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602U -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 Google Patents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602U
KR20170002602U KR2020160000131U KR20160000131U KR20170002602U KR 20170002602 U KR20170002602 U KR 20170002602U KR 2020160000131 U KR2020160000131 U KR 2020160000131U KR 20160000131 U KR20160000131 U KR 20160000131U KR 20170002602 U KR20170002602 U KR 201700026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wheelchair
suit
line
disabl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416Y1 (ko
Inventor
박광애
유희천
양창선
박장운
정민석
양정은
배수진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창선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창선,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60000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1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6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자세의 특성을 반영하여 착용자가 편안하게 지낼 수 있고, 휠체어(바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손상이 방지되고 착용이 편안하며 안전이 확보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는, 전면 패턴, 상기 전면 패턴의 측방에 재봉되는 측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의 후방에 재봉되는 후면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의 하단은,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닥으로부터 설정된 제1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Description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SUIT JACKET FOR WHEELCHAIR DISABLED PERSON}
본 고안은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앉아서 지내는 장애인이 휠체어 상에서 착용한 상태로 편안하게 지낼 수 있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장 상의는 전면 패턴과 후면 패턴의 길이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정장 상의를 착용하고 착용자가 서 있는 경우, 전면 패턴과 후면 패턴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한다. 그러나 착용자가 앉는 경우, 전면 패턴은 착용자의 배 부분에서 뭉쳐지면서 불룩하게 튀어나오게 된다.
특히, 앉아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정장 상의를 착용하고 휠체어에 앉아 있는 동안 내내 착용자의 배 부분에서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전면 패턴의 뭉침에 의하여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는 동안 정장 상의의 측면 패턴이 휠체어의 바퀴에 끼일 수 있다. 따라서 정장 상의의 측면 패턴이 손상되거나 착용자가 불편할 수 있고,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서 바퀴를 돌리기 위하여 등을 앞으로 구부리는 경우, 정장 상의의 후면 패턴이 지나치게 긴장되어 등을 구부리는 활동 및 바퀴를 돌리 활동을 불편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자세의 특성을 반영하여 착용자가 편안하게 지낼 수 있고, 휠체어(바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손상이 방지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전면 패턴 및 측면 패턴의 하단을 휠체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 특성에 맞는 길이로 제작하여 착용자를 편안하게 하고, 측면 패턴이 휠체어 바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이 편안하고 안전한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후면 패턴과 소매 패턴에 여유량을 부여하여 등을 구부리는 활동 및 팔을 구부린 자세를 편안하게 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는, 전면 패턴, 상기 전면 패턴의 측방에 재봉되는 측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의 후방에 재봉되는 후면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의 하단은,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닥으로부터 설정된 제1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후면 패턴은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보다 부분적으로 길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패턴의 하단이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덮으면서 상기 휠체어의 바닥으로부터 최소한 설정된 제2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패턴은 가슴선 및 그 상방에서 횡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설정된 여유량을 부여하여 가슴선 위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볼록하게 등 중심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턴에 설정되는 재킷 라펠의 꺾임 위치는 하측의 허리선과 상측의 가슴선 중 상기 가슴선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턴에 구비되는 재킷 단추들 중 최상의 단추 위치는 하측의 상기 허리선과 상측의 상기 가슴선 중 상기 가슴선에 더 근접하고 상기 꺾임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 패턴은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후면 패턴의 하단이 횡 방향 직선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 아래를 덮으면서 상기 휠체어의 바닥으로부터 설정된 제2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턴, 상기 측면 패턴 및 상기 후면 패턴에 재봉되는 소매 패턴은, 팔꿈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횡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여유량을 부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전면 패턴 및 측면 패턴의 하단이 휠체어의 바닥으로부터 제1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전면 패턴이 착용자의 배 부문에서 뭉쳐지지 않고, 또한 착용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지낼 수 있으며, 측면 패턴이 휠체어 바퀴에 끼이지 않으므로 측면 패턴의 손상이 방지되고, 착용이 편안하며,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전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측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후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전면 패턴과 측면 패턴 및 후면 패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소매 패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측면 일 부분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면 패턴과 측면 패턴 및 후면 패턴 일 부분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고안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전면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측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후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는 전면 패턴(1), 측면 패턴(2) 및 후면 패턴(3)을 포함한다. 실선은 본 고안의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10)를 나타내며, 은선은 본 고안과 비교되는 일반 기성복 정장 상의(20)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전면 패턴과 측면 패턴 및 후면 패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실선은 본 고안의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10)의 전면, 측면 및 후면 패턴(1, 2, 3)을 나타내며, 은선은 본 고안과 비교되는 일반 기성복 정장 상의(20)의 전면, 측면 및 후면 패턴(21, 22, 23)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면 패턴(1)은 2개로 구비되어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전면 양측을 형성한다. 측면 패턴(2)은 2개로 구비되어 전면 패턴(1) 각각의 측방에 재봉되어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측면을 형성한다. 후면 패턴(3)은 2개로 구비되어 측면 패턴(2) 각각의 후방에 재봉되고 서로 재봉되어 후면에서 등 중심선(L1)을 형성하여,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후면을 형성한다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전면 패턴(1)과 측면 패턴(2)은 일반 기성복 정장 상의(20)의 전면 패턴(21)과 측면 패턴(22)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전면 패턴(1)과 측면 패턴(2)은 하단을 횡 방향 직선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전면 패턴(1)과 측면 패턴(2)의 하단은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닥(미도시) 기준선(BL)으로부터 설정된 제1높이(H1)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전면 패턴(1)과 측면 패턴(2)의 하단은 휠체어의 바닥 기준선(BL)으로부터 이격되어, 휠체어의 측방 바디 및 바퀴와 간섭되지 않는다. 즉 측면 패턴(2)은 휠체어의 바퀴에 끼이지 않는다.
또한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을 때, 전면 패턴(1)이 착용자의 배 부분에서 뭉치는 현상이 제거되므로 착용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착용 상태의 외관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후면 패턴(3)은 전면 패턴(1) 및 측면 패턴(2)보다 부분적으로 길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즉 후면 패턴(3)은 측면 패턴(2)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후면 패턴(3)의 하단은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닥 기준선(BL)으로부터 제1높이(H1)에서 제2높이(H2)만큼 점진적으로 낮아지면서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후면 패턴(3)은 측면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길어지고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후면 패턴(3)은 하단으로 착용자의 허리를 덮으면서 하단이 휠체어의 바닥 기준선(BL)으로부터 최소한 설정된 제2높이(H2)만큼 이격된다. 즉 후면 패턴(3)의 하단은 측면 부분에서는 높은 제1높이(H1)로 이격되고, 후면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제2높이(H2)로 이격된다.
따라서 후면 패턴(3)의 하단은 휠체어의 바닥 기준선(BL)으로부터 이격되고, 측면에서 휠체어의 바디 및 바퀴와의 간섭이 최대로 방지되고, 바퀴가 위치하지 않는 후면에서 점점 질어지면서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
후면 패턴(3)은 가슴선(L2) 및 그 상방에서 횡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설정된 여유량(G1)을 부여한다. 후면 패턴(3)을 재봉하는 경우, 여유량(G1)은 가슴선(L2) 위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볼록하게 등 중심선(L1)을 형성한다.
볼록한 등 중심선(L1)은 등 부위의 여유량(G1)에 의하여 착용자가 휠체어의 바퀴를 돌리기 위하여 상체 및 등을 앞으로 구부릴 때, 후면 패턴(3) 및 등 중심선(L1)의 긴장을 흡수 완화하므로 등을 구부리는 활동을 편리하게 한다.
전면 패턴(1)에는 재킷 라펠(lapel)(11)이 구비된다. 재킷 라펠(11)은 전면 패턴(1)에서 꺾이는 설정된 꺾임 위치(P1)를 가지게 된다. 이 꺾임 위치(P1)는 하측의 허리선(L3)과 상측의 가슴선(L2) 중 가슴선(L2)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전면 패턴(1)에 재킷 단추들(12)이 구비된다. 재킷 단추들(12) 중 최상의 단추 위치(P2)는 하측의 허리선(L3)과 상측의 가슴선(L2) 중 가슴선(L2)에 더 근접하고, 꺾임 위치(P1)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즉 재킷 단추들(12)이 기성복 정장 상의(20)의 재킷 단추들(24)의 위치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올려져서 배치된다.
재킷 라펠(11)의 꺾임 위치(P1)는 기성복 정장 상의(20)의 재킷 라펠의 꺾임 위치(P11)보다 올려져서 배치되고, 최상의 단추 위치(P2)는 기성복 정장 상의(20)의 최상의 단추 위치(P21)보다 올려져서 배치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재킷 라펠(11)이 벌어지지 않게 된다. 즉 휠체어 장애인이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를 착용하고 휠체어에 앉아있을 때, 착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소매 패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10)는 소매 패턴(4)을 더 포함한다. 소매 패턴(4)은 전면 패턴(1), 측면 패턴(2) 및 후면 패턴(3)에 재봉된다.
예를 들면, 소매 패턴(4)은 전면 패턴(1)과 후면 패턴(3)에 재봉되는 외측 패턴(41)과, 측면 패턴(2)에 재봉되는 내측 패턴(42)를 포함한다. 외측 패턴(41)과 내측 패턴(42)은 상호 재봉되어,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소매를 형성한다.
소매 패턴(4)은 팔꿈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횡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여유량(G2)을 부여한다. 여유량(G2)은 외측 패턴(41)과 내측 패턴(42)에 동일하게 부여될 수 있다.
소매 패턴(4)에서 팔꿈치의 여유량(G2)은 팔꿈치 대응 부위를 절개하여 상하 방향으로 벌려줌으로써 팔꿈치 대응 부위의 긴장을 완화 및 흡수하므로 구부려진 팔꿈치를 편안하게 해 줄 수 있다. 즉 거의 대부분 팔을 구부린 상태로 있는 휠체어 장애인이 본 고안의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10)를 착용하고 있을 때 팔꿈치가 당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의 측면 일 부분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전면 패턴과 측면 패턴 및 후면 패턴 일 부분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50)에서, 전면 패턴(51) 및 측면 패턴(52)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후면 패턴(53)은 전면 패턴(51)과 측면 패턴(5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전면 패턴(51) 및 측면 패턴(52)은 장애인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을 때, 착용자의 배 부분에서 전면 패턴(51)이 뭉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후면 패턴(53)의 하단은 횡 방향 직선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 아래를 덮으면서 휠체어의 바닥 기준선(BL)으로부터 설정된 제2높이(H22)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후면 패턴(53)은 장애인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렸을 때, 허리 아래 부분을 충분히 덮어 줌으로써 바지 밑 속옷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고안의 설명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21, 51: 전면 패턴 2, 22, 52: 측면 패턴
3, 23, 53: 후면 패턴 4: 소매 패턴
10, 50: 장애인용 정장 상의 11: 재킷 라펠(lapel)
20: 일반 기성복 정장 상의 24: 재킷 단추
BL: 휠체어의 바닥 기준선 G1, G2: 여유량
H1: 제1높이 H2, H22: 제2높이
L1: 등 중심선 L2: 가슴선
L3: 허리선 P1, P11: 꺾임 위치
P2: 최상의 단추 위치

Claims (8)

  1. 전면 패턴;
    상기 전면 패턴의 측방에 재봉되는 측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의 후방에 재봉되는 후면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의 하단은
    착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휠체어의 바닥으로부터 설정된 제1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턴은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보다 부분적으로 길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턴의 하단이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덮으면서 상기 휠체어의 바닥으로부터 최소한 설정된 제2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턴은
    가슴선 및 그 상방에서 횡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설정된 여유량을 부여하여 가슴선 위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볼록하게 등 중심선을 형성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턴에 설정되는 재킷 라펠의 꺽임 위치는
    하측의 허리선과 상측의 가슴선 중 상기 가슴선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턴에 구비되는 재킷 단추들 중 최상의 단추 위치는
    하측의 상기 허리선과 상측의 상기 가슴선 중 상기 가슴선에 더 근접하고 상기 꺾임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 패턴은 상기 전면 패턴 및 상기 측면 패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후면 패턴의 하단이
    횡 방향 직선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 아래를 덮으면서 상기 휠체어의 바닥으로부터 설정된 제2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턴, 상기 측면 패턴 및 상기 후면 패턴에 재봉되는 소매 패턴은
    팔꿈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횡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여유량을 부여하는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KR2020160000131U 2016-01-08 2016-01-08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KR200484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31U KR200484416Y1 (ko) 2016-01-08 2016-01-08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31U KR200484416Y1 (ko) 2016-01-08 2016-01-08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02U true KR20170002602U (ko) 2017-07-19
KR200484416Y1 KR200484416Y1 (ko) 2017-09-20

Family

ID=5939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31U KR200484416Y1 (ko) 2016-01-08 2016-01-08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1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297U (ko) * 1990-01-26 1991-10-11
JPH10102302A (ja) * 1996-08-06 1998-04-21 Hanabishi Hosei Kk 男性・女性用上衣の釦及びポケットの配設方法、並びに該上衣の作製方法
JP2010059584A (ja) * 2008-09-05 2010-03-18 Excellence Fujisawa:Kk 車椅子利用者用上着
KR101225040B1 (ko) * 2010-06-26 2013-01-22 주식회사 혜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 기능이 있는 환자복
JP3198297U (ja) * 2015-04-14 2015-06-25 ハイドサイン株式会社 衣服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297B2 (ja) * 1992-11-27 2001-08-13 経済産業省産業技術総合研究所長 苛性ソーダ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297U (ko) * 1990-01-26 1991-10-11
JPH10102302A (ja) * 1996-08-06 1998-04-21 Hanabishi Hosei Kk 男性・女性用上衣の釦及びポケットの配設方法、並びに該上衣の作製方法
JP2010059584A (ja) * 2008-09-05 2010-03-18 Excellence Fujisawa:Kk 車椅子利用者用上着
KR101225040B1 (ko) * 2010-06-26 2013-01-22 주식회사 혜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 기능이 있는 환자복
JP3198297U (ja) * 2015-04-14 2015-06-25 ハイドサイン株式会社 衣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416Y1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798B2 (en) Undergarment and gusset therefor
US4785480A (en) No-bind pants with seamless crotch
JP6696661B2 (ja) 衣料の上半身部
KR100734557B1 (ko) 팬티
EA032601B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нятия мокрой спортивной одежды
JP3206093U (ja) 車椅子使用者用のズボン
KR200484416Y1 (ko)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상의
JP4783415B2 (ja) 股部を有する衣類
US6253377B1 (en) Chaps
JP2005206949A (ja) ワイヤレスブラジャー
EP1555900A1 (en) Garment for motorcyclists with improved comfort
US20060286900A1 (en) Upper body controlling and smoothing bodysuit
KR20110063946A (ko) 목 보호대
JP6562824B2 (ja) 腰痛保護帯付きズボン
JP5524770B2 (ja) インナーウエア
JPH07207502A (ja) 婦人用ショーツ
KR101898275B1 (ko) 유니폼
JP3904549B2 (ja) 腰の曲がった人の介護ズボン
KR200484078Y1 (ko) 휠체어 장애인용 정장 하의
JP6697814B1 (ja) カップを備える運動用女性下着
JP3499867B1 (ja) スカート及びその製作方法
CN220384322U (zh) 一种防晒服
JP2010059584A (ja) 車椅子利用者用上着
JP6765089B2 (ja) 下衣
JP3216418U (ja) 車椅子使用者用のス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