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579A -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579A
KR20160148579A KR1020167031562A KR20167031562A KR20160148579A KR 20160148579 A KR20160148579 A KR 20160148579A KR 1020167031562 A KR1020167031562 A KR 1020167031562A KR 20167031562 A KR20167031562 A KR 20167031562A KR 20160148579 A KR20160148579 A KR 20160148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flange
beverage container
cap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967B1 (ko
Inventor
고지 기타노
하루히코 곤도
유코 후쿠오카
미츠오 구마타
가츠히토 이치무라
유스케 오쿠보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12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relatively stiff metallic materials,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42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relatively-stiff metallic material,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02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by apply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and securing by deformation of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캡을 구비하는 양압음료용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은료용 밀폐용기는, 음료용기와, 캡을 구비한다. 상기 음료용기는, 몸통부와 플랜지를 가진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연속하고, 개구를 규정한다. 상기 캡은 상기 개구를 밀봉하도록 상기 음료용기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캡은, 라이너부와 외장체를 가진다. 상기 라이너는, 상기 플랜지의 측면 하부를 밀봉하기 위한 박육 라이너부와, 상기 플랜지의 측면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후육 라이너부를 가진다. 상기 외장체는, 상기 라이너와 함께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너를 외측으로부터 커버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고정된다. 상기 외장체는, 상기 박육 라이너부를 상기 플랜지의 상기 측면 하부에 가압 밀착시키고 있다.

Description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SEALED CONTAINER FOR PRESSURIZED BEVER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캡을 구비한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음료용기의 캡으로서 맥시 캡(등록상표) 등으로 불리는, 금속제의 외장체와, 외장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라이너를 가지는 캡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런 종류의 캡의 라이너는 그 탄성에 의해 음료용기의 개구를 확실히 밀봉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개구부의 플랜지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07/122971호 공보
그런데, 이런 종류의 캡이 장착되는 음료용기에는, 탄산음료가 수용되는 경우나, 산화방지나 용기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음료와 함께 불활성 가스가 수용되는 경우가 있다(이하, 음료와는 별도로 수용되는 가스도, 특히 명시되지 않는 이상 음료의 일부로서 표현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스를 포함한 음료(양압음료)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특히, 용기의 기밀성을 높일 필요가 있지만, 라이너는 가스를 투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수지제 등인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캡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루트를 따라 용기 내로부터 가스가 빠져 나와 버리는 것을, 본 발명자 등은 발견하였다. 즉, 음료용기의 개구부의 플랜지에의 밀착성을 발휘하기 위한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라이너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질 필요가 있지만, 그러한 라이너는, 가스가 흘러나가는 통로가 되어 버린다. 그렇다고 해서, 단지 라이너를 얇게 하면, 음료용기의 개구부에의 밀착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캡을 구비하는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양압음료용 밀폐용기는, 음료용기와 캡을 구비한다. 상기 음료용기는, 몸통부와 플랜지를 가진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연속되고, 개구를 규정(規定)한다. 상기 캡은, 상기 개구를 밀봉하도록 상기 음료용기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캡은, 라이너와 외장체를 가진다. 상기 라이너는, 상기 플랜지의 측면 하부를 밀봉하기 위한 얇은 라이너부(박육(薄肉) 라이너부)와, 상기 플랜지의 측면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두꺼운 라이너부(후육(厚肉) 라이너부)를 가진다. 상기 외장체는, 상기 라이너와 함께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너를 외측으로부터 커버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고정된다. 상기 외장체는, 상기 박육 라이너부를 상기 플랜지의 상기 측면 하부에 가압 밀착시키고 있다.
여기서의 캡은, 라이너와, 외장체를 가진다. 라이너는 후육 라이너부를 가지며, 후육 라이너부는, 음료용기를 밀폐할 수 있도록, 음료용기의 개구를 규정하는 플랜지의 측면 상부를 커버한다. 즉, 라이너는, 후육 라이너부에 있어서 충분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의 측면 상부에 대해서 강고하게 밀착되고, 음료용기의 개구가 액밀(液密)적으로 밀폐된다. 또, 후육 라이너부는, 내압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이상의 특징에 더하여, 라이너가 박육 라이너부를 가진다. 이 박육 라이너부는 외장체에 의해서 플랜지의 측면 하부에 가압 밀착된다. 즉, 박육 라이너부에 있어서 가스의 통로를 좁힐 수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의 안팎이 수지제의 라이너를 통하여 기체 연통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밀폐용기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밀폐용기 내에 탄산이나 불활성 가스 등의 가스를 포함하는 양압음료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가스가 음료용기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캡에 대해 상방으로 힘을 가한다. 그 때문에 외장체와 박육 라이너부가 플랜지의 측면 하부에 의해 밀착되고, 밀폐용기의 기밀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밀폐용기는, 제1 관점에 따른 밀폐용기로서, 상기 플랜지의 상기 측면 하부에는, 둥글게 형성된 코너 부위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박육 라이너부가 플랜지의 측면 하부의 코너 부위에 밀착됨으로써, 라이너가 플랜지에 확실하게 걸려, 고정된다. 또한 이 코너 부위가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박육 라이너부를 플랜지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여기에서는, 라이너를 확실하게 고정하고, 나아가서는 밀폐용기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밀폐용기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따른 밀폐용기로서, 상기 외장체는, 상기 음료용기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라이너 전체를 가두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상기 라이너보다 길게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외장체가 라이너보다 길게 하부로 연장됨으로써, 외장체가 플랜지에 확실하게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 박육 라이너부 전체가 외장체와 음료용기와의 사이에 갇히게 됨으로써, 상기 박육 라이너부를 통한 기체 연통이 한층 더 억제되고, 밀폐용기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밀폐용기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폐용기로서, 상기 라이너가 수지제이다. 즉, 라이너는, 그 탄성에 의해 음료용기의 개구를 확실히 액밀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개구부의 플랜지에 밀착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밀폐용기는,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폐용기로서, 상기 외장체는,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제이다. 즉, 외장체에 의해 라이너를 용이하게 음료용기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밀폐용기는, 양압음료용 밀폐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음료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캡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음료용기 내에 상기 양압음료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양압음료를 충전한 후에, 상기 캡을 상기 음료용기에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음료용기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연속되고, 개구를 규정하는 플랜지를 가진다. 상기 캡은, 라이너와 외장체를 가진다. 상기 라이너는, 상기 플랜지의 측면 하부를 밀봉하기 위한 박육 라이너부 및 상기 플랜지의 측면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후육 라이너부를 가진다. 상기 외장체는, 상기 라이너와 함께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너를 외측으로부터 커버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고정된다. 또, 상기 캡을 상기 음료용기에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박육 라이너부가, 상기 플랜지의 상기 측면 하부에 가압 밀착된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밀폐용기에 의하면, 제1 관점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너는, 후육 라이너부에 있어서 충분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고, 후육 라이너부는 플랜지의 측면 상부에 대해서 강고하게 밀착하고, 음료용기의 개구가 액밀적으로 밀폐된다. 또, 후육 라이너부는, 내압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다. 또한, 라이너는, 박육 라이너부에 있어서, 외장체에 의해서 플랜지의 측면 하부에 가압 밀착된다. 즉, 박육 라이너부에 있어서 가스의 통로를 좁힐 수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의 안팎이 라이너를 통하여 기체 연통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밀폐용기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가스 누출을 수반하는, 종래의 캡핑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밀폐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캡의 측방 단면도이다.
도 5는, 캡핑 전의 캡 및 음료용기의 부분 측방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플랜지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밀폐용기의 캡핑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캡핑 후의 캡 및 음료용기의 부분 측방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캡핑 후의 캡 및 음료용기의 부분 측방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캡핑 후의 캡 및 음료용기의 부분 측방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용의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1. 밀폐용기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밀폐용기(1)는,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용기(10)와, 음료용기(10) 상부의 개구(16)(도 5 참조)를 밀폐하는 캡(20)을 가지며, 고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밀폐용기(1) 내에 봉입되는 음료로서는, 전형적으로는, 가스를 포함한 양압음료, 예를 들면, 탄산음료나, 내용물의 산화 방지나 용기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불활성 가스와 함께 봉입되는 음료가 상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이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음료용기(10) 저면의 중심과 개구(16)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따라서, 개구(16)측을 위, 저면측을 아래로서 정의한다. 또, 여기서 정의되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 내지 수평방향이라고 한다.
< 1-1. 음료용기 >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용기(10)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製)이다. 그렇지만, PET를 시작으로 하는 수지재료는, 일반적으로 가스를 투과시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음료용기(10)에는,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스 장벽을 높이기 위한 코팅이나 다층화가 실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용기의 재질로서는, 경량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수지재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0)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몸통부(11)와, 몸통부(11)의 위쪽에서 연속하는 링 형상의 플랜지(12)를 가진다. 몸통부(11)의 상단부에는, 음료를 꺼내기 위한 원형의 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랜지(12)는, 개구(16)의 주변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다. 플랜지(12)의 내주면과 몸통부(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단차는 없다.
도 5에는 플랜지(12)의 측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의 상면(14)에 있어서, 직경방향 안쪽의 코너 부위(개구(16)의 주위 가장자리부)(14a) 및 직경방향 바깥쪽의 코너 부위(14b)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12)의 하면(15)은, 직경방향 바깥쪽의 코너 부위(15a)에 있어서 둥글게 형성되고 있고, 코너 부위(14b)는, 코너 부위(15a)보다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12)의 하면(15)에는, 몸통부(11)의 외측 상면과 90도 이상을 이루는 대략 수평면(15b)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통부(11)의 외측 상면과 플랜지(12)의 대략 수평면(15b)이 이루는 각 α(도 6 참조)는, 음료용기(10)가 PET제인 본 실시형태에서는, 92도 전후(90도 ~ 9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료용기(10)가 유리제이면, 140도 전후(135도 ~ 1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음료용기(10)의 소재에 관계 없이, 대체로 각 α는, 90도 ~ 145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90도 ~ 140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랜지(12)의 상면이란, 플랜지(12)를 바로 위쪽에서 보았을 때에 보이는 부위이며, 플랜지(12)의 하면(15)이란, 플랜지(12)를 바로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에 보이는 부위이다. 또, 플랜지(12)의 측면(17)이란, 플랜지(12)를 외측에서 바로 옆으로 보았을 때에 보이는 부위이다. 코너 부위(14b)는 측면(17)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코너 부위(15a)는 측면(17)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정의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12)의 측면(17)과, 상면(14) 및 하면(15)과는, 일부 중복된다.
< 1-2. 캡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은, 외장체(30)와, 외장체(30)의 내측에 장착되는 라이너(40)와, 외장체(30)에 연속하는 링 탭(50)을 가진다. 외장체(30) 및 라이너(40)는, 협동하여 음료용기(10)의 개구(16)를 밀봉하기 위한 부재이다. 즉, 라이너(40)는 음료용기(10)의 개구(16) 및 플랜지(12)를 직접적으로 덮고, 외장체(30)는 라이너(40)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또, 링 탭(50)은, 캡(20)을 음료용기(10)로부터 제거할 때, 유저가 손가락을 걸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설명을 위해, 외장체(30) 및 라이너(40)의 일부(평면에서 볼 때 부채꼴)가 절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이너(40)는, 수지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PE제품이다. 따라서, 라이너(40)는 탄성을 가진다. 그 결과, 라이너(40)는, 음료용기(10)의 플랜지(12)에 가압 밀착됨으로써, 플랜지(12)의 외형을 따르도록 탄성변형하고, 특히 후술하는 후육(厚肉) 외주부(41)에 있어서, 플랜지(12)의 외형을 따르도록 탄성변형하여 플랜지(12)에 확실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라이너(40)는, 밀폐용기(1) 안팎의 액체 연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내압성, 내충격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라이너(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제이기 때문에, 가스 장벽이 낮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라이너(40)는 PE제, PP(폴리프로필렌)제, PVC(폴리염화비닐)제, EVA(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수지)제 등의 다른 수지제로 할 수도 있고, 수지 이외의 소재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체(30)는, 라이너(40)보다 가스 장벽이 높고 소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제이다. 따라서, 외장체(30)는, 캡(20)을 음료용기(10)에 부착시키는 캡핑 공정시에, 라이너(40)를 음료용기(10)와의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로, 음료용기(10)의 플랜지(12)에 확실하게 가압시키면서, 음료용기(10)에 대해서 강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 안쪽의 라이너(40)는,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그 전체가 외장체(30)로 커버된다. 또, 금속제인 외장체(30)는 가스 장벽이 지극히 높고, 이것에 의해 밀폐용기(1)의 안팎이 라이너(40)를 통하여 기체 연통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라이너(40) 및 외장체(3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캡핑 전의 라이너(40) 및 외장체(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캡핑 전의 라이너(40)는, 음료용기(10)의 개구(16)를 덮기 위한 원판부(42)와, 그 외주 가장자리에 연결된 링 형상의 외주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주부(41)의 하단에는,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의 박육(薄肉) 라이너부(43)가 연속되어 있다. 이 박육 라이너부(4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20)이 음료용기(10)에 장착되었을 때에, 플랜지(12)의 하면(15)까지 도달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도 8 참조). 외주부(41)의 직경방향 안쪽 부위의 하면에는, 안쪽을 향해 경사하는 안쪽 경사면(41a)이 형성되고, 직경방향 바깥쪽 부위의 하면에는, 바깥쪽을 향해 경사하는 바깥쪽 경사면(41b)이 형성된다. 또, 직경방향 바깥쪽 부위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해당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연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의 후육 라이너부(41c)가 연결되어 있다. 캡핑시에 안쪽 경사면(41a)은, 플랜지(12)의 상면(14)의 코너부(14a)에 밀착하고, 바깥쪽 경사면(41b)은, 플랜지(12)의 상면(14)의 코너부(14b)에 밀착한다. 또, 이 때, 후육 라이너부(41a)의 내주면은, 플랜지(12)의 측면(17)의 특히 상부에 밀착한다(도 8 참조). 외주부(41)는, 박육 라이너부(43)와 비교하여 두껍다. 또 원판부(42)는, 보다 두꺼운 외측의 링 형상의 부위(42a)와, 이 부위(42a)의 내측으로 연속하는 보다 얇은 원판 형상의 부위(42b)로 이루어진다.
박육 라이너부(43)의 두께 t1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가스의 경로를 좁힌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0.15 ~ 0.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0.2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후육 라이너부(41c)는, 액밀성이나 내압성, 내충격성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것들을 만족시킬 수 있을 만한 탄력성을 갖출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박육 라이너부(43)의 두께 t1의 후육 라이너부(41c)의 두께 t2에 대한 비율(박육 라이너부의 두께 t1/후육 라이너부의 두께 t2)은, 예를 들면 0.25 ~ 0.8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 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후육 라이너부(41c)란, 외주부(41)의 일부로서, 박육 라이너부(43)의 바로 위쪽에게 위치하고, 외주부(41)의 직경방향 바깥쪽 부위의 외주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부위이며, 플랜지(12)의 측면(17)의 특히 상부를 덮는다. 또, 후육 라이너부(41c)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면, 박육 라이너부(43)에 가까워짐에 따라 얇아지도록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박육 라이너부(43)에 대해서도, 두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면, 후육 라이너부(41c)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아지도록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박육 라이너부(43) 및 후육 라이너부(41c)의 평균적인 두께를, t1, t2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캡핑 전의 외장체(30)는, 원판 형상의 상면부(31)와, 상면부(3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의 측벽부(32)를 가지며, 라이너(40)를 외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상면부(31) 및 측벽부(32)의 경계 부분은, 측방향 단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면부(3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의 측벽부(32)는, 라이너(40)의 박육 라이너부(43)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벽부(32)는, 후술하는 캡핑 공정에 의해, 박육 라이너부(43)를 플랜지(12)의 측면(17)의 하부에 가압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외장체(30)와 음료용기(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라이너(40) 전체를 가두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박육 라이너부(43)보다 길게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박육 라이너부(43)는, 측벽부(32)의 내주면에는 고정되지 않고, 단지 덮여 있기만 한다.
계속해서, 링 탭(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체(30)에는, 라인 형상의 2개의 스코어(31a, 31b)가 형성되어 있다. 스코어(31a, 31b)는, 외장체(30)의 평면에서 볼 때 상면부(31)의 외주 가장자리의 약간 내측에서 이 외주 가장자리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3에서 앞쪽의 스코어(31a, 31b)의 끝부는, 함께 측벽부(32)의 하단까지 도달하고 있지만, 도 3에서 안쪽의 끝부는, 함께 측벽부(32)의 하단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또, 앞쪽의 스코어(31a, 31b)의 끝부 사이에 있어서, 외장체(30)에 연결되는 링 탭(50)이 위치결정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링 탭(50)은, PE(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제이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캡핑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서, 캡핑 후의 라이너(40) 및 외장체(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캡핑 공정에서는, 우선,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10)가, 컨베이어 등에 의해, 캡핑 장치(7)의 아래쪽으로 반송되어 온다(도 7의 (A) 참조). 이 때, 음료용기(10)의 개구부에는, 캡핑 전의 캡(20)이, 수평방향으로 대체로 위치맞춤된 상태로 얹혀 있다. 계속해서, 이 상태에서, 캡핑 장치(7)의 원기둥 형상의 이너 플런저(70)가 하강하고, 외장체(30)의 상면부(31)에 접촉하여, 이것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한다(도 7의 (B) 참조). 이것에 의해, 라이너(40)의 외주부(41)가 탄성변형하고, 그리고, 이것에 수반하여, 외주부(41)의 안쪽 경사면(41a)은 플랜지(12)의 상면(14)의 코너부(14a)에 밀착하고, 바깥쪽 경사면(41b)은 플랜지(12)의 상면(14)의 코너부(14b)에 밀착한다. 이것에 의해, 외주부(41)가 플랜지(12)의 상면(14)을 커버하고, 음료용기(10)의 개구(16)가 폐쇄되고, 음료용기(10) 내의 음료의 액체 부분은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계속해서, 이너 플런저(70)에 의한 이상의 가압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캡핑 장치(7)의 압력 플런저(72)가, 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높이 위치까지 이동해 온다. 또, 거기에서부터 측방향 밀봉 슬리브(71)가 아래쪽으로 더욱 이동하는 동시에, 직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한다(도 7의 (C) 참조). 그 결과, 측방향 밀봉 슬리브(71)의 선단(71a)에 의해, 외장체(30)의 측벽부(32) 및 라이너(40)의 박육 라이너부(43)가, 플랜지(12)의 하면(15) 및 몸통부(11)에 확실하게 가압 밀착된다. 또, 동시에, 압력 플런저(72)의 선단(72a)에 의해, 외장체(30)의 상면부(31)와 측벽부(32)와의 경계 부근, 및 라이너(40)의 외주부(41)의 바깥쪽 경사면(41b)이, 플랜지(12)의 코너 부위(14b)에 확실하게 가압 밀착된다. 이 때, 후육 라이너부(41c)의 내주면도, 플랜지(12)의 측면(17)의 특히 상부에 확실하게 가압 밀착된다. 또한, 측방향 밀봉 슬리브(71)의 선단(71a)은, 측방향 단면에서 볼 때, 정점이 직경방향 안쪽을 향하는 반원 형상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밀봉 슬리브(71), 압력 플런저(72)에 의한 가압에 의해, 외장체(30)는, 플랜지(12)의 상면(14), 측면(17) 및 하면(15)을 추종하도록 소성변형한다. 또, 이것에 수반하여, 외장체(30)의 측벽부(32)는, 플랜지(12)의 대략 수평면(15b)을 포함하는 코너 부위(15a)의 부근에, 박육 라이너부(43)를 가압 밀착시킨다. 그 결과, 박육 라이너부(43)는, 측벽부(32)와 플랜지(12)의 사이에 끼워져 탄성변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육 라이너부(43)는, 코너 부위(15a) 부근에 있어서, 플랜지(12)의 측면(17) 및 하면(15)을 커버하도록 이러한 면(17, 15)을 따라서 만곡된다. 또, 이 때 라이너(40) 전체가, 외장체(30)와 음료용기(1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갇힌다. 즉, 박육 라이너부(43)는, 플랜지(12)를 따라서 그 하면(15)까지 연장하고, 외장체의 측벽부(32)는, 박육 라이너부를 가리면서 이것보다 아래쪽까지 연장한 상태로, 음료용기(10)에 고정된다. 또한, 코너 부위(15a) 부근은, 외장체(30)와 음료용기(10)와의 간극이 가장 좁아지는 부위이며,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체(30)와 음료용기(10)와의 가장 좁은 간극이 라이너(40)로 메워지게 된다. 즉, 외장체(30)와 음료용기(10)와의 간극을 통한 기체의 누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크립핑 동작은, 캡(20)의 전체 외주에 걸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행해지고, 그 결과, 캡핑 후의 외장체(30)의 하단부는, 파형의 외주면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캡(20)의 전체 외주에 대한 크립핑이 종료되면, 이너 플런저(70), 그리고 밀봉 슬리브(71) 및 압력 플런저(72)가 도 7의 (A) 위치로 후퇴하고, 1개의 밀폐용기(1)에 대한 캡핑 공정이 종료하고, 그 후, 다음 음료용기(10) 및 캡(20)이 이너 플런저(70)의 아래쪽으로 반송되어 오고, 동일한 공정이 반복된다.
이상의 공정을 거친 밀폐용기(1)에 있어서는, 라이너(40)가 외장체(30)에 의해서, 외주부(41)에 있어서 위쪽으로부터, 박육 라이너부에 있어서 아래쪽으로부터 플랜지(12)에 가압 밀착된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캡(20)이 음료용기(10)에 대해서 강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라이너(40)가 플랜지(12)의 하면(15)의 코너 부위(15a)에 걸림으로써, 캡(20)이 음료용기(10)에 대해서 한층 더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음료용기(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캡(20)을 개구(16)로부터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라이너(40)가 플랜지(12)의 하면(15)에 걸림으로써, 이 힘에 대항할 수 있고, 캡(20)을 플랜지(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해당 가스의 압력에 의해 캡(20)이 개구(16)로부터 밀어 올려짐으로써, 외장체(30)와 박육 라이너부(43)가 플랜지(12)의 코너 부위(15a)에 의해 밀착되어, 밀폐용기(1)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라이너(40)를 통과하여 음료용기(10) 내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기 위해서는, 가스가 박육 라이너부(43)를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여기에서는, 박육 라이너부(43)에 있어서 가스의 통로를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10)의 안팎이 수지제 라이너(40)를 통하여 기체 연통하는 것이 억제되고, 밀폐용기(1)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음료용기(1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밀폐용기(1)의 개방시에, 유저가 링 탭(50)을 위쪽으로 끌어당기면, 스코어(31a, 31b)를 따라서 외장체(30)가 찢어진다. 이 때, 스코어(31a, 31b)의 도 3에서 안쪽의 끝부는 외주 가장자리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외장체(30)가 3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유저가 링 탭(50)에 가한 위쪽으로의 힘은, 외장체(30)를 통하여 라이너(40)에 전해져, 양쪽 부재(30, 40)가 변형(소성변형 및 탄성변형을 포함한다)하고, 캡(20)이 음료용기(10)의 개구부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밀폐용기(1)는, 개방에 특별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개방된다. 또, 밀폐용기(1)로는, 개방시에 외장체(30)가 찢어지기 때문에, 다시 밀봉시키지 못하고, 개방 후에 음료에 이물을 혼입시키는 등의 장난 방지에 유효하다.
< 2. 특징 >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캡(20)은, 라이너(40)와 외장체(30)를 가지며, 라이너(40)는, 원판부(42)와, 그 외주 가장자리에 연결된 링 형상의 외주부(41)를 구비한다. 또, 외주부(41)는, 직경방향 안쪽 부위, 직경방향 바깥쪽 부위 및 후육 라이너부(41c)를 가진다. 그리고, 음료용기(10) 밀폐시에는, 직경방향 안쪽 부위의 안쪽 경사면(41a)이 플랜지(12)의 코너부(14a)와 밀착하고, 직경방향 바깥쪽 부위의 바깥쪽 경사면(41b)이 플랜지(12)의 코너 부위(14b)와 밀착하고, 후육 라이너부(41c)의 내주면이 측면(17)의 상부와 밀착한다. 즉, 라이너(40)는, 외주부(41)의 직경방향 안쪽 부위와 직경방향 바깥쪽 부위에 있어서 충분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고, 후육 라이너부(41c)에 있어서 플랜지(12)의 측면(17)의 상부에 대해서 강고하게 밀착하여, 음료용기(10)의 개구(16)가 액밀적으로 밀폐된다. 또, 후육 라이너부(41c)는, 내압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의 특징에 더하여, 라이너(40)가 박육 라이너부(43)를 가진다. 이 박육 라이너부(43)는 외장체(30)에 의해서 플랜지(12)의 측면(17)의 하부(코너 부위(15a))에 가압 밀착된다. 즉, 박육 라이너부(43)에 있어서 가스의 통로를 좁힐 수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10)의 안팎이 수지제의 라이너(40)를 통하여 기체 연통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밀폐용기(1)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3. 변형예 >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경이 가능하다. 또, 이하의 변경 예의 요지는,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 3-1 >
외장체(30)는, 금속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라이너(40)를 통하여 밀폐용기(1)의 안팎이 기체 연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라이너(40)보다 가스 장벽의 높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장체(30)로서 예를 들면 배리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 3-2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40)의 외주부(41)와 박육 라이너부(43)는, 연속하도록 성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특히 박육 라이너부(43)가 외장체(30)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어떠한 방법으로든 외장체(30)에 접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 3-3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40)의 원판부(4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잘려 있을 수 있고, 외장체(30)의 상면부(31)의 하면이 부분적으로 음료용기(10)의 내부 공간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 3-4 >
상기 실시형태는, 후육 라이너부(41c)와 박육 라이너부(43)와의 경계로서 직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후육 라이너부(41c)와 박육 라이너부(43)가 해당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매끄러운 선을 그리도록 연속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후육 라이너부(41c)와 박육 라이너부(43)와의 경계로서 직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1: 밀폐용기
10: 음료용기
11: 몸통부
12: 플랜지
14b: 코너 부위(플랜지의 측면 상부)
15a: 코너 부위(플랜지의 측면 하부)
15b: 수평면
16: 개구
20: 캡
30: 외장체
40: 라이너
41: 외주부
41a: 안쪽 경사면
41b: 바깥쪽 경사면
41c: 후육(厚肉) 라이너부
43: 박육(薄肉) 라이너부

Claims (6)

  1.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연속하고, 개구를 규정하는 플랜지를 가지는 음료용기와,
    상기 개구를 밀봉하도록 상기 음료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캡
    을 구비하는 밀폐용기로서,
    상기 캡은,
    상기 플랜지의 측면 하부를 밀봉하기 위한 박육 라이너부와, 상기 플랜지의 측면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후육 라이너부를 가지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와 함께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너를 외측으로부터 커버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외장체
    를 가지며,
    상기 외장체는, 상기 박육 라이너부를 상기 플랜지의 상기 측면 하부에 가압 밀착시키고 있는,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상기 측면 하부에는, 둥글게 형성된 코너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상기 음료용기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라이너 전체를 가두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라이너보다 길게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수지제인,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소성변경 가능한 금속제인,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6. 양압음료용 밀폐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연속하고, 개구를 규정하는 플랜지를 가지는 음료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플랜지의 측면 하부를 밀봉하기 위한 박육 라이너부 및 상기 플랜지의 측면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후육 라이너부를 가지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와 함께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너를 외측으로부터 커버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외장체를 가지는 캡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음료용기 내에 상기 양압음료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양압음료를 충전한 후에, 상기 박육 라이너부가, 상기 플랜지의 상기 측면 하부에 가압 밀착되도록, 상기 캡을 상기 음료용기에 고정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양압음료용 밀폐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67031562A 2014-04-15 2015-04-10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491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3484 2014-04-15
JP2014083484 2014-04-15
PCT/JP2015/061190 WO2015159809A1 (ja) 2014-04-15 2015-04-10 陽圧飲料用の密閉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579A true KR20160148579A (ko) 2016-12-26
KR102491967B1 KR102491967B1 (ko) 2023-01-26

Family

ID=5432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562A KR102491967B1 (ko) 2014-04-15 2015-04-10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36825A1 (ko)
EP (1) EP3133027B1 (ko)
JP (1) JP6598767B2 (ko)
KR (1) KR102491967B1 (ko)
CN (1) CN106232494A (ko)
RU (1) RU2679548C2 (ko)
TW (1) TWI630039B (ko)
WO (1) WO20151598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20B1 (ko) * 2021-03-11 2021-08-20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1444B2 (ja) * 2016-03-04 2020-08-19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蓋
JP6725292B2 (ja) * 2016-03-31 2020-07-15 大和製罐株式会社 キャップ、金型及び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6723792B2 (ja) * 2016-03-31 2020-07-15 大和製罐株式会社 キャップ、金型及びキャップの製造方法
WO2019058513A1 (ja) 2017-09-22 2019-03-28 大和製罐株式会社 キャップ、金型及びキャップの製造方法
US10664592B2 (en) * 2018-03-22 2020-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securely run applications using containers
JP6995937B2 (ja) * 2020-06-25 2022-01-17 大和製罐株式会社 金型及びキャップの製造方法
WO2022172207A1 (en) * 2021-02-12 2022-08-18 Arol S.P.A. System and method for capping containers
CN113387018B (zh) * 2021-05-17 2022-01-21 深圳远荣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容器及封口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0056A (en) * 1961-07-06 1964-04-21 American Can Co Container and sealing cap assembly filled with an aqueous comestible
US3447710A (en) * 1967-08-15 1969-06-03 Grace W R & Co Manually removable tear-type closure elements
JPH0642702U (ja) * 1992-11-18 1994-06-07 喜多産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H11152159A (ja) * 1997-11-21 1999-06-08 Fuji Seal Inc 容易開口容器の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336475B2 (ja) * 1994-04-07 2002-10-2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発音特性を有する王冠及びその装着方法
JP2007122971A (ja) 2005-10-26 2007-05-17 Sharp Corp 面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8174266A (ja) * 2007-01-18 2008-07-31 Japan Crown Cork Co Ltd 易開封性容器蓋
JP5411576B2 (ja) * 2009-05-27 2014-02-12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容器蓋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5349A (en) * 1919-06-16 1922-08-08 Taliaferro Thomas Lucien Bottle closure
US1910327A (en) * 1930-02-20 1933-05-23 John J Gaynor Single automatic rotary bottle crowner
US2481111A (en) * 1946-09-05 1949-09-06 Owens Illinois Glass Co Sealed container and cap
FR1031269A (fr) * 1951-01-22 1953-06-22 Joint en matière plastique pour le bouchage étanche et le rebouchage de récipients
US3158277A (en) * 1963-03-19 1964-11-24 Luertzing Corp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US3332565A (en) * 1966-03-07 1967-07-25 Owens Illinois Inc Glass containers and closures for same
US3380609A (en) * 1966-04-14 1968-04-30 Crown Cork & Seal Co Roll-on crown with ring tab
US3480173A (en) * 1967-11-20 1969-11-25 Owens Illinois Inc Composite closure
US3785519A (en) * 1972-04-06 1974-01-15 N Huh Bottle caps
US3920142A (en) * 1974-06-24 1975-11-18 Scal Gp Condit Aluminium Easily operable closure cap
US3974931A (en) * 1975-05-29 1976-08-17 American Flange & Manufacturing Co., Inc. Bottle cap
SE414619B (sv) * 1977-02-24 1980-08-11 Wicanders Korkfabriker Ab Forslutningskapsyl med avrivningsflik
JPS5828990Y2 (ja) * 1978-11-02 1983-06-2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剥離性ライナ−付容器蓋
SE8604926D0 (sv) * 1986-11-17 1986-11-18 Wicanders Kapsyl Ab Upprivningsbar kapsyl
CN2050830U (zh) * 1989-04-09 1990-01-10 杨宗德 易拉式瓶盖
CN2478943Y (zh) * 2001-04-10 2002-02-27 董焕文 无铆钉撕拉式皇冠瓶盖
TW532372U (en) * 2001-10-19 2003-05-11 Tsung-Jin Gau Easy-open anti-explosion safety bottle cap
JP5095097B2 (ja) * 2005-11-14 2012-12-1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蓋
CN101421169B (zh) * 2006-04-17 2011-08-10 东洋制罐株式会社 金属罐
JP5046320B2 (ja) * 2006-09-21 2012-10-10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金属製包装体
JP5421816B2 (ja) * 2010-02-23 2014-02-19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易開封性蓋
ITVI20100039U1 (it) * 2010-07-08 2012-01-09 Brenta Sugheri S R L Tappo corona perfezionato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0056A (en) * 1961-07-06 1964-04-21 American Can Co Container and sealing cap assembly filled with an aqueous comestible
US3447710A (en) * 1967-08-15 1969-06-03 Grace W R & Co Manually removable tear-type closure elements
JPH0642702U (ja) * 1992-11-18 1994-06-07 喜多産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3336475B2 (ja) * 1994-04-07 2002-10-2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発音特性を有する王冠及びその装着方法
JPH11152159A (ja) * 1997-11-21 1999-06-08 Fuji Seal Inc 容易開口容器の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2971A (ja) 2005-10-26 2007-05-17 Sharp Corp 面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8174266A (ja) * 2007-01-18 2008-07-31 Japan Crown Cork Co Ltd 易開封性容器蓋
JP5411576B2 (ja) * 2009-05-27 2014-02-12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容器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20B1 (ko) * 2021-03-11 2021-08-20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0039B (zh) 2018-07-21
EP3133027A4 (en) 2017-11-08
JPWO2015159809A1 (ja) 2017-04-13
RU2679548C2 (ru) 2019-02-11
EP3133027A1 (en) 2017-02-22
EP3133027B1 (en) 2022-05-04
CN106232494A (zh) 2016-12-14
TW201540388A (zh) 2015-11-01
RU2016144488A3 (ko) 2018-08-14
RU2016144488A (ru) 2018-05-15
JP6598767B2 (ja) 2019-10-30
WO2015159809A1 (ja) 2015-10-22
KR102491967B1 (ko) 2023-01-26
US20170036825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8579A (ko) 양압음료용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RU2015147727A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капсул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US20190329942A1 (en) Discharge container
US9676531B2 (en) Membrane, and a neck including such membrane
CN110650894B (zh) 用于产品、特别是食品的不透气密封储藏的容器
PH12016501859B1 (en) Medical fluid container
KR101206170B1 (ko) 용기마개의 밀봉부재
JP6168272B2 (ja) 口部密封機構
US20190344939A1 (en) Sealing cap for a container for holding a medical liquid
JP5306783B2 (ja) スパウト閉栓キャップ
JP5173560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TW201615510A (zh) 樹脂製蓋子
JP6450643B2 (ja) 飲料用広口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付き広口樹脂製容器
TWI570035B (zh) 樹脂製蓋子
CN216360075U (zh) 一种双腔吸液瓶及口服液
CN104159832A (zh) 具有真空释放器的容器闭合件
KR101472863B1 (ko) 안전보호테가 부착된 캔과 그 제조방법
RU2416555C1 (ru) Укупор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бутылки с пробкой
KR101954121B1 (ko) 안전성이 개선된 캔용 뚜껑
EP4279412A2 (en) A cap for a food package
JP6134581B2 (ja) カップ状容器
CN204110549U (zh) 一种密封饮料瓶结构
RU2391273C2 (ru) Упаковка с уплотнительной крышкой и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упаковки
JP2022098046A (ja) 中栓付きプルアップキャップ
KR200370651Y1 (ko) 인삼용 원터치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