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155A -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7155A KR20130037155A KR1020120084202A KR20120084202A KR20130037155A KR 20130037155 A KR20130037155 A KR 20130037155A KR 1020120084202 A KR1020120084202 A KR 1020120084202A KR 20120084202 A KR20120084202 A KR 20120084202A KR 20130037155 A KR20130037155 A KR 201300371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movable member
- sensor
- sensor modul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가 대상물체를 가압하여 생긴 가압력으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가동 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비접촉 센서는 대상물체와 접촉하지 않고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센서로, 가령 초음파 센서나 광섬유 센서 또는 고주파 발진형 센서와 같은 근접센서가 이에 해당한다.
도 1은 종래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의 일 예를 나타낸다.
센서(14)는 센서모듈(12) 내에 수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대상물체를 감지하여 발생한 감지신호를 후면으로 연장되는 도선(18)을 통하여 전달한다.
이러한 비접촉 센서는 대상물체가 금속인 경우에는 원활하게 작동하지만, 비금속, 가령 플라스틱과 같은 대상물체에 대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구비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센서(14)의 감지면이 커야 대상물체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센서(14)의 감지면에 비해 대상물체가 작으면, 감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의 감지면이 작더라도 대상물체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대상물체에 대해서도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위치 또는 이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는 대상물체를 모두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하면,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가 대상물체를 가압하여 생긴 가압력으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가동 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하면,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제 1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된 이동 감지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제 2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이동 감지 부재 위에 설치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가 대상물체를 가압하여 생긴 가압력으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이동 감지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이동 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하면,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상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촉 바와, 상기 접촉 바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탄성 부재 위에 설치되는 감지 편으로 구성된 가동 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감지 편과 결합된 탄성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감지 편을 감지하여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부재는 스펀지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접촉 센서의 일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전단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비접촉 센서를 감싸고 일단이 상기 전단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 부재에 지지되는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의하면,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되는 스펀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링 바와, 상기 스프링 바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탄성 부재 위에 설치되는 감지 편으로 구성된 가동 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커버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바에 끼워지고 상기 감지 편과 결합된 탄성 고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감지 편을 감지하여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대상물체가 플라스틱과 같이 감지하기 어려운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나, 대상물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 또는 센서의 감지면이 작은 경우에도 센서에 의한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에 의해 대상물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빠르게 흡수하면서 이를 역으로 이용하여 감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0)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200)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0)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200)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0)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센서모듈(120)
센서모듈(120)의 전단에는 센서(140)가 돌출되고, 후면에는 센서(140)로부터 발생한 감지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도선(180)이 연장된다.
센서(140)가 돌출된 센서모듈(120)의 전단면에는 링 형상의 지지 턱(121)이 형성되며, 지지 턱(121)은 후술하는 것처럼 스프링 부재(150)의 일단을 지지한다.
센서모듈(120)의 외벽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커버(160)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122)가 설치될 수 있고, 커버(160)와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너트(124)가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따른 센서모듈(120)과 커버(160)의 결합은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140)
이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센서(140)는 비접촉 센서가 사용되며, 가령 근접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접촉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커버(160)
커버(160)는 전후 관통되는 통 형상 구조로서, 센서(140)를 덮도록 일단에서 센서모듈(120)의 전면에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로,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120)의 외벽에 나사(122)가 형성되고, 커버(160)의 내벽에 나사(162)가 형성되어 센서모듈(120)과 커버(160)는 나사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커버(160)의 타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 턱(166)을 형성하는데, 그 결과 걸림 턱(166)과 반대 쪽에 형성된 걸림 턱(167) 사이에 링 형상의 안내 홈(16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동 부재(170)의 플랜지(172)를 수용하여 가동 부재(170)의 이동을 안내한다.
바람직하게, 안내 홈(164)의 길이는 가동 부재(170)의 바닥이 센서(140)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령, 걸림 턱(167)은 센서모듈(120)의 센서(140)의 전단면과 같은 높이를 이루기 때문에 걸림 턱(167)으로부터 커버(160)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내 홈(16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동 부재(170)
가동 부재(170)는 커버(160)의 전면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실시 예에서 가동 부재(170)는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172)가 형성된 컵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령 블록 형상일 수 있다.
가동 부재(170)의 플랜지(172)는 커버(160)의 안내 홈(164)에 끼워져 이동되는데 커버(160)의 걸림 턱(166)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가동 부재(170)는 비접촉 센서(140)에 의해 쉽게 감지되도록 금속으로 구성된다.
스프링 부재(150)
스프링 부재(150)는 일단이 센서모듈(12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가동 부재(170)의 바닥에 접촉한다.
상기한 구조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커버(160)의 단부로부터 가동 부재(170)를 수납한 후, 커버(160)의 단부를 드로잉으로 절곡하여 안내 홈(164)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가동 부재(170)의 플랜지(172)는 안내 홈(164)에 수용되어 양단으로 인출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드로잉 공정을 적용하지 않고, 걸림 턱이 형성된 별도의 부재를 커버(16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전면에 센서(140)가 수납된 센서모듈(120)을 준비하고 스프링 부재(150)의 일단을 센서(140)에 끼우면 스프링 부재(150)의 일단은 센서모듈(120)의 지지 턱(121)에 지지된다.
이어, 커버(160)와 센서모듈(120)을 나사 결합하는데, 그 전에 너트(124)의 위치를 조절하여 커버(160)와 센서모듈(120)이 결합하는 길이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가동 부재(170)와 센서(140) 사이의 길이가 변화한다.
이하, 상기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을 참조하면, 보통의 상태에서 스프링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부재(170)는 최외측으로 밀려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센서(140)와 가동 부재(170)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센서(140)는 가동 부재(170)를 감지하지 못한다.
통상, 센서(140)는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거리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이어,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100)가 이동하여 가동 부재(170)가 대상물체에 접촉하여 가압하면, 가압력이 스프링 부재(150)의 탄성력을 극복함으로써 가동 부재(170)는 스프링 부재(150)를 누르면서 센서(140)에 접근한다. 이때, 가동 부재(170)의 플랜지(172)는 커버(160)의 안내 홈(164)을 따라 안정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접근 중 가동 부재(170)의 수직면이 센서(140)의 감지범위 내로 들어오면, 센서(140)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안내 홈(164)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가동 부재(170)의 플랜지(172)가 걸림 턱(167)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가동 부재(170)의 바닥이 센서(140)의 전단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센서(140)의 마모를 줄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결국, 대상물체가 플라스틱과 같이 감지하기 어려운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대상물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 그리고 센서의 감지면이 작은 경우에도 센서 자체는 이러한 상황과 관계없이 가동 부재(170)만을 감지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센서(140)가 센서모듈(120)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센서(140)는 센서모듈(120)에 수납되어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프링 부재(150) 대신에 스펀지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200)를 나타낸다.
대상물체에 돌출부뿐만 아니라 관통구멍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양자를 하나의 센서로 모두 감지해야 할 경우가 있다. 가령,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케이스에 지정된 위치에 미세한 돌기와 관통구멍이 모두 형성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경우가 있다.
이 실시 예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200)는 이러한 경우에 적합하다. 즉, 가동 부재(270)가 바 형상으로 길게 돌출되어 관통구멍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가 대상물체에 가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스프링 부재(250)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그에 따라 감지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다.
이 실시 예의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200)에 의하면, 추가적인 스프링 부재(274)를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
센서모듈(220)과 결합한 커버(160)의 내부에 이동 감지부재(280)가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이동 감지부재(280)의 내부에는 다른 스프링 부재(274)가 수납되어 가동 부재(270)를 지지한다. 여기서, 이동 감지부재(280)는 스프링 부재(274)를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컵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가동 부재(270)가 전방에 위치한 대상물체에 강하게 접촉하여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 스프링 부재(274)에 가압력을 전달하고 스프링 부재(274)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의 일부가 흡수되어 대상물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단 최소화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 감지부재(280)는 스프링 부재(274)에 전달된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서 스프링 부재(250)를 가압함으로써 이동 감지부재(280)와 센서(240) 사이의 간격이 감지 범위 내로 들어온다.
따라서, 접촉에 의해 대상물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빠르게 흡수하면서 이를 역으로 이용하여 감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스프링 부재(250, 274) 대신에 스펀지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를 나타내고, 도 6은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가동 부재(170, 270)가 컵 또는 바 형상이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따라서,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감지할 수 없는 위치, 가령 대상물체가 수평방향의 연장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 검사가 곤란하게 된다.
도 5에 설명된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전방에 센서가 설치된 센서모듈(320), 센서모듈(320)의 전단면(322)에 인접하여 설치된 스펀지(330), 스펀지(330)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가동 부재(370)의 일단이 고정된 감지 편(340), 감지 편(340)에 인접하여 설치된 탄성 인터페이스(350), 및 스펀지(330)와 감지 편(340) 그리고 탄성 인터페이스(350)를 내부에 수납하여 센서모듈(320)과 결합하고 가동 부재(370)가 돌출되도록 하는 커버(360)로 이루어진다.
스펀지(330)는 기설정된 Shore 경도를 구비하여 적절한 탄성을 가지며, 감지 편(340)과 센서모듈(320)의 전단면(3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스펀지(33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의 일 실시 예의 스프링(150)과 비교하여 미세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고 센서모듈(32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감지 편(34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 시트 형상으로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커버(36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 컵 형상의 보스(342)가 돌출된다. 보스(342)에는 가동 부재(370)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탄성 인터페이스(350)는, 가령 고무 재질로 구성되며 중앙에 관통구멍(520)이 형성된 와셔 형상을 구비하며, 관통구멍(520)의 크기는 감지 편(340)의 보스(34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하여 보스(342)가 단단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탄성 인터페이스(350)는 감지 편(340)이 기울어지더라도 보스(342)를 탄성적으로 잡고 있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쉽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커버(360)는 컵 형상으로, 가령 일 실시 예와 같이 나사 결합방식으로 센서모듈(320)과 결합하며, 바닥면에 가동 부재(370)의 통과를 위한 관통구멍(362)이 형성된다.
가동 부재(370)는 대상물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이 실시 예에서는 유연성을 구비하고 잘 구부러지는 인장 스프링 바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단한 막대일 수 있다. 즉, 후술하겠지만, 감지 편(340)이 기울어짐으로써 가동 부재(370)가 수평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는 대상물체에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바에 한정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스프링 바를 사용함으로써 대상물체를 접촉한 후 가해지는 압력을 유연성 있고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이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은, 감지 편(340)에 가동 부재(370)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센서모듈(320)의 전단면(322)으로부터 스펀지(330), 감지 편(340) 및 탄성 인터페이스(350)를 순서대로 적층하고 가동 부재(370)가 커버(370)의 관통구멍(37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커버(370)와 센서모듈(320)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대상물체가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놓인 경우 상기의 실시 예와 같은 방법으로 감지하게 된다. 즉,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가 이동하여 가동 부재(370)가 대상물체에 접촉하여 가압하면, 가압력이 가동 부재(370)를 통하여 감지 편(340)에 전달되고 전달된 가압력은 스펀지(330)의 경도를 극복함으로써 감지 편(340)은 스펀지(330)를 누르면서 센서모듈(320)의 전단면(322)에 접근한다. 접근 중 감지 편(340)이 센서모듈(320)의 감지범위 내로 들어오면, 센서모듈(320)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도 6(b)과 같이, 대상물체가 수평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가 이동함에 따라 가동 부재(37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대상물체가 장착된 면에 부딪히는데 이 위치에는 대상물체가 없기 때문에 감지하지 못한다.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를 더 이동시키면, 가동 부재(370)의 끝 부분은 장착 면을 따라 미끄러져 수평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대상물체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동 부재(370)의 끝 부분이 미끄러짐에 따라, 가동 부재(370)의 다른 끝 부분이 고정된 감지 편(340)은 미끄러지는 길이에 해당하는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가동 부재(370)의 미끄러짐을 지지해준다.
바람직하게, 감지 편(340)의 크기를 커버(360)의 내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감지 편(34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도 6(b)과 같이, 고무 재질의 탄성 인터페이스(350)에서 감지 편(340)의 보스(342)와 결합한 부분은 탄성 변형되어 감지 편(340)을 따라 불룩하게 튀어나온다.
이후,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가 대상물체로부터 이격되면, 스펀지(330)와 탄성 인터페이스(3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지 편(340)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가동 부재(370)가 인장 스프링인 경우,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300)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대상물체에 강하게 부딪혀 큰 가압력이 가동 부재(370)에 전달되더라도 대상물체에 부딪히는 가동 부재(370)의 끝 부분이 휘어지거나 가동 부재(370) 자체의 탄성력으로 가압력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감지 편(340)이 센서모듈(320)의 전단면(322)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20, 220, 320: 센서모듈
121: 지지 턱
122: 나사
124: 너트
140: 센서
150: 스프링 부재
160, 260, 360: 커버
170, 270, 370: 가동 부재
330: 스펀지
340: 감지 편
350: 탄성 인터페이스
121: 지지 턱
122: 나사
124: 너트
140: 센서
150: 스프링 부재
160, 260, 360: 커버
170, 270, 370: 가동 부재
330: 스펀지
340: 감지 편
350: 탄성 인터페이스
Claims (6)
-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가 대상물체를 가압하여 생긴 가압력으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가동 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제 1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된 이동 감지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제 2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이동 감지 부재 위에 설치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가 대상물체를 가압하여 생긴 가압력으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이동 감지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이동 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상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촉 바와, 상기 접촉 바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탄성 부재 위에 설치되는 감지 편으로 구성된 가동 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감지 편과 결합된 탄성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감지 편을 감지하여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센서의 일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전단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비접촉 센서를 감싸고 일단이 상기 전단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 부재에 지지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비접촉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센서모듈 위에 설치되는 스펀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링 바와, 상기 스프링 바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탄성 부재 위에 설치되는 감지 편으로 구성된 가동 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커버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바에 끼워지고 상기 감지 편과 결합된 탄성 고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감지 편을 감지하여 대상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419 | 2011-10-05 | ||
KR20110101419 | 2011-10-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7155A true KR20130037155A (ko) | 2013-04-15 |
KR101352634B1 KR101352634B1 (ko) | 2014-01-22 |
Family
ID=4843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4202A KR101352634B1 (ko) | 2011-10-05 | 2012-07-31 |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63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6896B1 (ko) * | 2014-05-12 | 2014-07-09 | 김종국 | 금속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KR101518800B1 (ko) * | 2014-01-10 | 2015-05-13 | 김종국 | 금속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39476B1 (ja) * | 1998-03-04 | 1999-08-25 |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 物体検出用導電ピン |
JP2000155829A (ja) | 1998-09-17 | 2000-06-06 | Satoshi Wakizaka | カウンタ― |
-
2012
- 2012-07-31 KR KR1020120084202A patent/KR101352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8800B1 (ko) * | 2014-01-10 | 2015-05-13 | 김종국 | 금속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KR101416896B1 (ko) * | 2014-05-12 | 2014-07-09 | 김종국 | 금속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2634B1 (ko) | 2014-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32918B2 (en) |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insertion depth of terminal of cable connector | |
JP2005254922A (ja) | 荷重検知装置 | |
US8465309B2 (en) | Detection switch structur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CN104246422B (zh) | 用于测量机、尤其是坐标测量机的传感器部件 | |
CN110279348B (zh) | 一种自移动设备 | |
EP2700828A1 (en) | Fastener | |
KR101352634B1 (ko) | 접촉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어셈블리 | |
JP5801347B2 (ja) | コネク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
US6812850B2 (en) | Measuring apparatus | |
CN106990685B (zh) | 图像形成装置 | |
CN211168819U (zh) | 推料装置 | |
CN113296033B (zh) | 一种对接结构及激光设备 | |
CN103674837B (zh) | 光学检测仪触发装置及具有该触发装置的光学检测仪 | |
CN213799971U (zh) | 缓冲机构 | |
KR102143393B1 (ko) | 자동 정렬형 저항 용접 장치 및 상기 자동 정렬형 저항 용접 장치를 이용한 저항 용접 방법 | |
KR200473311Y1 (ko) | 카드 커넥터 | |
KR101460073B1 (ko) |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 |
US10421297B2 (en) | Printer | |
CN207289830U (zh) | 一种适合氧化皮打磨工况的非接触式到位检测机构 | |
JP6489306B2 (ja) | 収納装置 | |
CN214474937U (zh) | 一种触控式检测压头 | |
CN215116848U (zh) | 感应组件与自动化生产线 | |
US10331230B2 (en) | Distance detecting mechanism and navigation device with distance detecting function | |
CN219810555U (zh) | 防撞压力检测装置 | |
CN216144948U (zh) | 雷达碰撞检测装置和清洁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