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75B1 - 유니폼 - Google Patents

유니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275B1
KR101898275B1 KR1020170057044A KR20170057044A KR101898275B1 KR 101898275 B1 KR101898275 B1 KR 101898275B1 KR 1020170057044 A KR1020170057044 A KR 1020170057044A KR 20170057044 A KR20170057044 A KR 20170057044A KR 101898275 B1 KR101898275 B1 KR 101898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waist
material cloth
upper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광어패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광어패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광어패럴
Priority to KR102017005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9/00Uniforms; Parts or accessories of unifor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5/00Trouser supports attached to the shirt, waistcoa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착용부의 전면, 배면 및 측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재료천 및 착용자의 신체부위와 직접 맞닿는 제2재료천을 포함하는 상의; 및 착용자의 하체를 둘러싸는 하체착용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하체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조절부 및 상기 탄성조절부를 덮어 가릴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하의를 포함하는 유니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니폼은 신체부위 중 컴플렉스를 가질 수 있는 복부와 허리 등의 부위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또한, 착용자의 편의에 따라 의복의 형태를 자유로이 변형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의복의 유연한 움직임으로 편의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유니폼{UNIFORM}
본 발명은 유니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착용부의 전면, 배면 및 측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재료천 및 착용자의 신체부위와 직접 맞닿는 제2재료천을 포함하는 상의; 및 착용자의 하체를 둘러싸는 하체착용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하체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조절부 및 상기 탄성조절부를 덮어 가릴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하의를 포함하는 유니폼에 관한 것이다.
영어의 유니폼(uniform)은 원래 라틴어의 우누스(un us:하나의)와 포르마(forma:형태)에서 생긴 합성어로서 일정한 형태나 외양을 가리킨다. 보통 의복을 지칭하는 용어로서의 유니폼은 제복을 의미하는 단어로, 자유복과 달리 목적하는 바에 따라 특정한 형태와 필요한 장식 및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특색을 가지는 복장을 통칭한다. 유니폼은 군복, 관복, 종교복, 의례복, 경기용 운동복, 학생복 등에서 찾을 수 있었으며, 근래에는 기업에서도 업종에 알맞은 근무복이나 제복을 지정하는 경우도 있다.
근무복으로서의 유니폼의 경우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진 착용자들이 모두 편안하게 착탈 및 근무할 수 있도록 신체부위별 조절 가능성 및 착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일반적인 유니폼의 경우,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하기 위한 기능이 미약하며, 많은 현대인들이 고민할 수 있는 복부비만 등에 의해 작업시 불편함을 유발할 수도 있었다.
또한, 신체 활동이 많은 근무자들이 주로 착용하는 유니폼의 경우에는 착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상의와 하의가 분리되어 허리 부분이 겉으로 드러나는 등 불편함도 유발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나는 체형별 컴플렉스 부위를 효과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착용자의 상하체 체형을 보완할 수 있고, 근무시 신체 부위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노출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유니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부위 중 컴플렉스를 가질 수 있는 부분을 적절히 커버하면서도, 착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착용감 및 활동성이 우수한 유니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착용부의 전면, 배면 및 측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면을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재료천 및 착용자의 신체부위와 직접 맞닿는 제2재료천을 포함하는 두 겹의 직물소재로 구성하여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상의; 및 착용자의 하체를 둘러싸는 하체착용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조절부 및 탄성조절부를 덮어 가릴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하의;를 포함하는 것인 유니폼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재료천 및 제2재료천은 동일한 소재이며, 제1재료천의 크기가 제2재료천의 크기보다 넓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전면 가슴부위, 측면 허리부위, 전면 배부위, 후면 등부위 및 이들의 혼합부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위에 입체감을 가지는 주름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상의 상체착용부 하단에 허릿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1개 내지 5개의 단추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의에 하체착용부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니폼은 신체부위 중 컴플렉스를 가질 수 있는 복부 등의 부위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또한, 착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 및 활동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 중 상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 중 하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 중 상의와 하의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을 도 1 내지 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한 도면의 형태에 국한되는 것만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겹의 원단을 포함함으로써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상의와 적어도 2가지 종류의 허리조절 부위를 포함하는 하의를 포함하는 유니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 중 상의(1100)의 모식도이다.
상의(1100)는 상체착용부(1110), 소매부(1120) 및 허릿단부(1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의(1100)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착용부(1110)의 전면, 배면 및 측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면을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재료천 및 착용자의 신체부위와 직접 맞닿는 제2재료천을 포함하는 두 겹의 직물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체착용부(1110)는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의(1100)의 부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목과 어깨, 가슴과 등 및 허리까지를 전반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옷감부위를 지시할 수 있다. 상체착용부(1110)는 카라부(1111), 착용 본판부(1112), 전면 주름부(1113), 허리 주름부(111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라부(1111)는 상의(1100)의 목둘레부분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의(1100)에서 다른 소재로 한겹 더 덧대어지는 부위일 수도 있고, 단순히 상체착용부(1110)의 옷감을 감침질하여 심플하게 마감함으로써 착용자의 넥 형태에 맞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카라부(1111)의 형태는 라운드형, v넥형, u넥형, 단추형, 지퍼형, 레이스형, 시보리형 등 여러 가지 형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카라부(1111)는 다른 상체착용부(1110), 예를 들어 착용 본판부(1112)와 같은 색상 및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색상 및 소재를 사용하여 디자인적인 심미성을 높일 수도 있다.
착용 본판부(1112)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착용부(1110)에서 카라부(1111)와 동일한 소재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상체 전면부 및 배면부를 감싸거나, 상이한 소재를 가져 별도로 구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착용 본판부(1112)는 상체착용부(1110)과 같이 전면, 배면 및 측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면을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재료천 및 착용자의 신체부위와 직접 맞닿는 제2재료천을 포함하는 두 겹의 직물소재로 구성하여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착용 본판부(1112) 전체가 두 겹의 직물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재료천 및 제2재료천은 동일한 소재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상의의 경우 제1재료천에 해당하는 겉감과 제2재료천에 해당하는 안감이 서로 다른 색상 및 다른 소재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두 겹의 직물이 같은 소재를 가짐으로써 착용자의 신체부위나 속옷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1재료천으로 주로 형성되는 주름부에 있어서, 제1재료천이 절개되어 내부의 제2재료천이 겉으로 드러나더라도 안감소재와 같은 얇은 직물에 의해 절개부위가 도드라져서 부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제1재료천의 크기는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제2재료천의 크기보다 넓은 면적을 차지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부위 표면외관에 입체감을 가지는 부위, 즉 주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체감을 가지는 주름부는 전면 가슴부위, 측면 허리부위, 전면 배부위, 후면 등부위 및 이들의 혼합부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위일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주름부의 일 실시예로써 전면 주름부(1113) 및 허리 주름부(1114)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주름부는 상기 도 1의 전면 주름부(1113) 및 허리 주름부(1114) 형태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 전면 주름부(1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재료천이 카라부(1111)로부터 착용 본판부(1112)의 세로방향으로 길게 겹쳐짐으로써 착용자의 가슴 및 상복부 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입체감을 부여한 부위일 수 있다. 전면 주름부(1113)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고, 도 1과 같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부위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어 입체감을 부여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허리 주름부(1114)는 상체 착용부(1110) 또는 착용 본판부(1112)의 측면 허리부위의 적어도 일면에 존재하는 부위로, 제1재료천이 착용자의 허리를 기준으로 세로방향, 가로방향 또는 이들이 하나 이상 포함된 복합형태로 주름을 형성하여 허리 부위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착용자의 허리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의 주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허리 둘레를 보다 잘록하고 입체적으로 보이게끔 심미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가로방향의 주름은 착용자의 허리길이의 단차를 보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의(1110)는 제1재료천을 이용한 주름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착용자가 가슴, 허리, 배와 등 등의 신체부위의 비만, 형태, 길이 등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불편함이나 컴플렉스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형태로 전면 가슴부위 주름부, 전면 배부위 주름부, 후면 등부위 주름부가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상체착용부(1110)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1재료천과 제2재료천을 재봉하는 과정에서, 봉제지점에 테이프를 삽입하여 재봉함으로써 바늘 구멍을 최소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제지점에 테이프를 삽입하는 방법은 봉제지점의 바늘구멍을 최소화함으로써 심미성을 높일 수 있고, 옷감이 벌어지며 발생할 수 있는 바늘구멍을 통한 보온성 약화나 노출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를 삽입하는 방법을 통해 봉제지점을 보강하여 제1재료천과 제2재료천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다.
소매부(1120)는 상체착용부의 어깨부위와 연결되며, 착용자의 어깨부터 손목까지의 양 팔 부위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부분을 통칭할 수 있다. 소매부(1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긴소매 뿐만 아니라, 짧은소매, 민소매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심미성을 위해 기본 소매 형태 이외에도 퍼프소매나 어깨부위에 케이프형태의 덧소매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소매부(1120)는 한 겹 또는 두 겹 이상의 직물소재로 제작할 수 있으며, 두 겹 이상의 소재를 사용할 경우, 이들 소재는 서로 같거나 다른 소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매부(1120)의 소재는 상체착용부(1110) 및 허릿단부(1130)과 같거나 다른 직물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색상 또한 상체착용부(1110) 및 허릿단부(1130)과 같거나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복으로서 편의성을 위해 소매 끝단을 시보리 소재나 밴드 소재 등의 탄성소재로 덧대어 고정력을 높이는 가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복을 활용하는 용도에 따라 방오가공, 방진가공, 방염가공 및 방수가공 등을 더 포함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안전성을 부가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허릿단부(1130)는 상체착용부(1110)의 아랫부분, 즉 착용자의 허리와 복부를 둘러싸는 부분을 감싸는 상의(1100)의 말단부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허릿단부(1130)는 상체착용부(1110)과 연결되는 허리부분의 둘레 보다 상의(1100)의 말단부분의 둘레가 같거나 길게 형성됨으로써, 허리가 보다 잘록하게 보일 수 있다. 또한, 허릿단부(1130)의 말단부분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복부의 형태를 적절하게 가려줌으로써 착용자의 신체형태를 보완할 수도 있고, 쪼그리고 앉거나 팔을 들어올릴 때 상의와 하의 사이가 과도하게 벌어짐으로써 착용자의 신체부위가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상의(1100)는 여성용, 남성용 및 유니섹스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성용으로 제작되는 것일 수 있으며, 여성용으로서의 상의(1100)는 상체착용부(1110)의 전면 가슴부위에 두 겹의 직물소재를 겹쳐 입체감을 가짐으로써 비침을 방지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성용으로서의 상의(1100)는 허릿단부(1130)의 윗부분, 즉 상체착용부(1110)와 맞닿은 허리부분의 너비보다 아랫부분, 즉 상의(1100)의 끝부분의 너비가 더 넓게 제작됨으로써 자연스러운 러플형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어 심미성 및 하복부의 효과적인 커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 중 하의(1200)의 모식도이다.
하의(1200)는 하체착용부(1210) 및 다리부(1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하의(1200)는 착용자의 하체, 특히 허리와 복부를 둘러싸는 하체착용부(1210)과 다리부(1220)로 구성되며, 상기 하체착용부(1210)의 적어도 일면에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하체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조절부(1212) 및 상기 탄성조절부(1212)를 덮어 가릴 수 있는 커버부(12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체착용부(1210)는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를 둘러싸는 부위를 말한다. 특히 하체착용부(1210)는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 신체부위의 형태에 맞게 형태와 길이 등을 조절하여 착용자가 보다 편하게 하의(1200)를 착탈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부위이며, 또한 착용자가 하의(1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일 때에 하의(1200)가 흘러내리거나 올라감으로써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허리의 일정 위치에 하의(1200)를 고정할 수 있는 부위를 통칭한다. 하체착용부(1210)는 주 허리조절부(1211), 탄성조절부(1212), 커버고정 단추(1213), 커버부(1214) 및 커버고정 단춧구멍(1215)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주 허리조절부(1211)는 일반적인 하의(1200)에서 하체착용부(1210)에 포함될 수 있는 지퍼, 단추, 벨크로, 벨트, 밴드, 시보리, 고무줄, 허리끈 및 이들이 하나 이상 복합화된 부분을 말한다. 주 허리조절부(1211)는 착용자가 하의(1200)를 착탈하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형태 및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주 허리조절부(1211)는 하체착용부(1210)의 전면부, 측면부, 후면부 및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된 부분에 존재하여 착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면부에 존재하는 것이 착용자가 조절부의 잠금 등을 눈으로 확인하기에 좋다.
탄성조절부(1212)는 하체착용부(1210)의 적어도 일면에 주 허리조절부(1211)와 별개로 존재하여 착용자의 하복부 둘레 형태에 따라 하의의 둘레 길이를 더욱 조절하는 부위이다. 작업복으로서의 유니폼 하의는 착용자가 움직이고 숨쉬는데 편한 것이 가장 큰 목적 중 하나인데, 신체활동이 많은 작업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신체치수보다 큰 유니폼을 선택하여 이동에 용이함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착용자의 신체치수보다 큰 유니폼을 선택할 경우에도 하의(12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 허리조절부(1211)와 별개로 탄성조절부(1212)를 구비함으로써 허리 둘레를 고정하는 기능을 보강할 수 있다. 탄성조절부(1212)는 벨트, 밴드, 시보리, 고무줄 등 탄성을 가지고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성질을 가진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소재는 어느 것이나 차용할 수 있다.
커버부(1214)는 탄성조절부(1212)의 주름부위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체착용부(1210)과 같은 소재의 옷감을 한겹 덧대어 고정할 수 있는 부위로, 커버고정 단추(1213) 및 커버고정 단춧구멍(1215)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탄성조절부(1212)의 표면에 덧대어진 천 부분을 포함한다. 커버부(1214)의 일 면은 하체착용부와 봉제되어 있으며, 다른 일면에는 단추 또는 단춧구멍이 형성되어 탄성조절부(1212)를 덮은 후 고정하여 이동에 의해 드러나지 않게 할 수 있다. 커버부(1214)는 1개 내지 5개의 단추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커버부(1214)의 1 내지 5개의 단추 및 단춧구멍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고정 단추(1213) 부위와 커버고정 단춧구멍(1215) 부위로 세분화하여 살펴볼 수 있다.
커버고정 단추(1213)와 커버고정 단춧구멍(1215)은 서로 대응하는 부위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214)에 커버고정 단춧구멍(1215)이 형성될 경우에는 탄성조절부(1212)의 일 단면에서 연장되는 하체착용부(1210)에 커버고정 단추(1213)가 1개 내지 5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 포함 됨으로써 커버부(1214)를 고정시킨다. 반대로 커버부(1214)에 커버고정 단추(1213)가 1개 내지 5개 형성될 경우에는 탄성조절부(1212)의 일 단면에서 연장되는 하체착용부(1210)에 커버고정 단춧구멍(1215)이 형성됨으로써 커버부(1214)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리부(1220)는 하체착용부(1210)과 연결되어 착용자의 다리를 감쌀 수 있는 원통형 부위를 통칭한다. 다리부(1220)는 착용자의 골반부터 발목까지 이르는 긴하의 또는 착용자의 무릎이나 허벅지부위까지 덮는 반하의 등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리부(1220)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착용자의 두 다리를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원통형 부위, 즉 바지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 다리를 한꺼번에 감싸는 하나의 원통형 치마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형인 치마바지형태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 중 상의(1100)와 하의(1200)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상의(1100)와 하의(1200)가 별도로 구비된 유니폼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들 상의(1100)와 하의(1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의(1100)와 하체착용부(121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허릿단부 안감(1115)은 상의(1100)의 전체 안감으로 허릿단부(1130)까지 연장되어 존재하는 안감이거나, 상체착용부(1110)의 허리 하단부분에서부터 봉제됨으로써 허릿단부(1130) 내부에만 존재하는 안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허릿단부 안감(1115)에 하체착용부(12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고정 단추(1213)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는 단춧구멍의 형태를 가지는 상하의 연결부(11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3의 모식도와 같이 상하의 연결부(1116)를 허릿단부 안감(1115)에 형성된 단춧구멍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끈, 멜빵, 지퍼, 벨크로, 집게 등 여러 형태의 상하의 연결부(11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하의 연결부(1116)는 유니폼의 겉면에 드러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니폼의 내면에 존재함으로써 상의(1100)의 주름부(1113, 1114)나 허릿단부(1130)와 같은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는 부위를 겉으로 드러낼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유니폼의 내면에 상하의 연결부(1116)을 가지는 경우에는, 허릿단부(1130)를 통해 상하의 연결부(1116) 및 하체착용부(1210)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므로, 유니폼이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깔끔하게 처리될 수 있다.
1100 : 상의
1110 : 상체착용부 1111 : 카라부
1112 : 착용 본판부 1113 : 전면 주름부
1114 : 허리 주름부 1115 : 허릿단부 안감
1116 : 상하의 연결부 1120 : 소매부
1130 : 허릿단부
1200 : 하의
1210 : 하체착용부 1211 : 주 허리조절부
1212 : 탄성조절부 1213 : 커버고정단추
1214 : 커버부 1215 : 커버고정단춧구멍
1220 : 다리부

Claims (5)

  1.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착용부 및 상기 상체착용부 하단에 허릿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착용부 및 상기 허릿단부의 전면, 배면 및 측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재료천 및 착용자의 신체부위와 직접 맞닿는 제2재료천을 포함하는 상의;
    착용자의 하체를 둘러싸는 하체착용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하체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조절부 및 상기 탄성조절부를 덮어 가릴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하의; 및
    상기 상의와 상기 하체착용부가 연결될 수 있는 상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착용부의 상기 제1재료천이 상기 제2재료천보다 넓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전면 가슴부위, 측면 허리부위, 전면 배부위, 후면 등부위 및 이들의 혼합부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부위에 입체감을 가지는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릿단부는 상기 상체착용부와 연결되는 허리부분의 둘레 보다 상기 상의의 말단부분의 둘레가 길고,
    상기 상하의 연결부는 상기 허릿단부의 상기 제2재료천에 존재하고,
    상기 제1재료천과 상기 제2재료천 사이의 봉제지점에 테이프가 삽입되어 재봉된 것인 유니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료천 및 상기 제2재료천은 동일한 소재인 것인 유니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1개 내지 5개의 단추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인 유니폼.
  5. 삭제
KR1020170057044A 2017-05-04 2017-05-04 유니폼 KR101898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44A KR101898275B1 (ko) 2017-05-04 2017-05-04 유니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44A KR101898275B1 (ko) 2017-05-04 2017-05-04 유니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275B1 true KR101898275B1 (ko) 2018-09-13

Family

ID=6359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044A KR101898275B1 (ko) 2017-05-04 2017-05-04 유니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0397A (zh) * 2018-11-29 2019-03-19 颍上县艺豪服饰辅料有限公司 一种新型衣服扣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0809A (ja) * 1999-04-06 2000-10-17 Eminent:Kk フリーサイズスラックス
KR200413504Y1 (ko) * 2006-01-11 2006-04-07 이종권 운동복
JP3191996U (ja) 2014-05-09 2014-07-24 株式会社トンボ セーラー服
KR101680039B1 (ko) 2016-07-27 2016-11-28 박형길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니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0809A (ja) * 1999-04-06 2000-10-17 Eminent:Kk フリーサイズスラックス
KR200413504Y1 (ko) * 2006-01-11 2006-04-07 이종권 운동복
JP3191996U (ja) 2014-05-09 2014-07-24 株式会社トンボ セーラー服
KR101680039B1 (ko) 2016-07-27 2016-11-28 박형길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니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0397A (zh) * 2018-11-29 2019-03-19 颍上县艺豪服饰辅料有限公司 一种新型衣服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9150B2 (en) Trousers with multilayer internal abdominal support panels
US10278432B2 (en) Body shaping garment
US11178925B2 (en) Garment with compression panels
CA2949199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tension in garments and method of use
US9044052B2 (en) Unitary garment
WO2013157676A1 (ko) 올인원
RU2528161C1 (ru) Костюм для людей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двигатель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инвалидов-колясочников)
KR101898275B1 (ko) 유니폼
US20160007657A1 (en) Bodysuit apparel
KR102133839B1 (ko) 바지용 허리밴드
KR101250465B1 (ko) 올인원
US3710801A (en) Support garment
US1709177A (en) Garment
GB2588841A (en) An extendable garment
EP3089909B1 (en) Flight suit
CN218942321U (zh) 一种带安全裤的短裙
US11998074B2 (en) Multi-layer swimwear fitment apparatus
KR200494545Y1 (ko) 속옷 일체형 의류
US11617693B2 (en) Protective cast cover
CN212345327U (zh) 一种具备防护功能的防滑西裤
US20230068425A1 (en) Clothing Article with an Obscured Crotch-Area Opening
CN213961848U (zh) 一种具有护膝功能针织服装裤
KR20120040558A (ko) 올인원
JP3213186U (ja) 前合わせカップ付衣料
JP3207619U (ja) 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