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754A -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754A
KR20050033754A KR1020030069608A KR20030069608A KR20050033754A KR 20050033754 A KR20050033754 A KR 20050033754A KR 1020030069608 A KR1020030069608 A KR 1020030069608A KR 20030069608 A KR20030069608 A KR 20030069608A KR 20050033754 A KR20050033754 A KR 20050033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elevating member
full
moto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497B1 (ko
Inventor
오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497B1/ko
Priority to US10/847,454 priority patent/US7134292B2/en
Priority to JP2004159435A priority patent/JP4554993B2/ja
Priority to EP04012912.4A priority patent/EP1522806B1/en
Priority to CNB2004100620392A priority patent/CN1303389C/zh
Publication of KR2005003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이 담겨지는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상하식으로 감지하여 만빙 감지를 위한 작동 영역을 최소화하고, 냉동실 내의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는 만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아이스 뱅크로 직선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직선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을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등에서 생성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부재가 상하 승강되면서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와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매의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개방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F)과 냉장실(R)이 베리어(1)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저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동 사이클 장치가 장착된 본체(2)와, 상기 냉동실(F)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2)에 연결된 냉동실 도어(4)와, 상기 냉장실(R)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2)에 연결된 냉장실 도어(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외부 공기로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감압되는 팽창기와, 상기 팽창기에서 팽창된 냉매가 냉동실(F) 또는 냉장실(R)로부터 순환되는 공기의 열을 빼앗아 증발되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냉동실(F) 내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빙한 후 외부로 취출하는 자동 제빙장치가 장착되는 추세이다.
상기 자동 제빙 장치는 상기 냉동실(F)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냉동실(F) 내의 냉기가 급수된 물을 제빙하는 제빙기(8)와, 상기 제빙기(8)에서 제빙된 얼음이 이빙되어 담겨지도록 상기 냉동실(F)의 내측에 장착된 아이스 뱅크(9)와, 상기 냉동실 도어(4)의 개폐없이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도록 상기 냉동실 도어에 장착된 디스펜서(10)와, 상기 아이스 뱅크(9)에 담겨진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0)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아이스 슈트(11)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빙기의 컨트롤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제빙기(8)는 제빙을 위한 물을 담아서 일정한 형상의 얼음으로 만들기 위한 제빙기 몰드(12)와, 상기 제빙기 몰드(12)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3)와, 제빙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뱅크(9)로 미끄러 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 슬라이더(14)와, 제빙된 얼음을 제빙기 몰드(12)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기 몰드(12)는 체결부(12a)에 의해 냉장고의 냉동실에 체결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빙기(8)는 제빙 제어부(16)와, 상기 제빙 제어부(16)의 모터와 축결합되어 상기 제빙기 몰드(12)에서 완전하게 제빙된 얼음을 아이스뱅크(10)로 취출시키는 이젝터(17)를 더 포함된다.
상기 제빙기 몰드(12) 는 대략의 형상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빙기 몰드(12)의 내부면에는 얼음이 분리되어 취출 될 수 있도록 구획돌기(12b)가 소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17)는 그 축(17a)이 제빙기 몰드(12)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17)의 축(17a) 측면으로는 다수개의 이젝터 핀(17b)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이젝터 핀(17a)은 상기 제빙기 몰드(12)의 구획돌기(12b)의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이젝터 핀(17a)은 제조된 얼음을 아이스뱅크(10)로 취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이젝터 핀(17a)에 의해 이동된 얼음은 슬라이더(14)에 얹혀진 후 슬라이더(14)면을 따라 미끄러져 아이스뱅크(9)로 떨어진다.
또한, 상기 히터는 제빙기 몰드(12)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빙기 몰드(12)의 온도를 높여, 제빙기 몰드(12)면에 고착된 얼음을 녹게 하여 얼음이 제빙기 몰드(12)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분리된 얼음은 이젝터(17) 를 사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얼음을 제빙기 몰드(12)에서 분리하기 전에, 하부에 위치된 아이스뱅크(10)에 얼음이 가득 차 있는가의 여부(이하, ‘만빙 감지’라 칭함)는 검빙레버(18)에 의하여 감지된다.
여기서, 상기 검빙레버(18)는 그 양단이 상기 제빙기(8) 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저부로 갈수록 상기 제빙기(1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
또한, 상기 컨트롤부(16)는 제어패널(21)과, 상기 검빙레버(18)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트(22)와, 상기 검빙레버(21)의 회전이 만빙된 얼음 양에 의해서 구속될 때, 상기 마그네트(22)에서 발생되는 자장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홀센서(23)와, 상기 검빙레버(18) 및 이젝터(17)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4)와, 상기 모터(24)의 샤프트에 축설된 구동기어(25)와, 상기 구동기어(25)에 치합되고 회전축(26a)에 상기 이젝터(17)의 축(17a)이 연결되는 종동기어(26)와, 상기 종동기어(26)의 회전축에 돌출 형성된 캠(27)과, 상기 캠(27)에 연동되어 상기 검빙레버(18)를 회전시키는 암레버(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22)는 상기 검빙레버(18)의 연장부(18a)에 설치된다.
상기 캠(27)의 회전량은 검빙레버(18)의 상하이동을 위한 암레버(28)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23)는 제어 패널(21)에 장착되고, 상기 마그네트(22)의 이동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위치된다.
즉, 상기 아이스뱅크 내부(9)의 만빙 여부는 상기 검빙레버(18)의 회전에 따른 상기 마그네트(22)의 회전 위치 변화를 통해 감지되는 자장을 상기 홀센서(23)가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상기 검빙레버(18)가 외향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하로 회전되면서 만빙을 감지하므로, 그 작동 영역이 보다 크게 되고, 냉동실(F) 내의 유효 내용적이 그 만큼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얼음이 담겨지는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상하식으로 감지하여 만빙 감지를 위한 작동 영역을 최소화하고, 냉동실 내의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는 만빙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기의 제빙 제어와 상관없이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고, 아이스 뱅크의 만빙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만빙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냉기에 의해 물이 제빙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이 담겨지는 아이스 뱅크와; 상기 아이스 뱅크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을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방법은 아이스 뱅크에 담겨진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방법에 있어서,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마그네트가 장착된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판단하는 만빙 판단 단계와; 상기 만빙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개방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의 내부에 냉동실(F)과 냉장실(R)이 베리어(52)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F)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54)가 상기 본체(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냉장실(R)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56)가 상기 본체(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56)에는 공급된 물이 냉동실(F)의 냉기에 의해 제빙되는 제빙기(60)와, 상기 제빙기(60)에서 제빙된 얼음이 담겨지는 아이스 뱅크(80)와,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개폐없이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는 디스펜서(88)와, 상기 아이스 뱅크에 담겨진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88)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아이스 슈트(90)가 장착된다.
상기 제빙기(60)는 상기 냉동실(F)의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에 장착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80)는 상기 냉동실(F)의 유효 내용적을 크게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88)는 얼음이 담겨지기 위한 용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 및 배면이 막힘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90)는 상기 아이스 뱅크(80)와 상기 디스펜서(88)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냉동실 도어(54)의 배면에 장착되고, 얼음이 통과하는 통로의 상단이 상기 아이스 뱅(80)의 얼음 취출구와 통하고, 상기 통로의 하단이 상기 디스펜서(88)의 내측 공간과 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의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의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의 제빙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상기 제빙기(6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급수된 후 제빙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제빙 공간이 형성된 제빙기 몰드(61)와, 상기 제빙 공간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이젝터(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일측면에는 급수호스(63a)를 통해 공급된 물이 담겨지고, 담겨진 물이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제빙 공간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컵(63)이 장착된다.
상기 제빙기 몰드(61)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고정되기 위한 연결부(61a)가 전면측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빙기 몰드(61)는 상기 제빙 공간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빙 공간에는 복수개의 얼음이 분리 생성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획 돌기(61b)가 소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빙기 몰드(61)는 전방부 상단에 평판형 물넘침 방지부(61c)가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후방측에는 상기 이젝터(62)에 의해 퍼올려진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안내하는 슬라이더(64)가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64)는 안내된 얼음이 미끄러지면서 낙하됨과 아울러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제빙공간에 담겨진 물이 넘치지 않도록 상면부가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젝터(6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공간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축(62a)과, 상기 축(62a)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6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62a)은 일단이 상기 컵(6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빙 제어부(66) 내로 돌출되어 종동 기어(62c)에 연결된다.
상기 핀(64b)은 상기 구획 돌기(62a)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된 제빙 공간의 개수만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축(62a)의 회전시 상기 구획 돌기(61b) 사이를 통과하면서 얼음을 퍼올린다.
또한, 상기 제빙기(60)는 얼음 취출시 상기 제빙기 몰드(61)와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빙기 몰드(61)를 가열하는 히터(65)가 장착된다.
상기 히터(6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저면에 '⊃' 모양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빙 제어부(66)는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온도와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만빙 여부에 따라 상기 컵(63)으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히터(65)와 이젝터(62)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66a)과, 상기 이젝터(6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66b)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66b)는 회전축에 상기 종동기어(62c)에 치합되는 구동기어(66c)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빙 제어부(66)에는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67)와,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 센서(67)는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외벽면에 밀착되게 장착된다.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상기 아이스 뱅크(80)로 직선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부재(69)와, 상기 승강부재를 직선 승강시키는 승강수단(70)과, 상기 승강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을 감지하는 센서수단(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재(69)는 만빙 감지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단에 확장부(69a)가 돌출된다.
상기 승강부재(69)는 그 작동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빙기(60)의 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승강부재(69)는 그 하향 탈거가 제한되도록 상기 제빙기의 일측에 걸림되는 스토퍼(69b)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69)는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만빙시 상기 승강부재(69)가 얼음에 의해 구속될 때 일부가 옆으로 휘게 되어 상기 모터(73)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휨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수단(70)은 피니언(71)과, 상기 피니언(71)에 치합되도록 상기 승강부재(69)의 일면에 상하로 형성된 랙(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70)은 상기 피니언(71)이 축설되는 샤프트(73a)를 갖는 모터(7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71)은 상기 모터(73)에 축설되어 회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젝터(62)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66b)와 구동기어(66c)와 종동 기어(62c) 중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샤프트(72)는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만빙시 상기 승강부재(69)가 얼음에 의해 구속될 때 뒤틀려서 상기 모터(73)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뒤틀림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싱수단(77)은 상기 승강부재(69)의 일측에 장착된 마그네트(78)와, 상기 마그네트(78)의 높이 변화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빙기에 장착된 홀 센서(79)로 구성된다.
상기 홀 센서(79)는 상기 제어 패널(66a)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66d는 상기 승강부재(69)의 상단이 상기 제빙 제어부(66)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승강부재(69)의 승강이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 제어부(66)의 저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이고, 미설명 부호 69e는 상기 만빙 감지 장치의 감지의 동작을 위한 타이머이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8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기(60)에서 이빙된 얼음이 담겨지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 일측에 담겨진 얼음이 취출되도록 얼음 취출구(8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뱅크(80)는 상기 얼음 취출구(81) 중 전방부를 여닫는 셔터(82)와, 담겨진 얼음을 상기 얼음 취출구(81) 중 전방부로 수평 이송시키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오거(84)와, 상기 오거 (84)를 회동시키는 모터(85)와, 상기 얼음 취출구(81)의 상측에 장착된 얼음 분쇄기(86)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여기서, 상기 셔터(82)는 상기 얼음 취출구(81)의 전방부를 개방할 경우 상기 오거(84)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분쇄없이 상기 얼음 취출구(81)의 전방부 아래로 낙하되게 하고, 상기 얼음 취출구(81)의 전방부를 막을 경우, 상기 오거(84)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올려져서 상기 분쇄기(86)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얼음 취출구(81)의 후방부로 낙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셔터(82)에는 올려진 얼음이 상기 분쇄기(86)의 분쇄 작업을 도울수 있도록 보조 블레이드(82a)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기(86)는 상기 오거(84)의 회전축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거(84)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블레이드(86a)와, 상기 아이스 뱅크(80)에 내측에 형성된 고정 블레이드(86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동작 및 만빙 감지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냉장고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모터(66b)를 제어하여 상기 이젝터(62)의 핀(62b)을 초기 위치(A)로 셋팅한다.
이후,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컵(63)으로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를 소정 시간동안 온시킨 후 오프시킨다.
상기 급수 밸브의 온시 외부에서 급수된 물은 상기 컵(63)에 담겨진 후,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제빙 공간으로 옮겨진다.
이후, 상기 제빙기 몰드(61)에 담겨진 물은 냉동실 내의 냉기 또는 제빙기 몰드(61)와 열교환되어 냉각되고, 냉기와 접촉되는 면과 상기 제빙기 몰드와 접촉되는 면부터 결빙이 진행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얼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온도 센서(67)에서 감지된 제빙기 몰드(61)의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면, -7℃) 보다 작게 되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히터(65)를 온시키고, 상기 히터(65)의 온 이후에 설정시간(예를 들면, 2분)이 경과되거나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온도가 제 2 설정 온도(예를 들면, -2℃) 보다 크게 되면, 상기 히터(65)를 오프시킨다.
상기 히터(65)의 온에 의해 상기 제빙기 몰드(61)의 온도는 상승되고 제빙된 얼음은 상기 제빙기 몰드(61)와 접촉된 부위부터 녹기 시작하면서 상기 제빙기 몰드(61)와 분리된다.
이후,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구동모터(66b)를 제어하여 상기 이젝터(62)의 핀(62b)을 초기 위치(A)에서 이빙 위치(B)에 회동시킨 후 다시 초기 위치(A)로 복귀시킨다.
상기 이젝터(62)의 회동으로 제빙기 몰드(61) 내의 얼음은 퍼올려져 상기 슬라이더(64)로 낙하되고, 상기 슬라이더(64)에 안내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80)로 이빙된다.
한편,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만빙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아이스 뱅크(80)의 만빙 여부에 따라 상기와 같은 상기와 같은 급수와 제빙과 히팅과 이빙의 반복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와 같은 급수와 제빙과 히팅과 이빙을 반복하게 하고,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와 같은 급수와 제빙과 히팅과 이빙을 정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타이머(69e)가 시간을 적산한다.(S1)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타이머(69e)에 적산된 시간과 설정 시간(예를 들면 3분)을 비교하여 적산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승강부재(69)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만빙 감지 장치의 모터(73)를 정회전 구동시킨다.(S2,S3)
상기 모터(73)의 정회전 구동시 상기 회전축(73a)은 회전되어 상기 피니언(71)을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71)과 랙(72)이 치합된 상기 승강부재(69)는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내부를 향해 직선 하강되며, 상기 마그네트(78)는 그 위치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홀 센서(79)는 상기 마그네트(78)의 위치 변화에 따른 주변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빙 제어부(66)의 제어 패널(66a)에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홀센서(79)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만빙을 판단한다.(S4)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상기 아이스 뱅크(7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수직 하강하고,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위치(X 위치)에 이르게 되면, 상기 홀 센서(79)에는 상기 마그네트(78)의 근접에 따른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이러한 설정치 이상의 자장 감지시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인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아이스 뱅크(70) 내의 얼음(I)에 의해 구속되어 만빙 위치(Y 위치) 미만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지 못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와 같은 만빙의 판단 이후에 상기 승강부재(69)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만빙 감지 장치의 모터(73)를 역회전 구동시킨다.(S5)
상기 모터(73)의 역회전 구동시 상기 회전축(73a)은 역회전되어 상기 피니언(71)을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71)과 랙(72)이 치합된 상기 승강부재(69)는 상기 제빙 제어부(66)의 내부를 향해 수직 상승되며, 상기 마그네트(78)는 그 위치가 높아지고, 상기 승강부재(69) 및 마그네트(78)는 다음 감지 행정을 대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 패널(66e)은 상기 타이머(69e)의 적산 시간을 0으로 리셋하여 초기화한다.(S6)
그리고, 상기 제어 패널(66e)은 상기 초기화 이후에 시간의 적산과 승강구재의 수직 하강과 자장 감지와 만빙 판단과 승강부재의 수직 상승과 초기화를 차례로 반복하면서 설정시간(예를 들면 3분) 간격으로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만빙을 감지한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2 실시예가 감지 동작 전이거나 후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2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이 아닐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2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69)를 하강시키는 캠(102)과; 상기 승강부재(69)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부재(69)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106)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이외의 승강 부재(69) 및 센싱수단(77) 등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부재(69)는 상단이 상기 캠(102)에 접촉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106)의 상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69)는 상부가 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캠(102)을 회전시키는 모터(10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102)은 상기 모터(108)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이젝터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와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만빙 감지 행정이 아닐 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102)의 노즈(102b) 이외 부위(102a)에 상기 승강부재(104)가 접촉하도록 상기 모터(108)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69)는 리턴 스프링(106)에 탄성 지지되어 수직 상승되고, 그 하단이 제빙 제어부(66)에 최대한 근접됨에 따라 이빙되는 얼음과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만빙 감지 행정일 때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102)의 노즈(102b)가 상기 승강부재(69)와 접촉되면서 가압하도록 상기 모터(108)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69)는 상기 리턴 스프링(106)을 압축하면서 하강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수직 하강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위치(X 위치)에 이르게 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상기 마그네트(78)의 근접에 따른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이러한 설정치 이상의 자장 감지시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인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뱅크(80) 내의 얼음(I)에 의해 구속되어 만빙 위치(Y 위치) 미만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지 못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69)는 상부가 옆으로 휘면서 상기 승강부재(69)의 구속시 발생될 수 있는 캠(102) 또는 모터(108)의 파손을 막는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3 실시예가 감지 동작 전이거나 후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3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이 아닐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3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69)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캠(112)과; 상기 캠(112)에 접촉되는 누름판(114)과, 상기 누름판(114)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타단이 연결된 압축 스프링(116)과, 상기 누름판(114)을 상승시키는 리턴 스프링(11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이외의 승강 부재(69) 및 센싱수단(77) 등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누름판(114)은 상단이 상기 캠(112)에 접촉한다.
상기 압축 스프링(116)은 상단이 상기 누름판(114)의 저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승강부재(69)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캠(102)을 회전시키는 모터(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112)은 상기 모터(118)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이젝터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와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만빙 감지 행정이 아닐 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112)의 노즈(112b) 이외 부위(112a)에 상기 누름판(114)이 접촉하도록 상기 모터(118)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누름판(114)은 리턴 스프링(116)에 의해 수직 상승되고, 상기 승강부재(69)는 상기 누름판(114)과 함께 수직 상승되어 그 하단이 제빙 제어부(66)에 최대한 근접됨에 따라 이빙되는 얼음과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만빙 감지 행정일 때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112)의 노즈(112b)가 상기 누름판(114)과 접촉되면서 가압하도록 상기 모터(118)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누름판(114)은 상기 리턴 스프링(116)을 압축하면서 하강되고, 상기 누름판(114)의 하강은 상기 압축 스프링(115)을 통해 승강부재(69)로 전달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누름판(114) 및 압축 스프링(115)과 함께 수직 하강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수직 하강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위치(X 위치)에 이르게 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상기 마그네트(78)의 근접에 따른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이러한 설정치 이상의 자장 감지시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인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뱅크(80) 내의 얼음(I)에 의해 구속되어 만빙 위치(Y 위치) 미만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지 못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압축 스프링(115)은 상기 누름판(114)과 승강부재(69)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기 승강부재(69)의 구속시 발생될 수 있는 캠(102) 또는 모터(108)의 파손을 막는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4 실시예가 감지 동작 전이거나 후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4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이 아닐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4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69)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모터(122)와, 상기 모터(122)의 샤프트(123)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재(69)에 타단이 연결된 접철 링크(124)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이외의 승강 부재(69) 및 센싱수단(77) 등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철 링크(124)는 상단이 상기 모터(122)의 샤프트(123)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승강부재(69)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접철 링크(124)는 각 링크의 중앙부가 휠 수 있도록 휨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철 링크(124)는 상기 모터(12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이젝터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와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만빙 감지 행정이 아닐 때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 링크(124)가 최대한 절곡되도록 상기 모터(122)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접철 링크(124)는 그 하단이 상기 승강부재(69)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69)를 수직 상승시키고, 상기 승강부재(69)는 그 하단이 제빙 제어부(66)에 최대한 근접됨에 따라 이빙되는 얼음과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만빙 감지 행정일 때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 링크(124)가 상기 승강부재(69)를 가압하도록 상기 모터(122)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접철 링크(124)는 상기 모터(122) 회전축(123)의 회전에 의해 점차 펼쳐지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69)는 상기 접철링크(124)의 펼침이 진행될수록 상기 접철링크(124)에 의해 눌리면서 수직 하강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수직 하강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위치(X 위치)에 이르게 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상기 마그네트(78)의 근접에 따른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이러한 설정치 이상의 자장 감지시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인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뱅크(80) 내의 얼음(I)에 의해 구속되어 만빙 위치(Y 위치) 미만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지 못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접철링크(124)는 그 펼침각이 제한됨과 아울러 일부가 휘어 상기 승강부재(69)의 구속시 발생될 수 있는 모터(122)의 파손을 막는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5 실시예가 감지 동작 전이거나 후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5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이 아닐 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5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69)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모터(132)와, 상기 모터(132)의 샤프트(133)에 연결된 회동체(134)와, 상기 회동체(134)에 일단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부재(69)에 연결된 링크(136)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이외의 승강 부재(69) 및 센싱수단(77) 등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체(134)는 수직한 원판체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기 모터(132)의 회전축(133)이 고정된다.
상기 링크(136)는 상단이 상기 회동체(134)의 가장자리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승강부재(69)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136)는 중앙부가 옆으로 휠 수 있도록 휨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링크(136)는 상기 모터(13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이젝터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와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만빙 감지 행정이 아닐 때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136)의 상단이 상기 모터(132)의 회전축(133)과 같거나 비슷한 높이에 이르도록 상기 모터(132)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회동체(134)는 회동되어 상기 링크(136)를 끌어올리고, 상기 링크(136)는 그 하단이 상기 승강부재(69)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69)를 수직 상승시키며, 상기 승강부재(69)는 그 하단이 제빙 제어부(66)에 최대한 근접됨에 따라 이빙되는 얼음과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만빙 감지 행정일 때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136)가 상기 승강부재(69)를 가압하도록 상기 모터(132)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링크(124)는 상기 회동체(134)의 회전에 의해 그 상단이 점차 모터(132)의 회전축(133) 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승강부재(69)는 상기 링크(136)의 이동이 진행될수록 상기 링크(136)에 의해 눌리면서 수직 하강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뱅크(8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수직 하강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이 아닌 위치(X 위치)에 이르게 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상기 마그네트(78)의 근접에 따른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이러한 설정치 이상의 자장 감지시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80)가 만빙인 경우 상기 승강부재(69)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뱅크(80) 내의 얼음(I)에 의해 구속되어 만빙 위치(Y 위치) 미만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상기 홀 센서(79)에는 설정치 이상의 자장이 감지되지 못하며, 상기 제어 패널(66a)은 상기 아이스 뱅크(80)를 만빙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링크(124)는 그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중앙부가 옆으로 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69)의 구속시 발생될 수 있는 모터(108)의 파손이나, 상기 링크(136)와 회전체(134)의 연결부위의 파손이나, 상기 링크(136)와 승강부재(69)의 연결부위의 파손을 막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아이스 뱅크로 직선 승강 가능하게 승강부재가 배치되고, 승강수단이 상기 승강부재를 직선 승강시키며,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을 감지하므로, 만빙 감지를 위한 작동 영역이 최소화되고, 냉동실 내의 유효 내용적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 가능성이 최소화되어 오작동의 우려가 적고, 수명이 길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하단에 확장부가 돌출되어, 만빙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수직하게 배치되어 작동영역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빙기의 일측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승강부재의 임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일면에 상하로 형성된 랙과, 상기 피니언이 축설되는 샤프트를 갖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뒤틀림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만빙시 샤프트가 뒤틀려서 상기 모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모터 수명을 길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캠과,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승강부재의 승강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캠과; 상기 캠에 접촉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에 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타단이 연결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 누름판을 상승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승강부재의 승강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 최소화되고, 그 파손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된 접철 링크로 구성되어, 만빙 감지를 위한 승강부재의 작동 영역이 최소화되고, 오작동의 우려가 적으며, 수명이 길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일단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된 링크로 구성되어, 만빙 감지를 위한 승강부재의 작동 영역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방법은 설정 시간 간격으로 만빙을 감지하므로, 제빙기의 제빙 제어와 상관없이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고, 아이스 뱅크의 만빙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개방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빙기의 컨트롤부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의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개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의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의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도시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1 실시예가 장착된 냉장고의 제빙기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2 실시예가 감지 동작 전이거나 후일 때의 확대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2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이 아닐 때의 확대 단면도,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2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일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3 실시예가 감지 동작 전이거나 후일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3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이 아닐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3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일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4 실시예가 감지 동작 전이거나 후일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4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이 아닐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4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일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5 실시예가 감지 동작 전이거나 후일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5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이 아닐 때의 확대 단면도,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 제 5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가 만빙일 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본체 52: 베리어
54: 냉동실 도어 56: 냉장실 도어
60: 제빙기 61: 제빙기 몰드
61a: 연결부 61b: 구획돌기
62: 이젝터 63: 컵
64: 슬라이더 65: 히터
66: 제빙 제어부 66a: 제어 패널
66b: 구동모터 66c: 구동기어
66d: 가이드 홀 67: 온도센서
69: 승강부재 69a: 확장부
69b: 스토퍼 70: 승강수단
71: 피니언 72: 랙
73: 모터 77: 센싱수단
78: 마그네트 79: 홀 센서
80: 아이스 뱅크 81: 얼음 취출구
82: 셔터 84: 오거
85: 모터 86: 얼음 분쇄기
88: 디스펜서 90: 아이스 슈트
102: 캠 106: 리턴 스프링
108: 모터 112: 캠
114: 누름판 116: 압축 스프링
118: 모터 122: 모터
124: 접철 링크 132: 모터
134: 회동체 136: 링크
F: 냉동실 R: 냉장실
I: 얼음

Claims (17)

  1. 냉기에 의해 물이 제빙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이 담겨지는 아이스 뱅크와;
    상기 아이스 뱅크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을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하단에 확장부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직선 운동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빙기의 일측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축설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일면에 상하로 형성된 랙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또는 승강부재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캠과;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부가 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캠과; 상기 캠에 접촉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에 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타단이 연결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 누름판을 상승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1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타단이 연결된 접철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만빙 감지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된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일단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된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높이 변화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빙기에 장착된 홀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장치.
  16. 아이스 뱅크에 담겨진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방법에 있어서,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마그네트가 장착된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스 뱅크의 만빙을 판단하는 만빙 판단 단계와;
    상기 만빙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용 만빙 감지 방법은 상기 초기화 단계 이후에 하강 단계와 감지 단계와 만빙 판단 단계와 초기화 단계를 차례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빙 감지 방법.
KR1020030069608A 2003-10-07 2003-10-07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10056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08A KR100565497B1 (ko) 2003-10-07 2003-10-07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US10/847,454 US7134292B2 (en) 2003-10-07 2004-05-18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159435A JP4554993B2 (ja) 2003-10-07 2004-05-28 満氷感知装置及びその感知方法
EP04012912.4A EP1522806B1 (en) 2003-10-07 2004-06-01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CNB2004100620392A CN1303389C (zh) 2003-10-07 2004-06-28 满冰水平感应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08A KR100565497B1 (ko) 2003-10-07 2003-10-07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754A true KR20050033754A (ko) 2005-04-13
KR100565497B1 KR100565497B1 (ko) 2006-03-30

Family

ID=3430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08A KR100565497B1 (ko) 2003-10-07 2003-10-07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34292B2 (ko)
EP (1) EP1522806B1 (ko)
JP (1) JP4554993B2 (ko)
KR (1) KR100565497B1 (ko)
CN (1) CN1303389C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381B1 (ko) * 2005-11-30 2006-03-30 대림정밀공업(주)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KR20120060772A (ko) * 2010-12-02 2012-06-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저장고
US8499572B2 (en) 2009-01-14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169058A1 (ko) * 2012-05-10 2013-11-14 주식회사 에스씨디 냉장고용 제빙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659932B1 (ko) * 2015-06-17 2016-09-3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만빙량 조절이 가능한 제빙장치와 만빙량 조절장치 및 방법
KR20170002566U (ko) * 2016-01-06 2017-07-17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만빙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3241A1 (de) * 2005-01-24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US7631513B2 (en) * 2005-03-25 2009-12-15 Lg Electronics Inc. Ice bank of refrigerator
US20060277937A1 (en) * 2005-06-10 2006-12-14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Inc.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ing machine
WO2007054166A1 (en) * 2005-11-11 2007-05-1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Freezer ice dispenser system
US7707847B2 (en) * 2005-11-30 2010-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dispensing assembly mounted with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KR100811488B1 (ko) * 2006-05-19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71269B1 (ko) * 2006-08-25 2008-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ITMI20072031A1 (it) 2007-10-19 2009-04-20 Emanuele Lanzani Macchina per la produzione e distribuzione di ghiaccio in particelle
KR100928940B1 (ko) * 2007-12-05 2009-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 장치
US7784292B2 (en) * 2007-12-12 2010-08-31 Zippy Technology Corp. Ice level detection structure for ice makers
US20090151373A1 (en) * 2007-12-12 2009-06-18 Hong-Yi Lee Power control structure for ice makers
US20090187280A1 (en) * 2008-01-22 2009-07-23 Hsu Shih-Hsien Method for controlling ice machine through temperature setting
KR101535481B1 (ko) * 2008-04-15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535484B1 (ko) * 2008-04-15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56571B1 (ko) * 2008-05-01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만빙 감지 방법
KR101535482B1 (ko) * 2008-04-15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56572B1 (ko) * 2008-05-27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US20100139299A1 (en) * 2008-04-15 2010-06-10 Dong-Hoon Lee Refrigerator and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thereof
KR20090112362A (ko) * 2008-04-24 2009-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175893B2 (en) * 2008-11-10 2015-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US20100326096A1 (en) * 2008-11-10 2010-12-30 Brent Alden Junge Control sytem for bottom freezer refrigerator with ice maker in upper door
US9200828B2 (en) * 2008-11-10 2015-12-01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KR101517619B1 (ko) * 2008-11-14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474283B2 (en) * 2009-01-15 2013-07-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438868B2 (en) * 2009-09-03 2013-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639405B1 (ko) * 2009-09-03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EP2494287B1 (en) * 2009-10-26 2020-12-02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309316B1 (ko) * 2011-09-29 201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101907166B1 (ko) * 2011-12-30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78531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163867B2 (en) * 2012-12-14 2015-10-20 Whirlpool Corporation Ice cube shape manipulation via heat
US9970697B2 (en) 2014-09-12 2018-05-15 Whirlpool Corporation Multi-part icemaker bail arms and icemakers
KR102407257B1 (ko) * 2015-08-13 2022-06-10 주식회사 대창 만빙 감지 장치를 구비하는 제빙기
KR101705661B1 (ko) * 2015-06-17 2017-02-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장치 제조 방법
CN105299994B (zh) * 2015-10-29 2017-12-29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冰装置和冰箱
KR101798557B1 (ko) * 2016-04-08 2017-11-1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2134372B1 (ko) * 2017-08-03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28625B1 (ko) * 2017-09-29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8253676B (zh) * 2017-12-14 2020-03-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机的控制方法
US11181309B2 (en) 2017-12-22 2021-11-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KR102432022B1 (ko) * 2018-01-16 2022-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KR102641089B1 (ko) * 2018-11-08 202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정확도 개선을 위한 단일 펄스 예비 테스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1079A (en) 1956-09-13 1961-04-25 Whirlpool Co Ice body makers and ejectors
US3045444A (en) * 1960-12-19 1962-07-24 Carrier Corp Ice making
GB1003619A (en) 1962-11-13 1965-09-08 Whirlpool Co Improvements in ice making apparatus
US3601145A (en) * 1970-01-28 1971-08-24 Gen Motors Corp Automatic freezer
US3885400A (en) * 1973-11-20 1975-05-27 Gen Electric Sensing arrangement for ice maker
JPS5251148A (en) 1975-10-22 1977-04-23 Hoshizaki Electric Co Ltd Ice storage detection device for automatic ice machine
GB2188907B (en) 1986-04-09 1989-11-29 Reynolds Products Improved ice-cooled drink dispensing system
US4872317A (en) 1988-10-24 1989-10-10 U-Line Corporation Unitary ice maker with fresh food compartment and control system therefor
US4872318A (en) 1988-11-18 1989-10-10 Amana Refrigeration, Inc. Shut-off mechanism for ice maker
JPH06174347A (ja) * 1992-12-07 1994-06-24 Sharp Corp 自動製氷装置
US5881563A (en) * 1995-11-30 1999-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er having a position control for an ice-making tray upon recovery from a power outage
JPH09178316A (ja) 1995-12-22 1997-07-11 Toshiba Corp 冷蔵庫
JP3086649B2 (ja) * 1996-01-17 2000-09-1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JPH10103830A (ja) 1996-09-27 1998-04-24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
KR100227257B1 (ko) 1997-06-30 1999-11-01 전주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US6334318B1 (en) 1998-10-01 2002-01-01 Japan Servo Co., Ltd.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US6050097A (en) 1998-12-28 2000-04-18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storage system for a refrigerator
US6082130A (en) 1998-12-28 2000-07-04 Whirlpool Corporation Ice delivery system for a refrigerator
JP3909190B2 (ja) * 2000-04-25 2007-04-2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US6574974B1 (en) 2000-10-02 2003-06-10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electronic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6334319B1 (en) 2000-10-18 2002-01-01 Maytag Corporation Ice level sensing assembly
US6637217B2 (en) 2000-12-30 2003-10-2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37388B1 (ko) 2001-08-14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 및 검사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381B1 (ko) * 2005-11-30 2006-03-30 대림정밀공업(주)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US8499572B2 (en) 2009-01-14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60772A (ko) * 2010-12-02 2012-06-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저장고
WO2013169058A1 (ko) * 2012-05-10 2013-11-14 주식회사 에스씨디 냉장고용 제빙기 구동 장치 및 방법
US10139146B2 (en) 2012-05-10 2018-11-27 Sc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cemaker of refrigerator
KR101659932B1 (ko) * 2015-06-17 2016-09-3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만빙량 조절이 가능한 제빙장치와 만빙량 조절장치 및 방법
US9863686B2 (en) 2015-06-17 2018-01-09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Ice maker capable of adjusting full-ice level,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full-ice level
KR20170002566U (ko) * 2016-01-06 2017-07-17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만빙센서
KR200486966Y1 (ko) * 2016-01-06 2018-07-20 대영이앤비(주) 만빙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14338A (ja) 2005-04-28
US7134292B2 (en) 2006-11-14
CN1605823A (zh) 2005-04-13
KR100565497B1 (ko) 2006-03-30
EP1522806B1 (en) 2013-07-31
US20050072167A1 (en) 2005-04-07
EP1522806A1 (en) 2005-04-13
JP4554993B2 (ja) 2010-09-29
CN1303389C (zh)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497B1 (ko)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EP1772688B1 (en) Detector for determining a complete filling of ice-cubes
JP4554992B2 (ja) 冷蔵庫用製氷器の急速製氷制御方法
EP1598617B1 (en) Ice-making apparatus and ice-full state sensing device therefor
KR100611489B1 (ko) 로터리식 제빙기
KR101189452B1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50553B1 (ko) 냉장고
KR100600724B1 (ko) 만빙 감지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100688163B1 (ko) 만빙 감지 장치
KR100565502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KR20050041753A (ko) 만빙 감지장치
KR100565498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31290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 제어방법
KR100408573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제어방법
KR100820586B1 (ko) 자동 제빙 장치
KR100600726B1 (ko) 냉장고의 제빙기
KR100565500B1 (ko) 제빙기의 제어방법
KR100761108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50077845A (ko) 냉장고
KR100600727B1 (ko) 제빙기의 이빙 완료 판단 방법
KR20090109420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9990013144A (ko) 제빙기의 이빙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9793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