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500A -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500A
KR20160149500A KR1020150086574A KR20150086574A KR20160149500A KR 20160149500 A KR20160149500 A KR 20160149500A KR 1020150086574 A KR1020150086574 A KR 1020150086574A KR 20150086574 A KR20150086574 A KR 20150086574A KR 20160149500 A KR20160149500 A KR 2016014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signal
vehicle
authentication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870B1 (ko
Inventor
정연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8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차량 주변에 위치한 스마트 키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키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1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1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제2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2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2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Vehicle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키 시스템을 이용하는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의 스마트 키(Smart Key) 시스템이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 키는 통상 '포브(FOB) 키'로 불린다.
스마트 키 시스템이란 사용자가 스마트 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필요한 행동을 취하면 차량에 내장된 시스템에서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스마트 키 시스템은 스마트 키와 차량의 스마트 키 ECU(Smart Key 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SMK ECU)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 키와 SMK ECU 간의 통신은 각각 내장된 통신 모듈을 통해 이루어진다.
종래의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차량 도어의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를 제어하고자 할 때,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고, 도어 핸들(Door Handle)에 위치한 패시브 스위치(Passive Switch)를 직접적으로 조작하여야 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가 차량의 SMK ECU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왔을 때, 차량의 SMK ECU가 스마트 키를 인식하여 인증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차량의 도어 핸들에 구현된 패시브 스위치를 직접 누름으로써 SMK ECU와 스마트 키 간의 인증과정이 재차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증에 모두 성공할 경우에만 SMK ECU는 도어락 구동부에 도어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위하여 도어를 Unlock 하고자 할 때나, 차량을 떠나기 위해 도어를 Lock 하고자 할 때, 반드시 차량의 도어 핸들에 위치한 패시브 스위치를 직접적으로 조작하여야 했던 불편이 존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도 차량의 도어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차량 주변에 위치한 스마트 키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키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1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1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제2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2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2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응답신호 및 상기 제2 응답신호 각각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키의 ID(고유 식별자)와 기 설정된 ID를 비교하여 상기 1차 인증 및 상기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도어가 Unlock 되었으면, Unlock 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의 조작이 없었을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Lock을 위한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인증부는 상기 2차 인증이 실패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된 스마트 키로 상기 제2 신호를 재송신하거나, 상기 차량 주변의 스마트 키를 탐색하기 위한 상기 제1 신호를 재송신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 키와 LF(Low Frequency), RF(Radio 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무선 통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 키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1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1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제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2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응답신호 및 상기 제2 응답신호 각각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키의 ID(고유 식별자)와 기 설정된 ID를 비교하여 상기 1차 인증 및 상기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도어가 Unlock 되었으면, Unlock 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의 조작이 없었을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잠금(Lock)을 위한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2차 인증이 실패하면,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된 스마트 키로 상기 제2 신호를 재송신하거나, 상기 차량 주변의 스마트 키를 탐색하기 위한 상기 제1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키의 인증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필요했던 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 즉 차량의 도어 핸들에 위치한 패시브 스위치(Passive Switch)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기구적인 작동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의 절감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초기 상태는 차량의 도어가 잠금(Lock) 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잠금 해제(Unlock)하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키 시스템은 스마트 키(100) 및 차량(200) 내부의 SMK ECU(Smart Key Electronic Control Unit, 스마트 키 전자 제어 유닛)(210), 램프 구동부(220) 및 도어락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키(100)는 통신 모듈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내외장 안테나와 함께 스마트 키(100)와 차량의 SMK ECU(210)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방식은 RF(Radio Frequency), LF(Low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나, 신호의 특성과 통신 거리에 따라 바람직한 예로써 RF 및 LF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SMK ECU(210)가 차량 주변에 위치한 스마트 키(100)의 탐색을 위해서는 LF 신호를, 차량의 도어 Lock/Unlock 제어에 요구되는 인증을 위한 통신에는 RF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키(100)는 소정 위치에 장착된 RF 및 LF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RF 통신은 무선 주파수를 방사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방식이다. RF 통신은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주로 쓰이는데, 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IR(Infrared Ray, 적외선) 방식 대비 기후 및 환경의 영향이 적고 안정성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LF 통신은 파장이 길어 원거리 통신에 널리 사용된다. 차량(200) 내부의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 LF 통신은 상기 차량 주변의 인증된 스마트 키(100)를 탐색하는 서치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키(100)에 내장된 메모리에는 스마트 키(100)의 ID가 저장된다. 스마트 키(100)의 ID는 스마트 키(100)의 인증 과정에서 SMK ECU(210)에 기 설정된 ID 값과의 일치성을 비교 판단하는 데에 이용된다.
SMK ECU(210)는 통신부(211), 인증부(212), 제어부(213)를 포함한다. 각 구성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모듈 또는 각각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은 서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11)는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스마트 키(100)의 존재 확인을 위해 RF, LF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스마트 키(100)의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한다. 일례로, 통신부(211)는 주변의 인증된 스마트 키(100)를 탐색할 때는 LF 신호를, 차량의 도어 Lock/Unlock 제어에 요구되는 인증을 위한 스마트 키(100)와의 통신에는 RF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11)는 전술한 스마트 키(100)와 같이, 소정 위치에 장착된 RF 및 LF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통신부(211)는 블루투스 등의 다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211)는 차량 주변의 스마트 키(100)를 탐색하기 위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데, 이때 송신되는 신호를 이하 제1 신호라 칭한다. 예컨대, 제1 신호는 RF, LF 또는 블루투스 등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서치 신호라는 목적을 고려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를 우선하였을 때 LF 신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SMK ECU(210)와 스마트 키(100)는 소정의 위치에 LF 안테나를 내장할 수 있다.
통신부(211)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키(100)는 수신된 제1 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ID를 포함한 제1 응답신호를 SMK ECU(210) 내의 통신부(211)로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부(211)는 상기 스마트 키(100)로부터 송신된 제1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인증부(212)로 전달한다.
인증부(212)는 통신부(211)로부터 전달된 제1 응답신호에 포함된 스마트 키(100)의 ID와 기 설정된 ID 값이 일치하는가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100)의 1차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ID 값은 차량(200)을 제어할 수 있는 자격을 갖는 등록 스마트 키(100)의 ID와 동일한 것이며, 이는 차량(200) 내 메모리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1차 인증 결과, 스마트 키(100)의 ID와 기 설정된 ID 값이 서로 불일치하여 인증에 실패할 경우, 인증부(212)는 제어부(213)로 인증 실패 결과 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213)는 인증부(212)로부터 전달되는 인증 실패 결과 정보에 따라 스마트 키(100)의 재인증을 위한 제1 신호를 스마트 키(100)로 재송신하도록 통신부(211)를 제어하고, 재송신된 제1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인증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인증 결과 스마트 키(100)의 ID와 기 설정된 ID 값이 서로 일치하여 1차 인증이 성공된 경우, 인증부(212)는 인증 성공 결과 정보를 제어부(213)로 제공한다.
제어부(213)는 스마트 키(100)의 1차 인증 성공에 따라 차량 램프를 구동하기 위해 램프 구동부(220)를 제어한다. 여기서 램프는 사이드 미러의 퍼들 램프(Puddle Lamp), 도어 핸들의 포켓 램프(Pocket Lamp), 전조등, 및 비상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키(100)의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제어부(213)는 통신부(211)로 스마트 키(100)의 2차 인증을 위한 2차 인증 요구 2차 인증 요구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
따라서, 통신부(211)는 제어부(213)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키(100)로 2차 인증을 위한 ID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송신되는 신호는 전술한 제1 신호와 유사한 인증 과정을 위한 신호이나, 제1 신호와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 형태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제1 신호와 구별이 되도록 이하 제2 신호라 칭한다. 예컨대, 제2 신호는 RF, LF 또는 블루투스 등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제1 신호와 달리 RF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일 수 있다.
통신부(211)로부터 전송된 제2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키(100)는 제2 신호에 대응하여 ID를 포함한 제2 응답신호를 SMK ECU(210)의 통신부(211)로 송신한다.
통신부(211)는 스마트 키(100)로부터 전송되는 제2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인증부(212)로 전달한다. 인증부(212)는 통신부(211)로부터 전달된 제2 응답신호에 포함된 스마트 키(100)의 ID와 기 설정된 ID 값이 일치하는가를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 키(100)의 2차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부(212)에서의 인증 결과, 스마트 키(100)의 ID와 기 설정된 ID 값이 서로 불일치하여 인증에 실패할 경우, 인증부(212)는 제어부(213)로 인증 실패 결과를 전달한다.
제어부(213)는 인증부(212)로부터 전달되는 인증 실패 결과 정보에 따라, 스마트 키(100)의 인증을 위한 제2 신호를 재송신하거나, 다른 스마트 키(100)의 탐색을 위한 제1 신호를 재송신하도록 통신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인증부(212)에서의 인증 결과, 스마트 키(100)의 ID와 기 설정된 ID 값이 서로 일치하여 2차 인증이 성공된 경우, 제어부(213)는 도어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도어의 Unlock 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의 2차 인증에 성공하여 도어가 Unlock 된 상태일 경우, 제어부(213)는 사용자의 편의 또는 차량의 도난 방지 등의 목적으로 도어락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자동 잠금(Auto Lock)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3)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도어가 Unlock된 시점부터 30초) 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30초로 예를 들었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변경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조작 여부, 또는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크게 센서류를 이용하는 방법, 통신 모듈 간의 통신으로 파악하는 방법, 그 외에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보다 상세히는, 후술하는 동작 흐름도의 설명에서 다루기로 한다.
상기 판단 과정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확인될 경우, 제어부(213)는 차량의 도어 Unlock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판단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13)는 차량의 도어락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도어를 Lock 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Lock/Unlock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키의 인증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필요했던 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 즉 차량의 도어 핸들에 위치한 패시브 스위치(Passive Switch)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기구적인 작동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의 절감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초기 상태는 도어가 Lock 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Unlock 하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SMK ECU(210)는 차량 주변의 스마트 키(100)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S201). 여기서 제1 신호는 RF, LF 또는 블루투스 등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서치 신호라는 목적을 고려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를 우선하였을 때 LF 신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SMK ECU(210)와 스마트 키(100)는 소정의 위치에 LF 안테나를 내장할 수 있다.
스마트 키(100)가 SMK ECU(210)와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여 SMK ECU(210)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1 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ID를 포함한 제1 응답신호를 SMK ECU(210)로 송신한다.
SMK ECU(210)는 스마트 키(100)의 ID를 포함한 제1 응답신호를 수신하고(S202), 수신된 스마트 키(100)의 ID와 기 설정된 ID 값의 일치성을 비교하여 스마트 키(100)의 1차 인증을 수행한다(S203). 여기서 기 설정된 ID 값은 차량(200)을 제어할 수 있는 자격을 갖는 등록 스마트 키(100)의 ID와 동일한 것이며, 이는 차량(200) 내 메모리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단계 S203의 인증 결과, 스마트 키(100)의 ID와 SMK ECU(210) 내 기 설정된 ID 값이 일치하여 1차 인증에 성공한 경우, SMK ECU(210)는 차량의 램프 구동부에 램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사이드 미러의 Puddle Lamp 및 도어 핸들의 Pocket Lamp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S204). 이때, 램프를 점등하는 것은 사용자가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함이므로, SMK ECU(210)는 차량의 램프뿐만 아니라 다른 차체 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을 제어하여(예를 들어, 클랙슨을 울리는 등) 사용자에게 차량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반면, 단계 S203의 인증 결과, 스마트 키(100)의 ID와 SMK ECU(210) 내 기 설정된 ID 값이 서로 불일치하여 인증에 실패한 경우, SMK ECU(210)는 단계 S201로 피드백하여 스마트 키(100)의 재탐색을 위한 제1 신호를 스마트 키(100)로 송신한다.
제1 신호를 이용한 스마트 키(100)의 1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일 때, SMK ECU(210)는 차량의 도어락 구동을 위한 2차 인증 과정으로서 스마트 키(100)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S205).
여기서 제2 신호도 전술한 제1 신호와 마찬가지로 RF, LF 또는 블루투스 등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신호는 제1 신호와 달리 RF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일 수 있다.
스마트 키(100)가 SMK ECU(210)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2 신호에 대응하여 제2 응답신호를 SMK ECU(210)로 송신한다. 이때, 제2 응답신호 역시 스마트 키(100)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SMK ECU(210)는 스마트 키(100)의 ID를 포함한 상기 제2 응답신호를 수신하고(S202), 수신된 스마트 키(100)의 ID와 기 설정된 ID 값의 일치성을 비교하여 스마트 키(100)의 2차 인증을 수행한다(S207).
단계 S207의 인증 결과, 스마트 키(100)의 ID와 SMK ECU(210)에 기 설정된 ID 값이 일치하여 2차 인증에 성공한 경우, SMK ECU(210)는 도어락 구동부에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의 도어락 상태를 Unlock 한다(S208).
만약, 단계 S207의 인증 결과, 스마트 키(100)의 ID와 SMK ECU(210)에 기 설정된 ID 값이 서로 불일치하여 2차 인증이 실패했을 경우, SMK ECU(210)는 다시 스마트 키(100)의 재인증을 위해, 단계 S205로 피드백하여 스마트 키(100)로 제2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또는 단계 S201로 피드백하여 다른 스마트 키(100)의 탐색을 위한 제1 신호를 스마트 키(100)로 송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도어가 Unlock 상태일 때, 사용자의 편의 또는 도난 방지의 목적으로, SMK ECU(210)는 자동 잠금(Auto Lock)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SMK ECU(21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도어가 Unlock된 시점부터 30초) 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지 판단한다(S209).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일례로 30초로 두었으나, 이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얼마든 소프트웨어적인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 여부, 또는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크게 센서류를 이용하는 방법, 통신 모듈 간의 통신으로 파악하는 방법, 그 외에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먼저, 센서류를 이용하는 방법의 예로는, 사용자가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가 열렸었는지, 차량 시트에 사용자가 타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방법 등이 있다. 센서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나 차량 내외의 사용자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해낼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 간의 통신, 보다 자세히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차량 내부 안테나 간의 통신으로 파악하는 방법은, 차량의 안테나 측에서 스마트 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단계 S209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 도어는 그대로 Unlock 상태를 유지한다(S210).
반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조작이 없었을 경우 SMK ECU(210)는 도어 구동부에 차량의 도어를 Lock 시키기 위한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S21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Lock/Unlock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키의 인증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필요했던 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 즉 차량의 도어 핸들에 위치한 패시브 스위치(Passive Switch)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기구적인 작동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의 절감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스마트 키 200 : 차량
210 : SMK ECU 211 : 통신부
212 : 인증부 213 : 제어부
220 : 램프 구동부 230 : 도어락 구동부

Claims (11)

  1. 차량 주변에 위치한 스마트 키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키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1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1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제2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2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2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응답신호 및 상기 제2 응답신호 각각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키의 ID(고유 식별자)와 기 설정된 ID를 비교하여 상기 1차 인증 및 상기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도어가 Unlock 되었으면, Unlock 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의 조작이 없었을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Lock을 위한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
    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
    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2차 인증이 실패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된 스마트 키로 상기 제2 신호를 재송신하거나, 상기 차량 주변의 스마트 키를 탐색하기 위한 상기 제1 신호를 재송신하는 것;
    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 키와 LF(Low Frequency), RF(Radio 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것;
    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7. 상기 스마트 키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1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1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제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키에서 송신된 제2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잠금/잠금 해제(Lock/Unlock)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응답신호 및 상기 제2 응답신호 각각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키의 ID(고유 식별자)와 기 설정된 ID를 비교하여 상기 1차 인증 및 상기 2차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인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도어가 Unlock 되었으면, Unlock 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의 조작이 없었을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잠금(Lock)을 위한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인증이 실패하면, 상기 1차 인증이 확인된 스마트 키로 상기 제2 신호를 재송신하거나, 상기 차량 주변의 스마트 키를 탐색하기 위한 상기 제1 신호를 재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50086574A 2015-06-18 2015-06-18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74A KR102407870B1 (ko) 2015-06-18 2015-06-18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74A KR102407870B1 (ko) 2015-06-18 2015-06-18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500A true KR20160149500A (ko) 2016-12-28
KR102407870B1 KR102407870B1 (ko) 2022-06-13

Family

ID=5772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574A KR102407870B1 (ko) 2015-06-18 2015-06-18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87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56B1 (ko) 2017-08-04 2019-0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kes에서 사용되는 정당한 스마트키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3039A (ko) * 2018-06-19 2019-12-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유의 마스터 키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조작 방법
KR20200007242A (ko) * 2018-07-12 202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Nfc 디지털 키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1619508A (zh) * 2019-02-26 2020-09-04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遥控系统及其操作方法
KR20210050423A (ko) 2019-10-28 2021-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Lf 핑거프린트 기법을 활용한 공격 탐지 장치 및 방법
KR20210052161A (ko) 2019-10-29 2021-05-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 팝의 이동 거리 산출을 통한 릴레이 공격 방지 방법
CN112874468A (zh) * 2021-03-01 2021-06-01 南京道发科技有限公司 一种人机交互方法及系统
CN115009221A (zh) * 2022-02-22 2022-09-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多钥匙的进入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620A (ja) * 2005-06-10 2006-12-21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09084907A (ja) * 2007-10-01 2009-04-23 Mazda Motor Corp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15021249A (ja)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遠隔操作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620A (ja) * 2005-06-10 2006-12-21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09084907A (ja) * 2007-10-01 2009-04-23 Mazda Motor Corp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15021249A (ja)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遠隔操作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856B1 (ko) 2017-08-04 2019-0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kes에서 사용되는 정당한 스마트키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3039A (ko) * 2018-06-19 2019-12-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유의 마스터 키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조작 방법
KR20200007242A (ko) * 2018-07-12 202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Nfc 디지털 키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1619508A (zh) * 2019-02-26 2020-09-04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遥控系统及其操作方法
CN111619508B (zh) * 2019-02-26 2022-09-13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遥控系统及其操作方法
KR20210050423A (ko) 2019-10-28 2021-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Lf 핑거프린트 기법을 활용한 공격 탐지 장치 및 방법
KR20210052161A (ko) 2019-10-29 2021-05-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 팝의 이동 거리 산출을 통한 릴레이 공격 방지 방법
CN112874468A (zh) * 2021-03-01 2021-06-01 南京道发科技有限公司 一种人机交互方法及系统
CN115009221A (zh) * 2022-02-22 2022-09-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多钥匙的进入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870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9500A (ko)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292719B2 (ja) 車両無線通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US9855918B1 (en) Proximity confirming passive access system for vehicle
JP2016171486A (ja) 車両無線通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US10220814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656134B2 (ja) ドア制御システム
US10706650B2 (en) Key uni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US20220180679A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11285917B1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347762B2 (ja) 車両制御装置
CN111065553A (zh) 发动机开关装置
JP2019108787A (ja) 車両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方法と車両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システム
US20190143940A1 (en) Vale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let key
JP201720331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70180082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and portable device
US20210204136A1 (en) Relay station attack prevention
JP2010216079A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携帯情報処理装置
EP3640880B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US10455625B2 (en) Configuration of connectivity before getting into a vehicle
JP689434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2122249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4367195B2 (ja) 車両の無線式自動暗号照合施解錠装置
US110373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password and/or a keypad code for executing keyless operations upon a vehicle
JP2005273329A (ja) 無線式ドア施解錠装置及び方法
JP2015078523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