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580A -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580A
KR20160147580A KR1020150084539A KR20150084539A KR20160147580A KR 20160147580 A KR20160147580 A KR 20160147580A KR 1020150084539 A KR1020150084539 A KR 1020150084539A KR 20150084539 A KR20150084539 A KR 20150084539A KR 20160147580 A KR20160147580 A KR 20160147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rning
image
uni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선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7580A/ko
Publication of KR2016014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행중 후방 차량의 거리, 속도 및 영상을 감지하여, 후방 차량의 정보와 상대적인 거리 및 속도를 분석하고 충돌 위험이 감지될 경우 운전자 및 후방 차량에 경고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실시간 무선통신으로 교통관제소에 전송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거리 및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입력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영상을 촬영하여 입력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센서 입력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과의 상대적인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영상을 비교 판단하여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차량의 기준속도 이상의 과속 접근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하는 내부 경고부;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외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하는 외부 경고부; 및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상기 영상 입력부에서 촬영 입력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원격지의 관제 서버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Apparatus for overspeed warning to access the rea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안전 운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 차량의 충돌 위험이 감지될 경우 후방 차량에 경고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실시간 무선통신으로 교통관제소에 전송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장거리의 이동이 용이하고, 생활이 윤택해지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도로교통 사정이 악화되어 교통 정체가 심각해지고, 도로 주행시 운전 미숙, 과속 등으로 인해 많은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로 주행시 전후방의 차량 또는 물체와 근접할 경우 거리와 속도를 인식하기 어려워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의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차량 충돌 경보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176호에는 전후방의 차량이나 물체와 근접할 경우 충돌 위험에 대한 경고 신호를 발생시켜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후방 충돌 경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 경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운전중인 차가 안전운행을 하고 있을 때 또는 주행중에 있을 때 뒤에서 따라오는 차에 대한 부담감 등이 문제로 되고 있는데, 특히 뒤에서 따라오는 차의 과속 등에 대한 정보가 없으며, 이에 따라 후방 차량에 대하여 경고를 줄 수 없고, 운전중인 운전자가 위험 상황을 파악을 못하여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176호(2012년05월25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운행중 후방 차량의 거리, 속도 및 영상을 감지하여, 후방 차량의 정보와 상대적인 거리 및 속도를 분석하고 충돌 위험이 감지될 경우 운전자 및 후방 차량에 경고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실시간 무선통신으로 교통관제소에 전송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거리 및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입력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영상을 촬영하여 입력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센서 입력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과의 상대적인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영상을 비교 판단하여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차량의 기준속도 이상의 과속 접근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하는 내부 경고부;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외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하는 외부 경고부; 및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상기 영상 입력부에서 촬영 입력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원격지의 관제 서버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 입력부는 차량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및 접근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입력부는 접근 차량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경고부는 차량 내부의 전면유리 또는 내비게이션에 형상되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 경고부는 차량 외부의 후면유리 및 후면 차체에 형성되어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내부 경고부 및 상기 외부 경고부는, 문자, 숫자, 도형 및 컬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장치; 및 음성, 음악 및 경고 사이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의 무선 전송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에 중계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전송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판독하여 차량 번호 및 해당 차량을 특정하고, 해당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GPS, 라디오 주파수 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폰으로 경고 문자나 경고음을 전송한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전방 차량 및 후방 차량과 공통 주파수를 사용하는 쌍방향 송수신망을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접근 차량의 접근 거리 및 속도를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이상주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후방 차량에 상기 공통 주파수를 이용하여 1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전방 차량의 후면에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표시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2차 이상주행 판단시, 상기 후방 차량에 2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표시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3차 이상주행 판단시, 상기 후방 차량에 3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표시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 주행 위반 사항을 신고 처리함과 아울러, 지역 순찰대에 연계하여 신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에 의하면, 차량 운행중 후방 차량의 거리, 속도 및 영상을 감지하여, 후방 차량의 정보와 상대적인 거리 및 속도를 분석하고 충돌 위험이 감지될 경우 운전자 및 후방 차량에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사고 방지 및 인명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 및 후방 차량에 경고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실시간 무선통신으로 교통관제소에 전송하여 사고 및 위반 상황의 증거확보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전방 차량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를 장착한 전방 및 후방 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5는 도 4의 프로세스에 따라 전후방 차량 및 관제 서버와의 쌍방향 송수신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방 차량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를 장착한 전방 및 후방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는, 센서 입력부(100), 영상 입력부(105), 제어부(110), 무선 통신부(120), 중계기(130), 관제 서버(140), 내부 경고부(150) 및 외부 경고부(160)를 포함한다.
센서 입력부(100)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거리 및 속도를 감지한다.
영상 입력부(105)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영상을 촬영하여 입력한다.
상기 센서 입력부(100)는 거리 감지 센서 및 속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입력부(105)는 영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 입력부(100)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과의 상대적인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영상을 비교 판단하여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차량의 기준속도 이상의 과속 접근을 판단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후방 접근 차량이 제1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또는 제1 기준속도 이상으로 접근할 경우 1차 경고를 발생하고, 제2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또는 제2 기준속도 이상으로 접근할 경우 2차 경고를 발생할 수 있다.
내부 경고부(150)는 상기 제어부(110)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한다.
즉, 상기 내부 경고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전면유리(40) 또는 내비게이션(60)에 형성되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 경고부(160)는 차량 외부의 후면유리에 경고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 경고부(160)는 상기 제어부(110)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외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10)의 후면유리 또는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전방차량의 후방부에 외부 경고부(160)를 형성하고 “추돌위험, 감속바람”이란 문구(30)를 표시하여 후방 차량(20)에 경고신호를 줄 수 있다.
상기 내부 경고부(150) 및 상기 외부 경고부(160)는, 문자, 숫자, 도형 및 컬러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장치 및 음성, 음악 및 경고 사이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상기 영상 입력부(105)에서 촬영 입력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관제 서버(140)에 무선 전송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20)의 무선 전송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140)에 중계하는 중계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140)는 상기 무선 통신부(120)에서 전송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판독하여 차량 번호 및 해당 차량을 특정하고,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폰으로 경고 문자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센서 입력부(100)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거리 및 속도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센서 입력부(100)는 거리 감지 센서 및 속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감지 센서 및 속도 감지 센서를 통하여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거리 및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영상 입력부(105)의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영상을 촬영하여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 입력부(100)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과의 상대적인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영상을 비교 판단하여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차량의 기준속도 이상의 과속 접근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후방 접근 차량이 제1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또는 제1 기준속도 이상으로 접근할 경우 1차 경고를 발생하고, 제2 기준거리 이내이거나 또는 제2 기준속도 이상으로 접근할 경우 2차 경고를 발생할 수 있다.
예로서, 영상, 거리, 속도를 감지하되, 100m 내의 거리 및 속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1차 정보를 제공하고, 70m 이내에서 속도, 거리 이상시(후방 차량 과속)에 운전자에게 2차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차 뒷면에서 경고 기능 동작(불빛 점등 및 추돌위험 디스플레이 표시)을 수행한다. 이외의 후방 차량이 정상적인 운행시는 별도의 경고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고를 표시하기 위하여, 내부 경고부(150)는 상기 제어부(110)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하고, 외부 경고부(160)는 상기 제어부(110)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외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내부 경고부(150)는 차량 내부의 전면유리 또는 내비게이션에 경고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경고부(160)는 차량 외부의 후면유리 또는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전방차량의 후방부에 경고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경고부(150) 및 상기 외부 경고부(160)는 화면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도형 및 컬러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고음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음악 및 경고 사이렌을 출력함으로써 시청각적 기능을 활용하여 경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예로서, 후방 차량에 대한 속도 또는 거리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후방 차량이 운행중인 차보다 빠르게 다가오거나 또는 어느 정도의 거리까지 계속적으로 다가오면 앞에서 운행중인 차의 뒷부분(뒷유리 또는 후면부)에서 자동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컬러로 램프에 의해 깜빡이거나, 또는 차의 뒷부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계속적인 경고를 줄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상기 영상 입력부(105)에서 촬영 입력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관제 서버(140)에 무선 전송한다. 이때, 중계기(130)는 상기 무선 통신부(120)의 무선 전송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140)에 중계한다.
상기 관제 서버(140)는 상기 무선 통신부(120)에서 전송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판독하여 차량 번호 및 해당 차량을 특정하고,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폰으로 경고 문자를 전송한다.
즉, 후방 차량의 속도, 거리 등이 비 정상운행시 영상감식기 등이 동작하여 교통관제소에 정보제공을 통하여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해당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GPS, 라디오 주파수 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폰으로 경고 문자나 경고음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프로세스에 따라 전후방 차량 및 관제 서버와의 쌍방향 송수신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정상운행중인 전방 차량의 운전자는 뒤에 따라오는 후방 차량에 대하여 속도 감지 등에 의한 정보를 판단하고, 교통관제소(관제 서버)에 바로 전송하여 위반차량에 대한 경고 등을 보내주는 시스템과 연계가 가능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제 서버(140)는, 전방 차량(10) 및 후방 차량(20)과 공통 주파수를 사용하는 쌍방향 송수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부(110)는, 위험 감지 및 경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감지 및 경고 프로세스의 일 예로 전방 차량(10)의 제어부(110)에서는 먼저, 상기 후방 접근 차량의 접근 거리 및 속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이상주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후방 차량(20)에 공통 주파수 통신을 이용하여 1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전방 차량(10)의 후면에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표시한다(S101~S103).
또한, 일정시간 경과 후 2차 이상주행 판단시, 상기 후방 차량(20)에 2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재차 표시한다(S104).
또한, 일정시간 경과 후 3차 이상주행 판단시, 상기 후방 차량에 3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재차 표시하고, 상기 관제 서버(140)에 주행 위반 사항을 신고 처리함과 아울러, 지역 순찰대에 연계하여 신고 또는 출동 요청 처리할 수 있다(S105~S107).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국내 생산되는 전 차량 및 교통관제시스템과 연계하여 공용의 주파수가 사용되며, 이 주파수를 통하여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간 또는 다른 차선에서의 이상 주행하는 차에 대하여 차량간 또는 교통관제시스템(관제 서버)에 연계되어 경고, 지역 순찰차와 연계하여 이상주행 차량에 대한 제지 또는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전방 차량
20 : 후방 차량
100 : 센서 입력부
105 : 영상 입력부
110 : 제어부
120 : 무선 통신부
130 : 중계기
140 : 관제 서버
150 : 내부 경고부
160 : 외부 경고부

Claims (7)

  1.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거리 및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입력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영상을 촬영하여 입력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센서 입력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과의 상대적인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영상을 비교 판단하여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차량의 기준속도 이상의 과속 접근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하는 내부 경고부;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차량 외부의 특정 위치에 경고신호로 출력하는 외부 경고부; 및
    상기 제어부의 과속 접근 판단에 따라 상기 영상 입력부에서 촬영 입력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원격지의 관제 서버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입력부는 차량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및 접근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입력부는 접근 차량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경고부는 차량 내부의 전면유리 또는 내비게이션에 형상되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 경고부는 차량 외부의 후면유리 및 후면 차체에 형성되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경고부 및 상기 외부 경고부는,
    문자, 숫자, 도형 및 컬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장치; 및
    음성, 음악 및 경고 사이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의 무선 전송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에 중계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전송된 후방 접근 차량의 영상을 판독하여 차량 번호 및 해당 차량을 특정하고, 해당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GPS, 라디오 주파수 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휴대폰으로 경고 문자나 경고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전방 차량 및 후방 차량과 공통 주파수를 사용하는 쌍방향 송수신망을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접근 차량의 접근 거리 및 속도를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여 이상주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후방 차량에 1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표시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2차 이상주행 판단시, 상기 후방 차량에 2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표시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3차 이상주행 판단시, 상기 후방 차량에 3차 경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경고음 및 경고 점등을 표시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 주행 위반 사항을 신고 처리함과 아울러, 지역 순찰대에 연계하여 신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KR1020150084539A 2015-06-15 2015-06-15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KR20160147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539A KR20160147580A (ko) 2015-06-15 2015-06-15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539A KR20160147580A (ko) 2015-06-15 2015-06-15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580A true KR20160147580A (ko) 2016-12-23

Family

ID=5773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539A KR20160147580A (ko) 2015-06-15 2015-06-15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758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2349A1 (de) 2016-11-07 2018-05-09 INFAC Elecs Co., Ltd Antenne zur Kommunikation mittels Wellen
KR20180130201A (ko) * 2017-05-29 2018-12-0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후방 차량을 고려한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025402B1 (ko) * 2018-03-21 2019-09-25 양국승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KR101996576B1 (ko) 2018-05-04 2019-10-17 송영근 차량 추돌 방지장치
WO2020059948A1 (ko) * 2018-09-17 2020-03-26 마준성 차량 컨트롤러 및 실시간의 차량 상태 신호에 따른 출력 메시지의 입출력 방법
KR102164842B1 (ko) * 2020-03-31 2020-10-13 주식회사 아이오토 위험물 운송 특장차 주행안전 시스템
KR20220079241A (ko) * 2020-12-04 2022-06-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방지를 위한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43387A (ko) 2022-09-27 2024-04-03 (주)대한솔루션 내비게이션과 앰비언트 라이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속도위반 경고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176A (ko) 2010-11-17 2012-05-25 김신호 차량의 전후방 충돌 경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 경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176A (ko) 2010-11-17 2012-05-25 김신호 차량의 전후방 충돌 경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 경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2349A1 (de) 2016-11-07 2018-05-09 INFAC Elecs Co., Ltd Antenne zur Kommunikation mittels Wellen
DE102017102349B4 (de) 2016-11-07 2022-05-12 INFAC Elecs Co., Ltd Antenne zur Kommunikation mittels Wellen
KR20180130201A (ko) * 2017-05-29 2018-12-0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후방 차량을 고려한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025402B1 (ko) * 2018-03-21 2019-09-25 양국승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KR101996576B1 (ko) 2018-05-04 2019-10-17 송영근 차량 추돌 방지장치
WO2020059948A1 (ko) * 2018-09-17 2020-03-26 마준성 차량 컨트롤러 및 실시간의 차량 상태 신호에 따른 출력 메시지의 입출력 방법
KR102164842B1 (ko) * 2020-03-31 2020-10-13 주식회사 아이오토 위험물 운송 특장차 주행안전 시스템
KR20220079241A (ko) * 2020-12-04 2022-06-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방지를 위한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43387A (ko) 2022-09-27 2024-04-03 (주)대한솔루션 내비게이션과 앰비언트 라이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속도위반 경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7580A (ko)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US10332401B2 (en) Running vehicle alerting system and method
KR101306759B1 (ko) 자동차전용도로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US7602945B2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JP2009251637A (ja) 車両事故防止ロボット及び車両事故防止システム
KR101416368B1 (ko) 차량 사고 데이터 처리장치, 차량 사고 중계서버 및 차량 사고 알림 방법
CN110525337B (zh) 车辆安全控制装置及方法
WO20171153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vehicular accidents
JP4255880B2 (ja) 車両間衝突防止支援システムおよび車両間衝突防止支援装置
KR101573767B1 (ko) 비상 주차 차량의 안전 확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7473B1 (ko) 후방 차량을 고려한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JP2006259861A (ja) ハザードウォーニングシステム
JP2009244986A (ja) 警告報知装置
KR101574010B1 (ko) 안전운전용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35137B1 (ko)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2차 차량사고 방지용 사고알림 장치 및 방법
JP3820828B2 (ja) 車両検出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CN103531035A (zh) 可标示前车的导航方法
KR101995054B1 (ko) V2v 통신을 이용한 카메라 영상 출력 및 저장 시스템 및 구현 방법
KR20210020463A (ko)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69645A (ko)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773382B1 (ko) 운전중 통화 검출 및 경보 방법과 그 시스템
JP2019028482A (ja) 車載器および運転支援装置
KR101382074B1 (ko) 터널 내부 안전 운행 시스템
KR20170033985A (ko) 고속도로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KR101904049B1 (ko) 전후방 추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