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137B1 -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137B1
KR101868137B1 KR1020170151976A KR20170151976A KR101868137B1 KR 101868137 B1 KR101868137 B1 KR 101868137B1 KR 1020170151976 A KR1020170151976 A KR 1020170151976A KR 20170151976 A KR20170151976 A KR 20170151976A KR 101868137 B1 KR101868137 B1 KR 10186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dough sheet
hole
molding machin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환희
Original Assignee
최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환희 filed Critical 최환희
Priority to KR102017015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21C1/065Worm or screw mixers, e.g. with consecutive mix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21C1/1415Shafts; Hea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20Extruding machines with 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제공된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은 곡물 반죽을 익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로 성형, 가공하기 위한 반죽시트 성형기;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를 통해 배출된 반죽시트의 절개 부위가 펴지면서 안착되어 펴진 반죽시트를 이송하며, 상부에 반죽시트를 식히기 위한 다수의 냉각팬이 장착된 냉각이송컨베이어;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반죽시트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가공식품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절출기 및 상기 절출기를 통해 가공된 가공식품을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익힘 가공된 반죽시트를 절단하여 면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작업인력 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Processed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dough sheet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eal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속 압출 방식의 익힌 반죽시트 성형기를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식품(면 및 떡국떡) 생산공정을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를 익힘 가공 후, 이를 절단하는 과정을 통해 가공식품(면 및 떡국떡)을 생산함으로써, 작업인력 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제조나 조리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BC6000 ~ BC5000년경에 이미 아시아 지방에서 만들어 먹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지며, 한국에서도 아주 오래 전부터 생일, 혼례 등 경사스러운 날의 특별음식으로 애용되어 왔다.
이러한 국수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재료에 따라 밀가루로 만든 밀국수, 소면, 마카로니, 메밀가구로 만든 메밀국수, 감자의 녹말로 만든 당면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생산 방식에 따라 면을 수분이 14 ~ 15% 정도가 되게 건조한 건면, 반죽한 것을 끈 모양으로 만들어 가열한 생면, 생면을 삶은 다음 기름에 튀기거나 또는 그대로 뜨거운 바람으로 건조시켜 만든 석면등이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면요리에는 온면(국수장국), 냉면, 비빔국수, 칼국수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곡물을 이용하여 만듦으로써 각각의 곡물이 지닌 독특한 맛과 영양을 살릴 수 있고 소화도 잘 되어 성인은 물론이고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들에게 권장할 만한 음식이다.
이러한 면류를 성형하는 작업은 사람이 직접 수작업(반죽한 이후 반죽을 얇게 펴서 가늘게 조각내는 작업)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근래에는 반죽기 및 면 성형기를 이용하여 면을 성형하고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8-038377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면 제조장치는 반죽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와 반죽을 가닥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세면로 구성된다.
이에, 종래 면 성형장치는 상기 반죽기를 통해 공급된 반죽이 세면기를 통과하여 면으로 성형가공된다.
그러나 종래 면 제조장치는 생산된 면은 면들을 분리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이 추가로 시행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제품 생산시간 증가 및 장치의 유지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세면기를 통해 토출된 면 가닥은 고온의 점성을 갖게 된다. 이에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면 가닥들이 겹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겹친 면 가닥들이 서로 들러붙어 덩어리 형태가 되기 때문에 이들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진행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면 성형장치는 면류 제품의 생산 공정이 구분되어 단계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떡국떡은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솥에 찐 후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길게 뽑아낸 것으로서, 이를 가래떡이라고 하며, 어슷썰기로 얇게 썰어 맑은장국이나 사골 육수에 넣어 끓인 후, 쇠고기나 달걀 또는 김가루 등의 고명을 첨가한 떡국이나, 그 밖에 떡볶이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떡국떡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곡물가루를 익히는 단계 → 곡물가루를 이용한 반죽을 가래떡으로 성형하는 단계 → 성형된 가래떡을 떡판에 적재하는 단계 → 가래떡이 적재된 떡판을 대차로 이동하는 단계 → 고온의 가래떡을 냉각하는 단계(가래떡이 굵기 때문에 냉각함에 있어 48시간 소요) → 냉각된 가래떡을 대차로 이송하는 단계 → 이송된 가래떡을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떡국떡 생산은 다수의 공정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제품 생산시 필요인원이 10여명 이상 소요되었으며, 가래떡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장시설이 필요함은 물론, 떡국떡의 완제품 생산을 위해 최소 2일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8-0383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 형상으로 익힘 가공된 반죽시트를 절단하여 면 또는 떡국떡을 생산함으로써, 작업인력 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생산과정에서 면 가닥끼리 들러붙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축함은 물론,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죽을 이송하는 반죽이송스크류축의 구조 개선을 통해 반죽이 반죽시트성형틀 측으로 갈수록 나선 간격이 좁아져 반죽을 보다 치밀하게 치대어 가공하도록 함으로써, 면의 쫄깃한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죽이송스크류축의 축심 외면에 별도의 나선홈을 더 형성하여 축심과 맞닿은 반죽을 상기 나선홈이 상기 반죽시트성형틀 측으로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반죽 이송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죽을 이용한 반죽시트 가공, 반죽시트의 이송 및 반죽시트 절단에 의한 면 또는 떡국떡 성형 등의 일련의 과정을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는 곡물 반죽을 익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로 성형, 가공하기 위한 반죽시트 성형기;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를 통해 배출된 반죽시트의 절개 부위가 펴지면서 안착되어 펴진 반죽시트를 이송하며, 상부에 반죽시트를 식히기 위한 다수의 냉각팬이 장착된 냉각이송컨베이어;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반죽시트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가공식품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절출기 및 상기 절출기를 통해 가공된 가공식품을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는, 호퍼와 반죽이송로가 마련된 본체; 상기 반죽이송로의 단부에 체결되며, 내측에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마찰홀이 형성된 연장관; 상기 반죽이송로와 마찰홀 내에서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된 반죽을 상기 반죽이송로를 통해 이송하여 익힘, 가공하는 반죽이송스크류축 및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을 통해 이송된 반죽을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로 성형하는 반죽시트성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은, 내부 축심의 굵기가 상기 반죽시트성형틀 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고, 나선의 간격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의 단부에 상기 마찰홀을 통과하는 반죽을 치대어 익히기 위한 테이퍼형돌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선과 나선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축심 외면에는 나선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축심과 맞닿는 반죽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 측으로 밀어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죽시트성형틀은, 상기 반죽이송로의 단부에 착, 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반죽성형홀이 마련된 결속구; 상기 반죽성형홀 내면에 걸림, 연결되며, 내측에 체결홀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홀의 인접한 외측에 반죽이동홀이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며, 일단에 상기 반죽성형홀을 소정구간 마감하는 성형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반죽성형홀을 통과한 반죽을 소정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로 성형, 가공하고, 상기 성형돌부의 외면에 절개날이 마련되어 상기 반죽시트에 절개선을 가공하며, 상기 성형돌부의 일면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성형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반죽성형홀 내부로 반죽이 진입하는 측에서 상기 반죽성형홀에서 반죽시트가 배출되는 측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출기는,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반죽시트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방에 설치되며, 다수의 원형날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세로절개구와 상기 세로절개구와 맞닿은 밀착롤로 이루어져 상기 세로절개구와 밀착롤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시트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부재 및 상기 세로절단부재의 하방에 설치되며, 판상형 절단날이 구비되어 회전운동하는 가로절개구와 상기 가로절개구의 절단날 단부와 맞닿을 위치에 설치된 회전롤로 이루어져 상기 가로절개구와 회전롤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시트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가로절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죽시트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서로 다른 굵기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면류를 생산하거나, 선택적으로 반죽시트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사각의 떡국 떡을 생산할 수도 있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은, 반죽시트 성형기의 호퍼를 통해 투입된 반죽이 테이퍼형돌부와 나선을 갖는 반죽이송스크류축의 동작에 의해 본체의 반죽이송로와 연장관의 마찰홀을 통과하며, 상기 테이퍼형돌부와 마찰홀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죽이 익힘 가공되는 반죽익힘단계;
상기 익힘 가공된 반죽은 반죽시트성형틀의 결속구에 마련된 반죽성형홀과, 연결구에 형성된 반죽이동홀 및 성형노즐의 성형돌부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반죽성형홀과 성형돌부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로 가공되고, 상기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에는 상기 성형돌부의 외면에 마련된 절개날에 의해 절개선이 가공되는 반죽시트성형단계;
상기 절개선이 가공된 반죽시트가 다수의 냉각팬이 장착된 냉각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각팬을 통해 공급된 바람에 의해 냉각하는 이송냉각단계 및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소정온도로 냉각된 반죽시트가 절출기(130)의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절출기 내부로 이송되며, 다수의 원형날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세로절개구, 상기 세로절개구와 맞닿는 밀착롤로 구성된 세로절단부재 및 판상형 절단날이 구비되어 회전운동하는 가로절개구, 상기 가로절개구의 절단날과 맞닿는 회전롤로 구성된 가로절단부재를 통과하며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되는 제품가공단계를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품가공단계에서,
반죽시트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서로 다른 굵기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면류를 생산하거나, 선택적으로 반죽시트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사각의 떡국 떡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죽익힘단계에서,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은, 내부 축심의 굵기가 상기 반죽시트성형틀 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고, 나선의 간격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죽익힘단계에서,
상기 나선과 나선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축심 외면에는 나선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축심과 맞닿는 반죽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 측으로 밀어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죽시트성형단계에서,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반죽성형홀 내부로 반죽이 진입하는 측에서 상기 반죽성형홀에서 반죽시트가 배출되는 측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구조개선을 통해 익힘 가공된 반죽시트를 절단하여 면 또는 떡국떡을 생산함으로써, 작업인력 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 또는 떡국떡의 쫄깃한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죽이송스크류축의 구조 개선을 통해 반죽 이송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죽시트 가공, 반죽시트의 이송 및 반죽시트 절단에 의한 면 또는 떡국떡 성형 등의 일련의 과정을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면 성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압출 방식의 익힌 반죽시트 성형기를 이용한 면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중 반죽시트 성형기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반죽이송스크류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연장관과 반죽시트성형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반죽시트 성형기를 통해 가공된 반죽시트의 배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절출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반죽시트 성형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압출 방식의 익힌 반죽시트 성형기를 이용한 면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중 반죽시트 성형기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100)는 반죽시트 성형기(110), 냉각이송컨베이어(120), 절출기(130) 및 배출컨베이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110)는 반죽을 익힘 가공하여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성형, 가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으로,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110)는 본체(210), 상기 본체(210)의 일측에 설치된 연장관(310),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반죽이송스크류축(410) 및 반죽시트성형틀(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본 발명의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성형기(110)의 기본틀 역할을 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본체(210)는 그 내부에 반죽이송로(213)가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반죽이송로(213)와 연통을 이루며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211)가 마련된다.
상기 연장관(310)은 상기 반죽이송로(213)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210)와 반죽시트성형틀(510)을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연장관(310)은 그 내측에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마찰홀(311)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반죽이송스크류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은 상기 호퍼(211)로 투입된 반죽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이송 및 익힘가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은 상기 반죽이송로(213) 내에서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반죽이송로(213)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축심(411)이 구비되며, 상기 축심(411)의 외면에 나선(413)이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마찰홀(311)에 삽입되는 테이퍼형돌부(415)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찰홀(311)과 테이퍼형돌부(415)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은 상기 테이퍼형돌부(415)가 치대어 마찰열이 발생하며, 이때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반죽을 익힘 가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축심(411)의 굵기는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며, 나선(413)의 간격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호퍼(211)에서 반죽이 투입되면, 상기 축심(411)이 가늘고 나선(413) 간격이 넓은 반죽이송스크류축(410)에서는 많은 양의 반죽을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밀어내며,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에 인접한 반죽은 축심(411)이 굵고 나선(413) 간격이 좁아지면서 반죽이 나선(413)을 통해 이송되는 힘에 의해 눌리면서 치밀하게 다져지며 치대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나선(413)과 나선(413)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축심(411) 외면에는 나선홈(417)이 더 형성된다. 상기 나선홈(417)은 상기 축심(411)과 맞닿은 반죽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밀어내어 반죽이 이송이 더욱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연장관과 반죽시트성형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반죽시트 성형기를 통해 가공된 반죽시트의 배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은 반죽을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성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은 결속구(511), 연결구(513) 및 성형노즐(5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속구(511)는 자유형상의 반죽을 반죽시트(P)로 성형, 가공할 수 있도록 반죽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결속구(511)는 상기 연장관(310)의 단부에 착, 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반죽이송로(213)와 연통을 이루는 반죽성형홀(51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513)는 상기 성형노즐(516)을 반죽성형홀(512) 내에 위치,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연결구(513)는 상기 반죽성형홀(512) 내면에 걸림, 연결되며, 내측에 체결홀(514)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홀(514)의 인접한 외측에 다수의 반죽이동홀(5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성형노즐(516)은 상기 반죽성형홀(512)을 통과하는 반죽을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성형, 가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성형노즐(516)은 그 타단이 상기 연결구(513)의 체결홀(514)에 체결되며, 일단에 상기 반죽성형홀(512)의 소정구간 마감하는 성형돌부(517)가 마련되고, 상기 성형돌부(517)의 외면에 절개날(518)이 마련되며, 상기 성형돌부(517)의 일면에 테이퍼부(519)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반죽성형홀(512) 내에서 상기 성형돌부(517)의 외면과 상기 반죽성형홀(512) 사이를 통과한 반죽은 소정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성형, 가공된다. 이때,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는 상기 절개날(518)에 의해 절개선(L)이 가공되어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가 된다.
또한, 상기 성형돌부(517)과 반죽성형홀(512) 간의 간격 조절을 통해 다양한 본 발명은 두께의 면 또는 떡국떡 제품으로 성형생산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테이퍼부(519)는 상기 반죽성형홀(512) 내부로 반죽이 진입하는 측에서 상기 반죽성형홀(512)에서 반죽시트(P)가 배출되는 측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반죽이송로(213)에서 반죽성형홀(512)로 진입한 반죽은 상기 테이퍼부(519)의 외면을 따라 반죽성형홀(512) 내면과 성형돌부(517)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는데, 상기 테이퍼부(519)는 이렇게 반죽의 이동을 안내 및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는 그 실시예에 따라 반죽시트 성형기(110) 이전에 면성형을 위한 가루 및 물을 1차 반죽가공하는 별도의 반죽기와 1차 반죽 가공된 반죽을 2차 반죽 가공하기 위한 익스트라 성형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는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11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어 반죽시트(P)를 가공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는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110)를 통해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되어 원통형상으로 배출된 반죽시트(P)가 절개부위가 펴지면서 안착된다.
이에,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는 반죽시트(P)를 펼친 상태로 일정 방향 이송한다.
또한,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는 그 상부에 다수의 냉각팬(121)이 장착된다. 이에,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하는 반죽시트(P)는 상기 냉각팬(121)에 의해 냉각되며,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서 배출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반죽시트(P)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냉각된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절출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절출기(130)는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반죽시트(P)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면 또는 떡국떡의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절출기(130)는 가이드롤러(131), 세로절단부재(132) 및 가로절단부재(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31)는 자유회전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를 통해 펼쳐진 상태로 이송된 반죽시트(P)를 상기 세로절단부재(132) 측으로 안내한다.
한편, 상기 세로절단부재(132)는 반죽시트(P)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세로절단부재(132)는 상기 가이드롤러(310)의 하방에 설치되며, 세로절개구(134)와 밀착롤(135)로 구성된다.
상기 세로절개구(134)는 그 외면에 다수의 원형날(133)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며, 상기 밀착롤(135)은 상기 세로절개구(134)와 맞닿은 상태에서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로절단부재(136)는 상기 세로방향으로 절단된 반죽시트(P)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로절단부재(136)는 상기 세로절단부재(132)의 하방에 설치되며, 가로절개구(138)와 회전롤(139)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절개구(138)는 그 외면에 판상형 절단날(137)이 구비되어 회전운동하며, 상기 회전롤(139)은 상기 가로절개구(138)의 절단날(137) 단부와 맞닿을 만한 위치에서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배출컨베이어(140)는 상기 절출기(130)를 통해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절단된 면 또는 떡국떡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는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서로 다른 굵기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면류를 생산하거나, 선택적으로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사각의 떡국 떡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400)에는 그 실시예에 따라 전분살포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분살포기는 상기 배출컨베이어(400)를 따라 면이 이동할 경우 상기 면에 전분을 살포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는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 형상으로 익힘 가공된 반죽시트를 절단하여 면 또는 떡국떡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작업인력 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중 반죽시트 성형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반죽시트 성형기(110)의 호퍼(211)를 통해 공급된 반죽은 회전하는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의 나선(413)을 따라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반죽은 상기 축심(411)이 가늘고 나선(413) 간격이 넓은 반죽이송스크류축(410)에서 축심(121)이 굵고 나선(413) 간격이 좁아지는 측으로 이송하며, 그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반죽 수용공간이 좁은 측에서 반죽이 누르는 힘에 의해 다져지고 치대지면서 반죽이 치밀해져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된다.
이후, 상기 반죽이송로(213)를 통과한 반죽은 연장관(310)의 마찰홀(311)과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의 테이퍼형돌부(415) 사이를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회전운동하는 테이퍼형돌부(415)가 반죽을 치대어 마찰열이 발생하도록 하며, 이렇게 발생한 마찰열에 의해 상기 마찰홀(311)과 테이퍼형돌부(415)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을 익힌다.
이후, 상기 마찰홀(311)을 통과한 반죽은 반죽시트성형틀(510)로 진입한다.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로 진입한 반죽은 결속구(511)의 반죽성형홀(512)과 연결구(513)의 반죽이동홀(515)을 통과하여 성형노즐(516)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성형노즐(516)까지 이동한 반죽은 테이퍼부(519)와 맞닿게 되며, 상기 테이퍼부(519)의 경사면을 따라 반죽성형홀(512)과 성형돌부(517) 사이를 통과한다.
이렇게 상기 반죽성형홀(512)과 성형돌부(517) 사이를 통과한 반죽은 소정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성형, 가공되며, 그 과정에서 상기 성형돌부(517)의 외면에 마련된 절개날(518)에 의해 상기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에 절개선(L)이 가공된다.
이때, 상기 반죽성형홀(512)과 성형돌부(517) 사이를 통과한 반죽은 두께 설정에 따라 면 또는 떡국떡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110)를 통해 절개된 원통 형상의 익힌 반죽시트(P)로 성형, 가공된 반죽시트(P)는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펼쳐진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절출기(13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절출기(130)로 이송된 반죽시트(P)는 가이드롤러(131)의 안내에 따라 세로절단부재(132)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상기 세로절단부재(132)로 이동한 반죽시트(P)는 상기 세로절개구(134)와 밀착롤(135) 사이를 통과하며, 그 과정에서 다수의 원형날(133)에 의해 반죽시트(P)가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다.
이렇게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 반죽시트(P)는 상기 가로절단부재(136)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상기 가로절단부재(136)로 이동한 반죽시트(P)는 상기 가로절개구(138)와 회전롤(139) 사이를 통과하며, 그 과정에서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에 의해 반죽시트(P)가 가로 방향으로 절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면 형상으로 가공된다.
이때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서로 다른 굵기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면류를 생산하거나, 선택적으로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사각의 떡국 떡을 생산할 수도 있다.
상기 원형날(133)의 간격조절은 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세로절개구(134)의 교체 만으로 용이하게 수행할수도 있다.
이렇게 가공된 면은 배출컨베이어(140)를 통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제조장치는 반죽시트를 절단하여 면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작업인력 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면 생산과정에서 면 가닥끼리 들러붙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조공정을 단축시킴으로써,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100)에 관한 참조도면은 상술한 도2 내지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은 반죽익힘단계(S10), 반죽시트성형단계(S20), 이송냉각단계(S30) 및 제품가공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죽익힘단계(S10)는, 자유형상의 반죽을 익힘 가공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반죽익힘단계(S10)에서는 반죽시트 성형기(110)의 호퍼(211)를 통해 투입된 반죽이 테이퍼형돌부(410)와 나선(413)을 갖는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의 동작에 의해 본체(210)의 반죽이송로(213)와 연장관(310)의 마찰홀(311)을 통과하며, 반죽이 상기 테이퍼형돌부(410)와 마찰홀(311)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죽이 익힘 가공되다.
한편, 상기 반죽시트성형단계(S20)는, 익힘 가공된 반죽을 익힘 가공하여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형상의 반죽시트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반죽시트성형단계(S20)에서는 익힘 가공된 반죽이 반죽시트성형틀(510)의 결속구(511)에 마련된 반죽성형홀(512)과, 연결구(513)에 형성된 반죽이동홀(515) 및 성형노즐(516)의 성형돌부(517)에 형성된 테이퍼부(519)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반죽성형홀(512)과 성형돌부(517)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가공된다.
이때, 상기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에는 상기 성형돌부(517)의 외면에 마련된 절개날(518)에 의해 절개선(L)이 가공된다.
한편, 상기 이송냉각단계(S30)는, 익힘 반죽을 이용하여 성형가공된 반죽시트(P)가 그 가공 과정에서 갖게된 열을 식히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이송냉각단계(S30)에서는 상기 절개선(L)이 가공된 반죽시트(P)가 다수의 냉각팬(121)이 장착된 냉각이송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각팬(121)을 통해 공급된 바람에 의해 냉각한다.
이때, 상기 원통형상으로 가공된 반죽시트(P)는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그 절개선(L) 부위가 펼쳐진다. 이에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안착될때에는 판상체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제품가공단계(S40)는,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이동하는 판상체 형상의 반죽시트(P)를 제품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제품가공단계(S40)에서는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소정온도로 냉각된 반죽시트(P)가 절출기(130)의 가이드롤러(131)를 통해 상기 절출기(130) 내부로 이송되며, 다수의 원형날(133)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세로절개구(134), 상기 세로절개구(134)와 맞닿는 밀착롤(135)로 구성된 세로절단부재(132) 및 판상형 절단날(137)이 구비되어 회전운동하는 가로절개구(138), 상기 가로절개구(138)의 절단날(137)과 맞닿는 회전롤(139)로 구성된 가로절단부재(136)를 통과하며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되어 제품의 형상을 갖게된다.
한편, 상기 제품가공단계(S40)에서는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서로 다른 굵기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면류를 생산하거나, 선택적으로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사각의 떡국 떡을 생산할 수도 있다.
상기 원형날(133)의 간격조절은 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세로절개구(134)의 교체 만으로 용이하게 수행할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죽익힘단계(S10)에서의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은, 내부 축심(411)의 굵기가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고, 나선(413)의 간격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반죽익힘단계(S10)에서 상기 나선(413)과 나선(413)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축심(411) 외면에는 나선홈(417)이 더 형성되어 상기 축심(411)과 맞닿는 반죽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죽시트성형단계(S20)에서 상기 테이퍼부(519)는, 상기 반죽성형홀(512) 내부로 반죽이 진입하는 측에서 상기 반죽성형홀(512)에서 반죽시트(P)가 배출되는 측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은 장치의 구조 개선 및 제품 생산방법의 개선을 통해 인력 및 제품 생산비용을 절감하며,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10 : 반죽시트 성형기 120 : 냉각이송컨베이어
121 : 냉각팬 130 : 절출기
131 : 가이드롤러 132 : 세로절단부재
136 : 가로절단부재 140 : 배출컨베이어
210 : 본체 211 : 호퍼
213 : 반죽이송로 310 : 연장관
311 : 마찰홀 410 : 반죽이송스크류
411 : 축심 413 : 나선
415 : 테이퍼형돌부 417 : 나선홈
510 : 반죽시트성형틀 511 : 결속구
513 : 연결구 516 :성형노즐
P : 반죽시트 L : 절개선

Claims (13)

  1. 곡물 반죽을 익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성형, 가공하기 위한 반죽시트 성형기(110);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11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110)를 통해 배출된 반죽시트(P)의 절개 부위가 펴지면서 안착되어 펴진 반죽시트(P)를 이송하며, 상부에 반죽시트(P)를 식히기 위한 다수의 냉각팬(121)이 장착된 냉각이송컨베이어(120);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반죽시트(P)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가공식품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절출기(130) 및 상기 절출기(130)를 통해 가공된 가공식품을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140)를 포함하며,
    상기 반죽시트 성형기(110)는,
    호퍼(211)와 반죽이송로(213)가 마련된 본체(210); 상기 반죽이송로(213)의 단부에 체결되며, 내측에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마찰홀(311)이 형성된 연장관(310); 상기 반죽이송로(213)와 마찰홀(311) 내에서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호퍼(211)를 통해 공급된 반죽을 상기 반죽이송로(213)를 통해 이송하여 익힘, 가공하는 반죽이송스크류축(410) 및 상기 연장관(310)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을 통해 이송된 반죽을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성형하는 반죽시트성형틀(510)을 포함하되,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은,
    상기 반죽이송로(213)의 단부에 착, 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반죽성형홀(512)이 마련된 결속구(511);
    상기 반죽성형홀(512) 내면에 걸림, 연결되며, 내측에 체결홀(514)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홀(514)의 인접한 외측에 반죽이동홀(515)이 형성된 연결구(513) 및
    상기 체결홀(514)에 체결되며, 일단에 상기 반죽성형홀(512)을 소정구간 마감하는 성형돌부(517)가 형성되어 상기 반죽성형홀(512)을 통과한 반죽을 소정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성형, 가공하고, 상기 성형돌부(517)의 외면에 절개날(518)이 마련되어 상기 반죽시트(P)에 절개선(L)을 가공하며, 상기 성형돌부(517)의 일면에 테이퍼부(519)가 형성된 성형노즐(51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은,
    내부 축심(411)의 굵기가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고, 나선(413)의 간격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의 단부에 상기 마찰홀(311)을 통과하는 반죽을 치대어 익히기 위한 테이퍼형돌부(41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413)과 나선(413)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축심(411) 외면에는 나선홈(417)이 더 형성되어 상기 축심(411)과 맞닿는 반죽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밀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519)는,
    상기 반죽성형홀(512) 내부로 반죽이 진입하는 측에서 상기 반죽성형홀(512)에서 반죽시트(P)가 배출되는 측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출기(130)는,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된 반죽시트(P)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31);
    상기 가이드롤러(131)의 하방에 설치되며, 다수의 원형날(133)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세로절개구(134)와 상기 세로절개구(134)와 맞닿은 밀착롤(135)로 이루어져 상기 세로절개구(134)와 밀착롤(135)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시트(P)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부재(132) 및
    상기 세로절단부재(132)의 하방에 설치되며, 판상형 절단날(137)이 구비되어 회전운동하는 가로절개구(138)와 상기 가로절개구(138)의 절단날(137) 단부와 맞닿을 위치에 설치된 회전롤(139)로 이루어져 상기 가로절개구(138)와 회전롤(139)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시트(P)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가로절단부재(13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서로 다른 굵기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면류를 생산하거나, 선택적으로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사각의 떡국 떡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9. 반죽시트 성형기(110)의 호퍼(211)를 통해 투입된 반죽이 테이퍼형돌부(410)와 나선(413)을 갖는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의 동작에 의해 본체(210)의 반죽이송로(213)와 연장관(310)의 마찰홀(311)을 통과하며, 상기 테이퍼형돌부(410)와 마찰홀(311)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죽이 익힘 가공되는 반죽 익힘단계(S10);
    상기 익힘 가공된 반죽은 반죽시트성형틀(510)의 결속구(511)에 마련된 반죽성형홀(512)과, 연결구(513)에 형성된 반죽이동홀(515) 및 성형노즐(516)의 성형돌부(517)에 형성된 테이퍼부(519)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반죽성형홀(512)과 성형돌부(517)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로 가공되고, 상기 원통 형상의 반죽시트(P)에는 상기 성형돌부(517)의 외면에 마련된 절개날(518)에 의해 절개선(L)이 가공되는 반죽시트 성형단계(S20);
    상기 절개선(L)이 가공된 반죽시트(P)가 다수의 냉각팬(121)이 장착된 냉각이송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각팬(121)을 통해 공급된 바람에 의해 냉각하는 이송냉각단계(S30) 및
    상기 냉각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소정온도로 냉각된 반죽시트(P)가 절출기(130)의 가이드롤러(131)를 통해 상기 절출기(130) 내부로 이송되며, 다수의 원형날(133)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는 세로절개구(134), 상기 세로절개구(134)와 맞닿는 밀착롤(135)로 구성된 세로절단부재(132) 및 판상형 절단날(137)이 구비되어 회전운동하는 가로절개구(138), 상기 가로절개구(138)의 절단날(137)과 맞닿는 회전롤(139)로 구성된 가로절단부재(136)를 통과하며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되는 제품가공단계(S40)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가공단계(S40)에서,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서로 다른 굵기와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면류를 생산하거나, 선택적으로 반죽시트(P)의 두께조절, 상기 원형날(133)들의 간격 조절 및 상기 판상형 절단날(137)의 동작속도 조절을 통해 사각의 떡국 떡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익힘단계(S10)에서,
    상기 반죽이송스크류축(410)은, 내부 축심(411)의 굵기가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고, 나선(413)의 간격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익힘단계(S10)에서,
    상기 나선(413)과 나선(413)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축심(411) 외면에는 나선홈(417)이 더 형성되어 상기 축심(411)과 맞닿는 반죽을 상기 반죽시트성형틀(510) 측으로 밀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시트성형단계(S20)에서,
    상기 테이퍼부(519)는, 상기 반죽성형홀(512) 내부로 반죽이 진입하는 측에서 상기 반죽성형홀(512)에서 반죽시트(P)가 배출되는 측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20170151976A 2017-11-15 2017-11-15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868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76A KR101868137B1 (ko) 2017-11-15 2017-11-15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76A KR101868137B1 (ko) 2017-11-15 2017-11-15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137B1 true KR101868137B1 (ko) 2018-06-18

Family

ID=6276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976A KR101868137B1 (ko) 2017-11-15 2017-11-15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3829A1 (de) * 2017-12-27 2019-06-27 Deutsches Institut Für Lebensmitteltechnik E.V. Kühldüse für Extruder
CN110419549A (zh) * 2019-08-12 2019-11-08 山西省平遥减速器有限责任公司 一种高效多功能面食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857A (ja) * 1982-08-24 1984-02-25 Hiroyuki Yamato 押出麺製造装置
KR19980038377U (ko)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패널 검사용 지그
KR200384226Y1 (ko) * 2005-02-14 2005-05-12 권치원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200442069Y1 (ko) * 2008-07-10 2008-10-06 최종묵 면 제조장치
KR20160062413A (ko) * 2014-11-25 2016-06-02 (주)환희 성형롤이 개선된 2단 압출 면성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857A (ja) * 1982-08-24 1984-02-25 Hiroyuki Yamato 押出麺製造装置
KR19980038377U (ko)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패널 검사용 지그
KR200384226Y1 (ko) * 2005-02-14 2005-05-12 권치원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200442069Y1 (ko) * 2008-07-10 2008-10-06 최종묵 면 제조장치
KR20160062413A (ko) * 2014-11-25 2016-06-02 (주)환희 성형롤이 개선된 2단 압출 면성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3829A1 (de) * 2017-12-27 2019-06-27 Deutsches Institut Für Lebensmitteltechnik E.V. Kühldüse für Extruder
CN110419549A (zh) * 2019-08-12 2019-11-08 山西省平遥减速器有限责任公司 一种高效多功能面食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795B1 (ko) 연속 압출 방식의 반죽시트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생면류 제조장치
EP2061330B1 (en) Production of edible wafers by extrusion
KR100923120B1 (ko)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EP0195702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préparation d'un produit alimentaire à base de pâte molle
CS277062B6 (en) Process for producing raw dough for dough articles and a mixing kneading machine for making the same
KR101868137B1 (ko) 반죽시트 성형기가 구비된 곡물 가공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물 가공식품 제조방법
CN100462014C (zh) 通过挤压制作冷面用面条的方法和设备
US4938127A (en) Extruder and continuous mixer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at least partially baked product having a cookie-like crumb structure including a post-extrusion radio frequency device
JP4266984B2 (ja) 刀削麺様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刀削麺様食品
KR20170050265A (ko) 생면 쌀국수 제면기 및 제면방법
JP6443911B2 (ja) 食品用真空押出成型装置
AU712864B2 (en) Making noodles
CN210492371U (zh) 一种挤压微膨速食面的加工装置
KR200441547Y1 (ko) 제면기
JP2019154271A (ja) 押出し成形機
KR102665521B1 (ko) 면류 제조장치
CN205658263U (zh) 一种面包生产装置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KR20110024093A (ko) 쌀국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38606A (ko) 고기말이 성형기
KR20040002830A (ko) 원형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06629932U (zh) 荞片挤出生产线
KR101444796B1 (ko) 냉떡국 제조장치
CN112120214A (zh) 一种粉丝加工生产线
KR102381820B1 (ko) 가래떡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