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514B1 -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 Google Patents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514B1
KR101855514B1 KR1020170088868A KR20170088868A KR101855514B1 KR 101855514 B1 KR101855514 B1 KR 101855514B1 KR 1020170088868 A KR1020170088868 A KR 1020170088868A KR 20170088868 A KR20170088868 A KR 20170088868A KR 101855514 B1 KR101855514 B1 KR 10185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ar
sensing
tact switc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7008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6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being actuated by mechanical or fluid means, e.g. using gas, mercury, or a diaphragm as transmitting element, or by a column of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감지 레버에 접촉하여 만빙 감지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를 채용하여 종래 기술보다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이다.

Description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ICE MAKER OF TACT SWITCH}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감지 레버에 접촉하여 만빙 감지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를 채용하여 종래 기술보다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라고 하는 것은 냉장고와 같은 저온 저장부에서 얼음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담겨서 얼음이 되는 아이스 트레이(IT)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IT)를 구동하는 구동부(D)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D)는 아우터 하우징(H1)과 인너 하우징(H2)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D)는 아이스 트레이(IT)를 비틀어서 얼음이 낙하하도록 한다.(이하 이빙이라 함) 상기 낙하된 얼음이 저장조(도시되지 않음)에 담겨지며 일정량 이상 담겨지면 만빙으로 판단하여 이빙하지 않도록 한다.
즉, 감지 레버(L)가 얼음에 닿게 되면 낙하하지 않게 되어 만빙으로 판단하고 만일 저장된 얼음이 없어 상기 감지 레버(L)가 낙하하면 저장된 얼음이 없어 이빙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레버(L)의 일 측에는 마그네틱(MG)이 설치되고 하우징 내측에는 홀 센서(HS)가 설치된다. 즉, 상기 감지 레버(L)가 낙하하여 마그네틱(MG)이 홀 센서(HS)에 근접하면 상기 홀 센서(HS)에서 신호를 감지하여 만빙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즉, 만일 얼음 저장부에 얼음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L)는 낙하하게 되고, 마그네틱(MG)는 홀 센서(HS)에 근접하여 상기 홀 센서(HS)에서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신호에 의해 얼음 저장부에 얼음이 없으므로 얼음을 이빙하도록 한다.
반대로, 얼음 저장부에 얼음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L)는 얼음에 접하게 되어 낙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틱(MG) 역시 홀 센서(HS)측으로 근접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홀 센서(HS)에서는 아무런 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러한 상태를 만빙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과 홀 센서를 이용하는데, 상기 마그네틱과 홀 센서가 고가인 관계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제빙기와 만빙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미국 등록 특허 제3,612,800호 미국 등록 특허 제3,649,781호 미국 등록 특허 제4,746,780호 미국 등록 특허 제5,213,205호 미국 등록 특허 제5,970,725호 미국 등록 특허 제7,619,172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50595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0429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04299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219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감지 레버에 접촉하여 만빙 감지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를 채용하여 종래 기술보다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부(D)의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유닛(100)과, 상기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아이스 트레이(IT)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100)은 상기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감지 레버(L)와, 상기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연동하는 작동 바아(110)와 상기 작동 바아(110)에 접촉하여 만빙 감지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감지 유닛(200)은 제1구동 기어(D1)의 회전에 따라 접촉되어 아이스 트레이(IT)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포함하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만빙 감지 유닛(100)은 하우징(H) 내측면 일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 바아(110)와, 상기 감지 레버(L) 중 하우징(H)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감지 레버(L)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샤프트(L1)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 바아(110)를 구동하는 연동부(120)와, 상기 하우징(H) 내측면에 설치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연동부(120)가 작동 바아(110)를 전후진하여 상기 작동 바아(110)가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한다.
상기에서, 상기 작동 바아(110)는 바아 형상의 작동 바아 본체(111)와, 상기 작동 바아 본체(111) 일 측단에 형성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 링(112)과, 상기 작동 바아 본체(111) 타 측단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는 제1격벽(124)와, 상기 제1격벽(124)에서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되도록 형성되는 제2격벽(126) 및 제3격벽(127)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120)는 상기 샤프트(L1)에 작동 바아(110) 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연동부(121)와, 상기 샤프트 연동부(121)의 저면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1걸림부(122)와 제2걸림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부(122)는 제1격벽(124)과 제2격벽(126)사이에 배치되고, 제2걸림부(123)는 제2격벽(126)과 제3격벽(127)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의해 연동부(120)가 작동 바아(110)를 중심 링(112)을 중심으로 작동시켜 상기 제1격벽(124)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격벽(124)에는 접촉판(125)이 형성되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며, 상기 접촉판(125)의 양 측과 하단은 제1격벽(124)으로부터 분리되고 상단만이 제1격벽(124)에 연장된다.
상기에서,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는 작동 바아(110)의 제1격벽(124)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위치(FS-1)와 상기 스위치(FS-1)를 기판(PCB)상에 고정하는 브라켓(FS-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구동 기어(D1)는 아우터 하우징(H1) 내부에서 돌출되는 제1중심 바아(H1-1)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구동 기어(D1)에 결합되고 회전력 발생부(D6)에 연동되는 제2구동 기어(D2)는 상기 제1중심 바아(H1-1)에 인접하는 제2중심 바아(H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 바아(110)의 중심 링(112)은 제2중심 바아(H1-2)에 삽입되며, 제2구동 기어(D2)의 저면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수평 감지 유닛(200)은 아우터 하우징(H1)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와 상기 제1구동 기어(D1)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터치하는 돌출부(D1-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D1-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IT)와 동일한 각도를 가져, 상기 돌출부(D1-3)가 상기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터치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IT)가 수평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격벽(124)과 아우터 하우징(H1) 내측면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격벽(124)을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SP)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SP)은 상기 제1격벽(124)에서 아우터 하우징(H1)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바아(128)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빙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마그네틱과 홀 센서를 이용하여 만빙을 감지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 바아와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동부 중 반대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의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유닛(100)과, 상기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아이스 트레이(IT)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유닛(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만빙 감지 유닛(100)은 상기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감지 레버(L)와, 상기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연동하는 작동 바아(110)와 상기 작동 바아(110)에 접촉하여 만빙 감지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포함한다. 즉,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감지 레버(L)가 하강한 경우 상기 작동 바아(110)가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여 이빙해야할 상황임을 알려주고, 만일 감지 레버(L)가 하강하지 않는 경우 작동 바아(110)가 만빙 감지 스위치(FS)를 터치하지 않아 만빙 상태임을 알려준다.
상기 택트 스위치(또는 택트 센서)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가벼운 접촉에 의해 회로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로의 개폐동작이 정확하고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한 장점 등에 따라 현대화된 각종 전자제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대표적인 스위치로서, 최근에 있어서는 휴대 통신용 셀룰러폰, 각종 소형화된 노트북, 휴대용 카세트 등 갈수록 첨단화, 소형화되는 전자제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택트 스위치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마그네틱과 홀 센서에 비해 저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택트 스위치를 채택하여 정확한 작동을 구현함은 물론 제조 원가도 절감한다. 한편, 상기 택트 스위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한국 등록 특허 제10-1345765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97761호 등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수평 감지 유닛(200) 역시 제1구동 기어(D1)의 회전에 따라 접촉되어 아이스 트레이(IT)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상기 만빙 감지 유닛(1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 내측면 일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 바아(110)와, 상기 감지 레버(L) 중 하우징(H)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감지 레버(L)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샤프트(L1)에 형성되는 연동부(120)와, 상기 하우징(H) 내측면에 설치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감지 레버(L)가 샤프트(L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강하면 상기 연동부(120)가 회전되고, 상기 연동부(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 바아(110)를 구동한다. 상기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연동부(120)가 작동 바아(110)를 전후진하여 상기 작동 바아(110)가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한다.
이때, 상기 작동 바아(110)는 바아 형상의 작동 바아 본체(111)와, 상기 작동 바아 본체(111) 일 측단에 형성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 링(112)과, 상기 작동 바아 본체(111) 타 측단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는 제1격벽(124)와, 상기 제1격벽(124)에서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되도록 형성되는 제2격벽(126) 및 제3격벽(127)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바아 본체(111)는 도면상 우측에 형성되는 중심 링(11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중심 링(112)은 구동부(D) 중 제2구동 기어(D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중심 바아(H1-2)에 삽입된다.
상기 구동부(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력 발생부(D6)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D6)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 기어(D5)와 상기 웜 기어(D5)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구동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웜 기어(D5)에 결합하는 제4구동 기어(D4)와 상기 제4구동 기어(D4)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 기어(D3)와 상기 제3구동 기어(D3)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 기어(D2) 및 상기 제2구동 기어(D2)에 결합하여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하는 제1구동 기어(D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중심 바아(H1-2)는 하우징(H) 중 아우터 하우징(H1) 내부에서 돌출되며 상술된 바와 같이 제2구동 기어(D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중심 바아(H1-2)에 상기 중림 링(112)이 삽입된다. 결국 상기 중심 링(112)은 제2구동 기어(D2)의 저면에 배치된다.
상기 작동 바아 본체(111) 중심 링(112) 반대 방향 측단에 제1격벽(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격벽(124)은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한다. 상기 제1격벽(124)에서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의 반대 방향으로 제2격벽(126)과 제3격벽(127)이 일정 거리 이격되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동부(120)는 상기 샤프트(L1)에 작동 바아(110) 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연동부(121)와, 상기 샤프트 연동부(121)의 저면에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1걸림부(122)와 제2걸림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걸림부(122)는 제1격벽(124)과 제2격벽(126)사이에 배치되고, 제2걸림부(123)는 제2격벽(126)과 제3격벽(127)사이에 배치되어 걸림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부(122)와 제2걸림부(123)는 상기 격벽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곡률을 가지도록 상기 샤프트 연동부(121) 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동부(120)가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 바아(110)를 상기 중심 링(112)을 중심으로 전후진 작동시켜 상기 제1격벽(124)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한다.
상기 제1격벽(124)에는 접촉판(125)이 형성되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며, 상기 접촉판(125)의 양 측과 하단은 제1격벽(124)으로부터 분리되고 상단만이 제1격벽(124)에 연장된다. 이러한 형상의 접촉판(125)에 의해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할 때 보다 부드럽게 터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126)과 제3격벽(127)의 하측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는 상술된 바와 같이 작동 바아(110)에 의해 작동되어 만빙 여부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위해 상기 작동 바아(110)의 제1격벽(124)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위치(FS-1)와 상기 스위치(FS-1)를 기판(PCB)상에 고정하는 브라켓(FS-2)를 포함한다. 즉, 일반적인 택트 스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나 본 발명의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의 스위치(FS-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작동 바아(110)와 접한다. 상기 스위치(FS-1)는 브라켓(FS-2)에 의해 기판(PCB)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 감지 유닛(200)은 아이스 트레이의 수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우터 하우징(H1)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와 상기 제1구동 기어(D1)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터치하는 돌출부(D1-3)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D1-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동일한 각도를 가져, 상기 돌출부(D1-3)가 상기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터치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IT)가 수평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수평 위치인 경우 상기 돌출부(D1-3) 역시 수평 위치로 되고 이때 상기 돌출부(D1-3)가 상기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터치하면 아이스트레이가 수평 위치에 있는 것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 레버(L)의 하강에 의해 작동 바아(110)가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며 이때, 상기 감지 레버(L)의 하강을 돕기 위해 상기 제1격벽(124)과 아우터 하우징(H1) 내측면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격벽(124)을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SP)을 포함한다.
즉,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탄성수단(SP)을 상기 제1격벽(124)과 아우터 하우징(H1) 내측면에 사이에 설치하면, 상기 탄성수단(SP)에 의해 제1격벽(124)이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측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감지 레버(L)의 하강을 돕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수단(SP)은 상기 제1격벽(124)에서 아우터 하우징(H1)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바아(128)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바아(110)의 작동 바아 본체(111)에는 가이드 돌기(113)가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113)는 제1구동 기어(D1)의 원형 격벽(D1-1)에 접하면서 이동하여 작동 바아(110)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한다. 한편, 상기 원형 격벽(D1-1)은 원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돌출부(D1-3)가 형성될 수 있다.(도 8참조)
또한 상기 제1구동 기어(D1)의 중앙에 중공의 원통 형상인 수용부(D1-2)을 가져 상기 제1중심 바아(H1-1)가 삽입된다. 제2구동 기어(D2)도 유사하게 중앙에 수용부(D2-2)를 가져 제2중심 바아(H1-2)가 삽입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의해 작동되고 만빙 감지 레버(L)에 연동되는 만빙 감지 유닛(500)과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는 상기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의 접촉에 의해 신호를 발생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만빙 여부 판단을 위한 신호는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서 발생하고,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의 작동은 만빙 감지 유닛(500)이 작동 단자(MC3-1)를 직접 가압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홀더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홀더가 홀 센서에 근접하는 거리에 따라 홀 센서에서 신호가 발생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틱 홀더의 회전 궤적이나 설치 위치 등이 장시간 사용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홀 센서에서 잘못된 신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직접 가압하여 작동시키도록 하여 정확한 신호 발생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접촉형 스위치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은 상기 인너 하우징(H1)을 관통하며 만빙 감지 레버(L)에 연동되는 감지 레버 구동축(520)과,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의해 승하강 하는 캠 연동 바아(540)와, 상기 캠 연동 바아(540) 일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가압하는 작동 바아(5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 캠(D1)의 외측면 일부에는 구동 캠(D1)의 반경 방향 두께가 감소하여 작동 홈(D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 연동 바아(540)와 작동 바아(550)는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캠 연동 바아(540)가 상기 작동 홈(D1-1)에 진입하여 방향1로 낙하하면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은 방향3으로 회전한다. 이는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이 인너 하우징(H1)의 삽입공(H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이 방향3으로 회전하면 작동 바아(550)는 이에 연동되어 방향3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만빙 감지 레버(L) 역시 방향 3으로 회전하여 낙하한다.
만일 상술된 바와 같이 얼음 저장부가 얼음으로 충진되지 않고 비어 있는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L)가 낙하하고 상기 작동 바아(550)는 방향 3으로 회전하여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의 작동 단자(MC3-1)를 누르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서 신호를 발생하여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이빙하게 한다.
반대로, 얼음 저장부가 얼음으로 충진되어 만빙 상태인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L)가 얼음에 접촉하여 하강하지 않으므로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에 연동되는 캠 연동 바아(540) 역시 회전하지 않게 되어 상기 작동 홈(D1-1)상에 배치되어 낙하하지 않는다.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 및 캠 연동바아(540)에 연동되는 작동 바아(550) 역시 회전하지 않아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의 작동 단자(MC3-1)를 누르지 않게 되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서는 아무런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만빙으로 판단하여 이빙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구동 캠(D1)이 더 회전을 하여 캠 연동 바아(540)가 작동 홈(D1-1)을 지나서 구동 캠(D1)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면, 상기 캠 연동 바아(540)는 방향2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감지 레버 구동축(520)은 방향4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작동 바아(550) 역시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방향4로 회전하고 만빙 감지 레버(L) 역시 방향4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의 작동 단자(MC3-1)의 직접 접촉하여 누르거나 혹은 누르지 않게 하여 보다 정확한 만빙 여부 판단이 가능해진다.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에서 구동 캠(D1) 방향으로 회전축(510)이 연장되며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레버 구동축(520)에서 구동 캠(D1)방향 즉, 도면상 좌측으로 회전축(510)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510)은 상기 지지부(5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5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510)과 접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510)과 지지부(560)에 의해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과 내부 측면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보다 안정적을 고정하도록 고정부(57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5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상기 인너 하우징(H1)의 내부 측면으로 가압하는 가압판(57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판(571)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가압판(571) 일부에 고정부 삽입부(572)를 형성하여 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고정부 삽입부(572)를 통과한 후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만빙 감지 유닛(500)에 의해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캠(D1-1)의 회전에 의해 캠 연동 바아(540)가 구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하면 캠 연동 바아(540)는 방향1로 회전하고 감지레버 구동축(520)은 방향3으로 회전하여 만빙 감지 레버(L)가 방향3으로 회전하여 낙하하고 작동 바아(550)는 방향3으로 회전하여 만빙 감지 마이크로 스위치(MC3)에 근접한다. 이에 의해 상기 작동 단자(MC3-1)가 작동 바아(550)에 의해 눌러져서 작동되면 만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상기 구동 캠(D1)의 회전에 의해 캠 연동 바아(540)가 구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하려고 하는 경우 만빙 감지 레버(L)가 만빙 상태의 얼음에 의해 낙하하지 않으면 작동 바아(550) 역시 회전하지 않아 작동 단자(MC3-1)가 작동되자 않게되고 이에 의해 만빙 감지 스위치(MC3)에서 아무런 신호가 발생하지 않아 만빙 상태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빙기(10)는 급수 조절 장치(WS)를 더 포함한다. 즉, 얼음을 얼리기 위해서 물의 급수가 필요하면 상기 물의 급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급수 조절 장치(WS)는 도 7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가 구비되는 인너 하우징(H1)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 조절 장치(WS)는 상기 인너 하우징(H1)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 캠(C)과, 상기 브라켓(300)상의 일 지점으로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레버(200)와, 상기 작동 레버(200) 일 측에 구비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 레버(200)는 상기 브라켓(300)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부(230)와, 상기 중심부(230)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여 승하강하는 제1레버(210)와, 상기 중심부(230) 타 측에 구비되고 제1레버(210)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제2레버(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심부(230)는 케이스(100)와 작동 캠(C)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레버(21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작동 캠(C)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 캠(C)에 접하며,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부(221)와, 상기 연장부(221) 끝단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가압부(2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레버(220)는 제1레버(210)보다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급수 조절 장치(1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작동 캠(C)이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중 상기 제1레버(210)가 작동 캠(C)의 작동 홈(C1)에 삽입되면 낙하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210)가 작동 홈(C1)에 삽입되면 상기 제1레버(210)는 중심부(230)를 중심으로 방향1로 회전하여 낙하한다. 이러한 제1레버(210)의 회전에 의해 제2레버(220)는 중심부(230)를 중심으로 방향4로 회전하여 상승한다.
상기 상승되는 제2레버(220)가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여 물을 공급하는 공급 밸브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아이스 트레이(IT, 도 1참조)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작동 캠(C)이 추가로 회전하면 제1레버(210)가 작동 홈(C1)에서 벗어나서 방향2로 상승한다. 이에 의해 제2레버(220)는 방향3으로 하강한다. 이에 의해 제2레버(220)는 작동 단자(MC1-1)를 누르지 못하게 되어 공급 밸브의 작동은 중단된다.
즉, 상기 작동 단자(MC1-1)가 눌러지는 시간 동안 물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물 공급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위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위치1에 있는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2에 있는 경우 작동 단자(MC1-1)가 제2레버(220)의 가압부(222)에 의해 눌러지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상기 가압부(222)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1)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것에 기인한다.
즉,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위치1에 있는 경우보다 위치2에 있는 경우가 작동 단자(MC1-1)가 가압부(222)에 의해 눌러지는 시간이 증가하는 작용에 의해 물 공급 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반대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가 위치2에서 위치1로 이동하면 물 공급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레버(220)는 제1레버(210)보다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레버(220)의 길이를 증가하여 가압부(222)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보다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가압부(222)가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시간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230)는 중심부 본체(231)와, 상기 중심부 본체(231)에 형성되는 삽입공(2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232)에는 브라켓(300)에서 돌출된 중심 바아(330)가 삽입되어 상기 중심부(230)가 회전 가능하게 브라켓(300)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의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절 슬롯(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 내부 바닥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130)로 이루어진다.
즉,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조절 슬롯(120)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예를 들어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는 가이드(130)가 이동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130)에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접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보다 정밀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물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도면상 하측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 하측면에 접하고,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도면상 상측은 상기 가이드(130)에 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를 브라켓(3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 본체(110) 외측에 고정부(14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는 상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일 부분에는 고정공(MC1-3)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조절 슬롯(120)을 통과한 고정구(F)가 상기 고정공(MC1-3)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케이스(1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F)를 조절 슬롯(120)을 통과한 후 고정공(MC1-3)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구(F)가 조절 슬롯(120)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고정할 수 있다. 만일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F)를 풀어서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작동 레버(200) 그리고 작동 캠(C)은 브라켓(300)상에 배치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00)은 판체 형상이며 인너 하우징(H1)의 바닥면에서 아우터 하우징(H2)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브라켓 본체(310)와,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서 돌출된 브라켓 걸림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본체(310)는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서 아우터 하우징(H2)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설치된다. 즉, 브라켓 본체(310)와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구동부(D)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 본체(310)상에 구비되는 조절 캠(C)의 일 부분이 상기 관통공(340)을 통과한 후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설치되어 연동된다.
상기 구동 캠(D1)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동 걸림부(D2)가 형성되어 조절 캠(C)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310) 일부에는 브라켓 걸림부(3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걸림부(320)는 상기 제1레버(210)가 조절 캠(C)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걸림부(320)는 제1레버(210)가 조절 캠(C)에 근접하는 방향인 도면상 좌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200)의 제1레버(210)의 일 측에는 레버 걸림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걸림부(320)와 레버 걸림부(240)사이에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인장 탄성부(400)가 구비된다. 레버 걸림부(240)가 형성되는 제1레버(210)가 상기 인장 탄성부(400)에 의해 당겨져서 제1레버(210)가 조절 캠(C)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레버(210)가 작동 홈(C1)에 도달한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정확하게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걸림부(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절곡되어 인장 탄성부가 걸림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걸림부(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210)에서 돌출되며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인장 탄성부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MC-2는 원점을 체크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이다.
또한 도 15에서 구동부(D) 중 구동 캠(D-1)의 구성만 도시하고 상기 구동 캠(D-1)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동력 전달을 위한 기어 유닛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상기 선행기술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고, 본 도면을 보다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상기 모터와 관련되는 기어 유닛은 생략하였다.
이하 상술된 본 발명의 급수 조절 장치(10)를 이용하여 급수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이동하여 작동 레버(200)의 중심부(230)로부터의 거리를 변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가 제2레버(220)에 의해 눌려지는 시간이 변동된다.
즉,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이동하면 작동 단자(MC1-1)의 위치가 변동된다. 상기 작동 단자(MC1-1)의 위치가 변동되면 제2레버(220)의 가압부(222)에 의해 눌러지는 시간이 변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에 연결되는 급수 밸브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인너 하우징(H1)에 결합된 아우터 하우징(H2)을 분리한다. 이후, 상기 케이스(100)의 조절 슬롯(120)을 통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고정공(MC1-3)에 고정된 고정구(F)를 풀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조절용 마이크 스위치(MC1)를 이동하여 작동 레버(200)의 중심부(230)로부터의 거리를 변동시킴에 의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가 제2레버(220)의 가압부(222)에 의해 눌려지는 시간을 조절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급수 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고정구(F)를 다시 조임하여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고정하고, 아우터 하우징(H2)을 인너 하우징(H1)에 다시 설치하여 조정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만빙 감지 유닛 110 : 작동 바아
111 : 작동 바아 본체 112 : 중심 링
113 : 가이드 돌기 120 : 연동부
121 : 샤프트 연동부 122 :제1걸림부
123 : 제2걸림부 124 : 제1격벽
125 : 접촉판 126 : 제2격벽
127 : 제3격벽 128 : 고정 바아
200 : 수평 감지 유닛

Claims (8)

  1. 구동부(D)의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유닛(100)과, 상기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아이스 트레이(IT)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100)은 상기 제1구동 기어(D1)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감지 레버(L)와, 상기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연동하는 작동 바아(110)와 상기 작동 바아(110)에 접촉하여 만빙 감지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감지 유닛(200)은 제1구동 기어(D1)의 회전에 따라 접촉되어 아이스 트레이(IT)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포함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100)은 하우징(H) 내측면 일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 바아(110)와, 상기 감지 레버(L) 중 하우징(H) 내측면에 삽입되고, 상기 감지 레버(L)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샤프트(L1)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 바아(110)를 구동하는 연동부(120)와, 상기 하우징(H) 내측면에 설치되는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연동부(120)가 작동 바아(110)를 전후진하여 상기 작동 바아(110)가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고,
    상기 작동 바아(110)는 바아 형상의 작동 바아 본체(111)와, 상기 작동 바아 본체(111) 일 측단에 형성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 링(112)과, 상기 작동 바아 본체(111) 타 측단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는 제1격벽(124)와, 상기 제1격벽(124)에서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격벽(126) 및 제3격벽(127)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120)는 상기 샤프트(L1)에 작동 바아(110) 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연동부(121)와, 상기 샤프트 연동부(121)의 저면에 특정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1걸림부(122)와 제2걸림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부(122)는 제1격벽(124)과 제2격벽(126)사이에 배치되고, 제2걸림부(123)는 제2격벽(126)과 제3격벽(127)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 레버(L)의 승하강에 의해 연동부(120)가 작동 바아(110)를 중심 링(112)을 중심으로 작동시켜 상기 제1격벽(124)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며,
    상기 제1격벽(124)에는 접촉판(125)이 형성되어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를 터치하며,
    상기 접촉판(125)의 양 측과 하단은 제1격벽(124)으로부터 분리되고 상단만이 제1격벽(124)에 연장되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는 작동 바아(110)의 제1격벽(124)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위치(FS-1)와 상기 스위치(FS-1)를 기판(PCB)상에 고정하는 브라켓(FS-2)를 포함하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 기어(D1)는 아우터 하우징(H1) 내부에서 돌출되는 제1중심 바아(H1-1)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구동 기어(D1)에 결합되고 회전력 발생부(D6)에 연동되는 제2구동 기어(D2)는 상기 제1중심 바아(H1-1)에 인접하는 제2중심 바아(H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 바아(110)의 중심 링(112)은 제2중심 바아(H1-2)에 삽입되며, 제2구동 기어(D2)의 저면에 배치되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감지 유닛(200)은 아우터 하우징(H1)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와 상기 제1구동 기어(D1)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터치하는 돌출부(D1-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D1-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IT)와 동일한 각도를 가져, 상기 돌출부(D1-3)가 상기 수평 감지 택트 스위치(HS)를 터치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IT)가 수평인 것으로 판단하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124)과 아우터 하우징(H1) 내측면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격벽(124)을 만빙 감지 택트 스위치(FS)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SP)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SP)은 상기 제1격벽(124)에서 아우터 하우징(H1)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바아(128)에 삽입되는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KR1020170088868A 2017-07-13 2017-07-13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KR10185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868A KR101855514B1 (ko) 2017-07-13 2017-07-13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868A KR101855514B1 (ko) 2017-07-13 2017-07-13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514B1 true KR101855514B1 (ko) 2018-06-08

Family

ID=6260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868A KR101855514B1 (ko) 2017-07-13 2017-07-13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514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2800A (en) 1970-04-24 1971-10-12 Robert E Slopa Switch with adjustable switch actuator
US3649781A (en) 1970-10-23 1972-03-14 Eric C Johnsen Selectively variable timer with improved integral clutch cam structure
US4746780A (en) 1987-09-01 1988-05-24 Mcgill Manufacturing Company, Inc. One-screw mounting system for ganged components
US5213205A (en) 1988-08-11 1993-05-25 Pittway Corporation Switch enclosure
KR19990041828A (ko) * 1997-11-24 1999-06-15 전주범 택트 스위치를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49551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US5970725A (en) 1997-06-30 1999-10-26 Daewoo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ice maker of a refrigerator
KR100565381B1 (ko) * 2005-11-30 2006-03-30 대림정밀공업(주)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KR20070021922A (ko)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7619172B2 (en) 2007-03-28 2009-11-17 Nidec Servo Corporation Micro switch mounting structure and automatic icemaker
US20110226815A1 (en) * 2010-03-17 2011-09-22 Chin-Wen Chou Dispensing control device for icemaker
KR101139899B1 (ko) * 2011-12-05 2012-04-30 (주)한울산업 자동 얼음생성장치
JP2013057416A (ja) * 2011-09-07 2013-03-28 Hitachi Appliances Inc 自動製氷機及び冷蔵庫
KR101304299B1 (ko) 2012-12-06 2013-09-11 주식회사 디알텍 독립 감지 방식의 제빙기 이빙 장치 및 방법
KR101450595B1 (ko) 2014-04-10 2014-10-22 주식회사 디알텍 독립 제어 방식의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2800A (en) 1970-04-24 1971-10-12 Robert E Slopa Switch with adjustable switch actuator
US3649781A (en) 1970-10-23 1972-03-14 Eric C Johnsen Selectively variable timer with improved integral clutch cam structure
US4746780A (en) 1987-09-01 1988-05-24 Mcgill Manufacturing Company, Inc. One-screw mounting system for ganged components
US5213205A (en) 1988-08-11 1993-05-25 Pittway Corporation Switch enclosure
US5970725A (en) 1997-06-30 1999-10-26 Daewoo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ice maker of a refrigerator
KR19990041828A (ko) * 1997-11-24 1999-06-15 전주범 택트 스위치를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49551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KR20070021922A (ko)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0565381B1 (ko) * 2005-11-30 2006-03-30 대림정밀공업(주)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US7619172B2 (en) 2007-03-28 2009-11-17 Nidec Servo Corporation Micro switch mounting structure and automatic icemaker
US20110226815A1 (en) * 2010-03-17 2011-09-22 Chin-Wen Chou Dispensing control device for icemaker
JP2013057416A (ja) * 2011-09-07 2013-03-28 Hitachi Appliances Inc 自動製氷機及び冷蔵庫
KR101139899B1 (ko) * 2011-12-05 2012-04-30 (주)한울산업 자동 얼음생성장치
KR101304299B1 (ko) 2012-12-06 2013-09-11 주식회사 디알텍 독립 감지 방식의 제빙기 이빙 장치 및 방법
KR101450595B1 (ko) 2014-04-10 2014-10-22 주식회사 디알텍 독립 제어 방식의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299B1 (ko) 독립 감지 방식의 제빙기 이빙 장치 및 방법
KR0182125B1 (ko)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의 얼음트레이 위치제어방법
US20130327074A1 (en) Refrigerator
EP1916489B1 (en) Ice making apparatus
EP2910876A2 (en) Ice making device,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igerator
KR101450595B1 (ko) 독립 제어 방식의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
KR100565381B1 (ko)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KR101855514B1 (ko)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CN107012667B (zh) 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洗涤剂液位检测装置
EP2096385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32917B2 (en) Flush water tank apparatus and flush toilet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100845858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71429B1 (ko)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JP2001141342A (ja)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および自動製氷機ならびに冷蔵庫
AU201831860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87579B1 (ko) 밸브용 자동개폐장치
KR20100034477A (ko) 만빙레버를 포함하는 제빙기
JP2007147403A (ja) 水位検出装置
JP6088225B2 (ja) 製氷装置、製氷装置の装置本体、および製氷装置の製氷皿装着検知方法
KR101060878B1 (ko) 위치표시스위치를 구비한 인출형 차단기
KR100346401B1 (ko) 냉장고의 얼음저장량 조절구조 및 조절방법
US20200370811A1 (en) Refrigerator
KR101730017B1 (ko)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CN204232914U (zh) 豆浆机
KR102505129B1 (ko) 양변기용 자동 및 수동 물 내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