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875A - 반죽물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반죽물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875A
KR20030077875A KR1020020016835A KR20020016835A KR20030077875A KR 20030077875 A KR20030077875 A KR 20030077875A KR 1020020016835 A KR1020020016835 A KR 1020020016835A KR 20020016835 A KR20020016835 A KR 20020016835A KR 20030077875 A KR20030077875 A KR 2003007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pressing
roller
support fram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호
Original Assignee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875A/ko
Publication of KR2003007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8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4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 A21C11/008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by press-rolling

Abstract

본 발명에는 불규칙한 두께로 믹서된 반죽물을 일정한 두께로 연속 압착하기 위한 반죽물 압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이동용 캐스터(11) 및 받침틀(12)이 구비된 기체(1)와; 상기 기체(1)의 상부 받침틀(12) 사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롤러(2)와;
상기 받침롤러(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죽물을 소정의 두께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롤러(3)와; 상기 받침롤러(2)의 양측으로 분할 배치되고, 압착 전 후의 반죽물을 소정의 속도로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이송수단(4); 및 상기 받침 및 압착롤러(2,3)와 이송수단(4)을 반죽물의 압착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수단(5)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반죽물 압착장치{Paste 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불규칙한 두께로 믹서된 반죽물을 일정한 두께로 연속 압착하기 위한 반죽물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과 제빵용이나 파이, 페이스트리류 등에 사용되는 소정 재료는 믹서기를 이용하여 각종 혼합 소재가 골고루 반죽된 반죽물을 그냥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정한 두께와 크기로 압착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덩어리 상태의 반죽물을 대량으로 연속 압착하는 기계가 제공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일일이 수 작업에 의존하여 일정한 두께로 압착할 수밖에 없었고, 또한 일반 가정이나 제과 제빵 업소에 적합한 소형 압착기가 제공된바 있으나, 이는 단위별 반죽물을 하나 하나씩 일일이 작업자가 투입해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과 더불어 소형이기 때문에 다량의 반죽물을 연속적으로 압착 하는 작업이 곤란하고, 그 처리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구조상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소형 압착기 구조로는 다량의 반죽물을 신속 용이하게 압착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와 더불어 대형의 작업장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반죽물을 연속 반복적으로 신속하게 압착 가능한 반죽물 압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죽물의 압착과 더불어 압착이 완료된 반죽물을 일정한 중량 단위별로 균등하게 분할 절단 가능한 반죽물 압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이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롤러 구성을 보인 요부발췌 측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이 상부로 접힘된 상태의 일부 측 단면도;
도4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분리 상태를 보인 발췌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롤러의 승강 구조를 보인 발췌 분리 사시도;
도7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착롤러가 받침롤러에 대하여 하강 조작된 상태의 조립 측 단면도;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착롤러가 받침롤러에 대하여 승강 조작된 상태의 조립 측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수단의 구성을 보인 개략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컨베이어에 반죽물 분할 절단기가 더 설치된 상태의 발췌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물 분할 절단기의 구동 상태를 보인 발췌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기체 2: 받침롤러
3: 압착롤러 4: 이송수단
5: 동력수단 7: 반죽물 분할 절단기
11: 캐스터 12: 받침틀
13: 걸이봉 14: 승강용 가이드 홈
15: 안전틀 27, 37: 블레이드
30: 핸들 31: 핸들 축
32: 회동판 32a: 축 홈
33: 압착롤러 가이드 34: 플렌지
35: 승강 조작판 40, 400: 제1 및 제2 컨베이어
41,401: 프레임 42,402: 완충기
43,44,403,404: 컨베이어 벨트 축 45,405: 컨베이어 벨트
43a,44a,403a,404a: 가이드 홈 45a,405a: 가이드 편
46,406: 프레임 축 47,407: 걸고리
50: 모터 51: 감속기
52,54,55,56,57,76: 체인부재 53: 기어박스
71: 절단칼 72: 브라켓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죽물 압착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이동용 캐스터 및 상부틀이 구비된 기체와; 상기 기체의 상부 받침틀 사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롤러와; 상기 받침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죽물을 소정의 두께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롤러와; 상기 받침롤러의 양측으로 분할 배치되고, 압착 전 후의 반죽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받침 및 압착롤러와 이송수단을 반죽물의 압착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수단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체(1)의 하부 각 모서리로 이동용 캐스터(11)가 설치되고, 그 상부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받침틀(12)이 형성되어 있다.
기체(1)의 상부 받침틀(12) 사이로는 하나의 받침롤러(2)가 반죽물의 압착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받침롤러(2)의 상부로는 반죽물을 소정의 두께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롤러(3)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받침 및 압착롤러(2,3)는 균등한 압착을 위해 각각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후 설명될 동력수단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반죽물의 안정된 압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받침롤러(2)의 양측으로는 압착 전 후의 반죽물을 소정의 속도로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이송수단(4)이 분할 배치되어 있는 바, 이 이송수단(4)은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로 구성된다.
이송수단(4)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는, 완충기(쇽업쇼바)(42, 402)로 각기 안정적으로 받침되는 프레임(41,401)과, 각 프레임(41,401)의 양 축(43,44,403,404)으로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걸어지고 반죽물의 이송 방향으로 각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45,40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컨베이어(40,4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완료 후 기체(1)의 받침틀(12)에 유설된 축(46,406)을 중심으로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프레임(41,401)으로는 상부 접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체(1)의 각 걸이봉(13)에 걸어지는 걸고리(47,40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수단(4)의 제1 및 제2컨베이어(40,400)는 반죽물을 압착하는 경우에는 도1과 같이 완충기(42,402)에 의해 안정적으로 펼침 사용 가능하고, 작업완료 후에는 상부로 들어 올린 다음 걸고리(47,407)를 기체(1)의 받침틀(12)에 형성된 걸이봉(13)에 각각 걸어 고정함으로서 소정 각도로 접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의 컨베이어 벨트(45,405)는 이의 가장자리 내주면으로 가이드편(45a,405a)을 돌출 형성하고, 각 축(43,44,403,404)으로는 가이드 홈(43a,44a,403a,404a)을 대응 형성하여 컨베이어 벨트(45,405)의 회전시 뒤틀림이나 유동발생 없이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반죽물의 형태 변형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45,405)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편(45a,405a)은, 회전되는 컨베이어 벨트(45,405)가 항상 팽팽한 상태로 당김 조작되고, 또한 금속재의 각 축(43,44,403,404)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43a,44a,403a,404a)과의 미끄럼 발생 없이 안정적인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고무재 벨트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의 각 프레임(41,401)은 기체(1)의 받침틀(12)로 형성된 받침요구(12a)에 대하여 커버판(48)을 고정나사(49)로 조임하거나 해체하는 것에 의해 필요시 컨베이어 벨트(45,405)와는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예컨대 압착장치의 운반시 비교적 길이가 긴 프레임(41,401)만을 기체(1)와는 별도로 분리 운반함으로서 장치의 전체 운반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교체 파손에 따른 부품의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압착롤러(3)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의 일 측 받침틀(12)로 설치된 핸들(30)을 조작함으로 받침롤러(2)에 대하여 반죽물의 압착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30)은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 조절 간격을 별도의 수치가 인쇄된 스티커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그 조절 간격을 확실하게 인식 조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6을 참조하여 압착롤러(3)의 승강 조작 상태를 설명하면, 핸들 축(31)의 일방으로 설치된 핸들(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핸들 축(31)의 양 단부에 축 홈(32a)이 편심되게 설치된 회동판(32)이 편심 회동하는 것에 의해 기체(1)의 상부 받침틀(12)로 형성된 승강용 가이드 홈(14)에 삽설된 압착롤러(2)의 양 단부가 관통되는 상태로 설치된 압착롤러 가이드(33)가 상기 회동판(32)과 상기 압착 롤러 가이드(33)와 동 축 상에 볼트(34a)로 고정된 플렌지(34)에 대하여 상호 멈춤 링(35)으로 유설된 승강 조작판(36)이 상기 회동판(32)의 축 홈(32a) 편차거리(h)의 범위 내에서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승강 조작되어진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물의 압착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방의 핸들 축(31)에 설치된 핸들(30)을 조작하면, 우선 핸들 축(31)에 축 홈(32a)이 편심되게 설치된 회동판(32)이 일 방향으로 회전조작 된다. 이때 압착롤러(3)의 양 단부가 관통 설치된 상태로 받침틀(12)의 승강용 가이드 홈(14)에 삽설된 압착롤러 가이드(33)는 플렌지(34)가 볼트(34a)로 일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판(32)과의 사이에 승강 조작판(36)이 유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판(32)의 편심 회동 거리(h)만큼 승강 조작판(36)이 함께 회동하면서 이 범위 내에서 승강 조작되고, 이 승강 조작판(36)의 승강 이동에 의해 압착롤러 가이드(33)가 받침틀(12)의 승강용 가이드 홈(14)을 따라 동시에 수직으로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압착롤러(3)가 하부 받침롤러(2)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승강 조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압착롤러(3)는 핸들(30)의 조작으로 상기한 회동판(32)의 센터 중심에서 축 홈(32a)의 편심 회동 거리 범위 내에서 도7a와 같이 하부 받침롤러(2)에 대하여 좁은 간격으로 조절되거나 또는 도7b와 같이 넓은 간격으로 승강 조작되어져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물을 제과 제빵의 재료 특성에 맞도록 적절한 두께로 압착 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받침 및 압착롤러(2,3)의 양측으로는 반죽물의 압착 이동시 각 롤러의 외주면으로 달라붙게 되는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블레이드(27,37)가 스프링(28,38)으로 각각 탄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압착롤러(3)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37)는, 특히 압착롤러(3)의 승강 조작시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대(39)를 중심으로 그 밀착 단부가 동시에 회동 조작되면서 이물질을 항상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죽물의 압착시 각 롤러(2,3)의 외주면으로는 블레이드(27,37)의 밀착 단부가 스프링(28,38)에 의해 항상 밀착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이물질이 묻어날 염려가 배제되어 양 롤러(2,3) 사이에서 압착되는 반죽물은 이물질에 의해 부분적으로 뜯어지거나 묻어나는 등의 현상 발생 없이 항상 깨끗하게 압착되는 것이다.
한편,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의 상부 받침틀(12)로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의 컨베이어 벨트(45,405)를 타고 이송되는 압착 전후의 반죽물을 보다 안정하게 이송 가이드 하기 위한 안전틀(15)이 축(16)을 중심으로 상부로 각각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틀(15)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하여 안전사고 발생시나 오동작시 별도의 스위치를 오프하지 않고서도 안전틀(15)을 위로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장치의 동작이 멈추어 지도록 구성하여 안정 기능을 더욱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8은 받침 및 압착롤러(2,3)와, 이송수단(4)의 각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의 컨베이어 벨트(45,405)를 반죽물의 압착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수단(5)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에서 잘 알 수 있듯이 동력수단(5)은, 기체(1)의 내부로 설치된 하나의 모터(50)와, 이에 연결된 하나의 감속기(51), 감속기(51)에 대하여 제1 체인부재(52)로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53), 그리고 감속기(51)의 동력을 받침롤러(2)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체인부재(54), 제1 체인부재(52)로부터 전달된 기어박스(53)의 동력을 제1 밑 제2컨베이어(40,400)의 일방 축(43,403)에 절단하여 컨베이어 벨트(45,405)를 반죽물 압착 방향으로 각기 회전 조작시키기 위한 제3 및 제4 체인부재(55,56) 및 상기 제2 체인부재(54)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압착롤러(3)를 받침롤러(2)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5체인부재(57)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동력수단(5)에 적용된 각 체인부재(52,54,55,56,57)들은 보다 확실한 동력 전달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 선택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부재의 선택 사용도 가능하다. 예컨대 브이벨트 및 평 벨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로우프 형태의 벨트를 걸어 동력을 전달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 및 압착롤러(2,3)와 각 컨베이어(40,400)의 컨베이어 벨트(45,405)는, 하나의 모터(50)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제1 및 제2 체인부재(52,54)에 의해 감속기(51)로부터 기어박스(53)와 받침롤러(2)로 전달되고, 또한 기어박스(53)의 동력은 제3 및 제4 체인부재(55,56)를 통해 각 컨베이어 벨트(45,405) 축(43,403)으로 전달되고, 또한 받침롤러(2)의 동력은 제5체인부재(57)를 통해 압착롤러(3)로 동시에 동일한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각기 반죽물의 압착 이송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고, 그 회전 속도 또한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모터(5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서 받침 및 압착롤러(2,3)와 컨베이어 벨트(45,405)의 이송 속도를 반죽물의 압착 정도에 맞추어 자유로이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2에서 미 설명 부호 6은 핸들 축(31)과 양 걸이봉(13) 사이에 받침되는 밀가루 통이며, 이는 압착되는 반죽물이 너무 진 경우에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밀가루를 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반죽물을 일정한 두께로 압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반죽물의 압착을 위해서는 도1과 같이 기체(1)의 상부 받침틀(12)에 대하여 이송수단(4)의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를 수평 상태로 펼침 조작한다. 그리고 펼침 조작된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는 각각의 완충기(42,402)에 의해안정적으로 받침되어 지는 것이며, 안전틀(15) 역시 정 위치로 회동 조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ON)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도8과 같이 동력수단(5)의 모터(50)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감속기(51)와 기어박스(52), 각 체인부재(52,54,55,56,57)들을 통해 동시에 전달되어 받침 및 압착롤러(2,3)와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의 컨베이어 벨트(45,405)가 각각 반죽물의 압착 이송방향으로 회전 조작된다.
그런 다음 제1컨베이어(40)의 컨베이어 벨트(45)상에 믹서기에서 잘 반죽되고 어느 정도 펼침된 상태의 반죽물을 올려놓으면, 해당 반죽물은 컨베이어 벨트(45)를 타고 서서히 이동되어지고 받침 및 압착롤러(2,3)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두께로 압착되어지며, 동시에 제2컨베이어(400)의 컨베이어 벨트(405)를 타고 타 측으로 배출되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반죽물의 연속적인 압착 작업이 진행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받침 및 압착롤러(2,3)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는 반죽물은 각 롤러(2,3)의 양측으로 탄력 설치된 각각의 블레이드(27,37)에 의해 각종 이물질이나 압착과정에서 발생되는 롤러(2,3)상의 반죽물 찌꺼기 등이 깨끗하게 제거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부분적인 뜯어짐 없이 항상 양호한 반죽물의 압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받침 및 압착롤러(2,3)에서 압착되는 반죽물의 압착 두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방의 받침틀(12)로 설치된 핸들(30)을 희망하는 두께 위치로 조작하면, 도7a 및 도7b와 같이 핸들 축(31)에 축 홈(32a)이 편심되게 설치된 회동판(32)이 조작 거리만큼 회동되어지면서 승강 조작판(36)을 승강시키게 되고 동시에 승강 조작판(36)과 연결된 압착롤러 가이드(33)가 받침틀(12)로 형성된 승강용 가이드 홈(14)을 따라 승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압착롤러(3)가 하부의 받침롤러(2)에 대하여 소정 간격 예컨대 핸들(30)의 조작거리 만큼 압착 간격이 조절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압착롤러(3)의 승강 조작시 해당 블레이드(37)는 고정대(39)를 중심으로 스프링(38)의 탄력에 의해 눌려지거나 상승되기 때문에 그 밀착 단부는 항상 압착롤러(3)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의 각 컨베이어 벨트(45,405)를 따라 이동되는 반죽물은 도4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45,405)의 양 가장자리 하부로 형성된 가이드 편(45a,405a)이 해당 축(43,44, 403,404)의 가이드 홈(43a,44a,403a,404a)에 삽설 가이드 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45,405)는 회전되는 과정에서 좌우로 유동되거나 쏠림 등의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반죽물은 압착 상태의 변형 없이 항상 안정된 공급 및 배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반죽물의 압착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OFF) 한 다음 도3과 같이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를 기체(1)의 상부로 접어 보관함으로서 작업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것이며, 각 프레임(41,401)의 걸고리(47,407)를 양 걸이봉(13)에 각각 걸어 고정함으로서 접혀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그리고 각 컨베이어(40,400)의 접힘시 안전틀(15)도 함께 상부로 접어 보관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압착장치를 다른 장소로 이동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컨베이어(40,400)를 도3과 같은 상태로 접어 이동하기에는 전체 부피가 비대하여 운반에 곤란한 경우가 생기는 경우, 이 때에는 도5와 같이 커버판(48)을 받침틀(12)로부터 분리하여 해당 받침요구(12a)에 안착된 각 컨베이어(40,400)의 프레임(41,401)만을 컨베이어 벨트(45,405)로부터 별도 분리하여 운반함으로서 운반 취급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4)의 제2컨베이어(400)로는 상기 동력수단(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반죽물의 배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 조작되면서 소정의 두께로 압착된 납죽물을 일정한 중량 단위별로 연속 절단하기 위한 롤 상의 반죽물 분할 절단기(7)가 더 설치되어 있다.
도9에서 알 수 있듯 반죽물 분할 절단기(7)는 받침 및 압착롤러(2,3)를 통해 압착이 완료된 평탄 상태의 반죽물을 중량 단위별로 균등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구획 설치된 다수의 절단칼(71)을 포함한다.
그리고 반죽물 분할 절단기(7)는 제2 컨베이어(400)의 프레임(401) 양단으로 세워진 브라켓(72)에 대하여 필요시 착탈 가능하게 스프링(73)으로 탄력 설치되며, 일방 축으로는 제6체인부재(7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75)와 맞물리는 종동기어(74)가 설치되어 있다.
반죽물 분할 절단기(7)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기어(75)와의 사이에 걸어진 제6체인부재(76)는 동력수단(4)의 제4체인부재(5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컨베이어(40)의 축(403)에 상호 연결 구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죽물 분할 절단기(7)는 제2컨베이어(400)의 컨베이어 벨트(405)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원활한 반죽물의 절단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컨베이어(400)의 상부로 압착된 상태의 반죽물을 동시에 분할 절단하기 위한 절단칼(71)이 구비된 롤 상의 반죽물 분할 절단기(7)를 회전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줌으로서 반죽물의 압착 및 분할 절단이 하나의 라인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대형 업소에서 반죽물의 다량 압착 작업을 능률적이고 신속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며, 또한 반죽물 재료의 특성에 맞추어 압착 두께의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컨베이어의 상부 접힘이 가능하여 작업완료 후 여분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고 프레임의 분리로 인한 운반 취급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죽물 분할 절단기를 더 설치함으로서 반죽물의 압착은 물론 절단이 하나의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변경이 얼마든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1. 이동용 캐스터(11) 및 받침틀(12)이 구비된 기체(1)와;
    상기 기체(1)의 상부 받침틀(12) 사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롤러(2)와;
    상기 받침롤러(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죽물을 소정의 두께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롤러(3)와;
    상기 받침롤러(2)의 양측으로 분할 배치되고, 압착 전 후의 반죽물을 소정의 속도로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이송수단(4); 및
    상기 받침 및 압착롤러(2,3)와 이송수단(4)을 반죽물의 압착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수단(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은 압착 전후의 반죽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하여 완충기(쇽업쇼바)(42,402)로 받침되는 프레임(41,401)과, 상기 각 프레임(41,401)의 양 축(43,44,403,404)으로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걸어지고 반죽물의 이송 방향으로 각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45,405)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컨베이어(40,400)는 기체(1)의 받침틀(12)에 유설된 축(46,406)을 중심으로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1,401)으로는 상부 접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틀(12)의 각 걸이봉(13)에 각기 걸어지는 걸고리(47,407)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의 각 컨베이어 벨트(45,405)와 축(43,44,403,404)으로는 가이드 편(45a,405a)과 가이드 홈(43a,44a,403a,404a)을 대응 형성하여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40,400)의 각 프레임(41,401)은 기체(1)의 받침틀(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커버판(48)으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3)는 핸들(30) 조작으로 상기 받침롤러(2)에 대하여 반죽물의 압착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3)는 핸들 축(31)의 일방으로 설치된 핸들(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핸들 축(31)의 양 단부에 축 홈(32a)이 편심되게 설치된 회동판(32)이 편심 회동하는 것에 의해 기체(1)의 받침틀(12)로 형성된 승강용 가이드 홈(14)에 압착롤러(3)가 관통 삽설된 압착롤러 가이드(33)가 상기 회동판(32)과 상기 압착롤러 가이드(33)에 동 축상으로 고정된 플렌지(34)에 대하여 상호 회동 조작 가능하게 유설 된 승강 조작판(36)이 상기 회동판(32)의 축 홈(32a) 편차거리(h) 범위 내에서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승강 조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동력수단(5)은, 하나의 모터(50)와 감속기(51) 및 기어박스(52) 및 상기 모터(50)의 동력을 기어박스(52)와 받침롤러(2)와 압착롤러(3), 각 컨베이어 벨트(45,405)에 각기 전달하여 동시에 반죽물의 압착 이송방향으로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체인부재(52,54,55,56,57)로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및 압착롤러(2,3)로는 반죽물의 압착 이동시 각 롤러(2,3)의 외주면으로 달라붙게 되는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블레이드(27,37)가 스프링(28,38)으로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3)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37)는 고정대(39)를 중심으로 상기 압착롤러(3)와 동시에 승강 조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1)의 받침틀(12)로는 압착 전후의 반죽물을 안정하게 이송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틀(1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의 제2컨베이어(400)로는 상기 동력수단(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반죽물의 배출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서 소정의 두께로 압착된 반죽물을 일정한 중량 단위별로 연속 절단하기 위하여 다수의 절단칼(71)이 롤 상으로 구획 설치된 반죽물 분할 절단기(7)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 분할 절단기(7)는 제2컨베이어(400)의 프레임(401)에 설치된 브라켓(72)에 대하여 착탈자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압착장치.
KR1020020016835A 2002-03-27 2002-03-27 반죽물 압착장치 KR20030077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835A KR20030077875A (ko) 2002-03-27 2002-03-27 반죽물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835A KR20030077875A (ko) 2002-03-27 2002-03-27 반죽물 압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131U Division KR200277949Y1 (ko) 2002-03-27 2002-03-27 반죽물 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875A true KR20030077875A (ko) 2003-10-04

Family

ID=3237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835A KR20030077875A (ko) 2002-03-27 2002-03-27 반죽물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589A (ko) * 2014-03-28 2015-10-07 주식회사대한기계 벨트식 빵가루 코팅기의 벨트 변형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1998U (ko) * 1975-03-08 1976-09-10
KR880000015A (ko) * 1986-06-18 1988-03-23 도라히꼬 하야시 크로와쌍 반죽물 롤링 장치 및 방법
KR200226701Y1 (ko) * 2001-01-18 2001-06-15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제빵용 틀의 콘베어 벨트 장치
KR20010087500A (ko) * 2000-03-07 2001-09-21 이상복 제빵용 반죽 압연기
JP2001321061A (ja) * 2000-05-17 2001-11-20 Kojima Press Co Ltd 生地延ばし装置
KR200274689Y1 (ko) * 2002-02-08 2002-05-04 유병권 전동형 제면기의 반죽롤러 간격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1998U (ko) * 1975-03-08 1976-09-10
KR880000015A (ko) * 1986-06-18 1988-03-23 도라히꼬 하야시 크로와쌍 반죽물 롤링 장치 및 방법
KR20010087500A (ko) * 2000-03-07 2001-09-21 이상복 제빵용 반죽 압연기
JP2001321061A (ja) * 2000-05-17 2001-11-20 Kojima Press Co Ltd 生地延ばし装置
KR200226701Y1 (ko) * 2001-01-18 2001-06-15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제빵용 틀의 콘베어 벨트 장치
KR200274689Y1 (ko) * 2002-02-08 2002-05-04 유병권 전동형 제면기의 반죽롤러 간격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589A (ko) * 2014-03-28 2015-10-07 주식회사대한기계 벨트식 빵가루 코팅기의 벨트 변형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97287B (zh) 一种切菜装置
CN201792363U (zh) 一种新型多用切菜机
CN106863445B (zh) 上下切菜装置
CN210901150U (zh) 一种速冻面坯的擀皮装置
CN211362972U (zh) 一种建筑加气块的快速分割装置
KR200277949Y1 (ko) 반죽물 압착장치
KR20030077875A (ko) 반죽물 압착장치
CN215913142U (zh) 一种多功能切肉机
CN111923969B (zh) 建材板料输送装置
CN212552025U (zh) 一种用于轻质金属网板的剪板机
CN210339243U (zh) 一种清洁型粒料输送装置
CN110050803B (zh) 一种压面机
CN211101919U (zh) 一种板材切割机
CN208258888U (zh) 披萨生产线废饼料导出组件
CN210445476U (zh) 饼坯制作装置
CN209794701U (zh) 一种纸箱清废装置
CN209399373U (zh) 一种具有切割功能的危废物焚烧给料机
CN208716532U (zh) 一种蜂窝纸板机的收集装置
CN111776604A (zh) 一种能够降低塑料瓶瓶片磨损度的塑料瓶输送装置
CN107322660B (zh) 一种烧烤用面包成片设备
CN219057465U (zh) 一种烟叶提升输送装置
CN220831670U (zh) 一种智能化面条生产用切面落料装置
CN219153114U (zh) 全自动四轴切纸管机
CN111702880B (zh) 一种基于数据分析的圆柱形木材加工设备
CN217262504U (zh) 一种活塞产品自动运输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