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64U -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64U
KR20170003164U KR2020170004545U KR20170004545U KR20170003164U KR 20170003164 U KR20170003164 U KR 20170003164U KR 2020170004545 U KR2020170004545 U KR 2020170004545U KR 20170004545 U KR20170004545 U KR 20170004545U KR 20170003164 U KR20170003164 U KR 201700031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collecting
funnel
converging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연
Original Assignee
김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연 filed Critical 김세연
Priority to KR2020170004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164U/ko
Publication of KR20170003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관; 일정 깊이까지 빈 공간으로 형성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되되 내면이 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 하부는 원형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수렴부 및 상기 받침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수렴부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관으로서 상기 받침관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하관부를 포함하는 집수체; 및 상기 집수체의 수렴부 내면 중 단차 하부에 끼움결합되는 깔대기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가 상기 받침관를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집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교량집수장치{A drain for a bridge}
본 고안은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형의 받침관, 상기 받침관 상단에 결합되는 집수체 및 상기 집수체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깔대기 형상의 집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종래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에 비해 시공의 간편성과 배수의 효율성을 제공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노면에 내리는 빗물이나 노면 청소를 위해 사용되는 물 등을 교량하부로 배수하기 위하여 교량의 노면의 양측에는 교량집수구가 설치된다. 종래의 교량집수구는 상부집수구와 하부관으로 구성되는데, 교량집수구의 설치를 위해서는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할 때 거푸집 중 상기 하부관과 접하는 부분에 천공을 만든 후 콘크리트 타설을 진행하여야 했다. 그 결과 종래의 교량집수구에 대해서는 설치과정에서의 거푸집 천공 작업의 번거로움과 거푸집 재활용이 어려운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몇가지 선행기술들이 제시되었다. 그 가운데 하나는 깔대기 형상의 상부집수구를 배수관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교량집수구를 구성하되, 상기 배수관을 하단부에 내측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외관 및 상기 내측 플랜지에 의해 형성되는 내공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단부에 외측 플랜지가 형성된 내관으로 구성하여 상기 외관의 상부로 삽입된 내관이 상기 외관의 하단에서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할 경우 교량집수구의 설치과정에서 거푸집 천공이 필요 없게 되고, 거푸집의 재활용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집수구의 하단과 상기 배수관의 내관 사이의 이음부가 결합되거나 밀폐되는 형태가 아니어서 배수과정에서 상기 외관의 하단과 상기 내관의 상단 사이의 틈을 통해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경우가 많아 배수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이 또 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조립식으로 구성되되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종래 교량집수구와 비교할 때 시공의 간편성과 배수의 효율성을 제공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하단에 내측으로 플랜지부가 구비된 받침관; 일정 깊이까지 빈 공간으로 형성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되되 내면이 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 하부는 원형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수렴부 및 상기 받침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수렴부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관으로서 상기 받침관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하관부를 포함하는 집수체; 및 깔대기 머리와 깔대기 관이 결합된 깔대기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깔대기 머리는 상기 집수체의 수렴부 내면 중 단차 하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깔대기 관의 하부는 상기 받침관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집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집수체의 수렴부의 내면 중 단차 하부에는 링형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결합 또는 충전된 씰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체의 유입부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덮개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관 중 상기 받침관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깔대기 관의 하부에는 상기 집수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 배수관이 체결되는 체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의 설치시 거푸집의 천공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교량상부슬래브 설계조건에 맞추어 받침관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바 설치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교량하부의 배수관까지의 배수과정에서 물이 새어나갈 틈이 존재하지 않아 안정적인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교량집수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배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교량집수장치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교량집수장치는 받침관(100), 집수체(200) 및 집수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관(100)은 배수를 위해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본 고안에 따른 교량집수체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설치되는데 설치되는 교량상부슬래브의 조건에 따라 상기 받침관(100)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받침관(100)의 하단에 내측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10)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플랜지부(110)는 상기 집수관(300)이 상기 집수체(200)의 수렴부(220) 내면 중 단차 하부에 끼움결합되어 그 하부가 상기 받침관(100)을 통해 돌출될 때 상기 집수관(300)과 상기 받침관(100) 사이의 공간으로 인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110)의 내공의 내경은 상기 집수관(300) 하부의 외경과 같은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체(200)는 일정 깊이까지 빈 공간으로 형성된 유입부(210), 상기 유입부(210)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되되 내면이 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 하부는 원형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수렴부(220) 및 상기 받침관(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수렴부(220)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관으로서 상기 받침관(100)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하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에는 상기 집수체(200)의 수렴부(220)의 내면 중 단차 하부에 링형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결합 또는 충전된 씰링부재(221)가 나타나 있다. 상기 홈 및 상기 씰링부재(221)는 상기 집수관(300)이 상기 집수체(200)의 내면 중 단차 하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해주며, 배수과정에서 물이 상기 집수체(200)와 상기 집수관(300) 사이의 공간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한편, 상기 집수체(200)의 유입부(210)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덮개 걸림턱(211)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상부에 통행안전 및 이물체의 유입방지를 위해 놓여지는 덮개의 고정을 위한 구성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렴부(220)와 상기 집수체(300) 사이의 완전한 밀착과 상기 하관부(230)와 상기 받침관(10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집수관(300)은 깔대기 머리와 깔대기 관이 결합된 깔대기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깔대기 머리는 상기 집수체(200)의 수렴부(220) 내면 중 단차 하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깔대기 관의 하부는 상기 받침관(100)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집수체(200)의 유입부(210)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집수관(300)을 통해 교량하부의 배수관(400)으로 흘러가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체(200)의 수렴부(220)의 내면 중 단차 하부에 링형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결합 또는 충전된 씰링부재(221)로 인하여 상기 집수체(200)와 상기 집수관(300) 사이의 공간으로 물이 새어나가지 않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210)로 유입된 물은 모두 상기 집수관(300) 하부를 통해 교량하부의 배수관(400)으로 안정적으로 유도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집수관 상기 집수관(300) 중 상기 받침관(100)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부분에는 상기 집수관(3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 배수관(400)이 체결되는 체결부(3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310)의 형태는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받침관 110: 플랜지부
200: 집수체 210: 유입부
211: 덮개 걸림턱 220: 수렴부
221: 씰링부재 230: 하관부
300: 집수관 310: 체결부
400: 배수관

Claims (4)

  1. 하단에 내측으로 플랜지부(110)가 구비된 받침관(100);
    일정 깊이까지 빈 공간으로 형성된 유입부(210), 상기 유입부(210)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수렴하도록 형성되되 내면이 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 하부는 원형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수렴부(220) 및 상기 받침관(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수렴부(220)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관으로서 상기 받침관(100)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하관부(230)를 포함하는 집수체(200); 및
    깔대기 머리와 깔대기 관이 결합된 깔대기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깔대기 머리는 상기 집수체(200)의 수렴부(220) 내면 중 단차 하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깔대기 관의 하부는 상기 받침관(100)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집수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집수체(200)의 수렴부(220)의 내면 중 단차 하부에는 링형으로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결합 또는 충전된 씰링부재(2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집수체(200)의 유입부(210)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덮개 걸림턱(2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집수관(300) 중 상기 받침관(100)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깔대기 관의 하부에는 상기 집수관(3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 배수관(400)이 체결되는 체결부(3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KR2020170004545U 2017-08-28 2017-08-28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KR201700031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45U KR20170003164U (ko) 2017-08-28 2017-08-28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45U KR20170003164U (ko) 2017-08-28 2017-08-28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250A Division KR20160146247A (ko) 2015-06-12 2015-06-12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64U true KR20170003164U (ko) 2017-09-11

Family

ID=6057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45U KR20170003164U (ko) 2017-08-28 2017-08-28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1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087B1 (ko) * 2017-10-19 2018-09-10 남궁은 막힘을 개선한 교량 노면 배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087B1 (ko) * 2017-10-19 2018-09-10 남궁은 막힘을 개선한 교량 노면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6247A (ko)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KR20060102831A (ko)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03164U (ko)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JP5735808B2 (ja) 竪樋用継手及びそれを用いた雨樋構造
JP2015105486A (ja) 排水桝
KR200417094Y1 (ko) 원형맨홀
JP2011190617A (ja) 竪樋
JP2008150785A (ja) 縦樋管における雨水流下促進装置
JP2007092296A (ja) 中継用ドレイン装置における雨水噴き出し防止装置
JP6510811B2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KR20200126489A (ko)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KR101562940B1 (ko)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KR101173406B1 (ko) 배관용 슬리브
JP4145934B2 (ja) 樋継手
KR200220668Y1 (ko) 배수트랩 슬리브
JPH07197504A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0755997B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JP2016098582A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JP4317514B2 (ja) 中継用ドレインにおける雨水飛散防止装置
JP4145933B2 (ja) 樋継手
KR200344099Y1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원형 오수받이
KR101052307B1 (ko) 바닥 배수조
JP4321489B2 (ja) 竪樋・排水管トラ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