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316B1 -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316B1
KR101309316B1 KR1020110099385A KR20110099385A KR101309316B1 KR 101309316 B1 KR101309316 B1 KR 101309316B1 KR 1020110099385 A KR1020110099385 A KR 1020110099385A KR 20110099385 A KR20110099385 A KR 20110099385A KR 101309316 B1 KR101309316 B1 KR 10130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eservoir
guide
tank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113A (ko
Inventor
박종진
오승환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3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빙장치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조; 상기 제빙조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조 내부의 얼음을 취출구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저장조 내부의 상기 제빙조 하부에 구비되는 얼음 가이드; 및 상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키는 가이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는 상기 이송수단에 의한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상향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얼음 가이드는 상기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을 향해 기울여지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ICE MA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ICE MAKER}
본 발명은 정수기나 냉장고 등에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고 보관하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저빙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고, 그 수단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저빙량을 증대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나 냉장고 등에 구비되는 제빙장치는 냉매사이클을 사용하여 제빙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은 제빙장치에 구비된 얼음보관함으로 낙하되어 보관되어, 효율적으로 제빙과 보관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얼음보관함 내부에는 스크류 등의 보관된 얼음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 스크류 등을 가동하여 얼음을 취출구 측으로 이송시켜 얼음이 나오도록 한다. 또한, 취출구 주변으로는 다수개의 칼날이 포함된 분쇄장치가 구비되어, 이송중인 얼음이 분쇄되어 취출구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정에서 사용되는 정수기나 냉장고의 경우 좁고 한정된 공간에 제빙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을 가진다. 특히, 정수기의 경우 이러한 공간적인 제약이 크다. 이러한 공간적인 제약 하에서, 전술한 제빙장치 및 얼음분쇄장치를 모두 구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을 필요로 하며, 나아가 안정적인 얼음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제빙된 얼음을 어느 정도 보관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송장치가 얼음보관함의 및 분쇄장치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에는 얼음 보관함에 수용할 수 있는 얼음의 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생성된 얼음이 얼음보관함에 낙하되는 위치에 따라 얼음이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불균일하게 쌓이게 되어, 더 이상의 얼음이 수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1) KR10-2010-0092168 A
(특허문헌 2) KR10-0565497 B1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적인 정수기나 냉장고 등에 사용되어 얼음을 생성하고 보관하는 제빙장치의 얼음 보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공간에서 최대한의 얼음 보관량을 가지도록 얼음을 분산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은 공간에서 최대한의 얼음 보관량을 가지도록 제빙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저빙량 증대에 의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일 실시예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조; 상기 제빙조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조 내부의 얼음을 취출구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저장조 내부의 상기 제빙조 하부에 구비되는 얼음 가이드; 및 상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키는 가이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는 상기 이송수단에 의한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상향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얼음 가이드는 상기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을 향해 기울여지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저장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가이드는 상기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회동된다.
여기서,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제1만빙감지센서와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제2만빙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얼음 가이드는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상기 제2만빙감지센서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저장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저장조 내부에서의 얼음을 저장위치를 가이드하는 얼음 가이드를 구비한 제빙장치에서 적용되며, 제빙조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얼음 가이드가 수평한 상태에서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단계; 저장조에 구비되는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저장조 내부에서의 얼음을 저장위치를 가이드하는 얼음 가이드를 구비한 제빙장치에서 적용되며, 제빙조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얼음 가이드가 수평한 상태에서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단계; 저장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의 만빙상태 감지여부를 비교하여, 만빙상태일 경우 제빙조의 얼음생성을 중지하고, 추가적인 얼음 저장이 가능한 경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제1만빙감지센서와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제2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측에 구비되는 얼음 가이드를 상기 제2만빙감지센서측으로 회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기도 하며, 전술한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빙장치의 저장조에 저장되는 얼음을 고르게 분산시켜 저빙량을 증대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저장조에 구비되는 만빙감지센서를 사용하여 만빙여부를 판단하되, 얼음이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얼음의 추가적인 생성 여부를 결정하여 소비전력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제빙장치를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빙장치가 구비되는 정수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저장조에 얼음 가이드가 장착된 평면도.
도 4와 도 5는 얼음 가이드의 구동에 따른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도.
도 6은 컨트롤러에 의한 제빙장치의 제어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얼음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얼음을 취출구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한 제빙장치에 사용된다. 이러한 제빙장치는 정수기 또는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수기에 사용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제빙장치가 구비되는 정수기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도 1을 참고하면, 정수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와,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필터(3)는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도물 등의 원수에 함유된 부유물질, 녹찌꺼기 및 각종 유해물질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필터를 통과한 정수는 정수조 및 냉온수조에 저장된 후 디스펜서(4)를 통해 취출될 수 있다. 또한, 본체(2) 내부에 구비되는 얼음생성장치(미도시)에 의해 얼음이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4)를 통해 취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제빙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제빙장치는 도 1의 정수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제빙장치는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장치(10)와,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20)와, 상기 저장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조 내부의 얼음을 취출구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30) 및 상기 이송수단에 의한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분쇄수단(40)을 구비한다.
상기 얼음생성장치(10)는 구동모터(12)에 의해 회전가능한 제빙조(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빙조(11)에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냉매사이클에 연결된 증발기인 핑거(13)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제빙조(11)에서 얼음이 생성된다. 상기 핑거(13)는 제빙조에 수용되는 제빙수와 접촉하여, 핑거의 주변으로 얼음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빙조(11)에서 생성된 얼음은 구동모터(12)의 작동에 의해 얼음 저장조(20)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상기 저장조(20)는 전술한 얼음생성장치(10)의 제빙조(11)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조는 제빙조의 하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조(20)는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이동경로는 저장조 내부에서 후술할 이송수단에 의해 얼음이 취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경로를 말한다. 즉,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은 취출구측을 말한다. 하지만, 상기 저장조(20)에 경사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경사가 형성된 저장조를 보여준다.
도 2를 참고하면, 저장조(20)에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상향경사가 형성된 경우, 저장조에 저장된 얼음은 이송수단(30)에 의해 우상방을 향해 이송된다. 따라서, 얼음이동경로는 우상방향을 향하게 된다. 도 2에서 상기 저장조(20)는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θ)만큼의 상향경사를 가진다.
상기 저장조의 경사 각도(θ)에 의해 도 2에서 저장조의 좌측의 공간이 우측의 공간보다 넓게 된다. 이는 정수기의 작은 공간에서 최대한의 얼음 보관량을 가지도록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즉, 저장조의 좌측부분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경사가 없는 구성보다 최대한 얼음을 많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송수단(30)은 저장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조 내부의 얼음을 취출구측으로 이송한다. 도 2에서,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저장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의 날을 따라 저장조의 얼음이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30)은 구동모터(50)에 의해 구동된다. 즉, 구동모터에서 연장된 회전축이 상기 이송수단에 연결되어 이송수단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저장조의 상향경사를 따라 경사지도록 장착된다. 즉, 저장조의 형상에 맞추어 같은 경사를 가지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송되는 얼음이 급격하게 취출구(60)로 취출되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저장조가 경사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수단(30)은 저장조의 형상에 맞추어 수평하게 장착된다.
취출구(60)는 상기 이송수단에 대해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를 가지도록 하여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경사를 타고 자중에 의해 취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캡(61)을 구비하여 취출구를 차단하여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쇄수단(40)은 상기 이송수단에 대해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형성된다. 다만, 상기 취출구에 대해서는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형성된다. 상기 분쇄수단(40)은 고정칼날(미도시)과 복수개의 회전칼날(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칼날과 복수개의 회전칼날에 사이에 얼음이 위치하는 경우, 고정칼날과 회전칼날들의 상대운동에 의해 얼음이 분쇄된다.
얼음 가이드(80)는 상기 저장조 내부의 상기 제빙조 하부에 구비되는 판형상의 구성이다. 도 2는 상기 얼음 가이드(80)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장착위치를 보여준다. 도 3은 상기 얼음 가이드(80)를 저장조의 위에서 본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얼음 가이드(80)는 일 측면에 구동모터(81)와 연결되는 구동축(8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8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얼음 가이드(80)는 회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얼음 가이드(80)는 상기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을 향해 기울여지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 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얼음 가이드(80)는 구동축(81)을 중심으로 도 5의 (a)와 같이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얼음 가이드의 회동되는 방향은 도 5의 (a)를 기준으로 저장조(20)의 좌하방으로 기울여지도록 회동된다. 즉, 저정조의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을 향해 기울여지도록 회동되는 것이다.
도 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제빙조에 구비되는 핑거(13) 주변으로 형성된 얼음은 제빙조의 회전에 의해 도 4의 (b)와 같이 낙하된다. 이 경우, 얼음은 도 4의 (c)와 같이 저장조(20)의 우측, 즉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집중되어 있으며, 고르게 분산되어 있지 못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a)와 같이 얼음 가이드(80)가 회동되면 제빙조에 구비되는 핑거(13) 주변으로 형성된 얼음은 제빙조의 회전에 의해 도 5의 (b)와 같이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으로 낙하된다. 이 경우, 얼음은 도 5의 (c)와 같이 저장조(20)의 좌측, 즉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쌓이게 되어, 도 4의 (c)보다 얼음이 고르게 분산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저장조에 어느 정도 이상의 얼음이 쌓이면 얼음생성이 중단되도록 하는 제빙장치에서 얼음이 쌓이는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저빙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제빙장치는 상기 저장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빙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상기 만빙감지센서(71,72)가 두 개 구비되어 있는 예를 보여준다. 상기 만빙감지센서는 얼음이 저장조 내부에 차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90)로 신호를 전송한다.
도 6은 컨트롤러에 의한 제빙장치의 제어를 보여준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컨트롤러(90)는 정수기 또는 냉장고의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만빙감지센서를 통해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위치까지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얼음 가이드 구동모터(82)를 구동시키켜 구동모터를 회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경우에 따라 상기 이송수단의 구동모터(50)를 구동하거나 제빙조에서의 얼음생성을 중단시키기도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제1만빙감지센서(71)와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제2만빙감지센서(72)를 구비한다.
상기 얼음 가이드(80)는 상기 만빙감지센서(71,72)가 저장조의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회동된다. 도 2에서, 상기 얼음 가이드(80)는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71)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71)가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상기 제2만빙감지센서(72)측으로 회동된다.
상기 얼음 가이드(80)의 회동은 컨트롤러(90)에 의해 제어된다. 즉, 도 6과 같이, 제1만빙감지센서(71)와 제2만빙감지센서(72)에 의해 얼음의 높이를 감지한 후 이를 토대로 얼음 가이드의 구동모터(82)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얼음 가이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제어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저장조 내부에서의 얼음을 저장위치를 가이드하는 얼음 가이드, 및 저장조에 구비되는 만빙감지센서를 구비한 제빙장치에서 적용된다.
본 실시예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은 제빙조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얼음 가이드가 수평한 상태에서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단계(S100), 저장조에 구비되는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00),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가이드가 수평한 상태에서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단계(S100)는, 도 4의 (a)와 같은 얼음 가이드의 수평상태에서 도 4의 (b)와 같이 얼음이 생성되어 저장조에 낙하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얼음이 소정의 높이까지 쌓이게 되면 도 4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얼음은 저장조 내부에서 불균일하게 쌓이게 되어 진정한 의미의 만빙상태라고는 할 수 없다.
상기 저장조에 구비되는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00)는 도 4의 (c)와 같은 상태에서 얼음이 일단 만빙감지센서가 장착된 위치까지 쌓이게 된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S300)에서는 도 5의 (a)와 같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얼음 가이드(80)를 회동시키서 얼음 가이드가 기울여지도록 한다.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은 도 5의 (b)와 같이 기울여진 얼음 가이드로 낙하한 후 저장조 내부에서 분산되어 도 4의 (c)에서 얼음이 충분히 쌓이지 않은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쌓이게 되어 도 5의 (c)와 같이 고른 높이로 쌓이게 된다. 그에 따라 도 5의 (c)와 같은 진정한 의미의 만빙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만빙감지센서가 복수개 장착된 저장조를 구비한 제빙장치에 적용된다. 즉, 본 실시예는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저장조 내부에서의 얼음을 저장위치를 가이드하는 얼음 가이드와,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를 구비한 제빙장치에서 적용된다.
도 7은 상기 실시예 중에서 만빙감지센서가 두 개 구비된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제빙조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얼음 가이드가 수평한 상태에서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단계(S100), 저장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00),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의 만빙상태 감지여부를 비교하여, 만빙상태일 경우 제빙조의 얼음생성을 중지하고, 추가적인 얼음 저장이 가능한 경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가이드가 수평한 상태에서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단계(S100)는, 도 4의 (a)와 같은 얼음 가이드의 수평상태(S110)에서 도 4의 (b)와 같이 얼음이 생성되어 저장조에 낙하(S120)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얼음이 소정의 높이까지 쌓이게 되면 도 4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얼음은 저장조 내부에서 불균일하게 쌓이게 되어 진정한 의미의 만빙상태라고는 할 수 없다.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00)는,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제1만빙감지센서와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제2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S300)는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의 만빙상태 감지여부를 비교하여, 추가적인 얼음 저장이 가능한 경우 얼음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의 만빙상태 감지여부를 비교하여 만빙상태일 경우에는 제빙조의 얼음생성을 중지하고, 얼음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의 만빙상태 감지여부를 비교하는 것은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로 감지하지 않거나 또는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 중 일부만 만빙상태로 감지하는 경우는 추가적인 얼음 저장이 가능한 경우이고,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 전체가 만빙상태로 감지한 경우는 추가적인 얼음 저장이 불가능한 경우로 판단하는 것이다.
도 2에서는 일 예로 두 개의 서로 다른 만빙감지센서(71,72)가 저장조의 측면에 동일한 높이에 장착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얼음의 저장이 불가능 진정한 만빙상태라면, 모든 만빙감지센서(71,72)가 만빙상태로 감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일부의 센서(71)만 감지하거나, 모든 센서가 감지하지 못한다면 얼음이 저장조에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서 추가적인 얼음의 저장이 가능한 상태일 것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의 감지여부를 비교하여 진정한 만빙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만빙감지센서(71)와 제2만빙감지센서(72)가 모두 만빙상태를 감지하지 못한다면 추가적인 얼음의 저장이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여 추가적인 얼음을 생성하고 저장조에 얼음을 추가적으로 저장한다.
한편, 제1만빙감지센서(71)만 만빙상태를 감지한다면, 얼음이 고르게 쌓인 것이 아니어서 제2만빙감지센서측에 추가적인 얼음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도 5의 (a)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고, 추가적인 얼음을 생성하여 도 5의 (b)와 같이 추가적인 얼음의 저장이 가능한 위치로 얼음을 낙하시켜 도 5의 (c)와 같은 상태로 만빙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제1만빙감지센서와 제2만빙감지센서 모두가 만빙상태를 감지한다면 저장조는 진정한 의미의 만빙상태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얼음의 저장이 불가능하여 제빙조에서의 얼음 생성을 중단시킨다.
얼음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것은, 전술하였듯이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도 5의 (a)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고, 추가적인 얼음을 생성하여 도 5의 (b)와 같이 추가적인 얼음의 저장이 가능한 위치로 얼음을 낙하시켜 도 5의 (c)와 같은 상태로 만빙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측에 구비되는 얼음 가이드를 상기 제2만빙감지센서측으로 회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정수기 또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기도 하며, 전술한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빙장치와 제어방법을 사용하면, 제빙장치의 저장조에 저장되는 얼음이 고르게 분산되어 제빙장치의 저빙량이 증대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특히, 저장조에 구비되는 만빙감지센서를 사용하여 만빙여부를 판단하되, 얼음이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얼음의 추가적인 생성 여부를 결정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제빙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 : 정수기 2 : 본체
3 : 필터 4 : 디스펜서
10 : 얼음생성장치 20 : 저장조
30 : 이송수단 40 : 분쇄수단
50 : 구동모터 60 : 취출구
71,72 : 만빙감지센서 80 : 얼음 가이드
81 : 구동축 82 : 구동모터
90 : 컨트롤러

Claims (9)

  1.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조;
    상기 제빙조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조 내부의 얼음을 취출구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저장조 내부의 상기 제빙조 하부에 구비되는 얼음 가이드;
    상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키는 가이드 구동모터; 및
    상기 저장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빙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는 상기 이송수단에 의한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상향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얼음 가이드는 상기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상기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을 향해 기울여지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제1만빙감지센서와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제2만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가이드는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상기 제2만빙감지센서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저장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5.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저장조 내부에서의 얼음을 저장위치를 가이드하는 얼음 가이드를 구비한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빙조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얼음 가이드가 수평한 상태에서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단계;
    저장조에 구비되는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6.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저장조 내부에서의 얼음을 저장위치를 가이드하는 얼음 가이드를 구비한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빙조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얼음 가이드가 수평한 상태에서 저장조에 얼음이 저장되는 단계;
    저장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의 만빙상태 감지여부를 비교하여, 만빙상태일 경우 제빙조의 얼음생성을 중지하고, 추가적인 얼음 저장이 가능한 경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저장조의 얼음이동경로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제1만빙감지센서와 얼음이동경로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제2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가이드를 회동시켜 제빙조에서 낙하하는 얼음의 저장조 내부에서의 저장위치를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가 만빙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상기 제1만빙감지센서측에 구비되는 얼음 가이드를 상기 제2만빙감지센서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구비한 정수기.
KR1020110099385A 2011-09-29 2011-09-29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10130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85A KR101309316B1 (ko) 2011-09-29 2011-09-29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85A KR101309316B1 (ko) 2011-09-29 2011-09-29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113A KR20130035113A (ko) 2013-04-08
KR101309316B1 true KR101309316B1 (ko) 2013-09-13

Family

ID=4843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385A KR101309316B1 (ko) 2011-09-29 2011-09-29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774A (ko) * 2017-09-25 2019-04-03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저장고 및 이의 얼음 추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981B1 (ko) * 2013-04-19 2015-01-23 정휘동 얼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2206328B1 (ko) * 2013-07-01 2021-01-2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토출장치
KR20210147419A (ko) 2020-05-28 2021-12-07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497B1 (ko) * 2003-10-07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20100092168A (ko) * 2009-02-12 201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497B1 (ko) * 2003-10-07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20100092168A (ko) * 2009-02-12 201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774A (ko) * 2017-09-25 2019-04-03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저장고 및 이의 얼음 추출 방법
KR102567748B1 (ko) * 2017-09-25 2023-08-17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저장고 및 이의 얼음 추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113A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316B1 (ko)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100565617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EP2419684B1 (en) Refrigerator
CA2793581C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0781262B1 (ko) 냉장고
EP1930672B1 (en)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KR100826019B1 (ko) 제빙장치
KR101339448B1 (ko) 정수기, 정수기의 제어방법 및 정수기의 얼음 취출장치
JP2007278548A (ja) 自動製氷装置
KR101450595B1 (ko) 독립 제어 방식의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
KR20080104645A (ko) 얼음 취출 장치
KR101659021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02287B1 (ko) 수평 드럼형 제빙 장치
KR101308747B1 (ko)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RU247888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кусочков льд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усочков льда
KR101631218B1 (ko) 얼음안내그릴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
JP5404224B2 (ja) 保冷システム
KR102358062B1 (ko) 제빙장치
KR102407257B1 (ko) 만빙 감지 장치를 구비하는 제빙기
KR200468943Y1 (ko) 얼음정수기의 저빙고
CN207191497U (zh) 一种速冻水产的分装装置
KR100672392B1 (ko) 제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 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방법
KR10078126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WO2011151993A1 (ja) 冷蔵庫
CN2838300Y (zh) 带有快泄装置的冷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