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566U - 만빙센서 - Google Patents

만빙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66U
KR20170002566U KR2020160000075U KR20160000075U KR20170002566U KR 20170002566 U KR20170002566 U KR 20170002566U KR 2020160000075 U KR2020160000075 U KR 2020160000075U KR 20160000075 U KR20160000075 U KR 20160000075U KR 20170002566 U KR20170002566 U KR 201700025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ase
cap
ic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966Y1 (ko
Inventor
노명석
Original Assignee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0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6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만빙센서에 관한 것으로, 감지부가 마련된 베이스부; 일단부에는 피감지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된 피가압부가 마련되며, 결합지점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마련되고,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피감지부가 상기 감지부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된 센서로드; 및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내측에 가압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측으로의 회전시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센서캡;을 포함하는 만빙센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만빙센서{FULL ICE SENSOR}
본 고안은 만빙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저장고의 만빙여부를 감지하는 만빙센서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란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인 가정용 냉장고에는 물론 영업용 및 산업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제빙기에는 생산된 얼음을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얼음저장고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얼음저장고에는 생산된 얼음의 저장량을 판단하기 위한, 특히 얼음저장고의 최대저장량에 근접한 수준의 얼음이 저장된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한 만빙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만빙센서에 의해 얼음저장고가 만빙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빙기는 얼음의 추가적인 생산을 중단하여 얼음저장고의 얼음이 최대저장량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얼음저장고의 만빙여부를 판단하는 만빙센서는 제빙기의 추가적인 얼음생산으로 인한 얼음저장고의 최대저장량이 초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얼음의 저장량을 신뢰도 높게 감지하여 제빙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고안은 만빙센서에 관한 것으로, 얼음저장고의 만빙여부 감지에 대한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제빙기의 불필요한 제빙활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만빙센서는 감지부가 마련된 베이스부; 일단부에는 피감지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된 피가압부가 마련되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지점이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결합지점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마련되고,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피감지부가 상기 감지부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된 센서로드; 및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내측에 가압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측으로의 회전시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센서로드가 시소운동하여 상기 피감지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센서캡;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얼음 저장고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캡은 만빙시 얼음에 의해 외부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캡은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며,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로드는 상기 베이스부와의 상기 결합지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상기 일단부의 상기 피감지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감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타단부는 계단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피가압부를 형성하며,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결합지점보다 상기 센서캡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센서로드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결합지점에서 절곡되어 상기 센서캡을 향해 돌출된 상기 피가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센서로드의 회동시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공간에서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가압돌기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센서캡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피가압부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피가압부의 가압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피가압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가압돌기측으로 접근하는 형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센서캡의 회전이 진행될수록 상기 가압돌기에 의한 상기 센서로드의 회전량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센서캡의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센서캡의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센서캡의 회전이 진행될수록 상기 가압돌기에 의한 상기 센서로드의 회전량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센서캡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일단부가 회전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캡에 외부 가압이 작용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감지부에 근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센서캡의 상기 가압돌기에 근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감지부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피감지부는 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만빙센서에 따르면, 얼음저장고의 만빙여부 감지에 대한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제빙기의 불필요한 제빙활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센서로드가 베이스부에 시소운동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일단부에 형성된 피감지부가 타단부에 형성된 피가압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전이동되고, 감지부는 피감지부의 변위 발생을 감지함으로써 얼음저장고의 만빙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한다.
또한, 센서로드의 피가압부는 센서캡의 가압돌기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얼음의 가압에 따라 회동되는 센서캡의 가압돌기에 의한 가압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져 만빙여부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피가압부는 센서로드의 타단부가 계단형상으로 마련되되 힌지결합지점으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됨으로써, 센서로드의 피가압부가 베이스부를 향해 회동되기 위한 공간이 베이스부측에 별도로 마련된 필요가 없어 설계적으로 유리하며, 회동에 대한 베이스부의 간섭이 제거되어 외부 가압시 더 민감하게 회동될 수 있어, 만빙여부 감지에 대한 신뢰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만빙센서를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으로서 얼음에 의한 가압이 있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만빙서를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으로서 얼음에 의한 가압이 발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만빙센서(100)는 도 1 내지 3과 같이, 감지부(125)가 마련된 베이스부(120); 일단부에는 피감지부(205)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20)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된 피가압부(215)가 마련되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지점이 상기 베이스부(12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결합지점(210)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마련되고,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피감지부(205)가 상기 감지부(125)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된 센서로드(200); 및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20)측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내측에 가압돌기(18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120)측으로의 회전시 상기 가압돌기(180)가 상기 피가압부(215)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센서로드(200)가 시소운동하여 상기 피감지부(205)가 상기 감지부(125)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센서캡(160);을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부(120)는 감지부(125)가 마련된다. 베이스부(120)는 바람직하게는 얼음저장고의 벽면에 설치되어 센서로드(200) 및 센서캡(160)의 브라켓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베이스부(120)는 얼음저장고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본 고안의 만빙센서(100)가 얼음저장고의 만빙상태를 감지하는데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감지부(125)는 센서로드(200)에 마련된 피감지부(205)와의 이격수준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감지부(125)의 피감지부(205) 변위 감지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할 내용과 같이 피감지부(205)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도체로 마련되고, 감지부(125)는 자기장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 및 감지부(125)의 형상은 도 2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센서로드(200)는 일단부에 피감지부(205)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20)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된 피가압부(215)가 마련되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지점이 상기 베이스부(12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결합지점(210)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마련되고,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피감지부(205)가 상기 감지부(125)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로드(200)의 일단부는 피감지부(205)가 마련되어 그 회동량으로서 감지부(125)와의 이격수준이 감지부(125)에 의해 감지된다. 특히, 피감지부(205)는 현재 위치를 표상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하기할 내용과 같이 피감지부(205)가 전도체로 마련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감지부(125)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로 마련되어 피감지부(205)의 이격수준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센서로드(200)의 타단부에는 피가압부(215)가 마련된다. 피가압부(215)는 센서캡(160)의 가압돌기(180)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에 해당되는데, 베이스부(120)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피가압부(215)는 베이스부(120)의 반대측에 위치된 센서캡(160)의 가압돌기(180)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가압돌기(180)에 의한 가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피가압부(215)는 센서로드(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센서로드(20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센서로드(200)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베이스부(12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20)의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센서로드(200)의 중앙부가 돌출부에 힌지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즉, 센서로드(200)는 중앙부에 힌지결합지점(210)이 형성되고, 일단부의 피가압부(215)가 가압되어 회동되면, 시소운동을 하여 일단부에 마련된 피감지부(205)가 베이스부(120)의 감지부(125)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소구조에 따라, 가압돌기(180)에 의해 피가압부(215)가 베이스부(120)를 향해 회동되면 피감지부(205)는 반대로 베이스부(120)로부터 멀어지는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베이스부(120)와의 이격거리 변화가 감지부(125)에 의해 감지되면서 얼음저장고의 만빙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센서로드(200)는 시소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얼음저장고의 만빙상태에 따른 외부 가압(얼음에 의한)시 가압방향과 반대로 피감지부(205)가 회동될 수 있어 효과적인 센서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피가압부(215)는 베이스부(120)의 반대측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센서캡(160)의 가압돌기(180)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만빙상태에 따른 가압돌기(180)의 가압에 민감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하여 센서로드(200)의 회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로드(200)의 형상 및 회동상태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얼음저장고의 만빙상태에 따른 외부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피감지부(205)가 감지부(125)와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얼음저장고가 만빙상태에 해당되어 얼음저장고의 상부에 위치된 베이스부(120)측에 얼음에 의한 외부가압이 발생되어 센서로드(200)가 회동되고, 피감지부(205)가 감지부(125)와 이격되어 만빙상태가 감지된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센서캡(160)은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20)측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내측에 가압돌기(18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120)측으로의 회전시 상기 가압돌기(180)가 상기 피가압부(215)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센서로드(200)가 시소운동하여 상기 피감지부(205)가 상기 감지부(125)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캡(160)은 일측이 베이스부(120)와 힌지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얼음저장고의 내부에서 얼음에 의한 외부 가압이 발생되면 힌지결합지점(170)을 중심으로 베이스부(120)를 향해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하기할 내용과 같이 센서캡(160)은 얼음에 의한 외부 가압이 이루어지는 면적을 증대시키고, 베이스부(120)측으로 얼음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120)를 감싸는 덮개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캡(160)은 베이스부(120)를 바라보는 내측에 가압돌기(180)가 마련되고, 가압돌기(180)는 센서캡(160)의 회동에 따라 센서로드(200)의 피가압부(215)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돌기(180)는 센서캡(16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서 기둥형상, 리브형상 내지 산(山)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압돌기(180)는 바람직하게는 센서로드(200)의 피가압부(215)를 마주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데,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의 높이가 본 고안에 따른 만빙센서(100)까지 도달되면, 얼음은 베이스부(120)의 외측을 가압하게 되고, 얼음의 외부 가압에 의해 센서캡(160)은 힌지결합지점(170)을 중심으로 베이스부(120)를 향해 회동되며, 센서캡(160)의 회동에 의해 가압돌기(180) 또한 함께 회동되면서 센서로드(200)의 피가압부(215)를 직접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로드(200)가 그 힌지결합지점(21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피감지부(205)가 감지부(125)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는 것이고, 이로써 얼음저장고의 얼음이 본 고안에 따른 만빙센서(100)가 위치된 높이까지 차오르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만빙상태에 따라 얼음을 가압을 이용하여 센서로드(200)의 피가압부(215)를 향해 돌출된 가압돌기(180)가 직접 피가압부(215)를 가압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만빙에 따른 가압활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피가압부(215) 및 가압돌기(180)가 서로 대면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만빙상태에 대한 감지의 신뢰도가 효과적으로 상승되어 불필요한 제빙활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는 베이스부(12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센서캡(160)의 외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얼음저장고의 만빙에 따른 외부 가압이 발생되기 전으로서 정상상태에 해당되는 센서캡(160)의 위치 및 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만빙상태에서 얼음에 의한 외부 가압에 의해 베이스부(120)를 향해 회동된 센서캡(160)의 위치 및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20)는 얼음저장고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캡(160)은 만빙시 얼음에 의해 외부 가압되도록 마련된다.
얼음저장고가 만빙상태가 되면 제빙기의 제빙활동을 정지시켜 얼음량이 얼음저장고의 저장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베이스부(120) 등은 얼음저장고의 상부로서 만빙상태로 판단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되고, 얼음저장고에 저장되는 얼음의 높이가 베이스부(120)가 위치된 높이로서 만빙상태에 해당되는 높이까지 저장되면, 얼음의 가압에 의해 센서캡(160)이 회동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부(125)가 센서로드(200)의 회동을 파악하여 만빙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는 얼음저장고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얼음저장고의 만빙상태를 신뢰도 높게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제빙기의 불필요한 제빙활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캡(160)은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20)에 힌지결합되며,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힌지결합지점(17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120)측으로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20)의 상단부에는 센서캡(160)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센서캡(160)은 그 상단부가 베이스부(120)의 상단측 돌출부에 힌지결합되어 하단이 베이스부(120)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센서캡(160)의 회동공간이 마련되도록, 센서캡(160)은 외부 가압이 존재하지 않는 정상상태에서 베이스부(120)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외부의 가압이 발생되면 하단이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센서캡(160)은 특별한 장치 없이도 외부 가압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그 자체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으며, 외부 가압이 제거되면 별도의 작용력 없이 자체하중에 의해 외부 가압시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정상상태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 1 내지 2에는 베이스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센서캡(160)의 상부가 힌지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외부 가압이 발생되어 센서캡(160)이 힌지결합지점(17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그 하단이 베이스부(120)측으로 이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200)는 상기 베이스부(120)와의 상기 결합지점(210)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12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상기 일단부의 상기 피감지부(205)가 상기 베이스부(120)의 상기 감지부(125)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20)의 중앙부에는 센서로드(20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센서로드(200)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지점이 베이스부(120)의 중앙측 돌출부에 힌지결합되어 일단부 및 타단부가 함께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이 때, 센서로드(200)의 일단부는 힌지결합지점(210)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바람직하게는 피감지부(205)가 베이스부(120)의 감지부(125)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센서로드(200)는 피감지부(205)에 의해 그 무게중심이 힌지결합지점(210)보다 일단부측에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가압돌기(180)에 의한 가압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별도의 작용력 없이도 감지부(125)가 피감지부(205)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마련된다.
즉, 센서로드(200)는 특별한 장치 없이도 외부 가압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그 자체하중에 의해 회동되어 피감지부(205)가 감지부(125)로부터 이격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압돌기(180)에 의한 가압이 제거되면 별도의 작용력 없이 자체하중에 의해 가압돌기(180)에 의한 가압시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정상상태의 위치로서 피감지부(205)가 감지부(125)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복귀된다.
도 2에는 베이스부(120)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센서로드(200)가 힌지결합된 상태로서 일단부가 힌지결합지점(210)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그 자체하중에 의해 피감지부(205)가 감지부(125)에 근접한 상태로 유지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외부 가압에 의해 회동된 센서캡(160)의 가압돌기(180)에 의해 피가압부(215)가 가압되어 센서로드(200)가 힌지결합지점(21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피감지부(205)가 감지부(125)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200)의 상기 타단부는 계단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피가압부(215)를 형성하며, 상기 피가압부(215)는 상기 센서로드(200)의 상기 결합지점(210)보다 상기 센서캡(16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로드(200)는 그 타단부가 계단형상으로 절곡되어 센서캡(160)의 가압돌기(18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의 피가압부(215)를 형성한다. 이러한 피가압부(215)의 형상이 도 2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피가압부(215)를 구비하여 센서로드(200)의 타단부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유리하며, 자재의 증가 및 중량의 증가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설계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200)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센서로드(200)와 상기 베이스부(120)의 상기 결합지점(210)에서 절곡되어 상기 센서캡(160)을 향해 돌출된 상기 피가압부(21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가압부(215)는 상기 센서로드(200)의 회동시 상기 베이스부(120)의 전방공간에서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로드(200)의 타단부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되되 베이스부(120)와의 결합지점(210)으로부터 센서캡(160)을 향해 절곡되어 피가압부(215)를 형성함으로써, 피가압부(215)의 회동영역이 베이스부(120)의 전방공간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센서로드(200)의 피가압부(215)는 베이스부(120)측의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더라도 가압돌기(180)에 의한 회동시 베이스부(12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센서로드(200)의 피가압부(215)는 회동의 중심이 되는 힌지결합지점(210)으로부터 센서캡(160)측으로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힌지결합을 위해 베이스부(120)의 중앙측에 형성된 돌출부의 돌출수준을 특별히 높이거나 피가압부(215)를 마주하는 베이스부(120)의 일부를 만입되도록 하여 피가압부(215)가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없이, 피가압부(215)가 베이스부(120)의 전방공간에서도 베이스부(120)를 향해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센서로드(200)의 타단부가 힌지결합지점(210)으로부터 센서캡(160)을 향해 절곡되어 피가압부(215)를 형성함으로써 타부재(특히 베이스부(120))에 의한 간섭없이 피가압부(215)의 회동이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고, 피가압부(215) 회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설계가 요구되지 않아 유리한 것이다.
도 2 내지 3에는 센서로드(200)의 타단부가 베이스부(120)와의 결합지점(210)으로부터 센서캡(160)측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베이스부(120)의 전방공간으로서 베이스부(120)와 피가압부(215)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215)는 상기 가압돌기(180)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돌기(180)가 상기 센서캡(160)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피가압부(215)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피가압부(215)의 가압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돌기(180)는 센서캡(160)에 일체로서 구비되어 센서캡(160)과 함께 회동되면서 피가압부(215)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데, 회전이동의 특성상 그 가압지점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돌기(180)의 위치변화에도 지속적으로 가압돌기(180)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피가압부(215)는 센서캡(160)을 마주하는 일정한 면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센서캡(160)의 회동 초기에는 피가압부(215)의 하부측에 가압돌기(180)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며, 센서캡(160)의 회동이 진행되면서 피가압부(215)의 끝단이 피가압부(215)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피가압부(215)에 대한 상대변위를 형성하게 된다.
결국, 피가압부(215)는 센서캡(160)을 마주하는 부분이 면을 이루도록 마련됨으로써, 센서캡(160)의 회동과 함께 이루어지는 가압돌기(180)의 위치 변화에도 불구하고 센서캡(160)의 회동 진행시 지속적으로 가압돌기(180)에 의해 가압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센서캡(160)의 회동 발생 전 또는 센서캡(160)의 회동 초기로서 가압돌기(180)의 끝단이 피가압부(215)의 하부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센서캡(160)의 회동이 진행되어 가압돌기(180)의 끝단이 피가압부(215)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200)의 상기 피가압부(215)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부(120)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가압돌기(180)측으로 접근하는 형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센서캡(160)의 회전이 진행될수록 상기 가압돌기(180)에 의한 상기 센서로드(200)의 회전량이 증대된다.
구체적으로, 피가압부(215)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기울어진 선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돌기(180)측으로 접근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피가압부(215)는 하부보다 상부가 센서캡(160)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가압돌기(180)는 센서캡(160)의 회동진행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센서캡(160)의 상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높이가 점차 증가된다. 이 때, 피가압부(215)의 하부보다 가압돌기(180)와 더 가깝게 위치된 피가압부(215)의 상부는 가압돌기(180)에 의해 가압되는 수준이 그 하부보다 더 상승되는 것이다.
즉, 센서캡(160)의 회동에 의해 베이스부(120)를 향해 이동되는 가압돌기(180)의 변위가 센서로드(200)의 피가압부(215)로 전달되는데, 가압돌기(180)에 의한 가압지점이 피가압부(215)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동되는 바, 피가압부(215)의 돌출수준 또한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할 수록 증가되므로, 결국 가압돌기(180)에 의한 변위전달량은 피가압부(215)의 가압지점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될수록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피가압부(215)의 상부 및 하부의 돌출수준 변화에 따라, 얼음저장고의 만빙에 의한 센서캡(160)의 회동량이 증가될수록 가압돌기(180)에 의한 피가압부(215) 회동량의 증가수준이 상승되고, 피감지부(205)와 감지부(125)의 이격 또한 더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만빙센서(100)의 감지도가 향상되고, 신뢰도가 증가되어 유리한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캡(160)의 상기 가압돌기(180)는 상기 센서캡(160)의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부(120)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센서캡(160)의 회전이 진행될수록 상기 가압돌기(180)에 의한 상기 센서로드(200)의 회전량이 증대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돌기(180)는 바람직하게는 센서로드(200)의 피가압부(215)와 대응되도록 센서캡(160)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며,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을 기준으로 센서캡(160)의 중앙부를 향할수록 센서캡(160)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더 높아지도록 마련된다. 즉, 가압돌기(180)는 상부보다 하부가 베이스부(120)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가압돌기(180)는 센서캡(160)의 회동진행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센서캡(160)의 상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그 위치된 높이가 점차 증가된다. 이 때, 상부보다 하부가 더 돌출되도록 마련된 가압돌기(180)는 센서캡(160)의 회동에 의해 베이스부(120)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점차 증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압돌기(180)는 회동이 진행될수록 피가압부(215)를 향해 돌출된 높이가 증가되면서 피가압부(215)를 가압하는 수준이 더 상승되는 것이다.
즉, 얼음에 의한 외부 가압량이 상승되어 센서캡(160)의 회동이 진행되면 가압돌기(180)에 의한 피가압부(215)의 가압지점은 피가압부(215)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동되고, 가압돌기(180)의 피가압부(215)를 향한 돌출수준 또한 증가되므로, 결국 가압돌기(180)에 의한 변위전달량은 센서캡(160)의 회동이 진행될수록 증가될 수 있다.
결국, 가압돌기(180)의 상부 및 하부 돌출수준 변화에 따라, 얼음저장고의 만빙에 의한 센서캡(160)의 회동량이 증가될수록 가압돌기(180)에 의한 피가압부(215) 회동량의 증가수준이 상승되고, 피감지부(205)와 감지부(125)의 이격 또한 더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만빙센서(100)의 감지도가 향상되고, 신뢰도가 증가되어 유리한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캡(160)은 상기 베이스부(120)의 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센서로드(200)의 상기 일단부가 회전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센서캡(160)은 상기 베이스부(120)의 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얼음이 베이스부(120)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베이스부(120)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면서 그 면적이 증가되는 바, 얼음에 의해 가압되는 면 또한 증가되어 얼음저장고의 만빙시 더 민감하게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센서캡(160)과 베이스부(120) 사이에서 센서로드(200)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바, 센서캡(160)과 베이스부(120)의 사이에는 센서로드(200)의 회전공간이 형성되어야 하고, 특히 센서로드(200)의 일단부로서 피감지부(205)가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센서캡(160)은 내측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외측으로는 얼음에 의한 가압이 용이하도록 마련되되, 내측으로는 센서로드(200)가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1에는 베이스부(120)를 감싸도록 마련된 센서캡(160)의 외부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3에는 센서캡(160)의 단면이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센서캡(160)에 외부 가압이 작용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상기 센서로드(200)의 상기 피감지부(205)는 상기 베이스부(120)의 상기 감지부(125)에 근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피가압부(215)는 상기 센서캡(160)의 상기 가압돌기(180)에 근접하도록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가압부(215)는 가압돌기(180)에 의한 가압 내지 변위전달에 의해 회동되는데, 얼음에 의한 외부 가압 발생시 피가압부(215)가 즉각적으로 반응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피감지부(205)는 정상상태에서 가압돌기(180)의 끝단과 근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감지부(125)에 의한 오감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피감지부(205)는 정상상태에서 감지부(125)에 근접하도록 마련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로서 얼음에 의한 외부 가압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만빙센서(100)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20)의 상기 감지부(125)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로드(200)의 상기 피감지부(205)는 자성체로 구비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피감지부(205)가 현재의 위치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도체로 마련되고, 감지부(125)는 피감지부(205)의 위치 내지 이격수준을 감지하기 위해 자기장의 수준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5)는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25)는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일정수준 이하로 감소된 경우 피감지부(205)가 감지부(125)로부터 일정수준의 이격거리를 형성한 상태로서 얼음저장고가 만빙상태인 것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결국,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감지부(125)와의 이격수준에 따라 감지부(125)측으로 제공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게 되는 전도체로 구성된 피감지부(205)를 마련하고,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종국적으로는 센서캡(160)의 회동량, 즉 얼음저장고의 만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25)를 구비함으로써, 복잡한 구조의 감지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만빙상태를 효과적이고 신뢰성있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20 : 베이스부 160 : 센서캡
200 : 센서로드 215 : 피가압부

Claims (12)

  1. 감지부가 마련된 베이스부;
    일단부에는 피감지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된 피가압부가 마련되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지점이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결합지점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마련되고,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피감지부가 상기 감지부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된 센서로드; 및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내측에 가압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측으로의 회전시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센서로드가 시소운동하여 상기 피감지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센서캡;을 포함하는 만빙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얼음 저장고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센서캡은 만빙시 얼음에 의해 외부 가압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캡은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결합되며,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회동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는 상기 베이스부와의 상기 결합지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상기 일단부의 상기 피감지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감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타단부는 계단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피가압부를 형성하며,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결합지점보다 상기 센서캡에 더 가깝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센서로드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결합지점에서 절곡되어 상기 센서캡을 향해 돌출된 상기 피가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센서로드의 회동시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공간에서 회동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가압돌기를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센서캡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피가압부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피가압부의 가압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피가압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가압돌기측으로 접근하는 형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센서캡의 회전이 진행될수록 상기 가압돌기에 의한 상기 센서로드의 회전량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캡의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센서캡의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센서캡의 회전이 진행될수록 상기 가압돌기에 의한 상기 센서로드의 회전량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캡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일단부가 회전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캡에 외부 가압이 작용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감지부에 근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센서캡의 상기 가압돌기에 근접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감지부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로드의 상기 피감지부는 자성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센서.
KR2020160000075U 2016-01-06 2016-01-06 만빙센서 KR200486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75U KR200486966Y1 (ko) 2016-01-06 2016-01-06 만빙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75U KR200486966Y1 (ko) 2016-01-06 2016-01-06 만빙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66U true KR20170002566U (ko) 2017-07-17
KR200486966Y1 KR200486966Y1 (ko) 2018-07-20

Family

ID=5939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075U KR200486966Y1 (ko) 2016-01-06 2016-01-06 만빙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66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684U (ja) * 1983-03-22 1984-09-28 富士電機株式会社 貯氷槽の貯氷量検出装置
JP2515769Y2 (ja) * 1989-01-09 1996-10-30 ホシザキ電機 株式会社 製氷機の貯氷検知器
JP2722839B2 (ja) * 1991-03-14 1998-03-09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氷売切制御装置
JP2000193351A (ja) * 1998-12-25 2000-07-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貯氷検知装置
JP3110680B2 (ja) * 1996-06-04 2000-11-20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機
KR20050028362A (ko) * 2003-09-17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50033754A (ko) * 2003-10-07 200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100707347B1 (ko) * 2004-09-30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0185612A (ja) * 2009-02-12 2010-08-26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貯氷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684U (ja) * 1983-03-22 1984-09-28 富士電機株式会社 貯氷槽の貯氷量検出装置
JP2515769Y2 (ja) * 1989-01-09 1996-10-30 ホシザキ電機 株式会社 製氷機の貯氷検知器
JP2722839B2 (ja) * 1991-03-14 1998-03-09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氷売切制御装置
JP3110680B2 (ja) * 1996-06-04 2000-11-20 松下冷機株式会社 製氷機
JP2000193351A (ja) * 1998-12-25 2000-07-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貯氷検知装置
KR20050028362A (ko) * 2003-09-17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50033754A (ko) * 2003-10-07 200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100707347B1 (ko) * 2004-09-30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0185612A (ja) * 2009-02-12 2010-08-26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貯氷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66Y1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804B2 (en) Container elevating apparatus in a door refrigerator
US8322148B2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08381A (ja) 電動調理器
KR200486966Y1 (ko) 만빙센서
KR20100094880A (ko) 냉장고 및 그의 만빙감지장치
CN111238103A (zh) 制冰机及其水位检测装置和水位检测方法
KR20170119864A (ko) 디스펜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0775090B2 (en) Household cooling appliance comprising a weight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a container of an ice maker unit
KR102057509B1 (ko) 냉장고
KR20150058731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CN105212736A (zh) 液体加热容器
CN109959427B (zh) 储量检测方法、装置、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678310B1 (ko) 제빙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306578B1 (ko) 캠 교체 방식의 제빙기 이빙 장치
CN104990345B (zh) 制冷设备门体及具有其的冰箱
US8640483B2 (en) Ice guide funnel
CN204023262U (zh) 熨斗装置
KR20120097070A (ko) 얼음저장고
WO2010141078A1 (en) Belt measurement device
KR101771429B1 (ko)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KR101745124B1 (ko) 냉장고
KR101855514B1 (ko)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KR20130037155A (ko)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KR102170602B1 (ko) 제빙기
JP6325861B2 (ja) 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