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522A -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 - Google Patents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522A
KR20160144522A KR1020150080397A KR20150080397A KR20160144522A KR 20160144522 A KR20160144522 A KR 20160144522A KR 1020150080397 A KR1020150080397 A KR 1020150080397A KR 20150080397 A KR20150080397 A KR 20150080397A KR 20160144522 A KR20160144522 A KR 20160144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wire
cutting
protrud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범랑
Original Assignee
서범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범랑 filed Critical 서범랑
Priority to KR102015008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522A/ko
Publication of KR2016014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5/00Making barbed w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를 압연과 펀칭(Punching) 등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상기 소재와 일체로 가시부를 성형하여 내구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전체적인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조망 제조방법은 소재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소재의 전체를 압연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부분 압연 또는 단조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상기 소재와 일체로 가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철조망은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 소재와; 상기 소재의 양측에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 전체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한 가시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Wire-entanglements method of manufacturing and the wire-entanglements}
본 발명은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철조망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윤형 압착 철조망은 가시철편을 철조에 결합시 상기 가시철편을 구성하는 이음부의 양단부가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들뜸현상없이 철조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철조와 가시철편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보다 날카로워야 되는 가시철편의 가시부 기능 및 효과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윤형 압착 철조망에 관한 것으로, 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어지는 판상의 이음부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시부가 돌출 형성된 가시철편을 철조의 외측에 감싸는 식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윤형 압착 철조망은 가시철편을 별도로 제조하고, 상기 철조의 외측면에 상기 가시철편을 가압하여 철조의 외측면에 가시철편이 밀착,고정되는 제조방법을 채택하다보니, 일련의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인력이 요구됨에 따라 전체적인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윤형 압착 철조망은 위치와 장소에 따라 철조망이 꺽여서 설치되거나 사용중에 외부 충격이 집중되는 경우, 철조와 가시철편의 체결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내재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6664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재를 압연과 펀칭(Punching) 등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상기 소재와 일체로 가시부를 성형함에 따라 내구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전체적인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을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조망 제조방법은 소재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소재의 전체를 압연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부분 압연 또는 단조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상기 소재와 일체로 가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철조망은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 소재와; 상기 소재의 양측에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 전체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한 가시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은 소재를 압연과 펀칭(Punching) 등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상기 소재와 일체로 가시부를 성형함에 따라 내구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전체적인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철조망은 기존 울타리 등을 대체할 수 있으며, 외부의 침입이 잦은 건물의 가스 배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윤형 압착 철조망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철조망의 결합된 일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조망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조망 제조방법의 돌출부를 보인 사시도,
도 5,6,7은 도 4의 돌출부에 가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보인 평면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철조망 제조방법 중 돌출부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9,10은 도 8의 돌출부에 가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조망 제조방법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공정도,
도 12는 도 11의 공정도에서 환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보인 사시도,
도 13,14은 도 12의 환형부에 가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조망 제조방법은 소재(10)를 압연 또는 단조하여 돌출부(20)를 형성하는 제1공정(P1)과, 상기 돌출부(20)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소재(10)와 일체로 가시부(30)를 형성하는 제2공정(P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10)는 환봉이나 선재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공정(P1)은 소재(10)의 길이방향으로 전체를 압연하거나 양측 단부를 압연하여 서로 대응되게 돌출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정(P1)은 소재(10)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부분 압연 또는 단조에 의해 돌출부(2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소재(10)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지그재로로 돌출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2공정(P2)은 펀칭(Punching) 등의 방법에 의해 단부가 날카로운 가시부(30)를 형성시키게 된다.
도 4,5,6은 본 발명에 가시부의 형상과 모양을 보인 것으로, 먼저 도 4는 소재(10)의 양측에 대응되며 동일한 방향으로 가시부(30)가 형성된 것이고, 도 5은 소재(10)의 양측에 대응되며 양측단에 가시부(30)가 형성된 것이며, 도 6는 소재(10)의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시부(30)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시부(30)는 소재(10)의 양측에 상,하 및 좌,우 소정각도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시부(30)는 도 4,5,6에 도시된 형상과 모양을 한정하지 않고, 이를 제외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철조망 제조방법 중 돌출부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소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일부분을 압연 또는 단조하여 돌출부(20)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20)는 소재(10)의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20)를 형성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작업에 의해 상기 돌출부(20)의 중앙과 일측단을 따내면 일측이 날카로운 상기 가시부(3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돌출부(20)를 형성한 후, 펀칭 작업에 의해 상기 돌출부(20)를 '∧', '△' 형상으로 절개하거나 절단하여 상기 가시부(3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0)를 '∧' 형상으로 절개되는 경우에는 3방향으로 상기 가시부(30)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0)를 '△' 형상으로 절단되는 경우에는 양방향으로 상기 가시부(30)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조망 제조방법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공정도로서, 상기 소재(10)의 외측면에서 외력을 가하거나 히팅머신(Heading Machine)에 의해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일체로 환형부(40)를 형성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환형부(40)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상기 가시부(30)를 형성하는 제2단계(S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계(S1)는 먼저 소재(1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소재(10)의 외측면 소정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며 일정한 힘을 가하면, 상기 소재(10)의 외측면에 환형부(40)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히팅머신에 의한 방법은 소재(10)의 소정위치에서 (+),(-) 전기적인 열을 가하면 상기 소재(10)의 외측면에 환형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단계(S2)는 환형부(40)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도 13,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10)의 외측면에 일방향 또는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가시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시부(30)는 소재(10)의 외측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시부(30)는 도 13,14에 도시된 형상과 모양을 한정하지 않고, 이를 제외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0: 소재 20: 돌출부
30: 가시부 40: 환형부

Claims (7)

  1. 소재(10)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소재(10)의 전체를 압연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부분 압연 또는 단조하여 일체로 돌출부(20)를 형성하는 제1공정(P1)과;
    상기 돌출부(20)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가시부(30)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공정(P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조망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부분 압연 또는 단조된 상기 돌출부(20)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일측 또는 양측으로 상기 가시부(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조망 제조방법.
  3.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 소재(10)와;
    상기 소재(10)의 양측에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 전체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된 돌출부(20)와;
    상기 돌출부(20)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한 가시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조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30)는 소재(10)의 양측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조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30)는 소재(10)의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철조망.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10)의 양측에 구비되며, 2개 또는 그 이상의 가시부(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조망.
  7. 소재(10)의 외측면에서 외력을 가하거나 히팅머신에 의해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일체로 환형부(40)를 형성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환형부(40)의 일부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일방향 또는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가시부(30)를 형성하는 제2단계(S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조망 제조방법.
KR1020150080397A 2015-06-08 2015-06-08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 KR20160144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397A KR20160144522A (ko) 2015-06-08 2015-06-08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397A KR20160144522A (ko) 2015-06-08 2015-06-08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522A true KR20160144522A (ko) 2016-12-19

Family

ID=5773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397A KR20160144522A (ko) 2015-06-08 2015-06-08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5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176B1 (ko) 2019-10-14 2020-05-26 윤관영 가시나무 형태의 철조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664Y1 (ko) 2003-11-24 2004-04-03 권영재 윤형 압착 철조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664Y1 (ko) 2003-11-24 2004-04-03 권영재 윤형 압착 철조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176B1 (ko) 2019-10-14 2020-05-26 윤관영 가시나무 형태의 철조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4235A1 (en) Hoop as well as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method of hoop
CN104669317B (zh) 理发器之刀具及其制造方法
CN107206453A (zh) 制造卡环的方法
KR20160144522A (ko) 철조망 제조방법 및 그 철조망
EP2837439A3 (en) A method of reducing wrinkles in pressed sheet metal components
CN204597644U (zh) 电机定子端板
CN104209396B (zh) 具有带轮廓基壁的模具和该模具的相关冲头
CN104889702A (zh) 一种法兰的制造方法
US1114177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washers
CN204686168U (zh) 一种方牙排咪机用y型铜材切刀
CN204309073U (zh) 一次成型高效梯形刀具
CN102742994A (zh) 伞面三角片的制作方法
CN105855357A (zh) 槽钢拉杆制造一次成型模具
CN104368682B (zh) 多纵孔灯罩加工方法
CN103736852A (zh) 适用于生产带有凸包补强结构的钣金件的刀具组
CN207343639U (zh) 废料下滑装置及具有其的冲压模具
CN105921597A (zh) 槽钢拉杆制造一次成型模具
CN203751125U (zh) 适用于生产带有凸包补强结构的钣金件的刀具组
CN102101228A (zh) 金属外观件尖角的成形方法
CN205463847U (zh) 一种钣金凸起根部外侧防开裂切边模具
CN201206723Y (zh) 高精度圈圆冲压件
CN205599753U (zh) 梅花孔冲孔用冲针
CN204906548U (zh) 电视机拼接面框
CN203979149U (zh) 一种轴承保持器
CN105113714A (zh) 一种防护舱立柱、折弯模具及其折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