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645A -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645A
KR20170069645A KR1020150177115A KR20150177115A KR20170069645A KR 20170069645 A KR20170069645 A KR 20170069645A KR 1020150177115 A KR1020150177115 A KR 1020150177115A KR 20150177115 A KR20150177115 A KR 20150177115A KR 20170069645 A KR20170069645 A KR 20170069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nger signal
pedestrian collision
state
collision avo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걸
Original Assignee
이춘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걸 filed Critical 이춘걸
Priority to KR102015017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645A/ko
Publication of KR2017006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제1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객체 감지 장치 및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자 존재 알림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주정차 차량의 이동 수단이 주변에 보행자가 있음을 사전에 알아 조심하여 운전하도록 함으로써 주정차 차량 사이에서 튀어나오는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차량이 증가하면서 길가, 도로변 등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보행자들이 빠른 길로 가기 위해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 사이로 보행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주정차된 차량 근처에서 놀거나 보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린 아이들의 경우 차량보다 키가 작아 주정차된 차량 사이에서 보행하는 경우 주정차 차량의 옆도로로 주행하는 주행차량의 운전자가 주정차된 차량 사이의 어린 아이들을 인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차량이 일렬주차되어 있는 장소에서 주정차 차량 사이에 보행자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경우 주행차량이 이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에, 주정차 차량 사이를 지나다니는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106896
본 발명은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자 존재 알림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주정차 차량의 이동 수단이 주변에 보행자가 있음을 사전에 알아 조심하여 운전하도록 함으로써 주정차 차량 사이에서 튀어나오는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의 진입유무를 표시하는 LED 점멸등을 운전석 빽미러안 또는 지지대에 설치하여 출발 전 운전석 백미러 확인으로 운전자의 차량 앞·뒤의 보행자 출현 유무 상태를 확인하고 운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제1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객체 감지 장치 및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은 상기 객체 감지 장치가 상기 제1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객체 감지 장치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객체 감지 장치가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신호 수신 장치가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자 존재 알림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주정차 차량의 이동 수단이 주변에 보행자가 있음을 사전에 알아 조심하여 운전하도록 함으로써 주정차 차량 사이에서 튀어나오는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의 진입유무를 표시하는 LED 점멸등을 운전석 빽미러안 또는 지지대에 설치하여 출발 전 운전석 백미러 확인으로 운전자의 차량 앞·뒤의 보행자 출현 유무 상태를 확인하고 운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장치가 주정차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신호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객체”는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는 유동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객체는 사람, 자동차, 자전거, 오토바이,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이동하는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가 주정차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신호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은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차량(10, 20) 각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차량의 상황에 따라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상태가 정지상태이면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동작하지 않고 객체 감지 장치(100)가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객체를 감지하여 다른 차량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위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의 상태가 이동상태이면 객체 감지 장치(100)는 동작하지 않고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가 동작하여 다른 차량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어 차량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정차하고 있는 제1 차량(10)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100)이 동작하여 객체 감지 시 제2 차량(20)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차량(10)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100)는 제1 차량(10)의 속도에 따라 제1 차량(10)의 상태가 정지 상태이면 동작하게 된다. 객체 감지 장치(100)는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위험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거나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한다. 이때, 위험 신호는 경고 정보,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객체 감지 장치(100)는 제1 차량(10)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후술할 영상 촬영 기기(120)를 동작시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왼쪽 백미러 및 오른쪽 백미러 각각에 설치된 LED(131, 132)를 점멸하여 상기 경고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제1 차량(10)의 LED(131, 132)의 점멸 상태를 통해 객체의 존재를 인지하고, 객체와의 거리를 육안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객체 감지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120)에 의해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하고,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 영상 데이터를 통해 객체의 존재를 알 수 있어 정지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차량(20)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제1 차량(10) 및 상기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를 표시함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정지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차량(20)은 주정차되어 있는 제1 차량(10)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으로, 제1 차량(10)의 주변에 객체가 존재하여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차량(10)의 객체 감지 장치(100)는 제2 차량(20)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객체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제2 차량(20)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객체 감지 장치(100)로부터 위험 신호가 수신되면 경고 화면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이때,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제1 차량(10) 및 상기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차량(10) 및 상기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는 위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차량(10)의 위치 데이터 및 제2 차량(20)의 위치 산출 모듈(예를 들어, GPS)을 통해 결정된 제2 차량(20)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차량(10) 및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제1 차량(10) 및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가 제한 거리 이하이면 제2 차량(20)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제2 차량(2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거리가 제2 제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을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한 거리 및 제2 제한 거리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제2 제한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가 주정차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객체 감지 장치(100)는 모션 센서(110), 영상 촬영 기기(120), 출력부(130), 배터리(140), 충전부(145), 속도 계측부(150), 위험 신호 송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모션 센서(1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움직임 감지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이러한 모션 센서(110)는 주정차 차량의 일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110)는 도 2와 같이 주정차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주정차 차량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 이동 중인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120)는 주정차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 기기(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기기(120)는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에 동작하여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위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위험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미도시) 및 위험 신호를 점등을 하는 LED(도 2,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30)는 모니터로 구현되어 위험 신호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고, 출력부(130)는 스피커로 구현되어 "삐삐 보행자가 있습니다."와 같은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배터리(140)는 보행자 추돌 방지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에 전원을 제공하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지만, 주차 시에도 전원을 제공하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기본 장착 배터리가 아닌 별도의 보조적인 배터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배터리(140)는 충전부(145)에 의해 충전되며, 충전부(145)는 차량이 이동 시 충전되거나 태양열을 이용해 충전하는 태양광 충전모듈(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속도 계측부(150)는 차량의 속도 센서(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속도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산출 모듈(예를 들어, GPS. 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속도를 계측하고, 계측된 속도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제어부(170)는 속도 계측부(150)에 의해 계측된 속도에 따라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 또는 운행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이면 모션 센서(110)가 동작되도록 하여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수신되면 출력부(130)를 통해 경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며, 영상 촬영 기기(120)를 동작시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70)는 영상 촬영 기기(120)에 의해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하고, 제1 차량(10)의 위치 데이터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 영상 데이터를 통해 객체의 존재를 알 수 있어 정지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차량(20)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객체 영상 데이터 및 1 차량과 상기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표시함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제2 차량(20)을 정지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제2 차량(20)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가 제1 차량(10)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10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위험 신호 수신부(210), 경고 제어부(220), 거리 계측부(230) 및 운행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위험 신호 수신부(210)는 객체 감지 장치(10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위험 신호는 경고 정보,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차량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 제어부(220)는 위험 신호 수신부(21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 화면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경고 제어부(220)는 위험 신호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위험 신호 중 객체 영상 데이터 및 거리 계측부(230)에 의해 계측된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고 제어부(220)는 위험 신호를 거리 계측부(230)에 제공하며, 거리 계측부(230)는 위험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고 제어부(220)는 거리 계측부(230)에 의해 계측된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에 따라 운행 제어부(240)가 동작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고 제어부(220)는 거리 계측부(230)에 의해 계측된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제한 거리 이내이면 운행 제어부(240)가 동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고 제어부(220)는 위험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위험 신호를 점등을 하는 LED(도 2,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제어부(220)는 모니터와 구현되어 위험 신호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경고 제어부(220)는 스피커로 구현되어 "삐삐 보행자가 있습니다." 또는 "전방 몇 미터 앞에 보행자가 있습니다."와 같은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보행자를 포함한 객체까지의 거리는 거리 계측부(230)를 통해 산출된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경고 음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경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리 계측부(230)는 경고 제어부(22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위험 신호 중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및 위치 산출 모듈을 통해 결정된 제2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경고 제어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
운행 제어부(240)는 경고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제2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제2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제어부(240)는 거리 계측부(230)에 의해 계측된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거리가 제2 제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한 거리 및 제2 제한 거리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제2 제한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객체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10). 객체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단계 S520), LED를 점멸한다(단계 S530). 그런 다음, 객체 감지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단계 S540), 제1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550). 객체 감지 장치(100)는 경고 정보,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험 신호를 생성하여(단계 S560)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한다.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위험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단계 S570),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제한 거리 이내이면(단계 S580)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단계 S590) 제2 차량(20)의 운행을 제어한다(단계 S600).
이때,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이내이면 제2 차량(20)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제2 제한 거리 이내이면 제2 차량(20)을 긴급 제동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객체 감지 장치
110: 모션 센서
120: 영상 촬영 기기
130: 출력부
140: 배터리
145: 충전부
150: 속도 계측부
160: 위험 신호 송신부
170: 제어부
200: 위험 신호 수신 장치

Claims (14)

  1.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객체 감지 장치; 및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는
    상기 제1 차량의 좌측 백미러 및 우측 백미러 각각에 설치된 LED를 점멸시키고, 영상 촬영 기기를 동작시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위험 신호가 수신되면 경고 화면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및 위치 산출 모듈을 통해 결정된 상기 제2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거리가 제한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2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상기 제2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8.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가 상기 제1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객체 감지 장치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객체 감지 장치가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신호 수신 장치가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가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의 좌측 백미러 및 우측 백미러 각각에 설치된 LED 모듈을 점멸시키는 단계;
    영상 촬영 기기를 동작시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가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 신호가 수신되면 경고 화면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및 위치 산출 모듈을 통해 결정된 상기 제2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제한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2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상기 제2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방법.
KR1020150177115A 2015-12-11 2015-12-11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70069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115A KR20170069645A (ko) 2015-12-11 2015-12-11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115A KR20170069645A (ko) 2015-12-11 2015-12-11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668A Division KR20170069911A (ko) 2016-10-24 2016-10-24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645A true KR20170069645A (ko) 2017-06-21

Family

ID=5928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115A KR20170069645A (ko) 2015-12-11 2015-12-11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6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640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안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
WO2020226258A1 (ko) * 2019-05-09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과 이를 이용한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11062610B1 (en) 2020-03-06 2021-07-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parked vehicles to notify rideshare drivers of passenger pickup loc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640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안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
US10471970B2 (en) 2017-11-03 2019-11-12 Mando Corporation Safet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20226258A1 (ko) * 2019-05-09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과 이를 이용한 보행자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11062610B1 (en) 2020-03-06 2021-07-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parked vehicles to notify rideshare drivers of passenger pickup lo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0564B2 (ja) 車両情報表示装置
JP4517393B2 (ja) 運転支援装置
WO2016132891A1 (ja) 自動車における近接体警報知装置
US20180338117A1 (en) Surround camera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US20130311075A1 (en) Motorcycle and helmet providing advance driver assistance
CN109564734B (zh) 驾驶辅助装置、驾驶辅助方法、移动体和程序
WO201808822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US201402471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signal warning
JP2018045482A (ja) 撮像装置、信号処理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CN109562757B (zh) 驾驶辅助装置、驾驶辅助方法、移动体和程序
JP2009211309A (ja) 走行支援装置
KR101984520B1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8725454B (zh) 安全驾驶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71153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vehicular accidents
KR20160091040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CN112534487A (zh) 信息处理设备、移动体、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2014191632A (ja) 車線変更支援装置
KR20180065527A (ko) 차량 후측방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고 방법
CN106218644A (zh) 基于汽车的并线辅助装置、方法及汽车
KR20170069645A (ko)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JP2006236094A (ja) 障害物認識システム
JP2008052320A (ja) 周辺監視システム
KR102094405B1 (ko) 영상을 이용한 사고 유무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2616203B1 (ko)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7133644A (ja) 歩行者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0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24

Effective date: 2017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