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358A - 전사막 유지 기구 및 분리 전사 장치 - Google Patents

전사막 유지 기구 및 분리 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358A
KR20160142358A KR1020167030724A KR20167030724A KR20160142358A KR 20160142358 A KR20160142358 A KR 20160142358A KR 1020167030724 A KR1020167030724 A KR 1020167030724A KR 20167030724 A KR20167030724 A KR 20167030724A KR 20160142358 A KR20160142358 A KR 20160142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ilm
transfer
fixing
film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143B1 (ko
Inventor
다까떼루 마쯔나가
히데끼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2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7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 G01N27/44739Collecting the separated zones, e.g. blotting to a membrane or punching of gel sp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7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 G01N27/4473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전사막(1)을 유지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2)이며, 전사막(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20, 21)를 구비하고, 고정부(20, 21)는, 배출부(50a)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전사막(1)에 접촉하는 탄성체(20a, 21a)와, 전사막(1)을 탄성체(20a, 21a)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 (20b, 21b)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사막 유지 기구 및 분리 전사 장치{TRANSFER MEMBRANE HOLDER, AND SEPARATION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영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검체를 전사막에 전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해당 검체를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해당 배출부에 대하여 접촉시켜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한 해당 검체를 해당 전사막에 전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이하, 「배출 전사」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배출 전사를 행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공보 제2007-292616호 공보(2007년 11월 8일 공개)
배출 전사를 행할 때,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검체를 전사막에 양호하게 전사하기 위해, 전사막을 배출부에 밀착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출 전사를 행할 때에 전사막을 배출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신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배출 전사를 행하는 분리 전사 장치에 있어서 전사막을 유지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의 신규 구성에 상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해당 검체를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해당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한 해당 검체를 해당 전사막에 전사하는 분리 전사 장치에 있어서 해당 전사막을 유지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이며, 해당 전사막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해당 고정부는, 해당 배출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해당 전사막에 접촉하는 탄성체와, 해당 전사막을 해당 탄성체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배출 전사를 행할 때에, 전사막을 배출부에 적합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리 전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리 전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사막 유지 기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사막 유지 기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의 치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리 전사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분리 전사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분리 전사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전사 장치(100)는,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해당 검체를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해당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한 해당 검체를 해당 전사막에 전사하는 분리 전사 장치이며, 클램프(고정부, 제1 고정부, 아암부)(20), 클램프(고정부, 제2 고정부, 아암부)(21), 클램프 프레임(아암부, 연결부)(22), 캐리어(아암부, 측벽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부위, 제2 부위)(23), 양극 버퍼조(제1 완충액조)(30), 테이블(31), 음극 버퍼조(제2 완충액조)(40), 분리부(50), 모터(구동부)(62), 볼 나사(구동부)(63), 가이드 샤프트(구동부)(64), 샤프트 홀더(구동부)(65), 가이드 폴(아암부, 제1 부위)(66), 및 제어부(6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설명을 위해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전을 위해서, 동작 시에 전체를 덮는 덮개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분리부(50)는, 분리 겔(분리 매체)(52)을 수납하고 있고, 양극 버퍼조(30) 내에 개구되는 제1 개구(배출부)(50a) 및 음극 버퍼조(40) 내에 개구되는 제2 개구(50b)를 갖고 있다. 또한, 양극 버퍼조(30) 내에는, 전사막(1)이 제1 개구(50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극 버퍼조(30) 내에는 양극(제1 전극)(32)이 배치되어 있고, 음극 버퍼조(40) 내에는 음극(제2 전극)(41)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분리 전사 장치(100)에서는, 음극 버퍼조(40) 및 양극 버퍼조(30)에 완충액을 채움으로써, 음극 버퍼조(40) 내의 음극(41)과 양극 버퍼조(30) 내의 양극(32)이, 2개의 조에 있어서의 완충액, 분리 겔(52) 및 전사막(1)을 개재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분리 전사 장치(100)는 음극(41)과 양극(3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2 개구(50b)로부터 도입된 샘플을 분리 겔(52)에 의해 분리하고, 분리된 각 성분을 제1 개구(50a)로부터 배출시켜서 전사막(1)에 흡착시키는 장치이다.
이하에, 주요한 각 부재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양극 및 음극)
양극(32)은 양극 버퍼조(3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음극(41)은 음극 버퍼조(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양극(32) 및 음극(41)은 금속 등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양극(32) 및 음극(41)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전극의 이온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백금이 바람직하다.
이들 전극 배치에 관해서는, 양극(32)은 양극 버퍼조(3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음극(41)은 음극 버퍼조(4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음극(41), 제1 개구(50a) 및 양극(32)이, 대략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막(1)이 배치되면, 제1 개구(50a)를 통하는 전기력선은 전사막(1)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기 때문에, 샘플의 흡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32)은 전사막(1)으로부터 이격해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양극(32)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포가, 전사막(1)에 대한 분리 성분의 흡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극(32) 및 음극(41)은, 예를 들어 제어부(68)에 접속해서 사용해도 되고, 외부의 파워 서플라이(직류 전원 장치)에 접속해서 사용해도 된다. 외부의 파워 서플라이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당해 파워 서플라이에 시간, 전류 및 전압을 세트한 후, 파워 서플라이의 동작 개시와 동시에, 제어부(68)를 조작해서 분리 전사 장치(100)를 동작 개시시키면 된다.
(양극 버퍼조 및 음극 버퍼조)
양극 버퍼조(30) 및 음극 버퍼조(40)는 완충액(버퍼)을 체류시키는 절연성의 용기이다. 음극 버퍼조(40)는 양극 버퍼조(30)에 대하여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 버퍼조(30)는 테이블(31) 위에 고정되어 있고, 음극 버퍼조(40)는 양극 버퍼조(30)에 고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양극 버퍼조(30) 및 음극 버퍼조(40)에 넣는 완충액은, 도전성을 갖는 각종 완충액일 수 있고, 특히 약산성 내지 약염기성으로 완충 영역을 갖는 완충액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완충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Tris/글리신계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 용액, 탄산나트륨계 완충액, CAPS 완충액, Tris/붕산/EDTA 완충액, Tris/아세트산/EDTA 완충액, MOPS, 인산 완충액, Tris/트리신계 완충액 등의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양극 버퍼조(30)의 저부에는, 전사막(1)의 이동 경로 중에 있어서, 전사막(1)을, 전사막(1)의 이면(분리부(50)와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지지 부재)(33·34)가 설치되어 있다.
(분리부)
분리부(50)는 그 내부에 분리 겔(분리 매체)(52)을 수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분리부(50)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고, 그 하부는 양극 버퍼조(30) 내에 배치되고, 그 상부는 편면이 음극 버퍼조(40)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분리 겔(52)은 양극 버퍼조(30) 내의 완충액 및 음극 버퍼조(40) 내의 완충액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수냉되어, 충분히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50)는, 양극 버퍼조(30) 내에 개구되는 제1 개구(50a) 및 음극 버퍼조(40) 내에 개구되는 제2 개구(50b)를 갖는다. 이에 의해, 분리 겔(52)은, 제1 개구(50a)를 통해서 양극 버퍼조(30) 내에 면하고, 제2 개구(50b)를 통해서 음극 버퍼조(40) 내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부(50)는, 음극 버퍼조(40)에 설치된 로크(42)에 의해, 음극 버퍼조(40)에 고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분리부(50)는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의 절연체로 형성된 2매의 절연판(5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분리부(50)는 제2 개구(50b)에 있어서 절연판(53)의 일부가 노치된(notched out) 것에 의해, 분리 겔(52)을 노출시키고 있고, 이에 의해, 분리 겔(52)에 대하여 샘플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분리 겔(52)은 제2 개구(50b)로부터 도입된 샘플 성분을 분자량에 따라서 분리하기 위한 겔이다. 분리 겔(52)은 분리부(50)의 분리 전사 장치(100)에 대한 설치 전, 또는 설치 후에, 분리부(50) 내에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분리 겔(52)이 충전된 시판되고 있는 페이지 칩을 분리부(50)로서 사용해도 된다. 분리 겔(52)의 예로서는, 아크릴아미드 겔 및 아가로오스 겔 등을 들 수 있다. 분리 겔(52)의 가로폭은, 예를 들어 10 내지 12레인의 샘플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리부(50) 내에 분리 겔(52)을 충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절연판(51)과 절연판(53) 사이에 나노 필러라고 불리는 다수의 초미세 기둥을 설치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50)의 제1 개구(50a)는, 그 주위를 포함하여, 도전성의 다공질 재료(예를 들어, 친수성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막, 친수성 PTFE(Polytetra fluoro ethylene)막 등)에 의해 형성된 피복부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개구(50a)에 전사막(1)이 접하거나 혹은 압박되어 있는 경우(제1 개구(50a)와 전사막(1) 사이에 거리를 두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전사막(1)이 반송될 때에 전사막(1)이 분리부(50) 및 분리 겔(52)로부터 받는 마찰 저항 및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부(50)가,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음으로써, 분리부(50)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비해, 샘플 도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수평형 전기 영동 장치에서는, 분리 겔에 설치하는 웰의 깊이를 바꾸는 것이 곤란하지만, 수직형 전기 영동 장치에서는, 웰의 깊이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샘플 도입량을 용이하게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사막(1))
전사막(1)은 분리 겔(52)에 의해 분리된 샘플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보존 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후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샘플의 흡착·유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막(1)의 재질로서는, 높은 강도를 갖고, 또한 샘플 결합능(단위 면적당 흡착 가능한 중량)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막(1)으로서는, 샘플이 단백질인 경우에는 PVDF막 등이 적합하다. 또한, PVDF막은 미리 메탄올 등을 사용해서 친수화 처리를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에는, 니트로셀룰로오스막 또는 나일론막 등, 종래로부터 단백질, DNA 및 핵산의 흡착에 이용되고 있는 막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분리 및 흡착될 수 있는 샘플로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생물재료(예를 들어, 생물개체, 체액, 세포주, 조직배양물, 혹은 조직단편)로부터의 조제물, 또는 시판되고 있는 시약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들 수 있다.
전사막(1)은 양극 버퍼조(30) 내에서 완충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사막(1)은 1회의 전기 영동·전사에 사용되는 길이, 바꾸어 말하면, 1회의 전기 영동·전사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 내를 이동하는 거리의 길이를 갖고 있으면 된다. 전사막(1)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회의 전기 영동·전사마다, 전사막(1)을 절단하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분리 전사 장치(100)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막(1)의 가로폭은, 분리 겔(52)의 가로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하면 된다.
(어저스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사막(1)은 어저스터(전사막 유지 기구)(2)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어저스터(2)는 클램프(20·21) 및 클램프 프레임(22)을 구비하고, 양극 버퍼조(30)의 측벽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어저스터(2)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A)는 클램프(20·21)가 전사막(1)을 고정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클램프(20·21)가 전사막(1)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20·21)는 전사막(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1a·1b)를 각각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20)는 탄성체(20a), 압박 부재(20b) 및 스토퍼(걸림 부재)(20c)를 구비하고 있고, 탄성체(20a)를 전사막(1)의 이면(제1 개구(50a)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촉시키고, 압박 부재(20b)에 의해 전사막(1)의 표면측으로부터 전사막(1)(의 단부(1a))을 탄성체(20a)에 압박함으로써 전사막(1)을 고정하고 있다. 특히, 압박 부재(20b)는 전사막(1)을 탄성체(20a)에 압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20b)는, 상기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전사막(1)으로부터 탄성체(20a)와는 반대측으로 이격한 축 B를 중심으로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당해 회동에 수반하여 전사막(1)에 접촉하여 전사막(1)을 탄성체(20a)에 압박하는 접촉부 A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막(1)을 고정하기 위한 압박 부재(20b)의 회동은, 접촉부 A가, 탄성체(20a)로부터 이격한 상태(도 3의 (A))로부터, 탄성체(20a)에 깊이 들어가는 상태(도 3의 (B))까지 이루어진다. 스토퍼(20c)는 압박 부재(20b)의 회동의 범위를 규정하는 걸림 부재이며, 접촉부 A가 탄성체(20a)에 깊이 들어가서, 전사막(1)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 이상으로 압박 부재(20b)가 회동하지 않게 걸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21)는 탄성체(21a), 압박 부재(21b) 및 스토퍼(걸림 부재)(21c)를 구비하고 있고, 탄성체(21a)를 전사막(1)의 이면(제1 개구(50a)에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촉시키고, 압박 부재(21b)에 의해 전사막(1)의 표면측으로부터 전사막(1)(의 단부(1a))을 탄성체(20a)에 압박함으로써 전사막(1)을 고정하고 있다. 특히, 압박 부재(21b)는 전사막(1)을 탄성체(21a)에 압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21b)는 상기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전사막(1)으로부터 탄성체(21a)와는 반대측으로 이격한 축 B를 중심으로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당해 회동에 수반하여 전사막(1)에 접촉하여 전사막(1)을 탄성체(21a)에 압박하는 접촉부 A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막(1)을 고정하기 위한 압박 부재(21b)의 회동은, 접촉부 A가, 탄성체(21a)로부터 이격한 상태(도 3의 (A))로부터, 탄성체(21a)에 깊이 들어가는 상태(도 3의 (B))까지 이루어진다. 스토퍼(21c)는 압박 부재(21b)의 회동의 범위를 규정하는 걸림 부재이며, 접촉부 A가 탄성체(21a)에 깊이 들아가서, 전사막(1)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 이상으로 압박 부재(21b)가 회동하지 않게 걸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박 부재(20a·20b)는 유저가 상기 회동 조작을 행하기 위한 핸들부 C를 더 구비하고 있다. 핸들부 C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축 B로부터, 접촉부 A가 신장하고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면 되고, 접촉부 A가 신장하고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고, 압박 부재(20a·20b)가 전체적으로 축 B를 곡부로 하는 L자 형상의 형상으로 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압박 부재(20a·20b)를 축 B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전사막(1)을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압박 부재(20b·21b)의 핸들부 C가 수평하게 되어, 압박 부재(20b·21b)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배출 전사 시에는, 압박 부재(20b·21b)는 전사막(1)을 고정한 상태에서 양극 버퍼조(30) 내를 이동하지만, 이때의 압박 부재(20b·21b)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으로, 이동하는 압박 부재(20b·21b)에 의해 양극 버퍼에 물결이 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양호한 전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 C는 직선 형상일 필요는 없고,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의 손으로 잡기 쉽도록 접혀져서 구부러져 있어도 된다.
여기서, 어저스터(2)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어저스터(2)는 전사막(1)을 유지하는 구조체이며, 전사막(1)의 장력이 가능한 한 높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사막(1)의 장력이 낮으면(전사막이 느슨해지면), 전사막(1)을 분리부(50)의 제1 개구(50a)에 접촉시켜도, 전사막(1)을 제1 개구(50a)에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어저스터(2)는, 전사막(1)의 장력을 적합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전사막(1)을 용이하게 제1 개구(50a)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4는 어저스터(2)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어저스터(2)에 의해 전사막(1)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 즉 클램프(20·21)에 의해 전사막(1)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전사막(1)이 분리부(50)의 제1 개구(50a)에 접촉하면, 전사막(1)이 제1 개구(50a)에 의해 눌려 내려가고, 클램프(20·21)의 고정 위치의 내측(도면 중 X)에 있어서, 상기 눌려 내려간 전사막(1)에 의해, 탄성체(20a·21a)가 눌려 내려간다. 이때, 탄성체(20a·21a)로부터의 반발력이 전사막(1)에 가해지기 때문에, 전사막(1)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막(1)을 제1 개구(50a)에 적합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20)의 압박 부재(20b)는, 전사막(1)의 단부(1a)로부터 단부(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사막(1)을 드레그(drag)하도록 회동함으로써 전사막(1)을 탄성체(20a)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클램프(20)의 고정 시에는 전사막(1)은 내측을 향하는 방향(느슨해지는 방향)으로 드레그된다. 한편, 클램프(21)의 압박 부재(21b)는 전사막(1)의 단부(1a)로부터 단부(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사막(1)을 드레그하도록 회동함으로써 전사막(1)을 탄성체(21a)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클램프(21)의 고정 시에는 전사막(1)은 외측을 향하는 방향(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드레그된다.
이때, 먼저, 클램프(20)에 의해 전사막(1)을 고정하고, 그 후에, 클램프(21)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전사막(1)에 대하여 순조롭게 적합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왜냐하면, 클램프(20)에 의한 고정 시에는, 전사막(1)은 클램프(21)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클램프(20)에 의해 내측으로 드레그되어도, 단순히, 전사막(1)이 이동하는 것 뿐이다. 그리고, 그 후, 전사막(1)을 가능한 한 팽팽하게 한 상태에서, 클램프(21)에 의한 고정을 행함으로써, 전사막(1)이 더욱 외측으로 드레그되어, 전사막(1)의 장력 또한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한쪽 클램프(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램프(21))가, 고정 시에 전사막(1)을 외측으로 드레그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전사막(1)의 장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막(1)을 제1 개구(50a)에 적합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20)의 압박 부재(20b)가, 전사막(1)의 고정 시에, 전사막(1)을 내측으로 드레그하도록 회동하게 되어 있고, 또한 스토퍼(20c)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스토퍼(20c)에 의해 회동이 걸린 후에는, 전사막(1)이 내측으로 시프트(느슨해지는)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고정 후의 전사막(1)에 강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전사막(1)이 느슨해지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변형예에 있어서, 압박 부재(20b·21b)의 접촉부 A에는, 고정 시에 전사막(1)이 시프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끄럼 방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미끄럼 방지 부재로서는, 공지의 고마찰 계수를 갖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시일을 접촉부에 부착해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20b·21b)의 접촉부 A에, 실리콘 스펀지 등의 미끄럼 방지 부재(20d·21d)를 매립해도 된다. 이에 의해, 미끄럼 방지 부재(20d·21d)가, 압박 부재(20b·21b)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변형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21)는 로크(걸림 부재)(21e)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로크(21e)는 압박 부재(21b)를 회동시켜서 전사막(1)을 고정한 후에, 압박 부재(21b)가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부재이며, 로크(21e)를 설치함으로써, 고정 후의 전사막(1)에 강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전사막(1)이 느슨해지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탄성체(20a·21a)의 재료는, 압박 부재(20b·21b) 및 전사막(1)을 깊이 들어가게 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가지며, 전사막(1)을 압박 부재(20b·21b)와 쌍을 이루어 고정할 수 있는 탄성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콘 스펀지, 우레탄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불소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탄성체(20a·21a)에 사용하는 실리콘 스펀지의 물성은, 겉보기 밀도(JIS-K6767) 0.50g/㎤, 인장 강도(JIS-K6251) 1.6㎫, 경도(타입 E, JIS-K6253) 30일 수 있다. 탄성체(20a·21a)의 물성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겉보기 밀도(JIS-K6767) 0.1 내지 1.0g/㎤, 인장 강도(JIS-K6251) 0.3 내지 3.0㎫, 경도(타입 E, JIS-K6253) 10 내지 100일 수 있다.
또한, 어저스터(2)의 각 구성 요소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압박 부재(20b)(또는 21b)의 회동의 축 B가, 탄성체(20a)(또는 21a)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압박 부재(20b)(또는 21b)의 회동의 축 B와, 탄성체(20a)(또는 21a) 사이의 거리가 길면, 지레의 원리에 의해, 전사막(1)이 클램프(20)(또는 21)로부터 벗어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도 7은 어저스터(2)의 치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에 있어서, 압박 부재(21b)의 축 B로부터 탄성체(21a)까지의 거리는 8.5㎜로 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례에 있어서, 탄성체(21a)의 두께는 3㎜, 압박 부재(21b)에 의한 탄성체(21a)의 압입 거리는 0.5㎜로 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탄성체(20a·21a)보다 단단한 압박 부재(20b·21b)와, 탄성체(20a·21a) 사이에 전사막(1)을 끼우는 것으로, 분리부(50)의 제1 개구(50a)에 전사막(1)을 접촉시켰을 때, 전사막(1)이 탄성체(20a·21a)에 깊이 들어가는 것으로 전사막(1)에 장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막(1)을 제1 개구(50a)에 적합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막(1)의 단부(1a)를 고정한 후에, 단부(1b)를 고정할 때에, 전사막(1)을 외측으로 말려들게 하도록 압박 부재(21b)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사막(1)이 말려들어가서 고정되므로, 전사막(1)을 느슨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어저스터(2)에 따르면, 느슨하지 않게 전사막(1)을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전사막(1)을 제1 개구(50a)에 접촉시켰을 때에 전사막(1)에 장력이 가해지므로, 그 결과, 제1 개구(50a)와 전사막(1)의 밀착이 균일하게 되어, 해석 대상의 분자(검체)를 전사막(1)에 양호하게 전사할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22)은, 클램프(20·21)를 연결하는 축 부재이며, 클램프(20·21)를 소정 거리 이격해서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클램프(20·21)에 의해 전사막(1)의 양단부를 고정했을 때에, 전사막(1)을, 그 이동 방향을 따라 느슨하지 않게 팽팽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 결과가 전사막(1)의 느슨함에 의해 흐릿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여, 측정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20)의 이동에 수반하여 반송되는 전사막(1)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막(1)에 대하여 샘플을 흐릿함이 없이 보다 적합하게 전사할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22)은 전사막(1)을 이동 방향 측방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전사막(1)의 표면(제1 개구(50a)와 대향하는 면) 및 이면(제1 개구(50a)와는 반대측의 면)에 클램프 프레임(22)이 겹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 겔(52)로부터 전사막(1)에의 전사나, 전사막(1)의 이면에 다른 부재가 접촉하는 것 등(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이 클램프 프레임(22)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20·21)에 의한 전사막(1)의 고정도 저해되지 않는다.
클램프 프레임(22), 클램프(20·21)(탄성체(20a·21a)를 제외한다)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테플론(등록상표), 아크릴 수지, PEEK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아암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어저스터(2)는 아암부에 내장되어 있다. 아암부는 전사막(1)을, 이동 및 제1 개구(50a)와 접촉하게 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아암부는 연결된 일련의 부재인 어저스터(2), 캐리어(23) 및 가이드 폴(66)로 구성된다.
가이드 폴(66)은, 후술하는 구동부(샤프트 홀더(65))에 연결되고, 양극 버퍼조(30)의 측벽 외측을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는 축 부재이다. 캐리어(23)는 가이드 폴(66)에 연결되고, 양극 버퍼조(30)의 측벽 상단부를 둘러싸고, 클램프(20)에 연결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상과 같이, 아암부는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에서, 양극 버퍼조(30)의 측벽 외측을 지나, 해당 측벽의 상단부를 둘러싸고, 해당 측벽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폴(66)은 양극 버퍼조(30)의 측벽 외측을, 당해 측벽의 상단부에 배열하는 위치까지 연신하고 있다. 그리고, 캐리어(23)는 가이드 폴(66)에 감합하여, 양극 버퍼조(30)의 측벽 상단부를 넘어서 당해 측벽의 내측으로 연신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캐리어(23)는, 구동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가이드 폴(66)은 양극 버퍼조(30)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행해지는, 양극 버퍼조(30)의 분리(상세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설명한다)나 전극의 세트 등의 각종 조작에 지장을 주는 일은 없다. 그로 인해, 캐리어(23)를 적절히 떼어냄으로써, 각종 조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구동부)
구동부는 아암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62), 볼 나사(63), 가이드 샤프트(64) 및 샤프트 홀더(6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터(62)는 볼 나사(63)를 회전시킨다. 모터(62)는 회전수를 변화 가능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회전수가 고정된 것을 기어와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볼 나사(63)는 샤프트 홀더(65)를 관통함과 함께, 샤프트 홀더(65)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샤프트(64)는 샤프트 홀더(65)를 관통하고 있고, 샤프트 홀더(65)는 가이드 샤프트(64)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62)가 볼 나사(63)를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 홀더(65)가 도면 중 X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된다. 샤프트 홀더(65)는 아암부(가이드 폴(66))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구동부는 아암부를, 도면 중 X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아암부는 전사막(1)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사막(1)은 도면 중 X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아암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밖의 구동 기구(예를 들어, 벨트, 기어 등)에 의해 구동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구동부는, 양극 버퍼조(30)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극 버퍼조(30)로부터 비산한 완충액이 구동부의 내용성을 저하시킬 우려 및 구동부가 분리 전사 장치(100)에 대한 각종 조작의 방해가 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68)는 분리 전사 장치(100)의 각종 제어(아암부의 위치의 제어, 양극(32) 및 음극(41)에 인가하는 전류·전압의 제어 등)를 행하는 제어반이다. 제어부(68)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받기 위한 버튼, 스위치나, 동작 상태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램프, 표시부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샘플의 전기 영동 및 전사)
이어서,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의 샘플의 전기 영동 및 전사의 흐름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의 전기 영동 및 전사 시에 있어서, 전사막(1)은 어저스터(2)에 의해, 제1 개구(50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때, 양극 버퍼조(30)의 저부에 설치된 가이드(33·34)에 의해, 전사막(1)은 전사막(1)의 이면(분리부(50)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33·34)는 양극 버퍼조(30)의 저부에, 전사막(1)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 내에 있어서 전사막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33·34)는, 그 길이 방향이, 전사막(1)의 이동 방향(X 방향)에 직교하고 있고, 제1 개구(50a)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부(50)(의 제1 개구(50a)측)가, 전사막(1)의 표면(분리부(50)측)에 접촉함으로써, 전사막(1)은 분리부(50)와는 반대측이 볼록해지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33·34)에 의해 전사막(1)이 지지되고, 분리부(50)가 그것을 눌러서, 아래로(분리부(50)와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절곡된다. 이에 의해, 전사막(1)에 장력이 가해져서, 전사막(1)을 제1 개구(50a)에 의해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 겔(52)로부터 전사막(1)으로의 전사를 보다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33·34)가, 양극 버퍼조(30)의 저부에 있어서 제1 개구(50a)에 대향하는 위치를 쌍을 이루어 끼우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분리부(50)의 양측에 배치된 가이드(33·34)에 의해 전사막(1)이 지지되고, 분리부(50)가 그것을 눌러서, 아래로(분리부와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절곡된다. 이에 의해, 전사막(1)에 의해 균일하게 장력이 가해져서, 전사막(1)을 제1 개구(50a)에 의해 균일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 겔(52)로부터 전사막(1)으로의 전사를 보다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프레임(22)은 전사막(1)을 이동 방향 측방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33·34)가, 전사막(1)을 그 이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분리부(50)의 제2 개구(50b)로부터, 샘플을 분리 겔(52)에 도입한다. 샘플에는 분석 대상으로 되는 생체 분자 외에, 전기 영동의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가시 분자량 마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상태에서, 샘플의 전기 영동에 의한 분리를 행한다. 제어부(68)는 모터(62)를 제어해서, 전사막(1)의 위치를 스타트 위치로 설정하여, 양극(32)과 음극(41) 사이에 전류를 흘려서, 전기 영동을 개시한다. 양극(32)과 음극(41) 사이에 흘리는 전류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류값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해도 되고,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해도 되고, 그 밖의 형태로 전류·전압을 제어해도 된다.
전사막(1)은 분리부(50)에 있어서의 전기 영동의 진행에 맞추어, 구동부에 의한 아암부(어저스터)의 구동에 의해 X 방향(대략 수평 방향)을 향해서 서서히 이동된다. X 방향은, 제1 개구(50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전사막(1)의 이동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60 내지 120분 사이에, 5 내지 10㎝ 이동하는 페이스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구(50a)로부터, 전기 영동에 의해 배출되는 샘플(분리 겔(52) 내에서 분리된 것)이, 전사막(1)에 있어서의 배출되는 타이밍에 따른 위치(배출된 타이밍에 있어서 제1 개구(50a)에 대향해 있던 위치)에 흡착된다. 이에 의해, 전사막(1)에 분리된 샘플이 전사된다.
전사 후, 전사막(1)을 회수하고, 염색 또는 면역 반응(웨스턴흡입법에 있어서의 블로킹 및 항원 항체 반응) 등에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형광 검출기 등에 의해, 전사막(1)에 전사된 성분의 분리 패턴이 검출된다. 이러한 형광 검출기는, 분리 전사 장치(100)에 내장되어 있어도 되며, 이에 의해 전기 영동, 전사 및 검출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분리부(50)가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리부(50)가 양극 버퍼조(30) 및 음극 버퍼조(40) 중 적어도 한쪽 완충액에 침지되어, 분리 겔(52)을 수냉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전사 장치(100)를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i) 전사막(1)을 양극 버퍼조(30) 내에 있어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ii) 종래 기술과 같이, 구동부를, 전사막(1)의 상류에 배치하고자 한 경우에는, 양극 버퍼조(30)로부터 비산한 완충액이 당해 구동부의 내용성을 저하시킬 우려, 및 당해 구동부가 분리 전사 장치(100)에 대한 각종 조작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지만, (iii)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부를 양극 버퍼조(30) 아래에 설치하고, 또한 아암부의 형상을, 양극 버퍼조(30)의 측벽 외측을 지나고, 당해 측벽의 상단부를 둘러싸고, 당해 측벽의 내측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완충액에 의한 구동부의 내용성의 저하 및 구동부에 의한 각종 조작의 방해를 피하면서, 전사막(1)을 양극 버퍼조(30) 내에 있어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정리〕
본 발명의 형태 1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어저스터(2))는,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해당 검체를 배출부(제1 개구(50a))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1)을 해당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한 해당 검체를 해당 전사막에 전사하는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해당 전사막(1)을 유지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이며, 해당 전사막(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클램프(20·21))를 구비하고, 해당 고정부는, 해당 배출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해당 전사막에 접촉하는 탄성체(20a·20b)와, 해당 전사막을 해당 탄성체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20b·2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전사막의 단부에 대하여, 배출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탄성체가 접촉하고, 압박 부재가, 당해 단부를 탄성체에 압박하도록 해서 당해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사막을 배출부에 접촉시켰을 때, 전사막이 탄성체에 깊이 들어가는 것으로 전사막에 장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막을 배출부에 적합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20b·21b)는, 상기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전사막(1)으로부터 상기 탄성체(20a·21a)와는 반대측으로 이격한 축 B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당해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사막(1)에 접촉하여 상기 전사막(1)을 상기 탄성체(20a·21a)에 압박하는 접촉부 A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압박 부재를 회동시킴으로써 전사막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2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20b·21b)는, 상기 회동 조작을 위한 핸들부 C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압박 부재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4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3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20b·21b)는, 상기 축 B를 곡부로 하는 L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압박 부재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막(1)을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압박 부재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배출 전사 시에, 이동하는 압박 부재에 의해, 양극 버퍼에 물결이 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전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5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2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전사막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1b)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클램프(21))를 구비하고, 제1 고정부의 압박 부재(21b)가, 상기 전사막(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1a)로부터 해당 한쪽 단부(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막(1)을 드레그하도록 회동함으로써 상기 전사막(1)을 상기 탄성체(21a)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고정부에 의해 전사막의 한쪽 단부를 고정할 때에, 전사막을 외측(다른 쪽 단부로부터 상기 한쪽 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드레그하도록(말려들게 하도록) 압박 부재가 회동된다. 그로 인해, 전사막의 상기 다른 쪽 단부를 고정한 후에, 제1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한쪽 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전사막이 외측으로 드레그되어(말려들어가) 고정되므로, 전사막을 느슨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6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5에 있어서, 제1 고정부는, 제1 고정부의 압박 부재(21b)의 회동의 범위를 규정하는 걸림 부재(스토퍼(21c), 로크(21e))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고정부의 압박 부재의 회동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제1 고정부의 압박 부재에 의한 고정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7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 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클램프(20))를 구비하고, 제2 고정부의 압박 부재(20b)가, 상기 다른 쪽 단부(1b)로부터 상기 한쪽 단부(1a)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막(1)을 드레그하도록 회동함으로써 상기 전사막(1)을 상기 탄성체(20a)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2 고정부에 의해 전사막의 상기 다른 쪽 단부를 고정할 때에, 전사막을 내측(다른 쪽 단부로부터 상기 한쪽 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드레그하도록 압박 부재가 회동되는 경우에도, 제1 고정부에 의해 전사막의 한쪽 단부를 고정할 때에, 전사막을 외측으로 드레그하도록 압박 부재가 회동되기 때문에, 제2 고정부에 의해 전사막의 상기 다른 쪽 단부를 고정한 후에, 제1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한쪽 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전사막이 외측으로 드레그되어 고정되므로, 전사막을 느슨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8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7에 있어서, 제2 고정부는, 제2 고정부의 압박 부재(20b)의 회동의 범위를 규정하는 걸림 부재(스토퍼(20c))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고정부의 압박 부재의 회동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제2 고정부의 압박 부재에 의한 고정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9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2 내지 8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A에, 미끄럼 방지 부재(20d·21d)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전사막의 고정 시에, 전사막이 시프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0에 따른 전사막 유지 기구는, 상기 형태 9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접촉부 A에 매립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 부재가 접촉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1에 따른 분리 전사 장치는,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해당 검체를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해당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한 해당 검체를 해당 전사막에 전사하는 분리 전사 장치이며, 상기 형태 1 내지 10의 전사막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형태 1 내지 10과 동등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형태 12에 따른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11에 있어서, 제1 완충액조, 제1 완충액조의 상방에 배치된 제2 완충액조, 분리 매체가 수납되어, 제1 완충액조 내에 개구되는 제1 개구 및 제2 완충액조 내에 개구되는 제2 개구를 갖고,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립되어 있는 분리부, 제1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전사막을 유지하는 아암부, 및 제1 완충액조 아래에 설치되어, 해당 아암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해당 아암부는, 제1 완충액조의 측벽 외측을 지나고, 해당 측벽의 상단부를 둘러싸고, 해당 측벽의 내측에 연결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분리부가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리부가 제1 또는 제2 완충액조 내의 완충액에 침지되어, 분리 매체를 수냉할 수 있다. 단, 분리 전사 장치를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전사막을 제1 완충액조 내에 있어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구동부를 제1 완충액조 아래에 설치하고, 또한 아암부의 형상을, 제1 완충액조의 측벽 외측을 지나고, 당해 측벽의 상단부를 둘러싸고, 당해 측벽의 내측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완충액에 의한 구동부의 내용성의 저하 및 구동부에 의한 각종 조작의 방해를 피하면서, 전사막을 제1 완충액조 내에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3에 따른 분리 전사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2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측벽의 외측을, 당해 측벽의 상단부에 배열하는 위치까지 연신하고 있는 제1 부위와, 제1 부위에 감합하여, 상기 측벽의 상단부를 넘어서 당해 측벽의 내측으로 연신해 있는 제2 부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2 부위는, 구동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제1 부위는 제1 완충액조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 제1 완충액조의 분리나 전극의 세트 등의 각종 조작에 지장을 주는 일은 없다. 그로 인해, 제2 부위를 적절히 떼어냄으로써, 각종 조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4에 따른 분리 전사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2 또는 13에 있어서, 제1 완충액조에는 제1 전극이 배치되고, 제2 완충액조에는 제2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전사막은, 제1 개구 및 제1 전극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분리 매체에 대하여, 제1 완충액조 내에 개구되는 제1 개구와 제2 완충액조 내에 개구되는 제2 개구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검체의 전기 영동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와 제1 전극 사이에 전사막이 끼워지기 때문에, 제1 개구로부터 전사막으로의 분리된 검체의 전사를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체 분자 등의 분석 분야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1 : 전사막
1a·1b : 단부
2 : 어저스터(전사막 유지 기구)
20 : 클램프(고정부, 제2 고정부, 아암부)
21 : 클램프(고정부, 제1 고정부, 아암부)
20a·21a : 탄성체
20b·21b : 압박 부재
A : 접촉부
B : 축
C : 핸들부
20c·21c : 스토퍼(걸림 부재)
20d·21d : 미끄럼 방지 부재
21e : 로크(걸림 부재)
22 : 클램프 프레임(아암부, 연결부)
23 : 캐리어(아암부, 측벽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부위, 제2 부위)
30 : 양극 버퍼조(제1 완충액조)
31 : 테이블
32 : 양극(제1 전극)
33·34 : 가이드(지지 부재)
40 : 음극 버퍼조(제2 완충액조)
41 : 음극(제2 전극)
42 : 로크
50 : 분리부
50a : 제1 개구(배출부)
50b : 제2 개구
51·53 : 절연판
52 : 분리 겔(분리 매체)
62 : 모터(구동부)
63 : 볼 나사(구동부)
64 : 가이드 샤프트(구동부)
65 : 샤프트 홀더(구동부)
66 : 가이드 폴(아암부, 제1 부위)
68 : 제어부
100 : 분리 전사 장치

Claims (11)

  1.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해당 검체를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해당 배출부에 접촉시켜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한 해당 검체를 해당 전사막에 전사하는 분리 전사 장치에 있어서 해당 전사막을 유지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이며,
    해당 전사막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해당 고정부는,
    해당 배출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해당 전사막에 접촉하는 탄성체와,
    해당 전사막을 해당 탄성체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전사막으로부터 상기 탄성체와는 반대측으로 이격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당해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사막에 접촉하여 상기 전사막을 상기 탄성체에 압박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회동 조작을 위한 핸들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축을 곡부로 하는 L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막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고,
    제1 고정부의 압박 부재가, 상기 전사막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해당 한쪽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막을 드레그하도록 회동함으로써 상기 전사막을 상기 탄성체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제1 고정부는, 제1 고정부의 압박 부재의 회동 범위를 규정하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 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제2 고정부의 압박 부재가, 상기 다른 쪽 단부로부터 상기 한쪽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막을 드레그하도록 회동함으로써 상기 전사막을 상기 탄성체에 압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제2 고정부는, 제2 고정부의 압박 부재의 회동 범위를 규정하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접촉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막 유지 기구.
  11.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해당 검체를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해당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한 해당 검체를 해당 전사막에 전사하는 분리 전사 장치이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사막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전사 장치.
KR1020167030724A 2015-02-24 2015-12-07 전사막 유지 기구 및 분리 전사 장치 KR101873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4587A JP5952446B1 (ja) 2015-02-24 2015-02-24 転写膜保持器具及び分離転写装置
JPJP-P-2015-034587 2015-02-24
PCT/JP2015/084255 WO2016136079A1 (ja) 2015-02-24 2015-12-07 転写膜保持器具及び分離転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358A true KR20160142358A (ko) 2016-12-12
KR101873143B1 KR101873143B1 (ko) 2018-06-29

Family

ID=5637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724A KR101873143B1 (ko) 2015-02-24 2015-12-07 전사막 유지 기구 및 분리 전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91010B2 (ko)
EP (1) EP3264075B1 (ko)
JP (1) JP5952446B1 (ko)
KR (1) KR101873143B1 (ko)
CN (1) CN106461605B (ko)
ES (1) ES2856548T3 (ko)
SG (1) SG11201610796RA (ko)
WO (1) WO20161360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52A (ko) * 2018-08-03 2020-02-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물 분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4596B (zh) * 2021-12-23 2023-12-19 杭州电子科技大学 Ptfe材料与金属生成转移膜润滑性测试装置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516A (ko) * 1998-11-02 2006-08-04 재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모세관 전기영동장치 및 시료 주입방법
JP2007292616A (ja) 2006-04-25 2007-11-08 Sharp Corp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JP2011501239A (ja) * 2007-10-26 2011-01-06 ジーイー・インスペクション・テクノロジーズ,エルピー 光源バンクを有する目視検査装置
JP2012063226A (ja) * 2010-09-15 2012-03-29 Sharp Corp 電気泳動用カセット、そのパッケージ、および電気泳動方法
WO2012121157A1 (ja) * 2011-03-04 2012-09-13 シャープ株式会社 分離吸着キット、分離吸着装置及び分子の解析方法
KR20120107105A (ko) * 2009-12-01 2012-09-28 옥스포드 나노포어 테크놀로지즈 리미티드 생화학적 분석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2524A0 (en) 1991-07-31 1993-01-14 Du Pont Apparatus for the handling of electrophoretic transfer membranes and for the chemiluminescent detection of blots contained thereon,and processes using the apparatus
US5474663A (en) * 1993-08-27 1995-12-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owed framed membrane,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s therefor
US5514256A (en) * 1994-10-28 1996-05-0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pparatus for improved DNA sequencing
JP3502183B2 (ja) * 1995-03-20 2004-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ィルム、シート類の展張支持治具
JP4674890B2 (ja) * 2004-10-25 2011-04-20 株式会社ミヤコシ シート張設治具
JP4431838B2 (ja) * 2008-06-30 2010-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JP5236609B2 (ja) 2009-10-06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EP2587245A4 (en) 2010-06-22 2017-08-30 Universal Bio Research Co., Ltd. Device for trapping biologically-relevant substances and system for collecting biologically-relevant substances
CN104321646B (zh) 2012-05-31 2017-06-09 通用电气健康护理生物科学股份公司 电泳系统以及分离和识别方法
WO2014059188A1 (en) 2012-10-12 2014-04-17 Sage Science, Inc. Side-eluting molecular fractionator
GB201305114D0 (en) 2013-03-20 2013-05-01 Univ Bath Materials and methods for analysing glyc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516A (ko) * 1998-11-02 2006-08-04 재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모세관 전기영동장치 및 시료 주입방법
JP2007292616A (ja) 2006-04-25 2007-11-08 Sharp Corp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JP2011501239A (ja) * 2007-10-26 2011-01-06 ジーイー・インスペクション・テクノロジーズ,エルピー 光源バンクを有する目視検査装置
KR20120107105A (ko) * 2009-12-01 2012-09-28 옥스포드 나노포어 테크놀로지즈 리미티드 생화학적 분석 기구
JP2012063226A (ja) * 2010-09-15 2012-03-29 Sharp Corp 電気泳動用カセット、そのパッケージ、および電気泳動方法
WO2012121157A1 (ja) * 2011-03-04 2012-09-13 シャープ株式会社 分離吸着キット、分離吸着装置及び分子の解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52A (ko) * 2018-08-03 2020-02-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물 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91010B2 (en) 2019-01-29
EP3264075B1 (en) 2021-02-17
JP5952446B1 (ja) 2016-07-13
EP3264075A4 (en) 2018-10-03
EP3264075A1 (en) 2018-01-03
US20170350858A1 (en) 2017-12-07
JP2016156703A (ja) 2016-09-01
CN106461605B (zh) 2018-09-11
KR101873143B1 (ko) 2018-06-29
ES2856548T3 (es) 2021-09-27
WO2016136079A1 (ja) 2016-09-01
CN106461605A (zh) 2017-02-22
SG11201610796RA (en) 2017-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1838B2 (ja)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KR101873143B1 (ko) 전사막 유지 기구 및 분리 전사 장치
WO2016163052A1 (ja) サンプル分離転写装置およびサンプル分析方法
JP2009063454A (ja) 電気泳動転写装置
KR101855608B1 (ko) 생체 분자 분석 장치
JP6461046B2 (ja) 転写膜保持器具及び分離転写装置
CN108700549B (zh) 样品分离器具及样品分析装置
KR101855031B1 (ko) 생체 분자 분석 장치
US20170038335A1 (en) Frame member-equipped transfer film, biomolecule analysis device, reagent tank, and shaking device
JP6353869B2 (ja) 生体分子分析装置
WO2016190321A1 (ja) 電気泳動ゲル、電気泳動キット、電気泳動装置および電気泳動方法
WO2015093282A1 (ja) 生体分子分析装置
JP2015219218A (ja) 生体分子分析装置
JP2021092584A (ja) 電気泳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