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26A -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26A
KR20170000126A KR1020150088903A KR20150088903A KR20170000126A KR 20170000126 A KR20170000126 A KR 20170000126A KR 1020150088903 A KR1020150088903 A KR 1020150088903A KR 20150088903 A KR20150088903 A KR 20150088903A KR 20170000126 A KR20170000126 A KR 20170000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yarn
resin film
mono
film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764B1 (ko
Inventor
김진숙
Original Assignee
김진숙
부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숙, 부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진숙
Priority to KR102015008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764B1/ko
Priority to PCT/KR2016/006367 priority patent/WO2016208904A2/ko
Publication of KR2017000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2Stretch-spinning methods
    • D01D5/16Stretch-spinning methods using rollers, or like mechanical devices, e.g. snubbing pi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사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이나 제조공정 후에 0.15~0.3mm 직경폭(W1)의 합성수지 모노사(2)를 사용하여서 프레스롤러(10)에 의한 프레스 가공으로 원사완성품 모노사(2)의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 대비하여 1~1.8배의 인장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사(4)를 구현한 것으로, 기존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에 대비해 인장강도가 훨씬 더 우수하면서도 필름사의 생산단가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그 합성수지 필름사{EM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LM YARN OF SYNTHETICRESINS USING MONO YARN FILM, AND SYNTHETICRESIN FILM YARN THEREBY}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강강도가 동일굵기의 필름사에 대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은 물론이고 모노사 원사에 비해서도 인장강도가 더 높은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하는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그 합성수지 필름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필름사는 차광망, 방초망이나 곤포 랩핑망, 포장망, 건축용 망 등과 같은 다양한 편직물 제조에 이용된다.
그 합성수지 필름사의 제조절차는, 우선 합성수지 원료를 용융시키고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서 판상의 얇은 필름을 만들고, 그 얇은 필름을 냉각한 상태에서 수많은 가닥으로 재단한 다음, 그 재단된 필름가닥들을 가열 후 연신함으로써 최종의 합성수지 필름사가 얻어지게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필름사는 편직원단에 활용될 시에 원단 밀도를 높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흑색 합성수지 필름사로 차광망을 편직하게 되면 원단밀도가 높은 관계로 모노사를 이용한 차광망에 비해서 차광율 확보가 상당히 유리하다.
그런데 합성수지 필름사를 이용한 코엮임으로 된 편직원단을 얻은 후에 외부환경에서 사용하게 되면, 편직원단의 폭을 갖는 필름사 특성상 코엮임된 부분이 물을 가두는 수단이 되므로 외부환경에서 사용된 편직원단이 물무게로 인해서 축쳐지는 현상이 잦게 되고 심어지는 찢어지기도 하는 등 편직원단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 기준으로 인장강도가 좀더 보강될 수 있는 필름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된다면 관계된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하는 필름사 제조장치의 설치비용은 모노사 제조장치의 설치비용에 비해서 대략 두배 가량의 고가인 관계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모노사 제조장치를 활용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할 수 있다면 필름사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0218호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에 대비해 인장강도가 더 우수한 합성수지 필름사와 그를 제조할 수 있는 필름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모노사를 원사로 활용하여 필름사를 제조하되 모노사 원사보다 더 인장강도가 높은 필름사를 제조할 수 있는 필름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0.3~2.1mm 넓은 범위의 필름사 사폭을 허락하며, 일반형 필름사에서는 취급하지 않는 150~200데니어 굵기의 낮은 데니어급까지도 제조가능한 필름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이나 제조공정 후에 0.15~0.3mm 직경폭(W1)의 합성수지 모노사(2)를 프레스롤러(10)에 의한 프레스 가공으로 원사완성품 모노사(2)의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 즉 0.3~2.1mm의 넓은 범위의 필름사 사폭을 가지며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 대비하여 1~1.8배의 인장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사(4)를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구체 실시예로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 모노사 압출기(20)와 연신기(22) 사이에 위치된 프레스롤러(10)를 이용하여 다수 가닥의 모노사들을 롤링프레스 가공하고 연신기(22)로 연신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4)를 제조하되, 상기 합성수지 필름사(4)는 원사완성품 모노사의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프레스롤러(10)에 의한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같거나 높은 인장강도를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 실시예로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 연신기(22)와 정경기(24) 사이에 위치된 프레스롤러(10)를 이용하여 압출후 연신된 다수 모노사를 롤링프레스 가공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4)를 제조하되, 상기 합성수지 필름사(4)는 원사완성품 모노사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프레스롤러(10)에 의한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같거나 높은 인장강도를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실시예로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 정경기(24) 뒤에 위치된 프레스롤러(10)를 이용하여 압출 및 연신후 정경기(24)에 정경된 모노사를 롤링프레스 가공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4)를 제조하되, 상기 합성수지 필름사(4)는 원사완성품 모노사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프레스롤러(10)에 의한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같거나 높은 인장강도를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실시예로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를 공급하는 경사공급부(28)와 편직기(30) 사이에 위치된 프레스롤러(10)를 이용하여 경사공급부(28)에서 공급되는 경사로서 합성수지 모노사(2)를 롤링프레스 가공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4)를 편직기(30)에 제공하되, 상기 합성수지 필름사(4)는 경사로 공급된 합성수지 모노사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프레스롤러(10)에 의한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같거나 높은 인장강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모노사로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하는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의 위치나 제조공정 후의 위치, 편직기의 경사로 투입되는 공정 위치 중 하나에 합성수지 모노사(2)를 합성수지 필름사(4)로 롤링 프레스 가공하기 위한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를 구비하며;
상기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는,
연동 구동되는 제1,제2 하부롤러(12)(14)와, 제1,제2 하부롤러(12)(14)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제2 하부롤러(12)(14)를 함께 면접 프레스하는 프레스 상부롤부(16)로 구성하되, 프레스 상부롤부(16)는 합성수지 모노사 1~20개 단위로 수용 가능한 단척롤러(16a)들이 일렬 배열되게 구성하고 각 단척롤러(16a) 마다에는 프레스작동실린더(18)가 대응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로서, 모노사를 이용한 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수지 필름사를 구성함에 있어,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이나 제조공정 후에 0.15~0.3mm 직경폭(W1)의 합성수지 모노사(2)를 이용한 프레스롤러(10)에 의한 프레스 가공으로 단조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사(4)를 구성하되, 합성수지 필름사(4)는 완성품 모노사(2)의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짐과 동시에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에 대비하여 1~1.8배의 인장강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모노사를 활용해서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하는바 기존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에 대비해 인장강도가 훨씬 더 우수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에서 활용한 모노사 원사보다 더 나은 인장강도를 갖는 필름사를 제조하는 장점이 있으며 더구나 생산단가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존 합성수지 필름사가 1.5mm이상의 사폭을 갖는데 반해 0.5~1mm의 좁은 사폭은 물론이고 0.5~2mm의 넓은 범위의 필름사 사폭을 갖도록 임의 제조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합성수지 모노사를 원사로 활용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의 다양한 설치 위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합성수지 모노사를 필름사로 가공하는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노사를 원사로 활용하여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한 예시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사를 이용하여 제편한 편직물의 일예 사진도,
도 7은 합성수지 모노사와 그 모노사를 원사로 활용하여 가공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 필름사를 함께 짠 망 예시사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모노사를 이용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하는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사는 모노사의 장점인 인장강도가 우수한 점과 필름사의 장점인 단위면적당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 합성수지 필름사로는 여러가지 제약으로 실제 제조할 수 없었던 150~200데니어(denier)급의 낮은 데니어굵기 합성수지 필름사도 제조할 수 있게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합성수지 모노사를 원사로 활용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를 제조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이나 제조공정 후 또는 편직기(30)에 경사가 투입되기 전에, 0.15~0.3mm 직경폭(W1)의 합성수지 모노사(2)를 프레스롤러(10)에 의한 프레스 가공을 수행하여서 원사완성품인 모노사(2)의 직경폭(W1)의 2~7배가 되는 좌우폭(W2)을 가지며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에 대비하여서는 1~1.8배의 인장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사(4)가 제공되게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라 모노사(2)를 활용한 단조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사(4)는,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훨씬 더 높은 합성수지 모노사에 대비할 경우 0.85~1.2배의 인장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 모노사(2)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필름사(4)로 제조하기 위해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은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 필름사(4)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의 다양한 설치 위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합성수지 모노사(2)를 원사로 활용하여 합성수지 필름사(4)로 가공하는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의 개략 측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의 개략 평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는,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이나 제조공정 후 또는 편직기(30)에 모노사를 경사로서 투입하기 전의 위치에 설치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로 변환시키는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합성수지 모노사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모노사 제조설비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와 같이, 모노사 압출기(20), 연신기(22), 정경기(24) 및 정경된 모노사를 감아 놓는 정경빔(26)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모노사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우선 합성수지 원료는 모노사압출기(2)에서 용융 압출된 후 연신기(22)에 의해 연신됨으로써 합성수지 모노사가 얻어진다. 또 차후 편직기(도 2의 30)에서 사용되도록 정경기(24)에 의해 정경되어 정경빔(26)에 감기게 되며, 경사공급수단중 하나인 크릴(creel)형태로도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는, 모노사 제조공정중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사 압출기(20)와 연신기(22) 사이 위치(도 2의 ①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또 연신기(22)의 후단위치(도 2의 ② 위치), 정경기(24)에 의해 정경된 후 정경빔(26)에 감기기 직전 위치(도 2의 ③ 위치)하여서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는 모노사 제조공정후 예컨대 정경빔(26)에서 경사공급부중 하나인 크릴(creel)로 다시 감기는 사이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의 바람직한 설치 예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모노사를 공급하기 위한 경사빔이나 크릴과 같은 경사공급부(28)에서 편직기(30)로 경사(합성수지 모노사)가 공급되는 사이에 위치(도 2의 ④ 위치)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는 모노사 제조과정에나 편직물 제조과정에 포함되어서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합성수지 필름사(4)를 바로 제공하여 작업 연속성을 갖게 해주므로 그에 따른 제조비용을 상당히 줄여준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프레스롤러(10)는 합성수지 모노사(2)를 바람직하게는 0.15~0.3mm 직경폭(W1)의 합성수지 모노사(2)를 롤링프레스 가공하여서 원사완성품 모노사(2)의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 대비하여 1~1.8배의 인장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사(4)로 변경되게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하부롤러(12)(14)가 체인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구동되게 구성하며, 제1,제2 하부롤러(12)(14)의 상부에는 제1,제2 하부롤러(12)(14)에 동시에 면접 프레스하여 프레스롤러(10)를 통과하는 합성수지 모노사(2)를 합성수지 필름사(4)로 가공되게 하는 프레스 상부롤부(16)를 구비한다.
프레스 상부롤부(16)는 프레스롤러(10)를 통과하는 모든 모노사들이 균일한 가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각각이 합성수지 모노사(2) 1~20개 단위로 수용 가능한 단척롤러(16a)들이 일렬 배열된 것이고, 각 단척롤러(16a)마다에는 프레스작동실린더(18)가 대응 설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단척롤러(16a)에 수용되는 모노사(2)의 바람직한 개수는 필름사 가공효율 및 균일한 가압력 허용범위를 고려할 때 5개 내지 10개이다.
각 단척롤러(16a)마다 프레스 작동실린더(18)가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를 통과하는 모노사(2)들 모두는 그 좌우로 배열된 위치에 상관없이 프레스 상부롤부(16)에 의해 균일한 가압력을 받으면서 합성수지 필름사(4)로 가공될 수 있다.
이렇게 가공된 합성수지 필름사(4)는 모노사(2)가 0.15~0.27mm로 얇게 펴지면서 원사완성품인 모노사(2)의 직경폭(W1)의 2~7배나 되는 좌우폭(W2)을 갖게 되며,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에 의한 가압력에 의한 단조효과로 인해 그 사용된 모노사(2)보다 더 높은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에 대비하여 1~1.8배의 인장강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는 합성수지 필름사(4)의 용도에 맞게 가압력을 조절하여서 동일한 데니어 굵기임에도 그 사폭의 조절이나 인장강도의 조절을 본 발명의 좌우폭(W2) 범위 및 인장강도 범위내에서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차광율이 좋아야 하는 검은색 합성수지 필름사(4)의 경우에는 프레스롤러(10)의 가압력을 높혀서 필름두께를 얇게 하여서 필름사의 사폭을 좌우폭(W2) 0.3~2.1mm 범위내에서 넓게 하며, 또 인장강도가 좋아야 하는 합성수지 필름사(4)의 경우에는 프레스롤러(10)의 가압력을 낮추어서 상기 좌우폭(W2) 0.3~2.1mm 범위내에서 그 사폭을 좁게 하고 그 대신 필름두께는 두껍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설비로는 만들기가 거의 불가능한 150~200데니어급 굵기의 합성수지 필름사를 모노사의 굵기 변경을 통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모기장과 같은 촘촘한 망원단을 짜게 되면 모기장 요구공극밀도를 유지하면서도 매우 가볍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노사(2)를 원사로 활용하여 합성수지 필름사(4)를 제조한 예시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도로서, 240데니어 굵기, 450데니어굵기, 600데니어 굵기의 필름사(4)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사(4)를 이용하여 제편한 편직물의 일예 사진도이며, 도 6의 예시 합성수지 필름사(4)는 편직기(30)에 경사로 공급된 합성수지 모노사를 본 발명의 프레스롤러(10)로 가공함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도 7은 합성수지 모노사 일부와 그 나머지 부분의 모노사를 가공하여 합성수지 필름사가 되게 한 후 제편한 편직망의 예시 사진도로서, 사진내 우측이 모노사로 편직한 부분이고 사진내 좌측은 필름사로 편직한 부분이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필름사에 의한 편직부분이 모노사로 편직한 부분보다 밀도가 훨씬 더 높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합성수지 모노사 (4)-- 합성수지 필름사
(10)--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 (11)-- 투입사 안내구
(12)(14)-- 제1,제2 하부롤러 (16)-- 프레스 상부롤부
(16a)-- 단척롤러 (18)-- 프레스작동실린더
(20)-- 모노사 압출기 (22)-- 연신기
(24)-- 정경기 (26)-- 정경빔
(28)-- 경사공급부 (30)-- 편직기

Claims (7)

  1.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이나 제조공정 후에 0.15~0.3mm 직경폭(W1)의 합성수지 모노사(2)를 프레스롤러(10)에 의한 프레스 가공으로 원사완성품 모노사(2)의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 대비하여 1~1.8배의 인장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사(4)를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2.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 모노사 압출기(20)와 연신기(22) 사이에 위치된 프레스롤러(10)를 이용하여 다수 가닥의 모노사들을 롤링프레스 가공하고 연신기(22)로 연신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4)를 제조하되, 상기 합성수지 필름사(4)는 원사완성품 모노사의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프레스롤러(10)에 의한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같거나 높은 인장강도를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3.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 연신기(22)와 정경기(24) 사이에 위치된 프레스롤러(10)를 이용하여 압출후 연신된 다수 모노사를 롤링프레스 가공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4)를 제조하되, 상기 합성수지 필름사(4)는 원사완성품 모노사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프레스롤러(10)에 의한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같거나 높은 인장강도를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4.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 정경기(24) 뒤에 위치된 프레스롤러(10)를 이용하여 압출 및 연신후 정경기(24)에 정경된 모노사를 롤링프레스 가공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4)를 제조하되, 상기 합성수지 필름사(4)는 원사완성품 모노사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프레스롤러(10)에 의한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같거나 높은 인장강도를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5.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를 공급하는 경사공급부(28)와 편직기(30) 사이에 위치된 프레스롤러(10)를 이용하여 경사공급부(28)에서 공급되는 경사로서 합성수지 모노사(2)를 롤링프레스 가공하여서 합성수지 필름사(4)를 편직기(30)에 제공하되, 상기 합성수지 필름사(4)는 경사로 공급된 합성수지 모노사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지며 프레스롤러(10)에 의한 단조효과로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보다 같거나 높은 인장강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6.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의 위치나 제조공정 후의 위치, 편직기의 경사로 투입되는 공정 위치 중 하나에 합성수지 모노사(2)를 합성수지 필름사(4)로 롤링 프레스 가공하기 위한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를 구비하며;
    상기 필름사 가공용 프레스롤러(10)는,
    연동 구동되는 제1,제2 하부롤러(12)(14)와, 제1,제2 하부롤러(12)(14)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제2 하부롤러(12)(14)를 함께 면접 프레스하는 프레스 상부롤부(16)로 구성하되, 프레스 상부롤부(16)는 합성수지 모노사 1~20개 단위로 수용 가능한 단척롤러(16a)들이 일렬 배열되게 구성하고 각 단척롤러(16a) 마다에는 프레스작동실린더(18)가 대응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
  7. 합성수지 모노사 제조공정 중이나 제조공정 후에 0.15~0.3mm 직경폭(W1)의 합성수지 모노사(2)를 이용한 프레스롤러(10)에 의한 프레스 가공으로 단조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사(4)를 구성하되, 합성수지 필름사(4)는 완성품 모노사(2)의 직경폭(W1)의 2~7배의 좌우폭(W2)을 가짐과 동시에 동일데니어급 합성수지 필름사에 대비하여 1~1.8배의 인장강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KR1020150088903A 2015-06-23 2015-06-23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KR10172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03A KR101729764B1 (ko) 2015-06-23 2015-06-23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PCT/KR2016/006367 WO2016208904A2 (ko) 2015-06-23 2016-06-15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그 합성수지 필름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03A KR101729764B1 (ko) 2015-06-23 2015-06-23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26A true KR20170000126A (ko) 2017-01-02
KR101729764B1 KR101729764B1 (ko) 2017-04-24

Family

ID=5758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903A KR101729764B1 (ko) 2015-06-23 2015-06-23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9764B1 (ko)
WO (1) WO201620890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32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건호 차광용 용융압출식 편평사 제조방법
KR20210143575A (ko) * 2020-05-20 2021-11-29 이복현 인삼재배용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218B1 (ko) 2012-02-06 2013-12-10 노원석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7011D0 (en) * 1998-08-06 1998-09-30 Peri De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stic yarn
US6197423B1 (en) 1999-10-08 2001-03-06 W. R. Grace & Co.-Conn. Micro-diastrophic synthetic polymeric fibers for reinforcing matrix materials
DE10201833B4 (de) 2002-01-18 2012-06-21 Hew-Kabe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ckelbandes aus ungesintertem Polytetrafluorethylen
US7571524B2 (en) * 2003-07-08 2009-08-11 Fukui Prefectural Governmant Method of producing a spread multi-filament bundle and an apparatus used in the same
KR100981727B1 (ko) * 2010-03-25 2010-09-13 세원기업주식회사 모노필라멘트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모노필라멘트 원사
KR101245343B1 (ko) * 2011-06-27 2013-03-19 김경순 납작사와, 이 납작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218B1 (ko) 2012-02-06 2013-12-10 노원석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32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건호 차광용 용융압출식 편평사 제조방법
KR20210143575A (ko) * 2020-05-20 2021-11-29 이복현 인삼재배용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904A3 (ko) 2017-02-16
WO2016208904A2 (ko) 2016-12-29
KR101729764B1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27637T2 (de) Multifilament-spleissgarnfolie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ren herstellung
KR100788821B1 (ko) 개선된 타포린 제조방법
EP2406417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rasgarnes
DE212196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querfasriger Schichten
JP2019502832A (ja) ラッシェル機、網、及び、網を製作するためのラッシェル機の使用
KR101729764B1 (ko)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DE213437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pon nenen Strangs
EP3559324B1 (de) Netz mit unterstützungsfaden
CN106460254A (zh) 生产纤维纱线的方法和设备
EP246751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rasgarnes
DE223689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s aus synthetischem, thermoplastischem material bestehenden films oder bands
DE60122063T2 (de) Methode und einrichtung zur produktion von nicht vulkanisiertem gummi/stahldraht
KR100788820B1 (ko)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한 타포린 제직장치
CN1990924A (zh) 制备塑料编织物的折叠丝编织方法、系统及所得产品
DE244033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extilen stoffes sowi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r stoff
KR20190002932A (ko) 차광용 용융압출식 편평사 제조방법
CN215757755U (zh) 一种经编机专用破丝拉伸送丝装置
KR102104236B1 (ko) 이종 원사 공급이 가능한 직조 장치
JP7082777B2 (ja) メッシュシート製品の製造方法
DE251732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arns mit mehreren straengen
DE102010031232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technischem Schmalgewebe in Form von Fransenband, ein entsprechendes Fransenband und eine entsprechende Vorrichtung
KR200428315Y1 (ko) 개선된 타포린 장치
KR100788819B1 (ko) 타포린 제직용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장치
CN218026479U (zh) 一种捆草网经编用三工位在线分切供丝装置
CN217351707U (zh) 一种等密度张力的莱卡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