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733A - 2상 스테인레스강 - Google Patents

2상 스테인레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733A
KR20160140733A KR1020167028606A KR20167028606A KR20160140733A KR 20160140733 A KR20160140733 A KR 20160140733A KR 1020167028606 A KR1020167028606 A KR 1020167028606A KR 20167028606 A KR20167028606 A KR 20167028606A KR 20160140733 A KR20160140733 A KR 20160140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manufacture
article
martensitic stainles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씨. 베리
로날드 에프. 베일리
Original Assignee
에이티아이 프로퍼티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아이 프로퍼티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이티아이 프로퍼티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14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0/00Crystalline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Cr, 약 0.8% 내지 약 1.5%의 Mn, 약 0.75% 내지 약 1.5%의 Ni, 0% 내지 약 0.5%의 Si, 0% 내지 약 0.2%의 Mo, 0% 내지 약 0.0025%의 B, Fe,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강은 CVN(ft-lb)+(0.4×HB)가 약 160 이상이 되도록 브리넬 경도(HB) 및 -40℃에서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CVN)를 갖는다.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이 또한 기재된다.

Description

2상 스테인레스강{DUAL-PHASE STAINLESS STEEL}
본 발명의 기재내용은 페라이트와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마이크로구조를 갖는 2상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기재내용은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멸성 적용을 위하여 향상된 경도를 갖는 비용 효율적인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2상 스테인레스강은 이들을 오일 샌드 추출 및 제당 산업과 같은 광범위한 산업적 적용에 유용하게 만드는 바람직한 성질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강은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매트릭스에 분산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마이크로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2상 스테인레스강의 예는 전형적으로, 중량 기준으로, 11.75%의 크롬(Cr), 0.90%의 망간(Mn), 0.70%의 규소(Si), 0.40%의 니켈(Ni), 0.030%의 황(S), 0.020%의 탄소(C), 0% 내지 0.040%의 인(P), 0% 내지 0.030%의 질소(N), 및 균형 철(Fe) 및 기타 부수적인 불순물을 함유하는 ATI 412(상표명) 스테인레스강(UNS 41003)이다. ATI 412(상표명) 스테인레스강은 전형적으로 약 766℃에서 어닐링 시 약 177의 브리넬 경도(HB), 및 약 843℃에서 어닐링 시 약 258의 브리넬 경도를 갖는다.
또 다른 2상 스테인레스강은 듀라코르(Duracorr)(등록상표) 강이고, 이는, 중량 기준으로, 11.0% 내지 12.5%의 Cr, 0.20% 내지 0.35%의 몰리브덴(Mo), 0% 내지 1.50%의 Mn, 0% 내지 1.00%의 Ni, 0% 내지 0.70%의 Si, 0% 내지 0.040%의 P, 0% 내지 0.030%의 N, 0% 내지 0.025%의 C, 0% 내지 0.015%의 S, 및 균형 Fe를 함유한다. 특히, 듀라코르(등록상표) 스테인레스강은 합금 원소로서, 즉, 부수적인 불순물이 아닌 의도적인 합금 첨가물로서 Mo를 함유한다. Mo의 증가하는 비용 때문에, 그러나, 듀라코르(등록상표) 스테인레스강은 특정한 적용에 있어서 비용이 너무 많이 들 수 있다. 듀라코르(등록상표) 스테인레스강은 전형적으로 약 223 HB의 경도를 갖지만, 300 HB의 명목상 경도를 나타내도록 가공될 수 있고, 이러한 등급은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으로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듀라코르(등록상표) 및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은 대체로 동일한 조성을 갖지만,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의 경도는 260 HB 내지 360 HB로 다양하다.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의 증가된 경도는, 그러나, 인성의 감소를 동반한다. 예를 들면, -40℃에서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의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는 평균적으로 겨우 약 15 ft-lb이다.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멸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이 필요한 적용에서, 고경도 수준, 예를 들면, 약 350 HB 이하는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으로부터 이용가능한 것보다 높은 인성과 조합으로 바람직할 수 있다. 게다가, 약 450 내지 500 HB 이하의 가공중 경화능은, 예를 들면, 특정한 적용에서 필요할 수 있다. 추가로, 임의의 이러한 합금은 비용 효율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하나의 비한정적인 양상에 따르면, 고경도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실시형태가 기재된다.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Cr, 약 0.8% 내지 약 1.5%의 Mn, 약 0.75% 내지 약 1.5%의 Ni, 0% 내지 약 0.5%의 Si, 0% 내지 약 0.2%의 Mo, 0% 내지 약 0.0025%의 B, Fe,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은 CVN(ft-lb)+(0.4×HB)이 약 160 이상이 되도록 브리넬 경도(HB) 및 -40℃에서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CVN)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또 다른 비한정적인 양상에 따르면, 고경도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의 실시형태가 기재된다.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Cr, 약 0.8% 내지 약 1.5%의 Mn, 약 0.75% 내지 약 1.5%의 Ni, 0% 내지 약 0.5%의 Si, 0% 내지 약 0.2%의 Mo, 0% 내지 약 0.0025%의 B, Fe,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물품의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테인레스강은 CVN(ft-lb)+(0.4×HB)이 약 160 이상이 되도록 브리넬 경도(HB) 및 -40℃에서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CVN)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스테인레스강 및 제조 물품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 우수하게 이해될 수 있고, 여기서:
도 1은 특정한 통상적인 강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브리넬 경도 및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를 플롯팅한 그래프이다.
독자는 상기 세부사항뿐만 아니라, 하기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 및 제조 물품의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다른 것들을 인식할 것이다. 독자는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스테인레스강 및 제조 물품의 제조 및 사용에 대한 이러한 추가의 특정한 세부사항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 및 청구항에서, 실행 중인 예시 외에 또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경우, 성분, 합금, 및 물품, 가공 조건 등의 양 및 특성을 표현하는 모든 수치는 용어 "약"에 의한 모든 예시에서 변형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달리 대조적으로 지시되지 않는 경우, 하기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임의의 수치 파라미터는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 및 제조 물품을 수득하고자 하는 목적하는 성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 근사치이다. 적어도, 그리고 청구항의 범위와 동등한 원칙의 적용을 한정하려는 시도로서가 아니고, 각각의 수치 파라미터는 적어도 보고된 유효 숫자의 수를 고려하고 일반적인 반올림 기술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인용되는 것으로 기재된 임의의 특허, 문헌, 또는 기타 공개 자료는 참고된 자료가 본 기재내용에서 기재된 기존의 정의, 서술, 또는 기타 공개 자료와 모순되지 않는 정도로만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이와 같이, 그리고 필요한 정도까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재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모순되는 자료를 참고로 대체한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고 기재되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존의 정의, 서술, 또는 기타 공개 자료와 모순되는 임의의 자료, 또는 이의 부분은 인용된 자료와 기존의 공개 자료 사이에서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만 인용된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은, 부분적으로, 유리한 경도를 갖고,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멸성이 필요한 다양한 적용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용 효율적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의 특정한 실시형태는,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Cr, 약 0.8% 내지 약 1.5%의 Mn, 약 0.75% 내지 약 1.5%의 Ni, 0% 내지 약 0.5%의 Si, 0% 내지 약 0.2%의 Mo, 0% 내지 약 0.0025%의 B, Fe,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테인레스강은 하기를 만족시키는 브리넬 경도(HB) 및 -40℃에서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CVN)를 나타낸다: CVN(ft-lb)+(0.4×HB)는 약 160 이상이다.
Cr은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합금에 제공되어 내식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약 11.5%(중량) 이상의 Cr 함량이 적절한 내식성을 제공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과량의 Cr은 바람직하지 않게 (1) 페라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고/안정화시키거나 (2) 시그마 상과 같이 상을 취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특정한 실시형태는,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Cr 함량을 포함한다.
Mn은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합금에 제공되어 가공 경화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약 0.8%(중량) 이상의 Mn 함량이 목적하는 가공 경화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과량의 Mn은 바람직하지 않게 스테인레스강의 가공 동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특정한 실시형태는, 중량 기준으로, 약 0.8% 내지 약 1.5%의 Mn 함량을 포함한다. 특정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테인레스강의 Mn 함량은, 중량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합금 원소의 첨가와 조합으로서 Mn의 첨가는 강이 약 450 HB 이상의 경도를 수득하도록 가공 경화능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Ni는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합금에 제공되어 2상(마르텐사이트-페라이트) 합금의 마르텐사이트 상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중량 기준으로, 약 0.75% 이상의 Ni 함량이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보다 높은 수준의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한 물질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어떠한 이론과 결부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열 처리 동안 오스테나이트 형성을 안정화시킴으로써 합금의 마르텐사이트 상의 경도를 촉진할 수 있고, 이는 합금의 니켈 함량은 탄소 확산에 더 많은 시간을 허용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Ni의 고비용으로 인하여, Ni 함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의 몇몇 실시형태는, 중량 기준으로, 약 0.75% 내지 약 1.5%(중량)의 Ni 함량을 포함하여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의 전형적인 것보다 높은 인성과 조합으로 약 350 HB 이하의 고경도 수준을 갖는 비용 효율적인 2상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Ni 함량은, 중량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Si의 수준은 (1) 2상 스테인레스강의 페라이트 상을 불안정화시키고/불안정화시키거나 (2) 시그마 상과 같은 취화 상을 피하기 위하여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의 특정한 실시형태는, 중량 기준으로, 0% 내지 약 0.5% 이하의 Si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Mo의 수준은 (1) 2상 스테인레스강의 페라이트 상을 불안정화시키고/불안정화시키거나 (2) 시그마 상과 같은 취화 상을 피하기 위하여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의 특정한 실시형태는, 중량 기준으로, 0% 내지 약 0.2% 이하의 Mo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의 특정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Mo 농도는, 중량 기준으로, 0% 내지 약 0.1% 이하이다.
B는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2상 스테인레스강에 제공되어 마르텐사이트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의 특정한 실시형태는, 중량 기준으로, 0% 내지 약 0.0025%의 B를 포함한다. 강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B 함량은, 중량 기준으로, 약 0.002% 내지 약 0.0025%일 수 있다.
기재된 합금에서 부수적인 원소 및 불순물은, 예를 들면, C, N, P, 및 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원소의 총 함량은, 중량 기준으로, 0.1% 이하이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C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강 중에, 중량 기준으로, 0.025%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S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강 중에, 중량 기준으로, 0.01%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N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강 중에, 중량 기준으로, 0.03%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금속 원소의 부수적인 수준이 또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합금의 실시형태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합금의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는, 중량 기준으로, 0.25% 이하의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Cr; 약 1.0% 내지 약 1.5%의 Mn; 약 1.0% 내지 약 1.5%의 Ni; 0% 내지 약 0.5%의 Si; 0% 내지 약 0.1%의 Mo; 0% 내지 약 0.0025%의 B; 0% 내지 약 0.025%의 C; 0% 내지 약 0.01%의 S; 0% 내지 약 0.03%의 N, Fe,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테인레스강은 추가로 P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C, N, P 및 S의 총 농도는, 중량 기준으로, 약 0.1% 이하이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강 중의 B의 농도는, 중량 기준으로, 약 0.002% 내지 약 0.0025%이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강은 0.25% 이하의 Cu를 포함한다.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0.8% 내지 약 1.5%의 망간; 약 0.75%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2%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임의로 구리 및 인 중 적어도 하나; 철; 및 불순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1.0% 내지 약 1.5%의 망간; 약 1.0%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1%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임의로 구리 및 인 중 적어도 하나; 철; 및 불순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0.8% 내지 약 1.5%의 망간; 약 0.75%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2%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임의로 구리 및 인 중 하나; 철;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특정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은,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1.0% 내지 약 1.5%의 망간; 약 1.0%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1%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임의로 구리 및 인 중 적어도 하나; 철;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주어진 강에 있어서, 경도는 일반적으로 인성과 반비례 관계에 있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있어서, 브리넬 경도(HB)는 경도의 주요 척도이고, -40℃에서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CVN)는 인성의 주요 척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강의 CVN(ft-lb)+(0.4×HB)는 약 160 이상이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도는 약 300 HB 이상이고, CVN는 약 50 ft-lb 이상이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은 약 450 HB 이상의 경도까지의 가공중 경화능을 갖는다.
실시예
표 1은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실시형태 및 통상적인 ATI 412(상표명) 스테인레스강 및 통상적인 듀라코르(등록상표) 300 스테인레스강의 조성 및 특정한 성질을 포함한다. 표 1에 열거된 3종의 합금의 열을 약 15,000 lb 중량의 슬랩 내로 용융시키고, 약 1950℉의 온도에서 압연하여 약 6 mm 두께의 물질을 제조하였다. 압연 공정 후, 강을 766℃ 또는 843℃에서 15분 동안 어닐링하고, 공기 냉각시켰다.
표 1에 열거된 실험 강 실시형태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고, 열거된 2종의 통상적인 강의 것과 비교하였다. 3종의 합금에 대한 브리넬 경도 및 -40℃에서 CVN(ft-lb)을 표 1에 나타낸다. 미국 재료 시험 협회(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표준 A370에 따라 실온에서 텅스텐 카바이드 볼 인덴터를 사용하여, 표점 거리 약 5 cm 및 두께 약 0.5 cm로 측정된 샘플에 대하여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ASTM 표준 A370 및 E23에 따라 약 -40℃에서, 약 10 mm×2.5 mm로 측정된 횡단 샘플에 대하여 샤르피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샘플은 ASTM-A370에 대하여 조금 작기 때문에, 측정된 충격 에너지를 표 1의 표준 크기 표본 값으로 변환하였다.
표 1의 실험 결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실험 강 샘플은 통상적인 합금에 비하여 매우 바람직한 경도 및 인성(CVN 충격 에너지)을 나타냈다. 이는 특히 예상하지 못한 것이고 놀라운 것이었다. 비슷한 경도 및 인성을 제공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합금은 전형적으로 부식 환경을 견딜 수 없는 탄소 강이다.
특정한 가능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2상 스테인레스강은 전기로에서 출발 물질의 용융, AOD를 통한 탈탄, 및 잉곳 주조를 포함한 통상적인 스테인레스강 제조 실시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잉곳은, 예를 들면, 연속 주조 또는 잉곳 주입에 의해 주조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조 물질은 열처리(오스테나이트화)되거나 압연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의
실시형태
통상적인 강
중량% ATI 412(상표명) 합금 듀라코르(등록상표) 합금
C 0.022 0.01-0.25 0-0.025
Mn 0.89 0.8-1 0-1.5
P 0.027 0-0.04 0-0.04
S 0.0014 0-0.004 0-0.015
Si 0.44 0.45-0.75 0-0.7
Cr 11.92 11.5-12 11-12.5
Ni 0.97 0.3-0.75 0-1
N 0.023 0-0.03 0-0.03
Mo 0.091 0-0.2 0.2-0.35
Cu 0.17 0.25 0
B 0.0003 0 0
어닐링 온도 압연된 상태 843℃ 766℃ 843℃ -
브리넬 경도 340 322 177 258 260-360
-40℃에서 CVN(ft-lb) 26-34 56-62 65-90 7-49 15
CVN(ft-lb)+(0.4×HB) 162-170 185-191 136-161 111-152 119-159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합금의 잠재적인 용도는 많다. 상기 기재되고 증명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2상 스테인레스강은 내마모성 및/또는 내마멸성이 중요한 많은 적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강이 특히 유리할 것인 제조 물품은, 예를 들면, 오일 샌드 추출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 및 제당 가공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에 대한 다른 적용은 숙련가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숙련가는 통상적인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으로부터의 이러한 및 다른 제조 물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재가 오직 한정된 수의 실시형태만을 필수적으로 제시하였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설명된 합금 및 물품 및 기타 세부사항의 다양한 변화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고, 모든 이러한 변형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 표현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원리 및 범위 내에 남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이 오직 한정된 수의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따른 스테인레스강의 실시형태만을 필수적으로 제시하고, 오직 한정된 수의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한 제조 물품만을 논의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재내용 및 연관된 청구항은 이로써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숙련가는 추가의 강 조성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것이고, 필수적으로 한정된 수의 본 명세서에 논의된 실시형태의 진행 중 및 그 취지 내에서 추가의 제조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논의되거나 포함된 특정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지만,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 내에 속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또한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이의 넓은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25)

  1.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으로서,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0.8% 내지 약 1.5%의 망간;
    약 0.75%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2%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하되,
    상기 강은 CVN(ft-lb)+(0.4×HB)가 약 160 이상이 되도록 브리넬 경도(HB) 및 -40℃에서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CVN)를 갖는,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2. 제1항에 있어서, 몰리브덴 함량이 0% 내지 약 0.1%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3. 제1항에 있어서, 니켈 함량이 약 1.0% 내지 약 1.5%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4. 제1항에 있어서, 망간 함량이 약 1.0% 내지 약 1.5%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5. 제1항에 있어서, 붕소 함량이 약 0.002% 내지 약 0.0025%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경도가 약 300 HB 이상이고, 상기 강의 CVN이 약 50 ft-lb 이상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이 약 450 HB 이상의 경도까지의 가공 경화능을 갖는,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8. 제1항에 있어서,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1.0% 내지 약 1.5%의 망간;
    약 1.0%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1%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철;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9. 제8항에 있어서, 구리 및 인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10. 제8항에 있어서, 존재하는 탄소, 질소, 인, 및 황의 총 농도가 약 0.1% 이하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11. 제8항에 있어서, 붕소 함량이 약 0.002% 내지 약 0.0025%인,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12. 제1항에 있어서,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0.8% 내지 약 1.5%의 망간;
    약 0.75%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2%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임의로 구리 및 인 중 적어도 하나;
    철; 및
    불순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13. 제1항에 있어서,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1.0% 내지 약 1.5%의 망간;
    약 1.0%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1%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임의로 구리 및 인 중 적어도 하나;
    철; 및
    불순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14. 제1항에 있어서,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0.8% 내지 약 1.5%의 망간;
    약 0.75%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2%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임의로 구리 및 인 중 적어도 하나;
    철;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15. 제1항에 있어서, 중량 기준으로,
    약 11.5% 내지 약 12%의 크롬;
    약 1.0% 내지 약 1.5%의 망간;
    약 1.0% 내지 약 1.5%의 니켈;
    0% 내지 약 0.5%의 규소;
    0% 내지 약 0.1%의 몰리브덴;
    0% 내지 약 0.0025%의 붕소;
    0% 내지 약 0.025%의 탄소;
    0% 내지 약 0.01%의 황;
    0% 내지 약 0.03%의 질소;
    임의로 구리 및 인 중 적어도 하나;
    철;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2상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강.
  16.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2상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물품이 오일 샌드 추출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 및 제당 가공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물품.
  18. 제1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2상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물품이 오일 샌드 추출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 및 제당 가공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물품.
  20. 제1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2상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물품이 오일 샌드 추출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 및 제당 가공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물품.
  22. 제1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2상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물품이 오일 샌드 추출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 및 제당 가공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물품.
  24. 제1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2상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물품이 오일 샌드 추출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 및 제당 가공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장치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물품.
KR1020167028606A 2014-04-01 2015-03-12 2상 스테인레스강 KR201601407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31,778 US20150275340A1 (en) 2014-04-01 2014-04-01 Dual-phase stainless steel
US14/231,778 2014-04-01
PCT/US2015/020122 WO2015153092A1 (en) 2014-04-01 2015-03-12 Dual-phase stainless st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733A true KR20160140733A (ko) 2016-12-07

Family

ID=5281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606A KR20160140733A (ko) 2014-04-01 2015-03-12 2상 스테인레스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50275340A1 (ko)
EP (1) EP3126537B1 (ko)
JP (1) JP6621419B2 (ko)
KR (1) KR20160140733A (ko)
CN (1) CN106460128A (ko)
AU (1) AU2015241412B2 (ko)
CA (1) CA2944491A1 (ko)
ES (1) ES2808627T3 (ko)
MX (1) MX2016012853A (ko)
PL (1) PL3126537T3 (ko)
RU (1) RU2721668C2 (ko)
SI (1) SI3126537T1 (ko)
TW (1) TWI651419B (ko)
UA (1) UA119168C2 (ko)
WO (1) WO2015153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9817B2 (en) 2016-08-04 2022-05-24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1318566B2 (en) 2016-08-04 2022-05-03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0640854B2 (en) 2016-08-04 2020-05-05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1511375B2 (en) 2020-02-24 2022-11-29 Honda Motor Co., Ltd. Multi component solid solution high-entropy alloy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3615A (en) * 1977-10-05 1979-04-27 Kubota Ltd Martensitic stainless cast steel for paper-making suction roll
US4608099A (en) * 1984-10-10 1986-08-26 Amax Inc. General purpose maintenance-free constructional steel of superior processability
CA1305911C (en) * 1986-12-30 1992-08-04 Teruo Tanak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trip of a chromium stainless steel of a duplex structure having high strength and elongation as well as reduced plane anisotropy
RU2033462C1 (ru) * 1991-12-04 1995-04-20 Маркелова Татья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Феррито-мартенситная сталь
JP3172561B2 (ja) * 1991-12-21 2001-06-04 日新製鋼株式会社 複合組織ステンレス鋼ばねの製造法
JP3602201B2 (ja) * 1995-05-24 2004-12-15 日新製鋼株式会社 高強度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帯又は鋼板の製造方法
CN1161378A (zh) * 1996-01-16 1997-10-08 艾利格汉尼·勒德鲁姆公司 生产双相铁素体不锈钢带的方法
JP3761280B2 (ja) * 1997-03-28 2006-03-29 日新製鋼株式会社 プレスプレート用鋼帯およびプレスプレートの製法
JP3862836B2 (ja) * 1997-11-17 2006-12-27 日新製鋼株式会社 耐疵付き性に優れた鏡面仕上げ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29092A (ja) * 1998-02-19 1999-08-24 Nisshin Steel Co Ltd 摺動性に優れる高強度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帯および鋼板とこれを用いた機械部品
JPH11286852A (ja) * 1998-03-31 1999-10-19 Nisshin Steel Co Ltd 複相組織ステンレス鋼素材からなる高耐久性おさ歯
JP4022991B2 (ja) * 1998-06-23 2007-12-1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フェライト−マルテンサイト2相ステンレス溶接鋼管
JP2002220640A (ja) * 2001-01-30 2002-08-09 Nisshin Steel Co Ltd 高強度耐摩耗鋼
JP3698058B2 (ja) * 2001-02-13 2005-09-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材
JP2002332543A (ja) * 2001-03-07 2002-11-22 Nisshin Steel Co Ltd 疲労特性及び耐高温ヘタリ性に優れたメタルガスケット用高強度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5093B1 (ko) * 2001-11-05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12 크롬 스테인레스강 열연강재의 제조방법
JP3975882B2 (ja) * 2001-11-15 2007-09-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部の加工性並びに靭性に優れた高耐食性低強度ステンレス鋼とその溶接継手
JP3961341B2 (ja) * 2002-05-10 2007-08-22 日新製鋼株式会社 溶接構造物用高強度複相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法
JP3920185B2 (ja) * 2002-09-27 2007-05-30 日新製鋼株式会社 耐たわみ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製の二輪車用タイヤリム材および二輪車用フレーム材
US7294212B2 (en) * 2003-05-14 2007-11-13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ainless steel material in the form of a wheel ri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R2872825B1 (fr) * 2004-07-12 2007-04-27 Industeel Creusot Acier inoxydable martensitique pour moules et carcasses de moules d'injection
EP1876253B1 (en) * 2005-04-28 2013-04-17 JFE Steel Corporation Stainless steel pipe for oil well excellent in enlarging characteristics
JP5000281B2 (ja) * 2006-12-05 2012-08-1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20311B2 (ja) * 2006-12-27 2013-06-26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ステンレス鋼板
JP5145793B2 (ja) * 2007-06-29 2013-02-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油井管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継目無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87350B1 (en) * 2008-04-25 2015-07-08 JFE Steel Corporation Low-carbon martensitic cr-containing steel
CN102899587B (zh) * 2011-07-25 2015-01-2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双相不锈钢及其制造方法
KR101463313B1 (ko) * 2012-12-21 2014-11-18 주식회사 포스코 내마모특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 제조방법
CN103469097B (zh) * 2013-09-29 2016-04-2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高强度马氏体铁素体双相不锈钢耐腐蚀油套管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6537B1 (en) 2020-05-13
EP3126537A1 (en) 2017-02-08
RU2016142683A (ru) 2018-05-04
PL3126537T3 (pl) 2020-11-02
RU2016142683A3 (ko) 2018-12-28
US20150275340A1 (en) 2015-10-01
MX2016012853A (es) 2017-10-16
ES2808627T3 (es) 2021-03-01
WO2015153092A1 (en) 2015-10-08
RU2721668C2 (ru) 2020-05-22
SI3126537T1 (sl) 2020-09-30
TWI651419B (zh) 2019-02-21
CN106460128A (zh) 2017-02-22
JP6621419B2 (ja) 2019-12-18
UA119168C2 (uk) 2019-05-10
CA2944491A1 (en) 2015-10-08
AU2015241412B2 (en) 2019-11-21
AU2015241412A1 (en) 2016-10-20
JP2017512907A (ja) 2017-05-25
TW201602361A (zh) 201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367B2 (ja) 二相ステンレス鋼
KR20080034939A (ko) 내식성, 냉간 성형성 및 기계 가공성을 갖는 고강도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160124131A (ko)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KR20160140733A (ko) 2상 스테인레스강
JP2011219809A (ja) 高強度鋼板
JP2017512253A (ja) プラスチック金型用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ステンレス鋼製の金型
KR20150074697A (ko) 저 니켈 함유 스테인리스강
KR102102512B1 (ko)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JP6583885B2 (ja) 耐食性および製造性に優れた高硬度ステンレス鋼
JP6501652B2 (ja) 析出硬化能に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RU2594572C1 (ru) Мартенситная сталь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хники
JP2003082445A (ja) 加工性に優れた非磁性ステンレス鋼
KR101587700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KR20150073383A (ko)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492081B (zh) 具有改善的强度和表面导电性的非磁性奥氏体不锈钢
JP3760847B2 (ja) 平鋼ばね用鋼
EA041604B1 (ru)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KR20090066864A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KR20150074698A (ko) 저 니켈 함유 스테인리스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