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580A -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580A
KR20160150580A KR1020160060992A KR20160060992A KR20160150580A KR 20160150580 A KR20160150580 A KR 20160150580A KR 1020160060992 A KR1020160060992 A KR 1020160060992A KR 20160060992 A KR20160060992 A KR 20160060992A KR 20160150580 A KR20160150580 A KR 2016015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sk9
sauchinone
present
expression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115B1 (ko
Inventor
진영원
채희성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15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우치논(sauch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PCS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유전자 과발현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PCSK9의 발현을 억제하고, LDL-수용체(LDL-R,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콜레스테롤 조절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대한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uchinone for treating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본 발명은 사우치논(sauch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콜레스테롤 혈증(hypercholesterolemia)이란 혈청(혈장) 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220~250㎎/L 이상인 상태를 말하며, 이 경우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low-density lipoprotein) 속의 콜레스테롤이 170㎎/dL 이상인 경우가 많고, 동맥경화성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원인으로는 유전성, 동물성 육류 등의 음식으로 섭취하는 콜레스테롤, 과체중이나 비만, 당뇨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신증후군, 경구피임약, 부신피질 호르몬 등과 같은 질병이나 약물 등이 있다. 그 중, 콜레스테롤이 체내에서 얼마나 빨리 만들어지고 혈액에서 제거되는지를 결정하는 유전자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이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이란 저밀도 지질단백질이나 초저밀도리포단백질(VLDL, very low-density lipoprotein) 잔량을 세포내로 수송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조절하는 LDL 수용체(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이하 LDL-R)의 유전자 결함으로 발병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병으로, 매우 높은 저밀도 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이하 LDL-C) 수준과 미성숙 동맥경화증(premature atherosclerosis)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까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환자들에서 발견되는 LDL-R 유전자의 돌연변이체는 약 600개 이상이 보고되어있다. 이 중 Alu 반복서열의 재조합에 의해 결실이나 삽입이 일어난 돌연변이는 20% 미만이고, 나머지는 점 돌연변이 또는 작은 결실이 일어난 것들이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대해 이형접합의 유전형질을 갖는 환자는 1/500 내지 1/400의 빈도로 나타나는데, 이들은 정상인보다 2 내지 3 배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가지며, 이로 인해 잉여 콜레스테롤이 말단 조직과 혈관 내벽에 축적되어 황색종(Achilles tendon xanthoma)이 발생하고 동맥경화와 심혈관 질환에 이를 확률이 높다. 또한,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대해 동형접합의 유전형질을 갖는 환자는 1/1,000,000의 낮은 빈도로 나타나며, 이들 대부분은 유아기에 과다한 콜레스테롤에 기인한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한다.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에는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하는 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코엔자임 A 환원효소(HMG-CoA, 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를 억제하는 스타틴(statin)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인 스타틴 계열의 약물은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 LDL-C,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수치를 감소시키며, 동시에 고밀도 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HDL-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수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로 인해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과 같은 이상지질혈증의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스타틴 계열 약물의 종류로는 심바스타틴(simvastatin), 실라스타틴(cilastatin), 나이스타틴(ny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 메바스타틴(mevastatin),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아토바스타틴(atorvastatin), 세르바스타틴(cervastatin), 울리나스타틴(ulinastatin) 및 로슈바스타틴(rosuvastatin) 등이 있다.
하지만, 스타틴을 이용한 치료법은 일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환자들의 LDL-C 감소에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환자의 LDL-C을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간에서 LDL-R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순환하는 LDL-C 수준을 조절하는 PCS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을 이용한 방법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PCSK9는 쥐의 소장 및 인간의 장 세포에서 발현되며, 지질 흡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CSK9의 주요 전사활성인자(transactivator)는 SREBP(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이다. SREBP는 포도당(glucose) 및 인슐린(insulin)에 의해 조절되는 핵심적인 지질합성 전사인자(l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로써, 낮은 세포 내 콜레스테롤(intracellular cholesterol) 수준은 SREBP-2(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2)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혈액에서 세포로 LDL-C 흡수를 촉진하는 LDL-R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이에, PCSK9 저해로 LDL-C 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Mullard, A. Nat Rev Drug Discov. 2012, 11, 817-819),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LDL-C 조절 활성을 갖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삼백초 유래 사우치논의 우수한 PCSK9 발현 억제 활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우치논(sauch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우치논(sauch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PCS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유전자 과발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사우치논은 PCSK9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사우치논은 LDL-R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사우치논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PCSK9 유전자 과발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스타틴계 약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스타틴계 약제는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및 세리바스타틴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량의 사우치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우치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PCSK9의 발현을 억제하고, LDL-R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PCSK9 유전자 과발현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제약 산업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HepG2 세포주에서 사우치논(sauchinone)의 PCSK9 억제 효과를 qRT-PCR(도 1A), Western blot(도 1B), 및 면역형광분석(도 1C)으로 알아본 것이다(도면에서 “-”는 0을 나타냄).
도 2A는 사우치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epG2 세포의 마커(AMPK, PPARγ, RXRα, SirT1, 및 SREBP)의 발현을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으로 알아본 것이고, 도 2B는 도 2A의 RXRα와 SirT1 상승 활성을 농도계로 측정한 것이다. 또한, 도 2C 내지 도 2E는 사우치논(0, 20, 및 100 μM), 심바스타틴(100 μM), 및 메트포민(1000 μM)을 처리한 세포에서 LDL-R, LXRα, 및 PGC-1α의 상승 활성을 qRT-PCR로 알아본 것이다(도면에서 “-”는 0을 나타냄).
도 3은 체중 변화에 있어 사우치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를 보통식(Normal diet, ND), 고지방식(High fat diet, HFD), 사우치논 투여 그룹(HS), 심바스타틴 투여 그룹(HST) 및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 투여 그룹(HSTS)으로 나누어 체중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사우치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ND, HFD, HS, HST 및 HSTS 그룹에서, (A) 총 지방, (B) 부고환 지방, (C) 후복막 지방, (D) 사타구니 지방, (E) TC(total cholesterol), (F) LDL-cholesterol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고지방식(HFD) 마우스에서 사우치논의 PCSK9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ND, HFD, HS, HST 및 HSTS 그룹에서, (A) PCSK9 mRNA 발현을 qRT-PCR로 확인하고, (B) 간에서 PCSK9 발현을 ELISA로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에서 분리한 사우치논(Sauchinone)이 콜레스테롤 항상성 조절, 보다 구체적으로는 PCS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또는 LDL 수용체(LDL-R,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유전자 발현 조절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PCSK9 및 LDL-R 발현에 대한 사우치논의 효과를 사우치논, 심바스타틴(simvastatin), 및 메트포민(metformin)을 처리한 세포에서 확인하였고(실시예 1 및 실시예 3 참조), 이에 더하여 지질 대사에서 사우치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PCSK9 유전자 과발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우치논은 PCSK9 발현을 억제 및/또는 LDL-R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사우치논은 삼백초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심바스타틴"은 일반적으로 고지혈증이나 동맥경화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HMG-CoA 환원효소의 촉매작용을 억제하여 간에서의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하고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을 저하시키는 약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트포민"은 일반적으로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탄수화물 대사와 지질 대사를 조절하는 핵심 효소인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켜 고혈당을 정상화시키고, 트리글리세라이드, 저밀도 지질단백질, 및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저하시키는 약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를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물,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성 오일,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및 에탄올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특히, 다른 고지혈증 치료제(스타틴계 약제)와 병용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을 각별히 현저하게 억제하는, 매우 우수한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kg 당 0.001 내지 150 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병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과 고지혈증 치료제와 같은 다른 의약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사용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과 다른 의약을 함께 함유한 의약 조성물로서의 투여, 또는 혼합하지 않고 별도 제제하고, 동시 또는 시간차를 둔 투여의 양방을 포함한다. 병용하는 다른 의약의 투여량은 질환의 종류 및 정도,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등 이외에 병용하는 약제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경구 투여의 경우, 통상, 성인 1일당 약 1 내지 1000 ㎎ 정도, 특히 약 50 ㎎ 내지 800 ㎎ 정도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조성물에 병용되는 고지혈증 치료제로는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세리바스타틴 등의 스타틴계의 약제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지혈증 치료제와 병용 처리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효과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PSC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고지혈증 치료제는 심바스타틴(simvastat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항암제와 동시에(simultaneously), 별도로(separately), 또는 순차적으로(sequentially)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PCSK9 유전자 과발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음료 등의 건강보조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용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준비예 1. HepG2 세포 배양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입수한 사람 간암 세포주(HepG2)를 10% 소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과 100 U/ml penicillin/streptomycin sulfate가 첨가된 MEM-E(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준비예 2. 처리약물 및 시약
MEM-E, 페니실린(penicillin), 및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Hyclone(UT, Hyclone Labs Logan)에서, 소 혈청 알부민(BSA, Bovine serum albumin)은 Sigma(미국, MO, St. Louis)에서 구입하였고, PCS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β-actin, p-AMPK(phosphorylated AMPK),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p-SREBP(precursor of SREBP), SREBP(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SirT1(Silent information regulator protein 1), RXRα(retinoid X receptor α),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γ) 단일클론항체 및 퍼옥시다아제가 결합된 이차 항체를 산타크루즈 생명공학 주식회사(CA, Santa Cruze)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PCS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LDL-R(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LXR(Liver X receptor),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 alpha), 및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oligonucleotide primer)는 Bioneer Corp.(Daejeon,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준비예 3.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 및 사우치논(Sauchinone) 분리
삼백초(S. chinensis)의 건조시료는 전통시장에서 구입하였고, 본 발명의 원료(CYW-KP010)는 동국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입수하였다. 삼백초(S. chinensis) 건조시료(1.8 kg)를 메탄올로 3회 추출하여 조추출물(192.3 g)을 얻었다. 상기 조추출물(190 g)을 물로 현탁하고 n-헥세인, 클로로폼,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분리하였다. 각 분획을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헥산 가용 추출물 31 g,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49 g, 에틸 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5.5 g, n-부탄올 가용 추출물 22 g 및 수용성 추출물 72 g을 수득하였다.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은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 혼합물(80:1에서 0:1)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2 서브-분획을 얻었다. 서브-분획 5(73.5 mg)로부터, 사우치논(41 mg)이 침전되었다. 사우치논의 구조는 분광 데이터(NMR 및 MS)와 공개된 값을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사우치논의 순도는 HPLC-UV 검출기에 의해 95 %를 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준비예 4. ( in vivo ) 마우스 준비 및 이의 간(지방) 무게, TC (total cholesterol) 및 LDL-C(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측정
동물 연구에 대한 프로토콜은 동국대학교(서울, 한국)의 실험 동물 자원 연구소에 의해 승인되었다(# 2012-0673; July 25, 2012). 수컷 ICR 마우스를 찰스 리버 오리엔트(서울, 한국)사에서 입수하여 연구 시작하기 전 1주일 동안 순화시켰다. 도착 후, 마우스는 무작위하고 엄격하게 통제된 환경 조건(20℃-25℃, 48%-52%의 상대 습도)에서 케이지 당 3마리씩 수용하였다. 12 시간의 명/암 주기는 300럭스에서 150럭스의 강도로 사용하였다. ICR 마우스는 보통식(ND, 칼로리의 10%가 지방인; 제품 N12450B) 및 고지방식(HFD, 칼로리의 60%가 지방인; 제품 D12592. 리서치 다이어트, 뉴 브런즈윅, 뉴저지, 미국) 중 하나의 먹이를 주고 80일 동안 관찰하였다. 보통식(ND) 또는 고지방식(HFD)을 한지 5주 후(day35), 상기 마우스를 5개의 처치군(각 그룹 당 8마리)으로 분배하였다. 각 처치군은 다음과 같다. (a) 비처리 보통식(Normal diet, ND), (b) 비처리 고지방식(High fat diet, HFD), (c) 고지방식의 마지막 15일 동안 PEG(poly ethylene glycol) 400 및 증류수(9:1, v/v)에 용해된 사우치논(100mg/kg/day) 경구 투여(HS), (d) 고지방식의 마지막 15일 동안 PEG 400 및 증류수(9:1, v/v)에 용해된 심바스타틴(20mg/kg/day) 경구 투여(HST), (e) 고지방식의 마지막 15일 동안 PEG 400 및 증류수(9:1, v/v)에 용해된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 투여(HSTS).
실험 기간 종료 후, 마우스의 체중 및 간, 지방, 신장을 추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지방의 경우 총 지방, 부고환, 사타구니 및 후복막 지방 무게는 별도 측정하였다. 혈장 LDL-C(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및 TC(total cholesterol) 양은 ELISA 키트(셀 바이오라부즈 사, 샌디에고, C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준비예 5.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
단백질 발현은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60 mm 배양 접시(2 × 106/ml)에서 배양한 다음 다양한 농도(0, 20, 및 100 μM)의 사우치논으로 전처리한 HepG2 세포를 10 mM의 인산염 버퍼(PBS, Phosphate buffer saline)로 한번 세척한 후, 1x107세포/ml 농도의 세포를 0.1% SDS 및 10 mM β-머캅토에탄올(β-mercaptoethanol)이 첨가된 PBS에서 용해하고, 세포용해물(1x105세포)을 10%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 로딩하였다. 겔에서 분리를 수행한 후, 단백질 밴드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semi-dry 블롯터(미국, MA, Bedford, Millipore, MilliBlot-SDE system)를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미국, MA, Bedford, Millipore)에 블롯팅하였다. 막을 0.1% tween-20이 첨가된 10 mM 트리스 버퍼(TBS, pH 7.2)에서 한번 세척한 후, 3% 스킴밀크가 첨가된 TBS-T(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에서 1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TBS-T로 막을 세척한 후, 항 PCSK9, β-actin, p-AMPK, AMPK, p-SREBP, SREBP, SirT1, RXRα, 및 PPARγ 가 표지된 항체를 TBS-T에 1:2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TBS로 세 번 세척하여 1시간동안 배양한 후, 막을 TBS-T 버퍼에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결합된 염소 항-토끼 IgG(미국, CA, Santa Cruz, 1:2000 희석)를 사용하여 1시간 처리하였다. 최종적으로, 단백질 밴드를 강화된 화학발광(enhanced chemiluminesence, ECL) 시스템(미국, NJ, Newark, Amersham Corp)을 이용하여 면역반응밴드(immunoreactive band)를 발생시켰다.
준비예 6. RNA 추출 및 Quantitative real-time RT-PCR 분석
전체 세포 RNA는 트리졸 RNA 추출 키트(Trizol RNA extraction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전체 세포 RNA(1 μg)은 42℃에서 1시간 동안 50 mM Tris-HCl(pH 8.3), 75 mM KCl, 3 mM MgCl2, 10 mM DTT, 및 1 mM dNTP에서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 200 unit과 올리고-dT 프라이머(oligo-dT primer) 500 ng을 처리함으로써 cDNA로 변환되었다. cDNA 혼합물 1 μl을 증폭을 위해 사용한 다음, 이 반응은 상기 용액을 70℃에서 15분 동안 배양하고 중단하였다.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 Quantitative real-time RT-PCR)은 iQ SYBR Green Supermix(Bio-Rad), 5 pmol 프라이머(forward primer 및 reverse primer)를 포함하는 9 μl master mix와 1 μl cDNA를 이용하여 반응시켰으며, CFX384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Bio-Rad)을 이용하여 반응을 검출하였다. 발현은 CFX Manager Software(Bio-R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threshold cycle(C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증폭조건은 94℃에서 3분간 변성시킨 후 첫 주기에서 45초 추가하였고, 어닐링(annealing) 조건은 53℃에서 60초, 39회 반복되도록 하였다. SYBR Green I DNA dye에서 발생한 형광신호는 어닐링 단계 동안 측정하였고, 증폭의 특이성은 용융 곡선 분석(melting curve analysis)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용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Gene Direction Sequence(5' to 3')
GAPDH F GAAGGTGAAGGTCGGAGTCA
R AATGAAGGGGTCATTGATGG
LXRα F CTGCCCAGCAACAGTGTAAC
R GATGGCCAGCTCAGTGAAGT
LDLR F GTGCTCCTCGTCTTCCTTCTTTG
R TAGCTGTAGCCGCCTGTT
PCSK9 F GGGCATTTCACCATTCAAAC
R TCCAGAAAGCTAAGCCTCCA
PGC-1α F AGAGGCAGAAGGCAATTGAA
R TTTCAAGAGCAGCAAAAGCA
준비예 7. 통계적 분석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성의 수준은 다양한 비교를 통한 Dunnett's t-test에 따라 분산 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으로 결정하였다. 0.05 미만의 P 값을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 실시예 ]
삼백초(Saururus chinensis)에서 분리한 사우치논(Sauchinone)의 생물학적 활성을 in vitro 분석(실시예 1 내지 3) 및 in vivo 분석(실시예 4 및 5)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시예 1. PCSK9 발현에 대한 사우치논의 효과
사우치논이 PCSK9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우치논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HepG2 세포를 배양하였고, 다양한 방법으로 PCSK9 양을 측정하였다.
우선, qRT-PCR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사우치논 0, 20, 및 100 μM, 심바스타틴(simvastatin) 100 μM, 및 메트포민(metformin) 1000 μM을 처리한 세포에서 PCSK9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바스타틴 처리는 PCSK9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킨 반면, 사우치논은 심바스타틴에 의한 PCSK9의 mRNA 발현 증가를 억제시켰고, 메트포민도 PCSK9 mRNA 수준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사우치논 100 μM, 심바스타틴 100 μM을 처리한 세포에서 PCSK9 발현을 분석하였고, 각 세포의 핵을 관찰하기 위하여 토끼 단일클론성 항-PCSK9 항체(rabbit monoclonal anti-PCSK9 antibody)와 배양하였고, 이어서 Alexa 488 결합된 항-토끼 IgG(green)를 배양한 다음, DAPI(4′,6-diamidino-2-phenylindole; Thermo scientific, USA) 염색 후 공초점 레이저주사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LSM510 m, Carl Zeiss,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우치논은 심바스타틴 처리된 HepG2 세포의 PCSK9 발현을 눈에 띄게 억제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우치논이 PCSK9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PCSK9 발현 감소는 사우치논의 투여량에 의존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2. 지질 대사에서 사우치논의 효과
In vitro에서 사우치논의 지질 대사(lipid metabolism)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및 qRT-PCR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사우치논을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지방간(hepatic steatosis) 관련 마커인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γ), RXRα(retinoid X receptor α), SirT1(Silent information regulator protein 1), 및 SREBP(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처리는 HepG2 세포에서 RXRα와 SirT1의 상승 활성(synergistic activation)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RXRα와 SirT1 증가는 지방산 산화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우치논을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SREBP-1c 인산화가 증가하였고,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을 병용처리한 HepG2 세포에서는 심바스타틴에 의한 증가에 상승활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우치논이 지질 대사 조절 효과가 있으며,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처리가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3. LDL-R 발현에 대한 사우치논의 효과
qRT-PCR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사우치논(0, 20, 및 100 μM), 심바스타틴(100 μM), 및 메트포민(1000 μM)을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LDL-R, LXRα(Liver X receptor, alpha), 및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 alpha)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우치논 투여량에 따른 LDL-R mRNA 양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LDL-R mRNA는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을 병용처리했을 때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심바스타틴에 의한 LDL-R mRNA 발현 증가가 사우치논에 의해 매우 활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qRT-PCR을 이용하여 심바스타틴 및 메트포민-매개 활성에서 사우치논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 2D 및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LXRα와 PGC-1α의 mRNA 발현은 심바스타틴과 함께 처리 시 매우 증가하였고, 심바스타틴에 의한 LXRα와 PGC-1α의 mRNA 발현이 사우치논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LXRα와 PGC-1α의 mRNA 발현은 사우치논 100 μM 농도로 처리 시 매우 증가하였고, 사우치논 100 μM을 심바스타틴과 병용 처리 시 매우 증가하였다. 하지만, PGC-1α는 사우치논을 100 μM 처리한 것보다 20 μM 처리한 경우, mRNA 발현을 더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지질합성(lipogenesis)에서 LXRα와 PGC-1α는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LXRα는 천연 리간드인 옥시스테롤류, 고농도의 당, 및 인공 리간드인 T0901017, GW3965 등에 의해 활성화되고, 지질생성을 관장하는 유전자의 발현 및 체내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조절한다. 간지질 생성에 있어 LXRα는 지질센서로 작용하여 지질 생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전사인자인 SREBP-1c(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의 발현 및 활성을 강력히 증가시킴으로써 간 조직 내 지방산합성을 촉진하고,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증가시킨다. 또한, PGC-1은 미토콘드리아 DNA(mtDNA)에 의해 생합성과 호흡관련유전자들의 전사활동을 조절하여 지방산대사의 전사인자들을 조절한다. PGC-1α는 PGC-1의 아형이다.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통하여,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은 지질 대사에서 LDL 콜레스테롤 감소를 촉진시키는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와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γ)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사우치논이 PCSK9 또는 LDL-R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우치논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고콜레스테롤 혈증(hypercholesterolemia)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4. (in vivo ) 지질대사에서 사우치논의 효과
먼저, 상기 in vitro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우치논의 PCSK9 및 LDL-C 다운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보통식(Normal diet, ND) 및 고지방식(High fat diet, HFD)을 먹인 마우스를 in vivo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상기 마우스에 대하여 사우치논 100mg/kg/day 투여 그룹(HS), 심바스타틴 20mg/kg/day 투여 그룹(HST) 및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 투여 그룹(HSTS)으로 나누어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다(준비예 4 참조).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 체중 대비 증가량이 각각 15일에는 48.6 %(ND) 대 69.5 %(HFD), 30일에는 61.5 %(ND) 대 120.3 %(HFD)로 고지방식(HFD) 그룹이 일반식(ND) 그룹에 비해 상당히 높은 체중증가량을 보였다. 반면에, 사우치논 및/또는 심바스타틴 투여 시, 투여한 모든 그룹(HS, HST 및 HSTS)에서 현저한 체중 감소를 관찰하였다.
또한, 고지방식(HFD)을 먹인 마우스에 대하여 비처리 그룹, 마지막 15일(day15-day30) 동안 사우치논 100mg/kg/day(HS), 심바스타틴 20mg/kg/day(HST) 및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 투여한 그룹으로 나누어 총 지방, 부고환, 후복막 및 사타구니 지방 변화를 확인하였다(준비예 4 참조).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일 간 고지방식(HFD)을 먹인 마우스의 경우, 총 지방, 부고환, 후복막 및 사타구니 지방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한 반면에, 마지막 15일(day15-day30) 동안 사우치논 및/또는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그룹(HS, HST 및 HSTS)에서 모두 급격한 지방 감소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우치논 및/또는 심바스타틴이 지질 대사 조절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5. (in vivo ) PCSK9 및 LDL-C 발현에 대한 사우치논의 효과
qRT-PCR을 이용하여 간세포에서 PCSK9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 투여 그룹(HSTS)에서 PCSK9 mRNA 발현이 현저히 억제되는 반면, 고지방식(HFD) 및 심바스타틴 20mg/kg/day 투여 그룹(HST)의 PCSK9 mRNA 발현은 증가하였다. 또한, PCSK9 단백질은 사우치논(HS) 그룹, 심바스타틴(HST) 그룹 및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HSTS) 그룹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다만, in vitro 실험에서 사우치논 또는 심바스타틴과의 병용 처리시 LDL-R mRNA 발현이 증가한 것과는 반대로, in vivo 실험에서는 LDL-R mRNA 발현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LDL-C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과 심바스타틴의 병용 처리는 LDL-C 발현을 감소[ND(67.19±3.32 mg/dl), HFD(89.79±24.11 mg/dl), HS(56.70±3.81 mg/dl), HSTS(70.03±6.00 mg/dl)]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in vivo 모델에서, 사우치논 및/또는 심바스타틴의 처리가 PCSK9 mRNA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LDL-C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사우치논(sauch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PCS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유전자 과발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우치논은 PCSK9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우치논은 LDL-수용체(LDL-R,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우치논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사우치논(sauch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PCSK9(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유전자 과발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틴계 약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계 약제는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및 세리바스타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60060992A 2015-06-22 2016-05-18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57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93 2015-06-22
KR20150088393 201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80A true KR20160150580A (ko) 2016-12-30
KR101757115B1 KR101757115B1 (ko) 2017-07-12

Family

ID=5773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992A KR101757115B1 (ko) 2015-06-22 2016-05-18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1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7368B (zh) 2010-09-06 2013-07-24 成都地奥制药集团有限公司 三白草根茎总有效部位及其制备方法和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115B1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2686A1 (en) Fraction of melissa leaf extract having angiogenesis and mmp inhibitory activiti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EP1829542B1 (e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activator and drug, supplement, functional food and food additive using the same
JP6619882B2 (ja) D−プシコースを利用した脂質の吸収抑制および/または排出促進方法
US1056891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hlorell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KR100883992B1 (ko)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8125A (ko)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77002B1 (ko) 울금과 용암해수를 이용한 항콜레스테롤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KR102032034B1 (ko) 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3910A (ko) 퀘르세틴-3-o-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57934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7115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97175A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494B1 (ko) 상심자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용도
KR20180037900A (ko) 흑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45273B1 (ko) 노르안하이드로이카리틴을 포함하는 심혈관 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023328B2 (ja) レバミピ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高脂血症及びこれと関連した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971438B1 (ko) 비수리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819462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14368B1 (ko) 체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당뇨합병증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9249331A (ja) 植物由来の高脂血症の予防または改善剤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70087608A (ko) 오미자 추출물 유래 리그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673520B1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타틴계 화합물에 의해 유도된 pcsk9 억제용 조성물
JP2009275026A (ja) 膵臓リパーゼ活性阻害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140018706A (ko) 청국장 발효 울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커큐미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