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696A - 차량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696A
KR20160146696A KR1020167028149A KR20167028149A KR20160146696A KR 20160146696 A KR20160146696 A KR 20160146696A KR 1020167028149 A KR1020167028149 A KR 1020167028149A KR 20167028149 A KR20167028149 A KR 20167028149A KR 20160146696 A KR20160146696 A KR 2016014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andle
lock knob
unit
hand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로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16014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케이블 장치(5)의 아우터 케이블(3)의 선단에 케이블 연결 유닛(9)이 장착된다. 케이블 연결 유닛(9)은, 핸들 베이스(1)에 연결 가능한 유닛 케이스(7)를 구비한다. 유닛 케이스(7)에 의해, 이너 케이블(4)에 형성되는 핸들 연결부(8)가 소정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 자유롭게 유지된다. 유닛 케이스(7)에는, 핸들 베이스(1)로의 장착 작업시에 조작부(2)에 마련된 피동 돌출부(10)를 가압하여 조작부(2)의 케이블 연결부(11)를 핸들 연결부(8)와의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12)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차량 핸들 장치{VEHICLE STEERING WHEEL DEVICE}
본 개시는, 차량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차량용 핸들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핸들 장치에서는, 록 노브 및 이너 도어 핸들이, 핸들 베이스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각 조작부에 형성되는 걸어맞춤부에는, 케이블 장치의 이너 케이블의 선단이 걸려있다. 조작부에 대한 회전 조작력은, 이너 케이블을 경유하여 래치·록 유닛에 전달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핸들 장치에서는, 이너 케이블의 걸어맞춤부로의 걸어맞춤은, 조작부의 조작 중에 있어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너 케이블을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출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너 케이블을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조작성이 나빠지고,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국 특허개시공보 2012-097476호 공보
본 개시는, 케이블 장치의 연결 조작성을 향상시킨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인사이드 핸들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1A-1A선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2A-2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2B-2B선 단면도이고, 도 2(c)는 언록 상태에 있어서의 2B-2B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케이블 연결 유닛을 연결하기 전의 도 1(b)의 화살표 3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케이블 연결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베이스 케이스를 나타내고, 도 4(b)는 케이스 커버의 연결 공정을 나타내는 도 4(a)의 4B-4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완성 상태의 케이블 연결 유닛을 나타내는 도 4(a)의 4B-4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케이블 연결 유닛의 핸들 베이스로의 연결 조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케이블 연결 유닛의 핸들 베이스로의 연결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캠부가 피동 돌출부에 당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캠부에 의해 록 노브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파탄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케이블 연결 유닛의 핸들 베이스로의 연결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록 노브를 언록 위치까지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첨부 도면 및 이하의 개시는 본 개시의 예시이며, 이들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 이하에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장치(door inside handle device)로서 구성된 본 개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인사이드 핸들 장치는, 차량의 도어 패널에 고정되는 핸들 베이스(1)에 임시 유지 조작부(2S)로서의 조작 핸들과, 조작부(2)로서의 록 노브를 동축 상에서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여 형성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2S)은 중앙부가 개구된 평면으로 볼 때 타원 형상을 구비하고, 조작 핸들(2S)의 중앙 개구부(2a)의 에지에 절삭되는 요부 내에 록 노브(2)가 배치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핸들(2S)은, 회전축(2C) 둘레에 감기는 토션 스프링(16)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도 1(b), 도 2(a)에 나타내는 초기 회전 위치에 임시 유지된다. 이 조작 핸들(2S)은, 중앙 개구부(2a)로부터 넣은 손가락 끝을 손가락 걸이 에지(2b)에 걸어 도 2(a)에 나타내는 화살표(OP) 방향으로 일으켜 작동 회전 위치까지 회전 조작할 수 있고, 조작 핸들(2S)에 대한 회전 조작력은 케이블 장치(5)를 통해 도어 내에 고정되는 도어록 장치(6)에 전달되어, 도어록 장치(6)의 래치부(6a)를 작동시킨다.
록 노브(2)는 상기 토션 스프링(16)에 의한 바이어싱력이 작용하지 않고 회전축 둘레에 장착되어 있고, 도 1(b), 도 2(b)에 나타내는 록 위치와, 도 2(c)에 나타내는 언록 위치 사이에서 회전 조작된다. 록 노브(2)와 핸들 베이스(1)에는, 록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록 스토퍼(17a)(도 2(b) 참조)와, 언록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언록 스토퍼(17b)(도 1(b) 참조)가 마련된다.
이 록 노브(2)는 케이블 장치(5)를 통해 도어록 장치(6)의 록부(6b)에 연결되어 있고, 록 노브(2)를 언록 위치에서 록 위치로 회전시키면, 조작 핸들(2S)로부터의 래치부(6a)로의 입력이 규제되고, 조작 핸들(2S)에 의한 래치부(6a)의 해제 조작이 금지된다.
상기 케이블 장치(5)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블(3) 내에 이너 케이블(4)을 이동 자유롭게 삽입하여 형성된다. 케이블 장치(5)의 아우터 케이블(3)의 선단에는 고정측 연결부(3a)가, 이너 케이블(4)의 선단에는 차륜 형상의 연결 주체부(14)의 양측면으로부터 핀형상 돌기(15)를 돌출되도록 마련한 핸들 연결부(8)가 각각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조작 핸들(2S), 및 록 노브(2)에 연결되는 케이블 장치(5)의 선단에는 유닛 케이스(7) 내에 이너 케이블(4)의 핸들 연결부(8)를 유지한 케이블 연결 유닛(9)이 연결된다.
도 4(a)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케이스(7)는 베이스 케이스(18)에 케이스 커버(19)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베이스 케이스(18)와 케이스 커버(19)의 연결은, 베이스 케이스(18)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위치 결정 보스(18a)를 케이스 커버(19)의 감합 구멍(19a)에 감합되는 한편, 베이스 케이스(18)에 돌출되도록 마련한 잠금용 갈고리(18b)를 케이스 커버(19)에 걸어 이루어진다(도 1(b) 참조).
각 케이블 장치(5)의 유닛 케이스(7)로의 장착은, 각 케이블 장치(5)의 아우터 케이블(3)을 베이스 케이스(18)에 개설된 케이블 삽입 개구(18c)에 삽입하고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블(3)의 고정측 연결부(3a)에는 빠짐 방지 슬릿(3b)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케이스(18) 내에 삽입된 케이블 장치(5)는, 베이스 케이스(18)와 케이스 커버(19)의 쌍방에 형성되는 빠짐 방지 돌기(18d, 19d)가 빠짐 방지 슬릿(3b)에 걸려 빠짐 방지된다.
유닛 케이스(7) 내에 도입된 케이블 장치(5)의 이너 케이블(4)은, 핸들 연결부(8)의 핀형상 돌기(15)가 소정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유지된다. 베이스 케이스(18)에는, 상기 핀형상 돌기(15)를 지지하기 위한 핀 지지부(18e)가 핸들 연결부(8)의 연결 주체부(14)가 이동하는 주체부 이동로(18f)를 따라 한쌍 마련되고, 핀 지지부(18e) 상에 지지되는 핀형상 돌기(15)는, 핀 지지부(18e)와의 사이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케이스 커버(19)의 핀 커버부(19b)에 의해 덮여 핀 지지부(18e)로부터의 이탈이 규제된다.
또한, 케이스 커버(19)는 베이스 케이스(18)의 주체부 이동로(18f)에 정면으로 마주보는 부위가 개방되어 있고, 케이스 커버(19)를 장착한 상태로 연결 주체부(14)는 케이스 커버(19)의 표면에 노출된다.
상기 핀 지지부(18e)는 원호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원호의 중심은, 유닛 케이스(7)를 핸들 베이스(1)에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 핸들(2S), 및 록 노브(2)의 회전 중심(2C)에 일치하고, 곡률은, 연결 주체부(14)의 이동 궤적이 후술하는 조작 핸들(2S), 및 록 노브(2)의 케이블 연결부(11)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은, 유닛 케이스(7)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탄성 잠금 레그(7a)를 핸들 베이스(1)의 걸림부(locked portion)(1a)(도 3 참조)에 탄력적으로 거는 한편,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베이스(1)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탄성 잠금 레그(1b)를 유닛 케이스(7)의 걸림부(locked portion)(7b)에 탄력적으로 걸어 핸들 베이스(1)에 연결된다.
유닛 케이스(7)의 탄성 잠금 레그(7a), 및 걸림부(7b)는 베이스 케이스(18)에 형성되는 한편, 핸들 베이스(1)에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 커버(19)는 베이스 케이스(18)와 핸들 베이스(1) 사이에 끼인 상태가 되어, 유닛 케이스(7)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케이블 연결 유닛(9)의 핸들 베이스(1)로의 연결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베이스(1)와 유닛 케이스(7)에 형성되는 가이드(13)를 따라 케이블 연결 유닛(9)을 케이블 장치(5)의 장착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케이블 연결 유닛(9) 내의 핸들 연결부(8)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의 핸들 베이스(1)로의 연결 조작 도상에서 조작 핸들(2S), 및 록 노브(2)의 케이블 연결부(11)에 연결된다.
케이블 연결부(11)의 핸들 연결부(8)로의 연결은, 케이블 연결부(11)에 핸들 연결부(8)의 연결 주체부(14)를 감합시켜 이루어지고, 핸들 연결부(8)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의 진입 방향으로 개방된 노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핸들 연결부(8)는, 가장 안쪽 부분이 연결 주체부(14)의 지름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지름 크기로 형성되어, 연결 주체부(14)가 감합 예정 위치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도 연결 주체부(14)를 끌어들일 수 있도록, 개구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확대되는 부채꼴로 형성된다.
케이블 연결부(11)로의 연결시에, 우선, 케이블 장치(5)의 핸들 연결부(8)는, 도어록 장치(6)에 타단을 연결한 상태에서 도어록 장치(6)의 상태에 의해 거의 일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도 6은 도어록 장치(6)의 록부(6b)가 록 위치에 있을 때의 록 노브(2)에 연결되는 핸들 연결부(8)의 대응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때, 도시하지 않지만, 조작 핸들(2S)에 연결되는 핸들 연결부(8)는, 래치부(6a)의 미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미작동 위치에 유지되고, 해당 위치는, 조작 핸들(2S)의 초기 회전 위치에 있어서의 케이블 연결부(11)의 바로 아래, 정확하게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의 핸들 베이스(1)로의 장착 궤적 상에 위치한다.
또한, 케이블 연결 유닛(9)에는 캠용 돌출부(20)가, 록 노브(2)에는 피동 돌출부(10)가 각각 마련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동 돌출부(10)는 록 노브(2)의 케이블 연결부(11)의 근방(본 예에 있어서는 케이블 연결부(11)의 바로 위)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캠용 돌출부(20)는 유닛 케이스(7)의 케이스 커버(19)로부터 상기 피동 돌출부(10)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단에 캠부(12)가 형성된다. 이 캠부(12)는, 유닛 케이스(7)가 가이드(13)를 따라 핸들 베이스(1)와의 연결 경로를 이동할 때 상기 피동 돌출부(10)를 가압하여 움직여 록 노브(2)를 록 위치, 혹은 언록 위치에 대응하는 회전 종단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도록 사면에 의해 형성된다.
도어록 장치(6)에 케이블 장치(5)를 연결한 상태에서 록 노브(2)에 대응하는 핸들 연결부(8)가 거의 언록 위치에 위치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캠부(12)의 사면 방향은, 록 노브(2)의 케이블 연결부(11)를 언록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다. 또한, 사면의 폭 방향, 즉, 케이블 연결 유닛(9)의 장착 궤적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범위는, 도 6,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노브(2)가 록 위치에 있는 상태여도 피동 돌출부(10)에 당접 가능하고, 또한, 록 노브(2)를, 케이블 연결부(11)의 개방 선단이 연결 주체부(14)를 포착 가능한 위치(도 7(b) 참조)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본 예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비연결 상태에서 케이블 연결 유닛(9)을 상방(화살표 UP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12)가 록 노브(2)의 피동 돌출부(10)에 당접하고, 더욱 가이드(13)를 따라 케이블 연결 유닛(9)을 밀어 올리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노브(2)가 회전한다. 피동 돌출부(10)가 캠부(12)의 종단 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록 노브(2)는, 케이블 연결부(11)의 개방 선단과 연결 주체부(14)의 접점(P)이 연결 주체부(14)의 중심을 넘는 것으로, 더욱 케이블 연결 유닛(9)을 상승시키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노브(2)는 연결 주체부(14)에 픽업되는 상태로 걸림 위치까지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완료 위치에 있어서, 연결 주체부(14)의 주변은 케이블 연결부(11)의 가장 안쪽 부분의 내주벽에 당접하고, 유닛 케이스(7)가 핸들 베이스(1)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주체부(14)는 케이블 연결부(11)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당접 상태가 유지되고, 쌍방의 동기적 작동이 확보된다.
또한, 토션 스프링(16)에 의해 초기 회전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보증되는 조작 핸들(2S)의 케이블 연결부(11)와, 도어록 장치(6)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미작동 위치에 유지되는 연결 주체부(14)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의 장착 궤적 상에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연결 유닛(9)의 핸들 베이스(1)로의 장착시에 서로 연결 상태가 된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용 돌출부(20)에는, 록 노브(2)의 피동 돌출부(10)가 통과하기 위한 절삭부(20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피동 돌출부(10)가 캠용 돌출부에 간섭하여 록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방해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에 있어서는, 록 노브(2)와 조작 핸들(2S)를 각각 1개 구비하는 인사이드 핸들 장치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조작부(2)를 복수 구비하는 핸들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핸들 장치는, 핸들 베이스(1)에 조작부(2)를 회전 조작 자유롭게 연결하여 형성된다. 조작부(2)에 대한 조작력은, 아우터 케이블(3) 내에 이너 케이블(4)을 삽입한 케이블 장치(5)를 통해 차량의 도어록 장치(6)에 전달되어, 도어록 장치(6)가 원격 조작된다.
케이블 장치(5)의 아우터 케이블(3)의 선단에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이 장착된다. 케이블 연결 유닛(9)에서는, 핸들 베이스(1)에 연결 가능한 유닛 케이스(7)에 의해, 이너 케이블(4)에 형성되는 핸들 연결부(8)가 소정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 자유롭게 유지된다.
케이블 연결 유닛(9)의 유닛 케이스(7)에는, 핸들 베이스(1)로의 장착 작업시에 조작부(2)에 마련된 피동 돌출부(10)를 가압하여 조작부(2)의 케이블 연결부(11)를 핸들 연결부(8)와의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12)가 마련된다.
케이블 장치(5)는, 선단에 핸들 연결부(8)가 형성된 이너 케이블(4)을 아우터 케이블(3) 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하여 형성된다. 핸들 연결부(8)는, 아우터 케이블(3)의 선단에 장착되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의 유닛 케이스(7)에 이동 궤적이 구속되어 이동 자유롭게 유지된다.
실시예에서는, 핸들 연결부(8)의 이동 궤적이 유닛 케이스(7)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유연한 이너 케이블(4)의 선단에 형성되어 위치가 정해지지 않는 핸들 연결부(8)를 직접 조작하여 조작부(2)의 케이블 연결부(11)로 인도하는 조작이 불필요해지고, 케이블 연결 유닛(9)을 핸들 장치 핸들 베이스(1)에 연결 하는 것만으로 조작부(2)에 케이블 장치(5)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케이블 연결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캠부(12)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의 핸들 베이스(1)로의 장착 동작 도상에서 조작부(2)의 피동 돌출부(10)를 가압하여 조작부(2), 즉, 케이블 연결부(11)를 케이블 장치(5)와의 연결 가능 위치로 이동,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 연결 유닛(9)의 장착시에 조작부(2)를 케이블 장치(5)와의 연결 가능 위치에 손으로 유지해 둘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케이블 연결 작업성이 향상된다.
유닛 케이스(7)는, 핸들 베이스(1)에 형성된 가이드(13)에 의해 장착 경로가 규제되어도 좋다.
케이블 연결 유닛(9)의 장착 경로는, 장착 작업 도상에서 캠부(12)에 의해 피동 돌출부(10)를 픽업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핸들 베이스(1)에 가이드(1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피동 돌출부(10)를 픽업하지 않고 케이블 연결 유닛(9)을 조립해버리는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핸들 연결부(8)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연결 주체부(14)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핀형상 돌기(15)가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에 의해 핸들 베이스(1)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이동 궤적 상에 유지되어도 좋다. 케이블 연결부(11)는, 연결 주체부(14)에 외주 방향에서 맞물려 걸릴 수 있고, 가장 안쪽 부분이 연결 주체부(14)의 지름의 크기와 거의 일치하고 또한, 개방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확대된 노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조작부(2)의 케이블 연결부(11)는, 부채꼴의 노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삭된 개방단의 폭의 치수가 핸들 연결부(8)의 연결 주체부(14)의 지름에 비해 충분히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 결과, 캠부(12)에 의한 조작부(2)의 이동에 편차가 발생해도, 확실하게 케이블 연결부(11)에 감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 주체부(14)가 핸들 베이스(1)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이동 궤적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케이블 연결 유닛(9)을 핸들 베이스(1)에 장착한 상태에서 연결 주체부(14)의 케이블 연결부(11)의 가장 안쪽 부분, 즉, 연결 주체부(14)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 부분의 당접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조작부(2)의 이동 방향에 대한 케이블 연결부(11)와 연결 주체부(14) 사이의 덜컹거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스트로크 로스의 발생이 없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핸들 장치에 있어서, 록 노브(2)와 토션 스프링(16)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초기 회전 위치에 임시 유지되는 조작 핸들(2S)이 동축 상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핸들 베이스(1)에 연결된다. 조작 핸들(2S) 및 록 노브(2)에 대한 조작력이, 아우터 케이블(3) 내에 이너 케이블(4)을 삽입시킨 케이블 장치(5)를 통해 차량의 도어록 장치(6)에 전달된다.
케이블 장치(5)의 아우터 케이블(3)의 선단에는, 핸들 베이스(1)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 유닛(9)이 장착된다. 케이블 연결 유닛(9)은, 이너 케이블(4)의 핸들 연결부(8)를 단일의 유닛 케이스(7) 내에 이동 자유롭게 유지한다.
케이블 연결 유닛(9)에는, 캠부(12)가 마련된다. 캠부(12)는, 조작 핸들(2S)의 핸들 연결부(8)로의 연결 작업 경로 상에서 록 노브(2)에 돌출되도록 마련한 피동 돌출부(10)를 가압하여 해당 록 노브(2)를 케이블 장치(5)와의 연결 가능 위치로 이동시킨다.
케이블 연결 유닛(9)은, 각 케이블 장치(5)마다에 설정 가능하지만, 록 노브(2)와 조작 핸들(2S)에 대응하는 케이블 장치(5)의 핸들 연결부(8)를 단일의 유닛 케이스(7)에 유지하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록 노브(2)와 조작 핸들(2S)와 같이 복수의 조작부가 있는 경우, 케이블 연결 유닛(9)은, 꼭 모든 조작부에 대응되는 것일 필요는 없고, 핸들 베이스(1)로의 장착 경로, 및 조작부로의 연결 방향 등을 고려하여 일부(복수)에 대응시키고, 나머지 조작부에 대해 단일의 조작부(2)에 대응한 케이블 연결 유닛(9)을 준비하고, 혹은 나머지 조작부(2)를 집합한 복수에 대응한 케이블 연결 유닛(9)을 준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작 핸들(2S)은, 바이어싱력에 의해 핸들 베이스(1) 상의 소정의 임시 유지 위치에 유지되는 임시 유지 조작부(2S)여도 좋다.
유닛 케이스(7)에는, 임시 유지 조작부(2S)에 연결되는 케이블 장치(5)의 해당 임시 유지 조작부(2S)로의 연결 작업 경로 상에서 록 노브(2)의 피동 돌출부(10)를 가압하여 록 노브(2)를 소정의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12)가 마련된다.
조작 핸들(2S)은, 토션 스프링(16)에 의해 초기 회전 위치에 바이어스되고, 바이어싱력에 의해 핸들 베이스(1)에 대한 상대 위치(임시 유지 위치)가 결정된다. 조작 핸들(2)에 대응하여 캠부(12)가 마련된다.
캠부(12)는, 조작 핸들(2S)의 케이블 연결부(11)에 대한 이너 케이블(4)의 핸들 연결부(8)의 연결 작업선 상에서 록 노브(2)를 회전시켜 대응하는 핸들 연결부(8)의 이동 경로 상으로 록 노브(2)의 케이블 연결부(11)를 이동시킨다.
본 개시의 차량 핸들 장치에 의하면, 케이블 연결 유닛을 핸들 베이스에 장착 하는 것만으로 케이블 장치의 연결이 완료되기 때문에, 케이블 장치의 연결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2014년 4월 22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특원2014-088281)을 기초로 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 핸들 베이스
2: 조작부(록 노브)
2S: 임시 유지 조작부(조작 핸들)
3: 아우터 케이블
4: 이너 케이블
5: 케이블 장치
6: 도어록 장치
7: 유닛 케이스
8: 핸들 연결부
9: 케이블 연결 유닛
10: 피동 돌출부
11: 케이블 연결부
12: 캠부
13: 가이드
14: 연결 주체부
15: 핀형상 돌기
16: 토션 스프링

Claims (5)

  1. 핸들 베이스;
    상기 핸들 베이스에 회전 조작 자유롭게 연결된 조작부;
    아우터 케이블과 상기 아우터 케이블에 삽입된 이너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력을 차량의 도어록 장치에 전달하는 케이블 장치;
    상기 아우터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된 케이블 연결 유닛;
    상기 케이블 연결 유닛에 마련되고, 상기 핸들 베이스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이너 케이블에 형성되는 핸들 연결부를 소정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유닛 케이스; 및
    상기 유닛 케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유닛 케이스의 핸들 베이스로의 장착 작업 시에 상기 조작부에 마련된 피동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조작부의 케이블 연결부를 상기 핸들 연결부와의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를 구비하는 차량 핸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베이스에는, 상기 유닛 케이스의 상기 핸들 베이스로의 장착 경로를 규제하는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는 차량 핸들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연결부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연결 주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핀형상 돌기가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에 의해 핸들 베이스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이동 궤적 상에 유지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는, 상기 연결 주체부에 외주 방향에서 맞물려 걸릴 수 있고, 가장 안쪽 부분이 연결 주체부의 지름의 크기와 거의 일치하고 또한, 개방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확대된 노치 형상(notch shape)으로 형성되는 차량 핸들 장치.
  4. 핸들 베이스;
    상기 핸들 베이스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록 노브;
    상기 록 노브와 동축 상에 상기 핸들 베이스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토션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초기 회전 위치에 임시 유지되는 조작 핸들;
    상기 록 노브에 대한 조작력을 도어록 장치에 전달하는 록 노브용 케이블 장치;
    상기 조작 핸들에 대한 조작력을 상기 도어록 장치에 전달하는 조작 핸들용 케이블 장치; 및
    유닛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베이스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록 노브용 케이블 장치는, 아우터 케이블과 아우터 케이블에 삽입된 이너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핸들용 케이블 장치는, 아우터 케이블과 아우터 케이블에 삽입된 이너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록 노브용 케이블 장치의 상기 이너 케이블에 마련된 핸들 연결부와, 상기 조작 핸들용 케이블 장치의 상기 이너 케이블에 마련된 핸들 연결부는, 단일의 상기 유닛 케이스 내에 이동 자유롭게 유지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 유닛에는, 상기 조작 핸들용 핸들 연결부로의 연결 작업 경로 상에서 상기 록 노브에 돌출되도록 마련한 피동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록 노브를 상기 록 노브용 케이블 장치와의 연결 가능 위치에 이동시키는 캠부가 마련되어 있는 차량 핸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은, 바이어싱력(biasing force)에 의해 핸들 베이스 상의 소정의 임시 유지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차량 핸들 장치.
KR1020167028149A 2014-04-22 2015-04-22 차량 핸들 장치 KR20160146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8281A JP6306415B2 (ja) 2014-04-22 2014-04-22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JP-P-2014-088281 2014-04-22
PCT/JP2015/062309 WO2015163385A1 (ja) 2014-04-22 2015-04-22 車両の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696A true KR20160146696A (ko) 2016-12-21

Family

ID=5433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149A KR20160146696A (ko) 2014-04-22 2015-04-22 차량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19307B2 (ko)
EP (1) EP3135843B1 (ko)
JP (1) JP6306415B2 (ko)
KR (1) KR20160146696A (ko)
CN (1) CN106232919B (ko)
WO (1) WO2015163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1195B2 (ja) * 2015-11-30 2019-07-31 株式会社アンセイ ケーブル装置
FR3047266B1 (fr) * 2016-01-28 2018-05-18 U-Shin France Sas Cable pour serr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6825302B2 (ja) * 2016-10-26 2021-0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装置
JP6806528B2 (ja) * 2016-11-01 2021-01-06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6938132B2 (ja) * 2016-11-07 2021-09-22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6887780B2 (ja) * 2016-11-07 2021-06-16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用ドアの製造方法
KR102563474B1 (ko) * 2017-11-21 2023-08-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그립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DE102018101448A1 (de) * 2018-01-23 2019-07-2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Bowdenzugendstück
JP7017941B2 (ja) 2018-01-31 2022-02-09 株式会社アルファ 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7236329B2 (ja) * 2019-06-05 2023-03-09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用ユニット連結体の製造方法
CN114412302A (zh) * 2022-01-25 2022-04-29 叶海燕 一种防剐蹭的智能汽车门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4434A (en) * 1998-06-12 1999-03-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handle to latch rod connection
FR2876077B1 (fr) * 2004-10-06 2008-03-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thode de montage d'un dispositif de commande interieur du mecanisme d'ouvert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piece intermediaire de prepositionnement utilise dans la methode, et ouvrant obtenu par cette methode
EP1867815A1 (en) * 2006-06-14 2007-12-19 Grupo Antolin-Ingenieria, S.A. Door assembly for a vehicle door and method of assembly of the door
JP4914763B2 (ja) 2007-05-22 2012-04-11 株式会社アルファ ハンドル装置
DE102007057866B4 (de) * 2007-08-01 2014-07-03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Türmodul für Fahrzeugtür und Montageverfahren
JP5028702B2 (ja) * 2009-11-05 2012-09-1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5752913B2 (ja) * 2010-10-15 2015-07-22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5331776B2 (ja) 2010-11-02 2013-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131103B2 (ja) * 2013-05-24 2017-05-17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用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5843B1 (en) 2019-04-03
JP6306415B2 (ja) 2018-04-04
EP3135843A1 (en) 2017-03-01
EP3135843A4 (en) 2017-11-29
US20170037663A1 (en) 2017-02-09
JP2015206234A (ja) 2015-11-19
US10119307B2 (en) 2018-11-06
WO2015163385A1 (ja) 2015-10-29
CN106232919A (zh) 2016-12-14
CN106232919B (zh)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6696A (ko) 차량 핸들 장치
KR101932807B1 (ko) 차량용 핸들 장치
KR101495643B1 (ko) 이중 해제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JP200802778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0954697B2 (en) Handle device of vehicle
KR101555983B1 (ko) 중립 위치 오 조립 방지기능이 향상된 차량용 클록 스프링 장치
KR10150850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7017941B2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CN112996976A (zh) 罩锁定装置
US8448537B2 (en) Rotating lever position holding apparatus
JP7332459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6438204B2 (ja) レバー連結体、ロッドホルダ、および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7236329B2 (ja) 車両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用ユニット連結体の製造方法
JP5018390B2 (ja) 可変シリンダ錠
EP2832940B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1022361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WO2012050214A1 (ja) 車両のドア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2017150205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KR101608663B1 (ko) 차량의 스티어링 락 장치
JP5761785B2 (ja) レバー装置
JP2016211289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2016182672A (ja) 電動工具
JP2015203448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