면 하부에 형성되어 절단롤러(8)에 의해 절단된 국수가 배출되어지게 국수배출구(21);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국수제조기, 제 1,2,3 가압롤러, 최종롤러, 절단롤러, 폭 조절수단

Description

국수제조기{Noodles mak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제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내부 구성중 반죽물을 가압하고 절단하기 위한 롤러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평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제 1 가압롤러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제 2 가압롤러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제 3 가압롤러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국수제조기 2 : 몸통
3 : 투입호퍼 4 : 제 1 가압롤러
5 : 제 2 가압롤러 6 : 제 3 가압롤러
7 : 최종롤러 8 : 절단롤러
9 : 폭 조절수단 10 : 연결기어
11 : 구동모터 12 : 구동벨트
21 : 국수배출구 91 : 폭 조절손잡이
92 : 조절바 93 : 조절 슬라이더
본 발명은 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호퍼내로 투입된 반죽물을 상하로 일렬되게 설치된 다수의 가압롤러를 통과하면서 한 번에 소정의 두께로 배출되어 절단하게 되므로 작업의 편리성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수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국수제조기는 밀가루 등과 같은 반죽가루를 물과 일정한 비율로 반죽하고, 이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가압 및 세절하는 장치로서, 국수, 라면 등의 제조공장에서 대량생산을 위하여 각각의 공정(예컨대, 반죽, 가압, 세절 등)을 수행하는 반죽기, 압연기, 세절기 등이 연설되어 가공라인이 구축된다.
여기서 압연기를 통하여 판 형태로 가입되는 반죽물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여러 개로 나누어 설치된 가압기를 수차례 통과하면서 소정의 두께로 균일하게 가공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반죽물을 얇은 두께로 가공하여 국수나 라면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적은 량의 반죽으로 얇게 펴서 가압기에 투입하여 가압할 때에는 한 대의 가압기로 충분하지만 많은 양의 반죽을 사용할 때에는 한 대의 가압 기로 한 번에 소정의 얇은 두께로 가공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많은 양의 반죽을 사용하여 한 번에 대량의 국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죽의 두께별로 가압롤러가 구비되어진 여러 대의 가압기를 설치하여 반죽의 두께를 점차적으로 작게 하는 각각의 가압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반죽을 소정의 두께로 가공하게 되므로 여러 대의 가압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지는 문제와 함께 그에 따라 국수의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구매효율을 떨어트리게 되며, 또한 여러 대의 가압기를 각각 거치게 됨에 따라 여러 번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 번의 작업으로 반죽물을 소정의 두께로 가공하여 국수나 라면 등을 제조하게 되므로 한 사람의 작업인원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국수를 손쉽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국수제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통 상부에 반죽물이 투입되어지게 투입호퍼를 형성하고, 투입호퍼로부터 투입된 반죽물의 두께를 점차적으로 작게 할 수 있도록 몸통 내부에 상하로 한 쌍씩의 가압롤러가 다수개 설치되어지되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의 간격이 최상단의 가압롤러로부터 최하단의 가압롤러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제조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제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내부 구성중 반죽물을 가압하고 절단하기 위한 롤러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평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 내지 도 8은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의 제 1,2,3 가압롤러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밀가루 등과 같은 반죽가루를 물과 일정한 비율로 반죽한 반죽물로 국수나 라면 등을 제조하게 되는 국수제조기(1)에 있어서,
일정 형상을 갖는 몸통(2)과;
상기 몸통(2) 상부에 반죽물이 투입되어지게 되는 투입호퍼(3)와;
상기 몸통(2) 내부 상단에 투입호퍼(3)로 투입된 반죽물을 가압하게 되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진 한 쌍의 제 1 가압롤러(4)와;
상기 제 1 가압롤러(4) 하부에 제 1 가압롤러(4)로부터 가압된 반죽물을 다시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제 2 가압롤러(5); 및 상기 제 2 가압롤러(5) 하부에 설치되어진 한 쌍의 제 3 가압롤러(6)와;
상기 제 3 가압롤러(6) 하부에 연계되어 각각의 가압롤러(4,5,6)를 통해 가압된 반죽물을 최종적인 국수로 제조되어지도록 얇게 가압하여 펴는 최종롤러(7)와;
상기 최종롤러(7) 하부에 설치되어 최종롤러(7)에 의해 가압되어 제조된 국수나 라면 등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게 되는 절단롤러(8);
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몸통(2) 정면 하부에는 절단롤러(8)에 의해 절단된 국수가 배출되어지게 국수배출구(21)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제 1,2,3 가압롤러(4,5,6)는 각각 연결기어(10)로 서로 연계되어 각각의 롤러(4,5,6)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최종롤러(7)에는 구동벨트(12)로 구동모터(11)가 연결되어 구동모터(11)의 구동에 따라 최종롤러(7)가 회전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가압롤러(4)에는 양쪽 각각의 롤러(4) 폭을 조절하게 되는 폭 조절수단(9)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폭 조절수단(9)은 양쪽의 롤러(4) 폭을 조절할 있도록 폭 조절손잡이(9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폭 조절손잡이(91)에 연결되어진 조절바(9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조절바(92)에 조절 슬라이더(93)가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국수 면발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진 반죽물을 몸통(2) 상부의 투입호퍼(3)에 투입하고, 이와 함께 국수제조기(1)를 가동시키게 되면 투입호퍼(3)로 투입되어진 반죽물이 제 1 가압롤러(4)에 의해 1차적으로 압착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제 1 가압롤러(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주게 되는데, 폭 조절손잡이(91)를 잡고 돌리게 되면 폭 조절손잡이(91)의 회전 방향으로 조절바(92)가 조절 슬라이더(93)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각 제 1 가압롤러(4)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투입호퍼(3)를 통해 투입되는 반죽물의 양이나 반죽 상태 등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 1 가압롤러(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주게 됨으로 제 1 가압롤러(4)에 부하가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구동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롤러(4)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진 반죽물은 제 1 가압롤러(4)의 구동에 따라 하방향으로 밀려 내려오면서 제 2 가압롤러(5)에 의해 1차 가압되는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2차적으로 압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롤러(5)를 통과한 반죽물은 제 3 가압롤러(6)로 내려오면서 제 3 가압롤러(6)에 의해 2차 압착되는 두께보다 얇게 3차 압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 3 가압롤러(6)로 압착되어진 반죽물은 최종롤러(7)를 통과하면서 최종적으로 최소의 두께로 압착되어지게 되며, 상기의 최종롤러(7)로 압착되어진 반죽물은 절단롤러(8)로 내려오면서 절단롤러(8)에 의해 국수 면발로 절단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절단롤러(8)로 절단된 국수는 국수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기(1)는 국수를 만들기 위해 반죽된 반죽물을 제 1,2,3 가압롤러(4,5,6)와 최종롤러(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한 번의 공 정으로 점점 얇은 두께로 압착한 다음 절단롤러(8)로 절단하여 최종적인 국수 면발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몸통내에 설치된 제 1,2,3 가압롤러와 최종롤러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국수를 제조하기 위해 반죽된 반죽물을 각각의 가압롤러를 통과하면서 점점 얇게 압착시키고 최종롤러에서 최종적인 국수 면발 얇은 굵기로 압착하고 절단롤러로 절단하게 됨으로 한 대의 국수제조기를 사용하여 한 라인에서 한번의 공정으로 국수 제조가 완료되어지게 되어 작업의 간단화로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국수제조기의 구입비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일정 형상을 갖는 몸통과; 상기 몸통 상부에 반죽물이 투입되어지게 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몸통 내부 상단에 투입호퍼로 투입된 반죽물을 가압하게 되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진 한 쌍의 제 1 가압롤러와; 상기 제 1 가압롤러 하부에 제 1 가압롤러로부터 가압된 반죽물을 다시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제 2 가압롤러; 및 상기 제 2 가압롤러 하부에 설치되어진 한 쌍의 제 3 가압롤러와; 상기 제 3 가압롤러 하부에 연계되어 각각의 가압롤러를 통해 가압된 반죽물을 최종적인 국수로 제조되어지도록 얇게 가압하여 펴주게 되며, 구동벨트로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지게 되는 최종롤러와; 상기 최종롤러 하부에 설치되어 최종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제조된 국수나 라면 등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게 되는 절단롤러; 상기 몸통 정면 하부에 형성되어 절단롤러에 의해 절단된 국수가 배출되어지게 국수배출구;로 구성되어 밀가루 등과 같은 반죽가루를 물과 일정한 비율로 반죽한 반죽물로 국수나 라면을 제조하게 되는 국수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롤러는 양쪽 각각의 롤러 폭을 조절하게 되는 폭 조절수단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폭 조절수단은 양쪽의 롤러 폭을 조절할 있도록 폭 조절 손잡이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폭 조절 손잡이에 연결되어진 조절바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조절바에 조절 슬라이더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수제조기.
KR1020070095672A 2007-09-20 2007-09-20 국수제조기 KR100901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72A KR100901894B1 (ko) 2007-09-20 2007-09-20 국수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72A KR100901894B1 (ko) 2007-09-20 2007-09-20 국수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399A KR20090030399A (ko) 2009-03-25
KR100901894B1 true KR100901894B1 (ko) 2009-06-10

Family

ID=4069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672A KR100901894B1 (ko) 2007-09-20 2007-09-20 국수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0459B (zh) * 2013-04-07 2014-10-15 金华职业技术学院 电动刀削面机
KR200474905Y1 (ko) * 2014-01-06 2014-10-22 진광인 국수 제조기
CN103988861B (zh) * 2014-05-07 2017-03-08 瑞迪恩达(北京)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擀切一次成型制面机构及面条制煮一体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582A (ko) * 2002-08-07 2004-02-14 이송환 자동 제면기
KR20080051566A (ko) * 2006-12-06 2008-06-11 이성현 제면부와 증숙부를 구비한 즉석 자동 라면면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582A (ko) * 2002-08-07 2004-02-14 이송환 자동 제면기
KR20080051566A (ko) * 2006-12-06 2008-06-11 이성현 제면부와 증숙부를 구비한 즉석 자동 라면면발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399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894B1 (ko) 국수제조기
CN101248805B (zh) 自动擀面皮机及由自动擀面皮机制作擀面皮的方法
CN108812746A (zh) 一种自动化面条机
JP3189262U (ja) 開口焼き餃子専用自動成型機
KR20120095041A (ko) 진공반죽 제면기
CN106689246A (zh) 一种将三角酥皮面带卷成有馅或无馅锥形牛角面包的装置及方法
CN212087813U (zh) 片絮复合压面机
CN203762156U (zh) 一种猫耳朵饼捲条成型机组
DE4424461B4 (de) Vorrichtung zum Extrudieren von essbarem Teig
CN208925073U (zh) 一种破坯式压面机
CN104542783B (zh) 挤压式馒头成形机
JP3165889U (ja) 筋状食品加工機
KR102395327B1 (ko)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US20220202024A1 (en) Wrap off-cuts returning mechanism in gyoza forming machine
KR20110080068A (ko) 만두피 제조장치
CN109864089A (zh) 一种面条加工装置
CN210470840U (zh) 一种夹芯面条的制造设备及夹芯面条
JP3153852U (ja) 製麺機
KR100428871B1 (ko) 밀가루 반죽물 압연장치
CN112450238A (zh) 片絮复合压面机
CN207151755U (zh) 一种馒头生产卷条装置
RU78037U1 (ru) Питатель для пельменного автомата
WO2015198292A1 (en) Forming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pasta of elongated type and related method
US20150024079A1 (en) Dough-skin folding device
KR100978802B1 (ko)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