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017B1 -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017B1
KR101730017B1 KR1020160109718A KR20160109718A KR101730017B1 KR 101730017 B1 KR101730017 B1 KR 101730017B1 KR 1020160109718 A KR1020160109718 A KR 1020160109718A KR 20160109718 A KR20160109718 A KR 20160109718A KR 101730017 B1 KR101730017 B1 KR 10173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adjusting
cam
heigh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욱
전경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6010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5C1/2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의 급수량을 조절하는 것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하는 가압 바아를 조절 캠에 접촉시키고, 상기 조절 캠에는 작동 홈을 형성하되, 상기 작동 홈의 폭이 달라지도록 한 후 상기 가압 바아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 단자를 가압하는 시간이 조절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급수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의 급수량을 조절하는 것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하는 가압 바아를 조절 캠에 접촉시키고, 상기 조절 캠에는 작동 홈을 형성하되, 상기 작동 홈의 폭이 달라지도록 한 후 상기 가압 바아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 단자를 가압하는 시간이 조절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급수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라고 하는 것은 냉장고와 같은 저온 저장부에서 얼음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에 의해 구동되는 샤프트(S)와 상기 샤프트(S)에 구비되어 얼음을 파내는 블레이드(B)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D)는 하우징(H)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H)은 샤프트(S) 측에 설치되는 인너 하우징(H1)과, 상기 인너 하우징(H1)을 덮도록 설치되는 아우터 하우징(H2)으로 이루어진다.
아이스 트레이(IT)에 물이 공급된 후 냉각되어 얼음이 생산되며 구동부(D)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S)가 회전되고 이에 의해 이젝터(E)가 회전하며 얼음을 이빙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IT)에는 물 투입부(W)를 통해 물이 공급되며, 공급 밸브(도시되지 않음)의 작동 시간 조절에 의해 공급량이 조절된다.
상기 공급 밸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의 작동 단자(MC1)가 눌러지는 시간 동안 작동되어 물을 공급하고 상기 작동 단자(MC1)가 눌러지지 않고 복귀하면 물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는 인너 하우징(H1) 또는 아우터 하우징(H2)(도 1참조)에 구비된 브라켓(4)에 설치된다.
상기 공급 밸브의 작동 시간 조절을 위해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나사(3)를 회전하여 조절 바아(2)를 밀거나 당기게 된다. 상기 조절 바아(2)의 이동에 의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는 일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가 1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작동 단자(MC1)와 조절 캠(C)과의 거리가 변동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 캠(C)의 편심 회전에 의해 작동 단자(MC-1)가 눌려지는 시간이 변동되고 이에 의해 급수 시간이 조절된다.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급수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절 나사(3)를 회전하여 조절 바아(2)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으로 조절하기 위해 조절 바아(2)를 정확한 거리만큼 이동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조절 나사(3)의 회전 변위를 정확하게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조절 나사(3)의 회전량을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렵고 마이크로 스위치(MC)의 특성상 상기 조절 나사(3)의 회전량이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작동 단자(MC-1)의 작동 시간이 큰 폭으로 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가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인 관계로 사용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MC)의 회전 중심이 변동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급수 시간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술한 제빙기와 급수 조절과 관련된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미국 등록 특허 제3,612,800호 미국 등록 특허 제3,649,781호 미국 등록 특허 제4,746,780호 미국 등록 특허 제5,213,205호 미국 등록 특허 제5,970,725호 미국 등록 특허 제7,619,172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50595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04299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219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하는 가압 바아를 조절 캠에 접촉시키고, 상기 조절 캠에는 작동 홈을 형성하되, 상기 작동 홈의 폭이 달라지도록 한 후 상기 가압 바아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 단자를 가압하는 시간이 조절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급수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부(D)가 구비되는 인너 하우징(H1)에 설치되는 급수 조절 장치(10)로서, 상기 급수 조절 장치(10)는 상기 인너 하우징(H1)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 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조절 캠(C)과, 상기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여 전후진 되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작동시키는 가압 바아(100)와, 상기 브라켓(300)상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 바아(100)를 지지하며 상기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200)로 이루어지고, 조절 캠(C)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한 작동 홈(C1)의 폭은 조절 캠(C)의 높이 방향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 바아(100)는 상기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는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에 접하는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와, 상기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는 상기 연결부(1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동 바아(121)와, 상기 연동 바아(121) 끝단에 조절 캠(C)의 높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작동 단자(MC1-1)에 접하는 가압부(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중공의 원통형상이되 저면은 개방되어 브라켓(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상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를 지지하는 홀더(220)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21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판(230)과, 상기 연결판(230)을 관통한 후 상기 브라켓(300)에 접하는 높이 조절용 고정구(F)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베이스(210)의 내부에는 가압 탄성부(260)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210)를 브라켓(3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한다.
상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연결판(230)은 그 중앙에 관통공(24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40)에는 높이 조절용 고정구(F)가 삽입된 후 브라켓(300)에 접하며, 상기 가압 바아(100)의 연결부(130)는 상기 관통공(240)이 노출되도록 우회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연결판(230) 양 측에 각각 돌출된 접촉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300)은 판체 형상이며 인너 하우징(H1)의 바닥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 본체(310)와,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서 형성되어 상기 조절 캠(C)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320)과,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서 돌출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베이스(21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바아(340)와, 상기 한 쌍의 삽입 바아(3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25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접하는 가이드 바아(35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캠(C)의 일 부분이 상기 관통공(320)을 통과한 후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설치되어 연동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 바아(100)의 연결부(130) 일 부분에 제2고정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300)의 브라켓 본체(310) 일부에 제1고정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330)는 제2고정부(140)에서 조절 캠(C)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330)와 제2고정부(140) 사이에 인장 탄성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 바아(100)가 조절 캠(C)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수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급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조절 캠(C)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한 작동 홈(C1)의 폭은 조절 캠(C)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 홈(C1)에 접하는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변경하여 상기 가압 바아(100)가 상기 작동 홈(C1)에 접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시간을 조절하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인너 하우징(H1)에 결합된 아우터 하우징(H2)을 분리하고, 상기 관통공(240)을 통해 삽입된 높이 조절용 고정구(F)를 회전하여 높이 조절부(200)와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가압 바아(100)가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삽입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가 삽입 바아(100)에 의해 눌려지는 시간을 조절한 후, 아우터 하우징(H2)을 인너 하우징(H1)에 다시 설치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편리하고 정밀하게 급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빙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급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브라켓상에 조절 캠과 가압 바아 그리고 높이 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브라켓에서 조절 캠과 가압 바아 그리고 높이 조절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인너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제빙기에서 아우터 하우징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제빙기에서 본 급수 조절 장치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급수 조절 장치에 브라켓이 인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가 구비되는 인너 하우징(H1)에 설치된다. 이러한 급수 조절 장치(10)는 상기 인너 하우징(H1)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 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조절 캠(C)과, 상기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여 전후진 되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작동시키는 가압 바아(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 바아(100)는 높이 조절부(200)에 의해 높이(방향1)가 조절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상기 브라켓(300)상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 바아(100)를 지지한다.
상기 조절 캠(C)의 외측면에는 작동 홈(C1)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 홈(C1)의 폭(조절 캠의 회전 방향 기준)은 조절 캠(C)의 높이 방향(방향1)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홈(C1)의 폭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 홈(C1)에 접하는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조절하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를 작동시간이 조절되어 급수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경우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높이면 상기 작동 홈(C1)의 폭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작동 홈(C1)에 접하는 가압 바아(100)의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 홈(C1)에 상기 가압 바아(100)가 접하면 상기 가압 바아(100)는 작동 홈(C1)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 바아(100)는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 바아(100)의 높이가 증가하여 작동 홈(C1)의 폭이 증가하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시간은 감소하고, 반대로 가압 바아(100)의 높이가 낮아져서 작동 홈(C1)의 폭이 감소하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시간이 증가한다.
상기 가압 바아(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조절 캠(C)과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 사이에 배치되고,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거나 혹은 조절 캠(C)의 외측면에 접함에 전후진 되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를 누르거나 혹은 이격된다.
이러한 가압 바아(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는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에 접하는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와, 상기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는 상기 연결부(1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동 바아(121)와, 상기 연동 바아(121) 끝단에 조절 캠(C)의 높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작동 단자(MC1-1)에 접하는 가압부(12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압 바아(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방향1)로 승하강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작동 단자(MC1-1)를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가압부(122)가 조절 캠(C)의 높이 방향(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것이다.
상기 가압 바아(100)를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하기 위해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중공의 원통형상이되 저면은 개방되어 브라켓(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상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를 지지하는 홀더(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베이스(210) 사이에는 연결판(23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판(230)에는 높이 조절용 고정구(F)가 관통한 후 브라켓(300)에 접한다. 이러한 높이 조절용 고정구(F)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2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높이 조절용 고정구(F)가 연결판(230)을 관통하도록 상기 연결판(230)에 관통공(240)을 형성한다. 상기 관통공(240)에는 높이 조절용 고정구(F)가 삽입된 후 브라켓(300)에 접한다. 즉, 높이 조절용 고정구(F)로서 볼트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볼트를 회전하면 상기 볼트와 나사 결합된 관통공(240)에 의해 연결판(230)이 승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높이 조절부(200) 전체가 승하강하게되어 상기 가압 바아(100)가 승하강된다.
상기 베이스(210)의 내부에는 가압 탄성부(260)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210)를 브라켓(3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한다. 즉, 상기 높이 조절용 고정구(F)에 의해 높이 조절부(200)의 높이가 조정된 후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높이가 고정되도록 상기 가압 탄성부(260)가 베이스(210)를 브라켓(3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한다.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상에 구비되어 지지 바아(100) 중 상기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를 지지하는 홀더(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10)사이에 연결판(23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230)상에는 가압 바아(100)의 연결부(13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30)가 연결판(230)의 관통공(240)상에 배치되어 상술된 높이 조절용 고정구(F)의 설치가 곤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압 바아(100)의 연결부(130)는 상기 관통공(240)이 노출되도록 우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30)를 U자 형상을 가져 관통공(240)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캠(C)과 높이 조절부(200)가 설치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200)상에 가압 바아(1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브라켓(30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이며 인너 하우징(H1)의 바닥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 본체(310)와,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서 형성되어 상기 조절 캠(C)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320)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브라켓 본체(110)는 인너 하우징(H1)의 바닥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110)와 인터 하우징(H1) 바닥면사이에는 구동부(D)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D)는 널리 알려진 구동 캠(D1)과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전동 모터(D3)와, 상기 전동 모터(D3)와 구동 캠(D1)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D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부(D)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상기 선행기술에 자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브라켓 본체(110)에는 한 쌍의 삽입 바아(34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10)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 바아(340) 상에 상기 가압 탄성부(260)가 배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10)를 상방향 즉, 브라켓 본체(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가압 바아(340)를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바아 형상의 내부 바아(3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바아(360)가 상기 가압 탄성부(260) 내부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삽입 바아(340) 사이에는 가이드 바아(350)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바아(350)는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접촉부(250) 폭 방향(도면상 상하 방향) 양측에 각각 접한다. 즉,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도면상 상하 방향(방향1)으로 승하강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바아(350)가 상기 접촉부(250)에 접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200)가 안정적으로 승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250)는 연결판(230)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하고, 상기 가이드 바아(350)는 상기 각 접촉부(250)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 캠(C)의 일 부분(C2)은 상기 브라켓(300)의 관통공(320)을 통해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설치되어 연동된다.
상기 가압 바아(100)의 조절 캠 접촉 바아(1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 바아(100)가 전후진한다. 이때, 상기 조절 캠 접촉 바아(110)가 작동 홈(C1)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압 바아(100)를 조절 캠(C)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 바아(100)의 연결부(130) 일 부분에 제2고정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300)의 브라켓 본체(310) 일부에 제1고정부(3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330)는 제2고정부(140)에서 조절 캠(C)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330)와 제2고정부(140)사이에 스프링 등을 이용한 인장 탄성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 바아(100)가 조절 캠(C)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고정부(330)는 브라켓 본체(310)에서 돌출되되 ㄱ자 형상의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MC2는 원점을 감지하기 위한 원점 감지용 마이크로스위치이다.
이하 앞서 참조한 도 3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여 상술된 본 발명의 급수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급수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조절 캠(C)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한 작동 홈(C1)의 폭은 조절 캠(C)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형성한다. 즉,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홈(C1)의 폭은 높이 방향(방향1)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작동 홈(C1)에 접하는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변경하며, 이는 상설된 본 발명의 높이 조정부(200)에 의한다. 상기 높이 조정부(200)에 의해 가압 바아(100)가 상기 작동 홈(C1)에 접하는 시간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경우 가압 바아(100)가 상승하는 경우 작동 홈(C1)의 폭이 증가하므로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가 작동 단자(MC1-1)로부터 분리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반대로 가압 바아(100)가 하강하는 경우 작동 홈(C1)의 폭이 감소하므로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가 작동 단자(MC1-1)로부터 분리되는 시간이 감소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시간을 조정하여 급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 수행 시 우선 인너 하우징(H1)에 결합된 아우터 하우징(H2)을 분리한다.
이후, 상기 관통공(240)을 통해 삽입된 높이 조절용 고정구(F)를 회전하여 높이 조절부(200)와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압 바아(100)가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삽입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가 삽입 바아(100)에 의해 눌려지는 시간을 조절하여 급수 시간을 조정한다.
이후, 아우터 하우징(H2)을 인너 하우징(H1)에 다시 설치하여 급수 시간을 조절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가압 바아 110 : 조절 캠 접촉 바아
120 : 작동 단자 접촉 바아 121 : 연동 바아
122 : 가압부 130 : 연결부
140 :제2고정부 200 : 높이 조절부
210 : 베이스 220 : 홀더
230 : 연결판 240 : 관통공
250 :접촉부 260 : 가압 탄성부
300 : 브라켓 310 : 브라켓 본체
320 : 관통공 330 : 제1고정부
340 : 삽입 바아 350 : 가이드 바아
360 : 내부 바아 400 : 인장 탄성부

Claims (8)

  1. 구동부(D)가 구비되는 인너 하우징(H1)에 설치되는 급수 조절 장치(10)로서,
    상기 급수 조절 장치(10)는 상기 인너 하우징(H1)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 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조절 캠(C)과, 상기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여 전후진 되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작동시키는 가압 바아(100)와, 상기 브라켓(300)상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 바아(100)를 지지하며 상기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200)로 이루어지고,
    조절 캠(C)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한 작동 홈(C1)의 폭은 조절 캠(C)의 높이 방향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 바아(100)는 상기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는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에 접하는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와, 상기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는 상기 연결부(1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동 바아(121)와, 상기 연동 바아(121) 끝단에 조절 캠(C)의 높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작동 단자(MC1-1)에 접하는 가압부(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중공의 원통형상이되 저면은 개방되어 브라켓(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상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 캠 접촉 바아(110)와 작동 단자 접촉 바아(120)를 지지하는 홀더(220)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21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판(230)과, 상기 연결판(230)을 관통한 후 상기 브라켓(300)에 접하는 높이 조절용 고정구(F)로 이루어지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10)의 내부에는 가압 탄성부(260)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210)를 브라켓(3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연결판(230)은 그 중앙에 관통공(24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40)에는 높이 조절용 고정구(F)가 삽입된 후 브라켓(300)에 접하며,
    상기 가압 바아(100)의 연결부(130)는 상기 관통공(240)이 노출되도록 우회 형성되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연결판(230) 양 측에 각각 돌출된 접촉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300)은 판체 형상이며 인너 하우징(H1)의 바닥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 본체(310)와,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서 형성되어 상기 조절 캠(C)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320)과,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서 돌출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베이스(21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바아(340)와, 상기 한 쌍의 삽입 바아(3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25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접하는 가이드 바아(35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캠(C)의 일 부분이 상기 관통공(320)을 통과한 후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바아(100)의 연결부(130) 일 부분에 제2고정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300)의 브라켓 본체(310) 일부에 제1고정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330)는 제2고정부(140)에서 조절 캠(C)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330)와 제2고정부(140)사이에 인장 탄성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 바아(100)가 조절 캠(C)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수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급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조절 캠(C)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한 작동 홈(C1)의 폭은 조절 캠(C)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 홈(C1)에 접하는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변경하여 상기 가압 바아(100)가 상기 작동 홈(C1)에 접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시간을 조절하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인너 하우징(H1)에 결합된 아우터 하우징(H2)을 분리하고,
    상기 관통공(240)을 통해 삽입된 높이 조절용 고정구(F)를 회전하여 높이 조절부(200)와 가압 바아(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가압 바아(100)가 조절 캠(C)의 작동 홈(C1)에 삽입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가 삽입 바아(100)에 의해 눌려지는 시간을 조절한 후,
    아우터 하우징(H2)을 인너 하우징(H1)에 다시 설치하는 제빙기용 급수 조절 방법.
KR1020160109718A 2016-08-29 2016-08-29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73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18A KR101730017B1 (ko) 2016-08-29 2016-08-29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18A KR101730017B1 (ko) 2016-08-29 2016-08-29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017B1 true KR101730017B1 (ko) 2017-04-25

Family

ID=5870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18A KR101730017B1 (ko) 2016-08-29 2016-08-29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489A1 (ko) 2017-06-26 2019-01-03 주식회사 디알텍 급수 조절 장치를 구비한 제빙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8420A1 (en) * 2008-01-14 2009-07-16 France/Scott Fetzer Company Icemaker Control Module
JP2010019510A (ja) 2008-07-11 2010-01-28 Nidec Sankyo Corp 製氷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8420A1 (en) * 2008-01-14 2009-07-16 France/Scott Fetzer Company Icemaker Control Module
JP2010019510A (ja) 2008-07-11 2010-01-28 Nidec Sankyo Corp 製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489A1 (ko) 2017-06-26 2019-01-03 주식회사 디알텍 급수 조절 장치를 구비한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0215A (en) Pressure switch
KR101730017B1 (ko)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EP2674701A2 (en) Refrigerator
EP3627079B1 (en) Ice mak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KR20140063676A (ko) 식품 절단 장치
US4998462A (e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US4787216A (en) Adjustable ice maker control
KR101730013B1 (ko) 지렛대 방식의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EP2990184A2 (en) Cloth bonding apparatus
EP2096385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15433A (ko) 영구자석형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US2117257A (en) Rheostat
KR101771429B1 (ko)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KR101826604B1 (ko) 급수 조절 장치를 구비한 제빙기
CN211404394U (zh) 一种可调流量灵敏度的水流开关
US2145160A (en) Control apparatus
KR20220044029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7977294U (zh) 一种离子刻蚀微调机用挡板快速切换机构
EP0404604B1 (e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KR20190120840A (ko) 링키지 구조의 제빙 장치
KR101855514B1 (ko)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CN113524272B (zh) 一种分布式pet聚酯薄膜涂布机组
CN219889821U (zh) 制冰机和冰箱
CN220484432U (zh) 一种振动盘出料装置
FR2606931A1 (fr) Dispositif de commande par commutateur de la puissance d'un four a micro-on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