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327B1 -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327B1
KR102395327B1 KR1020200067356A KR20200067356A KR102395327B1 KR 102395327 B1 KR102395327 B1 KR 102395327B1 KR 1020200067356 A KR1020200067356 A KR 1020200067356A KR 20200067356 A KR20200067356 A KR 20200067356A KR 102395327 B1 KR102395327 B1 KR 10239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ri
processing means
rice cake
cake dough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235A (ko
Inventor
홍진희
Original Assignee
홍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희 filed Critical 홍진희
Priority to KR102020006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3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반죽를 이용하여 사리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1) 상에 지지대(12)와 가압기(15)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서 원료통(14)의 하측에 반죽통(21)을 구비하고, 성형다이(23)를 통하여 사리 중간품을 생성하는 전처리수단(20); 상기 전처리수단(20)의 하측에 급수통(31)과 회전커터(35)를 구비하고, 사리 중간품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후처리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전처리수단(20), 후처리수단(30)에 연결되어 설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분이 많은 떡반죽으로 수제비, 우동, 국수 형태의 다양한 사리를 생성함에 수직 이송을 기반으로 작업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원하는 크기로 절단 가능하므로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Appratus for producing food law material using rice cake dough}
본 발명은 사리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분이 많은 떡반죽으로 수제비, 우동, 국수 형태의 다양한 사리를 생성하기 위한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국민간식으로 자리잡은 떡볶이나 수제비는 조리가 간편하여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관심을 이어가고 있다. 가정은 물론 캠핑에서도 즐기기 용이하도록 간편식으로 출시가 가능하여 수요가 꾸준하다. 근래에는 글로벌 한류 트렌드의 영향으로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수출량도 증가되고 있다. 사리도 획일적인 모양에서 탈피하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고, 이는 중소규모의 점포에 이르까지 활용이 가능한 장치의 개발을 통하여 실현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06055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5846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교체 가능한 노즐부를 통해 떡 성형물을 다양한 떡 모양(예; 가래떡, 인절미, 절편, 떡볶이떡 등)으로 선택적으로 배출함은 물론 그 배출되는 떡의 길이 측정을 통해 떡 종류에 맞는 길이로 자동 절단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사용상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떡 성형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되어 직경이 작은 우동이나 국수는 물록 수제비 형태로 성형하기 곤란하여 한계성을 보인다.
선행문헌2는 압착 롤러로부터 공급되는 반죽을 수용하는 수용 롤러; 수용 롤러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원통 형상의 표면에 일정 면적을 형성하면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모양 성형 무늬 날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성형 롤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일정한 두께의 수제비가 만들어져 조리가 용이하고 조리사의 노동력을 감소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크기가 정해지고 전분성 떡반죽의 경우 성형롤러에서 신속하게 분리되지 않아 생산성을 높이기에 한계성을 보인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06055호 "떡 성형기" (공개일자 : 2015.07.07.)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5846호 "수제비 모양의 성형장치" (공개일자 : 2012.02.2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분이 많은 떡반죽으로 수제비, 우동, 국수 형태의 다양한 사리를 생성함에 수직 이송을 기반으로 작업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원하는 크기로 절단 가능한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떡반죽를 이용하여 사리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에 지지대와 가압기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원료통의 하측에 반죽통을 구비하고, 성형다이를 통하여 사리 중간품을 생성하는 전처리수단; 상기 전처리수단의 하측에 급수통과 회전커터를 구비하고, 사리 중간품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후처리수단; 및 상기 본체, 전처리수단, 후처리수단에 연결되어 설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전처리수단은 반죽통의 성형다이 상에 복렬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다이의 노즐공은 내향되는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후처리수단은 대향하는 회전커터의 사이에 격벽판을 구비하고, 회전커터의 외단에 파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원료의 소진 상태를 검출하는 소진검출기, 가압기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압력검출기, 사리의 생성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분이 많은 떡반죽으로 수제비, 우동, 국수 형태의 다양한 사리를 생성함에 수직 이송을 기반으로 작업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원하는 크기로 절단 가능하므로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떡반죽를 이용하여 사리를 성형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전분이 많은 원료로 수제비, 우동, 국수 형태의 다양한 사리를 생성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는 떡반죽 이전의 상태를 의미하지만 광의적으로 떡반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프레임(11) 상에 지지대(12)와 가압기(1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본체(10)는 중소규모의 점포에 사용 가능하도록 프레임(11)을 이용하여 컴팩트하게 구성한다. 지지대(12)는 프레임(11) 상에 장착되고 후술하는 반죽통(21) 등을 지지한다. 도 1에서 원료통(14)의 상측으로 가압기(15)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가압기(15)는 전기식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력을 발생하며 원료를 하방향으로 가압ㆍ배출한다. 전분이 많은 떡반죽으로 사리를 형성하는 경우 원료의 하방향 배출(압출)이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한편, 본체(10)는 원료통(14)에 인접한 위치에 양념통(17)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양념통(17)의 액상 또는 분말상 양념은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원료통(14) 또는 후술하는 반죽통(21)으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처리수단(20)이 상기 본체(10)에서 원료통(14)의 하측에 반죽통(21)을 구비하고, 성형다이(23)를 통하여 사리 중간품을 생성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전처리수단(20)을 구성하는 반죽통(21)과 성형다이(23)가 나타낸다. 반죽통(21)은 떡반죽을 일시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하류단에 성형다이(23)를 구비한다. 성형장치가 소형 규격인 경우 원료통(14)을 제거하고 가압기(15)를 반죽통(21)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성형다이(23)는 떡반죽을 수제비, 우동, 국수 중에서 선택되는 형태의 사리로 생성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전처리수단(20)은 반죽통(21)의 성형다이(23) 상에 복렬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공(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반죽통(21)에 착탈 가능한 2가지 종류의 성형다이(23)를 나타낸다. 도 3(a)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우동이나 국수 사리용이고 도 3(b)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수제비 사리용이다. 어느 경우에나 성형다이(23)는 복렬이면서 경사진 배열의 노즐공(24)을 갖추고 있다. 이는 반죽통(21)의 한정된 공간에서 노즐공(24)의 수량을 증대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설계요소이다. 반죽통(21)은 본체(10)의 지지대(12)에 일측의 플랜지를 개재하여 착탈이 용이하다.
이때, 성형다이(23)의 노즐공(24)은 장변과 단변을 지닌 슬릿 형태를 이루게 한다. 전분이 많은 떡반죽으로 사리를 생성하는 경우 노즐공(24)은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축소되도록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성형다이(23)의 노즐공(24)은 내향되는 돌기부(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슬릿 형태의 노즐공(24)은 장변과 단변 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5)를 구비한다. 돌기부(25)는 대략 삼각형 형태로 내향하여 통과되는 떡반죽에 저항력을 작용한다. 다수의 돌기부(25)는 떡반죽에 대하여 양념의 고른 혼합을 유발한다. 노즐공(24)의 돌기부(25)는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양념통(17)을 성형다이(23)의 노즐공(24)의 돌기부(25)에 연결하여 양념을 연속적/단속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처리수단(30)이 상기 전처리수단(20)의 하측에 급수통(31)과 회전커터(35)를 구비하고, 사리 중간품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후처리수단(30)을 구성하는 급수통(31)과 회전커터(35)이 나타난다. 급수통(31)은 노즐공(24)으로 배출되는 사리 중간품을 냉각하는 동시에 회전커터(35)의 절단 시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급수통(31)의 물은 분사되거나 순환될 수 있다. 회전커터(35)는 다수의 커터를 이용하여 사리 중간품을 연속적으로 절단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후처리수단(30)은 대향하는 회전커터(35)의 사이에 격벽판(33)을 구비하고, 회전커터(35)의 외단에 파형부(3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후처리수단(30)의 회전커터(35)와 연계되는 격벽판(33)과 파형부(36)를 나타낸다. 성형다이(23)의 노즐공(24)이 복렬(2열)로 배치되는 구조상 회전커터(35)도 한 쌍으로 대향시키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복렬의 노즐공(24)의 중간에 설치되는 격벽판(33)을 중심으로 양측에 회전커터(35)를 배치한다. 한 쌍의 회전커터(35)는 각각의 모터 또는 하나의 모터로 구동된다. 수제비 사리를 생성하는 경우 회전커터(35)는 파형부(36)를 더 갖출 수도 있다. 파형부(36)는 사리 중간품을 파형으로 절단하여 수제비에 근접한 형태를 연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양측의 회전커터(35)를 다르게 구성하고 구동하여 2가지 형태의 수제비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즉, 격벽판(33)의 양측으로 배출되는 수제비는 전체 크기나 파형부의 형태에 있어 차등화된다.
이때, 급수통(31)에서 회전커터(35)의 하측에 이송기(3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송기(38)는 컨베이어 벨트를 상향으로 설치하여 구성되고, 급수통(3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사리를 배출한다.
한편, 본체(10)는 급수통(31)의 배출용 개구에 인접하여 수집통(18)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40)가 상기 본체(10), 전처리수단(20), 후처리수단(30)에 연결되어 설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구조이다. 제어기(40)는 본체(10)의 전면에 탑재되고 터치스크린을 갖춘 마이컴 회로로 구성한다. 제어기(40)의 마이컴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기(40)는 원료의 소진 상태를 검출하는 소진검출기(42), 가압기(15)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압력검출기(44), 사리의 생성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46)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40)의 입력인터페이스에 소진검출기(42), 압력검출기(44), 속도검출기(46) 등이 연결된다. 소진검출기(42)는 원료통(14) 및 반죽통(21)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원료의 소진 여부를 검출한다. 압력검출기(44)는 가압기(15)에 설치되어 원료를 압출하는 압력을 검출한다. 속도검출기(46)는 성형다이(23)나 회전커터(35)의 하측에 설치되어 원료(사리)의 배출 속도를 검출한다. 제어기(40)의 출력인터페이스에는 가압기(15), 회전커터(35), 이송기(38) 등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기(40)는 검출기의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동 제어가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통한 부분적 수동조작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프레임
12: 지지대 14: 원료통
15: 가압기 17: 양념통
18: 수집통 20: 전처리수단
21: 반죽통 23: 성형다이
24: 노즐공 25: 돌기부
30: 후처리수단 31: 급수통
33: 격벽판 35: 회전커터
36: 파형부 38: 이송기
40: 제어기 42: 소진검출기
44: 압력검출기 46: 속도검출기

Claims (5)

  1. 떡반죽를 이용하여 사리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1) 상에 지지대(12)와 가압기(15)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서 원료통(14)의 하측에 반죽통(21)을 구비하고, 성형다이(23)를 통하여 사리 중간품을 생성하는 전처리수단(20);
    상기 전처리수단(20)의 하측에 급수통(31)과 회전커터(35)를 구비하고, 사리 중간품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후처리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전처리수단(20), 후처리수단(30)에 연결되어 설정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되,
    상기 전처리수단(20)은 반죽통(21)의 성형다이(23) 상에 복렬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공(24)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다이(23)의 노즐공(24)은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축소되도록 만곡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후처리수단(30)은 대향하는 회전커터(35)의 사이에 격벽판(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다이(23)의 노즐공(24)은 내향되는 돌기부(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수단(30)은 회전커터(35)의 외단에 파형부(3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0)는 원료의 소진 상태를 검출하는 소진검출기(42), 가압기(15)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압력검출기(44), 사리의 생성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46)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KR1020200067356A 2020-06-03 2020-06-03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KR10239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356A KR102395327B1 (ko) 2020-06-03 2020-06-03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356A KR102395327B1 (ko) 2020-06-03 2020-06-03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235A KR20210150235A (ko) 2021-12-10
KR102395327B1 true KR102395327B1 (ko) 2022-05-04

Family

ID=7886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356A KR102395327B1 (ko) 2020-06-03 2020-06-03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331B1 (ko) 2022-10-20 2023-02-28 주식회사 프로닉스 반죽 성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464A (ko) * 2007-01-12 2008-07-16 강두석 떡 절단장치
KR20090048247A (ko) * 2007-11-09 2009-05-13 강두석 떡 성형장치
KR101140915B1 (ko) * 2009-04-24 2012-05-03 박준호 수제비 제조기
KR20120015846A (ko) 2010-08-13 2012-02-22 장명복 수제비 모양의 성형장치
KR20130009450A (ko) * 2011-07-15 2013-01-23 이승필 어묵의 탄력향상을 위한 어묵반죽 배출장치
KR101706055B1 (ko) 2013-12-27 2017-02-14 서홍원 떡 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235A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795B1 (ko) 연속 압출 방식의 반죽시트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생면류 제조장치
KR102395327B1 (ko) 떡반죽를 이용한 사리 성형장치
CN202664127U (zh) 具有和面功能的馒头机
KR102041225B1 (ko) 떡 제조장치
JP2008048699A (ja) 製麺機
CN213939497U (zh) 一种杂粮面条自动生产设备
CN209862114U (zh) 一种用于制备高端食材家常营养面条的挤压设备
KR101868137B1 (ko)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RU12543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двустороннего трехмерного введения начинки и формования
US200301018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waved noodle
KR20160057279A (ko) 떡 제조장치
KR101520589B1 (ko) 떡 제조장치
CN210782716U (zh) 一种包子机
CN210671877U (zh) 一种温控挤压制面装置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US3035532A (en) Automatic machin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limentary paste
KR101665775B1 (ko) 떡 제조용 증자스크류
WO2000042870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ate pour une extrudeuse
KR101444796B1 (ko) 냉떡국 제조장치
RU2150200C1 (ru) Пресс макаронный
CN209436136U (zh) 一种出面效率高的面食机
CN210901158U (zh) 一种糯米烧卖(麦)成型设备
CN211268363U (zh) 一种带厚度调节组件的面食机
CN109392975B (zh) 一种多功能面类食品成型设备
CN211541358U (zh) 一种辣根切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