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592A -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592A
KR20160139592A KR1020150074768A KR20150074768A KR20160139592A KR 20160139592 A KR20160139592 A KR 20160139592A KR 1020150074768 A KR1020150074768 A KR 1020150074768A KR 20150074768 A KR20150074768 A KR 20150074768A KR 20160139592 A KR20160139592 A KR 20160139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odorant composition
fermented
present
deod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142B1 (ko
Inventor
정종문
이승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스랩
Priority to KR102015007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태를 발효하여 유효성분 함량을 높여 소취효과를 극대화 하고, 매실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의 유효성분까지 포함하여 구강질환 및 구강 내 미생물 등 구취 개선 및 예방효과와 활발한 장내운동으로 인한 변비 및 변취 개선효과 등 악취 유발 물질을 억제 및 제거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독성과 단회 독성시험을 확인한 결과 독성이 거의 없고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소취효과, 항균효과, 항염증 그리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조성물로 응용 및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Deodorizing composition having antimicrobial and antiflammatory activity}
본 발명은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연식물의 추출물, 즉, 발효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추가로 매실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여 구취 및 변취에 대하여 우수한 소취효과와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에 대해 항균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취란 인체의 구강 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악취 뿐만 아니라 위장, 간, 폐 등 구강 이외의 전신 장기로부터 나오는 악취 중 구강을 통해서 나오는 불쾌한 냄새를 통합하여 구취 또는 입 냄새라고 한다. 이와 같이 구취는 구강 내의 효소가 타액 중에 존재하는 상피결합조직, 식물잔사, 구강 내 세균 등을 단백질원으로하여 분해되므로 생성된 휘발성 황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메틸 머캡탄(Methyl mercaptan),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디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 등이며, 특히 메틸 머캡탄은 구취 중 가장 역겨운 냄새로 알려져 있다.
구취 발생 원인에 따라 구강 내 원인과 구강 외 원인으로 구분하여 구강 내 원인이 85 내지 90% 대부분을 차지한다. 구강 내 원인으로 인한 구취는 치아나 타액의 성분 등과 같은 숙주요인과 음식 잔류물 등이 세균에 의해 부패된 결과로 나타나게 되며, 그 원인으로는 타액분비 감소, 구내염, 치주질환, 부적절한 보철물, 혀 부위에 과도한 미생물 침착 등을 들 수 있으며, 흡연, 음주 그밖에도 타액량 감소, 타액 점조도의 증가, 구강 미생물 등에 의해 충치와 치주질환과 같은 원인이 가장 크다.
사람의 구강 내에는 약 300여종의 미생물이 치아표면, 치근부의 치아와 잇몸사이, 혀의 표면 등에 상주하고 있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의 존재는 적절한 구강위생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정상적인 현상이다. 하지만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충치, 치은염 또는 치주질환 등 구강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구강 내에 상주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u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등의 구강 미생물이 치아표면에 부착하여 몇 시간만 지나면 치태라고 하는 세균군집을 형성하고 증식하게 되며, 초기에는 치아 표면에 집중적으로 병원성 미생물이 부착하여 치태를 형성하지만 점차 진행되면 치은하부에 있는 치아표면에도 치태가 형성되게 된다. 치태가 치아표면에서 형성될 경우 상이 미생물은 구강 내에 들어온 당분을 이용하여 산을 생산하고, 이 산은 치아의 에나멜질을 탈회시킴으로써 치아가 파괴되어 충치가 유발된다. 한편 치은하부 치태에 있는 세균들 중 특히 혐기성 구강 미생물들은 독소, 단백질 분해효소 등을 분비하여 치주조직을 직접 파괴하거나 우리 몸의 면역세포들과 반응함으로써 다양한 면역물질의 생산을 유도하고 이들 물질이 치주조직의 염증과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충치와 치주질환이 발생하면 이 부위에 음식 찌꺼기 등이 부착되어 입 냄새를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취의 원인이 되는 충치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여 근본적인 원인을 해소하고 더불어 구취도 제거하여 이중효과를 갖는 성분의 개발이 매우 절실하다.
간편하게 칫솔질을 할 수 없거나 입안의 청량감 등을 위해 휴대가 간편한 '구강청결제'를 사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관련 제품의 시장규모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충치, 잇몸질환 예방, 치태제거 등 효능, 효과가 강화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구강 내 항균제로서 클로르헥시딘(chlorohexidin)이나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etyl Pyridinium Chloride)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항균제는 내성균의 출현 및 균교대증이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용이 곤란하다. 특히 클로르헥시딘은 고 농도로 구강 내에 사용하거나 혹은 저 농도로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혀나 치아에 착생을 일으키고 구강점막이 벗겨지거나 미각이상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멘톨, 페퍼민트 향 등의 향료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은 근본적으로 구취를 제거하기 보다는 향료의 강한 향으로 구취를 일시적으로 덮어버리는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를 이용한 것에 불과하며 그 효과의 지속성도 미미하다. 이와 같은 제품들은 모두 입을 헹구어 뱉어내는 형식으로 섭취할 수 없는 제품으로, 경구 섭취가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문제되지 않는 천연물질 유래의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변취는 오늘날 식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고지방 식품 및 인스턴트식품 등 고칼로리 식품의 섭취가 늘어난 반면 섬유질 섭취 및 운동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변비가 발생된다. 변비의 정의를 말하자면 대변을 볼 때 힘들거나 횟수가 드물어서 정상이상으로 변이 굳은 경우를 발하며, 대게 하루 대변량이 30g 이하의 딱딱한 변이거나 배변횟수가 주 2회 이하인 경우 일단 변비로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변비는 수분섭취 부족이나 음식물의 섭취, 특히 섬유질의 섭취가 적은 경우, 운동부족,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 및 변을 자주 참아버린 경우에 잘 생긴다. 또한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하는 직업이나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장관운동이 저하되고 변의 이동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변비에 자주 걸린다. 이와 같이 변비가 오래 지속되면 대장 내에서 서식하는 유해균의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단백질을 먹이원으로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많이 만들어 내고, 더불어 변이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암모니아 가스의 흡수가 많이 되어 변취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 보고되어 있는 소취 소재 중에도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와 같은 모노설파이드화합물에 대하여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은 적은 상황이며, 티올화합물의 소취에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추출물(일본특허 제1330998호)의 경우도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가 불충분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와 같은 모노설파이드화합물은 알릴메르캅탄 및 메틸메르캅탄 등의 티올화합물과는 소취 메카니즘이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티올화합물에 소취효과를 갖는 소취제라도, 모노설파이드화합물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이 많다.
천연물 유래의 성분으로는 벤즈알데히드 및 계피알데히드가 모노설파이드와 반응하여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알데히드류는 특유의 강한 향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사용은 제한되어 있어, 모노설파이드화합물에 대하여 실용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은 소취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천연물 유래 소취 성분으로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은 티올화합물인 메틸 메르캅탄 및 질소화합물인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소취효과가 밝혀져 있으며(일본특허공보 제1823565호), 또한 동속 식물인 첨차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용 조성물이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소취소재로서도 개시되어 있다(일본특허공개 평05-269187호). 그러나, 상기한 양자의 경우 모두 모노설파이드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는 밝혀진 것이 없다.
유칼리로부터 얻은 추출물도 마찬가지로 황화수소, 암모니아, 아민류, 메르캅탄류, 니코틴에 대한 소취제로서 개시되어 있으나(일본특허공개 소60-261458호), 모노설파이드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는 밝혀진 것이 없다.
소귀나무에 대해서는 공기정화제로서 부패 고기조각 및 동물사육실내의 소취에 대한 효과가 공지되어 있으나(일본특허공개 소51-27882호), 이들 냄새는 일반적으로 동식물체의 분해에 의해 발생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의 유황화합물,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질소화합물, 저급지방산류를 주요원인 물질로 하고 있으며,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는 밝혀져 있지 않다.
하마멜리스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인체의 겨드랑이 냄새, 발냄새, 체취 및 인체냄새 등에 대한 소취제로서 개시되어 있으나(일본특허공개 2000-186025호), 상기한 냄새성분은 이소길초산을 비롯한 저급지방산류 및 알데히드류가 주를 이루며,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가 함유되어 있다는 보고는 없다. 따라서 하마멜리스 유래 성분에 의한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는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현재 국내외에서 구취와 동시에 변취를 개선해주는 제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성적인 구취의 원인인 충치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구강질환 예방 뿐만 아니라 원활한 대장운동에 도움이 되어 구취와 변취의 원인을 해결하고 더불어 소취효과가 있는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감태를 미생물 발효, 추출하여 폴리페놀을 고함량으로 생성시켜 여러 기능을 추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발효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추가로 매실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우수한 소취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발효 감태 추출물 및 추가로 매실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소취조성물이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구강질환을 예방하는 소취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효 감태 추출물 및 추가로 매실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소취조성물이 변비 개선에 도움을 주어 변취 개선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발효 감태 추출물 및 추가로 매실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소취조성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은, 발효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발효 감태 추출물 10 내지 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감태 추출물은 감태를 발효시켜 수득된 감태발효물을 알코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감태발효물은 효모로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매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소취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매실 추출물을 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돼지감자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소취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돼지감자 추출물을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30 내지 70% 농도의 글리세롤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 감태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발효 전과 비교하여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어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발효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며, 매실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소취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소취조성물은 구강 미생물의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효과로 인해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여 구취제거에 도움을 주고, 장내 환경을 개선시켜 변비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로 인하여 변취 효과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의 일산화질소(Nitrite Oxide) 생성 억제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취제조성물의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의 마우스에 대한 단회 독성시험에 따른 암컷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의 마우스에 대한 단회 독성시험에 따른 수컷 마우스의 제충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의 마우스에 대한 단회 독성시험에 따른 암컷 마우스의 장기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의 마우스에 대한 단회 독성시험에 따른 수컷 마우스의 장기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 중의 돼지감자의 프리바이오틱스(즉, 먹이원)으로의 이용도를 실험한 그래프로서 유익균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 중의 돼지감자의 프리바이오틱스(즉, 먹이원)으로의 이용도를 실험한 그래프로서 유해균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은, 발효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 감태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감태(Ecklonia cava)는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다. 한국의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일대 연안의 수심 10m 내외에 서식한다. 길이는 1 내지 2m이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밑동은 뿌리모양을 하고 있다. 식용해조류로서 항산화성, 항암성, 항고혈압성 등 여러 가지 기능성들이 밝혀져 있으므로,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특히, 감태는 14가지 이상의 폴리페놀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세포보호효과, 혈전생성 저해활성, 항산화 활성, 심혈관 보호효과 뿐만 아니라 항균력도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효 감태 추출물은 천연식물인 감태를 발효시킨 후, 추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감태의 발효는 바람직하게는 효모 발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 감태 추출물은 1) 10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1 내지 30분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분간 멸균시킨 YPD(Yeast Peptone Dextrose)배지에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을 접종하고, 100 내지 200rpm,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rpm, 3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8℃에서 1 내지 3일 동안 전배양하는 단계; 2) 감태를 깨끗이 세척하여 그늘에서 말린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감태분말과 멸균수를 중량비로 1 : 2 내지 7의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혼합물을 수득한 후, 보당(상기 발효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0%의 양의 당성분의 첨가)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의 발효혼합물에 상기 전배양된 효모균을 4 내지 6%(v/v)를 접종하여 35 내지 38℃, 100 내지 200rpm에서 3 내지 7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의 발효물로부터 상등액을 분리하고, 동결건조시켜 발효 분말을 수득한 후, 상기 발효 분말을 10 내지 50% 에탄올에 현탁시킨 후, 30 내지 70℃, 200 내지 400rpm에서 2 내지 6시간 추출하는 단계; 6) 상기 단계 5)의 추출물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발효 감태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감태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발효 감태 추출물 10 내지 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감태 추출물이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메틸머캅탄의 소취율과 항균능력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반대로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매에 녹는 포화농도 이상으로 녹지 않으며 강한 떫은맛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발효 감태 추출물은 감태를 발효시켜 수득된 감태발효물을 알코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감태발효물은 효모로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매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실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매실(Prunus mune Sieb . et Zucc .)은 매화나무의 열매로서, 상기 매화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활엽의 소교목으로 높이는 4 내지 5m 정도이다. 흰 꽃 또는 연분홍 꽃이 피며, 열매는 5 내지 6월에 익는다. 원산지는 중국의 사천성과 호북성의 산간지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 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거나 과수원에서 재배한다. 본초강목에서 간과 담을 다스리고, 내장의 열을 내려주어 체내 독소를 제거해주며, 대변을 잘 보게 하고, 입안의 냄새를 없앤다고 기록되어 있다. 매실에는 피로회복, 체질개선, 위액분비촉진, 식욕증진, 신진대사원활, 변비예방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풍부한 구연산(citric acid)으로 인해 항균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산미로 인하여 타액선이 자극되어 침의 분비를 왕성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매실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1) 깨끗이 세척한 청매실의 씨앗을 분리하여 건조시킨 후 과육을 잘게 파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건조한 매실과 물을 중량비로 1 : 2 내지 7의 비율로 혼합하여 50 내지 100℃, 200 내지 400rpm에서 2 내지 6시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기로 60 내지 70브릭스(brix)까지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실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소취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매실 추출물을 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실 추출물이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암모니아의 소취율과 항균능력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반대로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높은 산도로 인해 강산성이 되며, 강한 신맛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돼지감자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는 국화과 해바라기속의 여러해살이 풀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돼지감자는 80%의 수분과 20%의 탄수화물, 1 내지 2%의 단백질 그리고 무기질과 비타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의 식물이 탄수화물을 녹말의 형태로 저장하는 것과 달리 이눌린(inulin)이라는 과당중합체 물질로 저장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눌린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동물의 위액과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데, 이 중 80% 이상이 대장에 도달하여 장내 미생물의 성장기질로 이용되어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의 역할을 수행한다. 프리바이오틱스는 대장 내에서 항생물질, 비타민, 성장촉진인자와 같은 영양소를 미생물학적으로 생성시켜 장 기능을 개선시키고, 미네랄의 생체 이용률을 증진시킨다. 또한 설사 및 변비 예방과 같은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돼지감자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1) 깨끗이 세척한 돼지감자를 얇게 절단하여 건조시킨 후 잘게 파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건조한 매실과 물을 중량비로 1 : 2 내지 7의 비율로 혼합하여 50 내지 100℃, 200 내지 400rpm에서 2 내지 6시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추출물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기로 농축 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감자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취조성물은 소취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돼지감자 추출물을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이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프리바이오틱스의 역할을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변비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지나친 많은 양은 오히려 설사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취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발효 감태 추출물 10 내지 50중량%, 매실 추출물 1 내지 20중량%, 돼지감자 1 내지 10중량% 및 잔량으로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30 내지 70% 농도의 글리세롤 수용액일 수 있다.
글리세롤(glycerol)은 C3H5(OH)3의 분자식을 가진 지방족 3가 알코올의 하나로서, 무색 무취이며, 단맛이 나고, 끈기가 있다. 건조방지제, 용제, 감미료로 사용되거나 음식물의 보존에 사용되기도 한다. 글리세린, 리슬린, 프로페인-1,2,3-트라이올, 1,2,3-프로페네트라이올, 트라이하이드록시프로페인, 글리세리톨, 글리실알코올이라고도 한다. 무색 투명하고, 단맛이 나는 끈기 있는 액체로 흡습성이 강하다. 아주 순수한 글리세롤을 강하게 냉각하면 녹는점 17.8℃의 결정을 얻는데, 과냉각을 일으키기 쉽다. 물과 알코올에는 임의의 비율로 섞이지만, 탄화수소에는 녹지 않는다. 1779년 스웨덴의 셸레(K. W. Scheele)가 올리브유의 가수분해 생성물 속에서 발견하였고, 1836년 프랑스의 펠루즈(T. J. Pelouze)에 의해서 성분비가 결정되었다. 지방산과의 에스테르로서, 유지(油脂)나 지질(脂質) 등의 형태로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비누 제조 시의 부산물에서 제조되었으나, 근년에는 석유의 분해과정인 크래킹(cracking) 중에 의해 생기는 프로필렌에서 염화알릴을 거쳐 합성하는 방법이나, 효모의 글리세롤발효(알코올발효의 한 변형)의 생성물로서 얻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인체 내에서 간에서 글루코오스로 전환되어 세포대사의 에너지로 이용되며, 1g당 4.32kcal의 열량을 갖는다. 흡습성을 이용하여 식품의 건조를 막기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은 천연물질로 제조하여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예를 들어, 치약, 소취스프레이 등, 또는 츄잉껌, 캔디, 정과, 음료 등 식품에 배합하여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가량은 식품 또는 조성물에 0.5 내지 1중량% 첨가하는 것이 식품의 기호성의 측면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합하며, 우수한 소취효과를 보려면 1중량% 이상 첨가하여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료로 쓰이는 식물은 모두 천연물질로서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이들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식품 및 조성물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전혀 문제가 없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제조예 1: 발효 감태 추출물 제조
감태를 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하여 발효시키고 그리고 추출하였다. 감태를 발효하기 위하여 효모균(S. cerevisiea)을 YPD(Yeast Peptone Dextrose)배지에 접종하여 37℃, 150rpm에서 2일 동안 전배양하였다. 감태 분말과 멸균수의 비율을 중량비로 1:5로 배합한 후 당을 5%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배양한 효모균을 5%(v/v)를 접종 한 후 150rpm, 37℃에서 5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를 마친 후 8,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배양 상등액을 취해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분말을 30% 에탄올에 현탁시킨 후 50℃, 300rpm에서 4시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종이필터로 여과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발효 감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감태 추출물은 감태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정제수에 현탁시킨 후 50℃, 300rpm에서 4시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종이필터로 여과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감태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하기 표 1에는 감태 추출물과 발효 감태 추출물 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감태 추출물 30.18%
발효 감태 추출물 42.53%
제조예 2: 매실 추출물 제조
매실을 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하여 추출 용매는 물을 사용하였다. 건조 분쇄한 매실을 물에 중량비로 1:5로 혼합하여 80℃, 300rpm에서 4시간 추출하였다. 매실 추출물을 종이 필터로 여과하여 감압 농축기로 65브릭스까지 농축하여 매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돼지감자 추출물 제조
돼지감자를 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하여 추출 용매는 물을 사용하였다. 건조 분쇄한 돼지감자를 물에 중량비로 1:5로 혼합하여 80℃, 300rpm에서 4시간 추출하였다. 돼지감자 추출물을 종이 필터로 여과하여 감압 농축기로 30브릭스까지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시켜 돼지감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의 발효 감태 추출물 300g을 50% 글리세롤 수용액 700g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대조를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의 발효 감태 추출물 300g 및 상기 제조예 2의 매실 추출물 100g을 50% 글리세롤 수용액 600g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1의 발효 감태 추출물 300g 및 상기 제조예 3의 돼지감자 추출물 50g을 50% 글리세롤 수용액 650g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발효 감태 추출물 300g, 매실 추출물 100g, 돼지감자 추출물 50g 및 50% 글리세롤 수용액 550g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대조를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의 감태 추출물 300g을 50% 글리세롤 수용액 700g을 혼합한 조성물을 비교예 1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대조를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의 감태 추출물 300g 및 상기 제조예 2의 매실 추출물 100g을 50% 글리세롤 수용액 600g을 혼합한 조성물을 비교예 2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대조를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의 감태 추출물 300g 및 상기 제조예 3의 돼지감자 추출물 50g을 50% 글리세롤 수용액 650g을 혼합한 조성물을 비교예 3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대조를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의 감태 추출물 300g, 상기 제조예 2의 매실 추출물 100g 및 상기 제조예 3의 돼지감자 추출물 50g을 50% 글리세롤 수용액 550g을 혼합한 조성물을 비교예 4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구강 미생물의 생육억제효과
치아우식과 치주질환 유발 구강 미생물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 sobrinus) 2종에 대한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의 생육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상기 조사는 액체배지를 이용한 검사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각 균주들은 BHI(Brain Heart Infusion)배지에 접종하여 37℃, 150rpm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도말평판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각 균주들을 1*104 CFU/㎖가 되도록 배지에 접종하고, 여기에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후, 37℃, 150rpm에서 18시간 배양하여 생육억제효과(MIC)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와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 sobrinus)에 대해 항균효과가 각각 2000ppm, 1000ppm으로 우수한 항균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소취효과 - 가스 검지관 시험 방법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이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과 암모니아(ammonia)에 대하여 소취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스 검지관(Gastec GV-110S, 71H, 한국)을 이용하여 소취효과를 측정하였다.
바이알에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과 메틸머캅탄(Wako pure chemicals Co., 일본)의 최종 농도가 100ppm이 되도록 혼합하여 교반한 후, 37℃에서 10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 후, 가스 검지관을 이용하여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구로는 소취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암모니아(대정, 한국)의 방법도 상기 실시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감태 추출물의 악취 제거 활성은 하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악취 제거 활성(%) = [(C-S)] * 100
상기 식에서, C는 대조군의 측정 농도이고, S는 본 발명의 소취제를 첨가한 실험군의 측정 농도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이 메틸머캅탄의 냄새를 50% 제거하고, 암모니아의 냄새를 75% 제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메틸머캅탄 메틸머캅탄
악취제거활성(%)
암모니아 암모니아
악취제거활성(%)
대조군(ppm) 100 0 100 0
비교예 1(ppm) 90 10 100 0
실시예 1(ppm) 50 50 80 20
비교예 2(ppm) 90 10 50 50
실시예 2(ppm) 50 50 25 75
비교예 3(ppm) 90 10 100 0
실시예 3(ppm) 55 45 80 20
비교예 4(ppm) 90 10 50 50
실시예 4(ppm) 50 50 25 75
실험예 3: 구취 억제 효과 간이 임상실험
구취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 남자 15명에게 아침에 양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랄크로마(Oral chroma, japan)로 구강 내의 초기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3시간 동안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실시예 4)을 1중량%로 희석하여 300㎖을 수시로 마시게 한 후, 다시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소취조성물을 마시는 동안에는 기타 음식물의 섭취는 금지시켰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섭취 전 (ppb) 섭취 후 (ppb)
성인 1 34.13 0.47
성인 2 35.13 4.27
성인 3 41.73 1.40
성인 4 30.87 1.33
성인 5 48.13 2.00
성인 6 71.93 3.07
성인 7 31.20 0.53
성인 8 31.00 1.87
성인 9 23.93 0.13
성인 10 20.73 0.80
성인 11 27.2 1.87
성인 12 58.27 3.40
성인 13 64.27 0.33
성인 14 25.73 4.20
성인 15 43.20 0.47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5명 모두 구강 내의 초기 메틸머캅탄의 농도가 20 내지 70ppb 수준이었는데,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을 섭취한 후, 구강 내의 메틸머캅탄의 농도가 0 내지 5ppb 사이의 농도로 평균적으로 약 9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변취 억제 효과 간이 임상 실험
변취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아지(말티즈, 3개월, 수컷, 도그앤캣 애견샵, 한국) 15마리에게 1주일 동안에는 물을 자율 섭취하도록 하였고, 다음 1주일 동안은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실시예 4)을 1중량%로 희석하여 자율 섭취하게 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5℃로 설정한 뒤 수행하고, 고형사료(로얄캐닌 스타터, 프랑스)를 평균체중의 5%를 하루에 2번으로 나눠서 제공하였다. 소취조성물 섭취 전, 후의 변을 채취하여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도-페놀 방법으로 암모니아태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섭취 전 (ppm) 섭취 후 (ppm)
개체 1 403.23 224.12
개체 2 447.72 369.09
개체 3 388.61 253.76
개체 4 510.28 282.33
개체 5 355.66 278.79
개체 6 451.44 314.24
개체 7 461.27 343.53
개체 8 399.54 316.07
개체 9 420.31 184.77
개체 10 388.70 264.92
개체 11 285.04 240.88
개체 12 306.62 190.22
개체 13 506.63 252.51
개체 14 490.46 370.37
개체 15 412.66 398.87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아지 15마리가 섭취 전, 후로 암모니아태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마다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약 30% 감소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지질다당류(LPS: Lipopolysaccharide) 유도 일산화질소(NO) 생성량 측정
배양액 내의 일산화질소 농도를 그리스(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우태혈청(FBS)과 항생제가 함유된 둘베코수정이글배지(DMEM)를 이용하여 96웰 배양판(96 well culture plate)에 1*106 cells/웰의 마우스 대식세포 유래의 RAW 264.7 세포를 분주 후, 37℃, 5% 이산화탄소(CO2) 항온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24시간 후, 이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FBS와 항생제가 함유되지 않은 새로운 DMEM 배지에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실시예 4)를 농도별로 각각 분주한 1시간 후, 1㎍/㎖의 LPS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시켰다. 배양 동안 생성된 일산화질소는 그리스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전체 일산화질소의 농도로 측정하였으며, 세포배양 상층액 50㎕와 그리스 시약 50㎕를 혼합하여 96 웰 배양판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인산염완충식염수(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하였다. 일산화질소 소거능(%)은 (1-시료를 첨가한 반응군의 흡광도/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일산화질소를 50% 소거하는 농도인 IC50 (ppm)값으로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과 대조군을 비교했을 때 일산화질소 생성량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산화질소를 50% 소거하는 IC50값은 174.46ppm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이 일산화질소를 억제하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COX-2 효소 억제
COX-2 효소 10, 헴(heme: 포르피린철 착염) 10㎕, 반응 완충액 160㎕을 넣고, 여기에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실시예 4)을 농도별로 10㎕씩 첨가한 후, 5분간 37℃에서 안정화시켰다. 여기에 아라키돈산 10㎕을 넣고 2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1M 염산 10㎕를 넣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SnCl2 20㎕를 넣고 잘 섞어준 후,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하고, 반응액을 EIA 완충액으로 2000배, 4000배 희석하고 이를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항체가 코팅된 96 웰 플레이트에 50㎕ 분주 후, 트레이서(PGs screening AChE tracer) 50㎕와 항혈청(Antiserum) 50㎕ 첨가한 후,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웰을 완충액으로 5회 세척한 후 엘만 시약(Ellman's reagent) 200㎕를 넣고 60분간 발색시킨 후, 41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COX-2 효소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이부프로펜(Ibuprofen)을 사용하였다. COX 활성억제의 정도는 제조사의 방법을 준용하여 50% 억제하는 농도인 IC50(ppm)값으로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이 COX-2 효소를 억제하는지 실험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소취조성물의 COX-2 효소를 50% 억제하는 농도인 IC50값이 각각 16.3ppm, 101.39ppm으로 나타났다. 합성의약품인 이부프로펜 보다 IC50값이 높지만 천연물질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소취조성물의 COX-2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C50(ppm) COX-2
대조군(이부프로펜) 16.3
실시예 1 101.39
실험예 7: DPPH 라디칼 소거능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실시예 4)을 농도별로 용해한 후, DPPH(0.2mM 에탄올 용액)(Sigma, USA)와 동량으로 혼합하였다. 상온에서 30분간 반응 후에 520㎚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타민 C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상대적인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1-시료 첨가구의 흡광도/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의 계산식을 사용하였다. SC50값은 발생한 라디칼 50%를 소거하는데 필요한 최소 농도를 ppm 단위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SC50(ppm)
대조군(비타민 C) 4.52
소취제 64.01
실험 결과,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인 비타민 C와 소취제의 SC50값이 각각 4.52ppm, 64.01ppm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비타민의 약 1/14배의 항산화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세포 독성 측정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실시예 4)의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식세포에 대한 독성 측정은 MTT[(3-(4,5-dimethyl 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Sigma, MO, 미국)] 측정으로 분석하였다. Raw264.7 세포를 96 웰의 각 웰 당 14 cells/㎖로 분주한 다음,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이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각 농도별(㎍/㎖)로 각각 처리하여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당 0.2% MTT 용액을 첨가하여 37℃, 5% CO2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상등액을 모두 제거하고 DMSO 200㎕씩 첨가하고 30분간 상온에서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모두 녹이고,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인산염완충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율(%)=(샘플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실험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에 대한 세포독성은 1000ppm이라는 고농도에서도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단회독성실험
실험 동물로 7주령 스프라그 돌리(SD: Sprague Dawley) 계통의 집쥐(rat: 샘타고, 한국)로, 실험군은 암컷과 수컷 각 5마리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정하였다. 이 동물들은 인수 시 및 적응기간 동안 일반 증상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사육조건은 온도 22℃, 상대습도 45%, 조명시간 12시간(오전 6시 내지 오후 6시)으로 설정한 뒤 수행하고,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샘타고, 한국)와 정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물(Tap water)을 자유섭취토록 하였다. 집쥐는 시료 투여 12시간 전에 절식시키고, 통상 건강기능성 식품의 단회 독성 경구 투여농도로 사용되는 2000㎎/㎏, 1000㎎/㎏의 두 농도로 경구 투여 한 후, 14일 동안 관찰하였다. 임상증상 관찰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독성시험기준 및 OECD 시험 가이드라인(OECD test guideline 420: TG 420)에 따라 실시하였다. 즉, 모든 실험동물은 투여 당일 날에 투여 후 6시간 동안 매 시간마다 관찰하였으며, 다음날부터 14일까지는 1일 1회씩 동물의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의 발현 및 사망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실험 물질(본 발명에 따른 소취조성물(실시예 4)) 투여 당일과 1, 3, 7, 14일째의 체중변화를 측정하였다. 시험 종료 후, 실험동물을 마취하고 치사시킨 다음, 외관 및 내부 장기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여에 따른 수컷과 암컷에서 사망한 개체는 없었고, 당일 관찰 및 다음날부터 14일간 매일 1회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군에서 특이적인 행동 변화가 없었다. 또한 도 3 내지 6에서 알 수 있듯이 시료 투여 14일 후, 체중 변화측정과 부검 후 장기 무게의 변화도 대조군에 비교하여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은 동물 단회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0: 돼지감자의 프리바이오틱스(즉, 먹이원)으로의 이용도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실시예 4)이 인체 장내의 대표적인 유익균(유산균: Bifidobacteriu bifidum)과 유해균(Clostridium perfrigen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육곡선을 측정하였다. 각 사용한 배지조성은 유익균은 강화 클로스트리디알 배지(Reinforced clostridial medium)에 소취조성물을 10% 첨가하였고, 유해균은 락토바실리스 엠알에스 브로스(Lactobacilis MRS broth)에 소취조성물을 10% 첨가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균의 증식 정도는 분광분석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12시간 간격으로 흡광도 660㎚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소취조성물(실시예 4)을 10% 첨가하여 생육곡선을 측정한 결과, 유익균인 유산균(B. bifidum) 성장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반대로 유해균(C. perfrigens)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특히 소취기능이 요구되는 건강식품 및 위생제품을 제조 및 이용하는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면부호 없음)

Claims (9)

  1. 발효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조성물이 발효 감태 추출물 10 내지 50중량% 및 잔량으로서 용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감태 추출물이 감태를 발효시켜 수득된 감태발효물을 알코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태발효물이 효모로 발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조성물이 매실 추출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조성물이 소취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매실 추출물을 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조성물이 돼지감자 추출물을 더 포함함을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조성물이 소취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돼지감자 추출물을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함을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30 내지 70% 농도의 글리세롤 수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KR1020150074768A 2015-05-28 2015-05-28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KR10174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68A KR101742142B1 (ko) 2015-05-28 2015-05-28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68A KR101742142B1 (ko) 2015-05-28 2015-05-28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592A true KR20160139592A (ko) 2016-12-07
KR101742142B1 KR101742142B1 (ko) 2017-05-31

Family

ID=5757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768A KR101742142B1 (ko) 2015-05-28 2015-05-28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57B1 (ko) 2021-03-18 2021-10-19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1812A (ko) * 2021-07-14 2023-01-25 (주)에스티알바이오텍 감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57B1 (ko) 2021-03-18 2021-10-19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1812A (ko) * 2021-07-14 2023-01-25 (주)에스티알바이오텍 감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142B1 (ko)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40118279A (ko)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JP4235254B2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
Sirilun et al. Lactobacillus-fermented plant juice as a potential ingredient in cosmetics: Formulation and assessment of natural mouthwash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KR101742142B1 (ko)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
JP7200192B2 (ja) 摂取可能なタブレット、または粉末型口腔清潔剤組成物
JP2014111652A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品
JP2009263332A (ja) オリーブ葉抽出物を含有する歯周組織健康維持剤
JPH04164021A (ja) 口腔用組成物
KR20180008120A (ko) 허브 추출물 및 그 정유를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397805B (zh) 改善口腔卫生、预防并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及制备方法
KR10257296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216382B1 (ko)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KR20220085035A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구강 건강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749525B1 (ko)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1219513B1 (ko) 구강세균의 증식에 의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경구용 조성물
KR101078765B1 (ko) 구강세균의 증식에 의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경구용 조성물
KR20160084904A (ko) 천연 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CN114668803B (zh) 一种具有预防龋齿和牙周炎作用的漱口液的制备方法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630716B1 (ko) 항균활성을 갖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KR20140055885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167724B1 (ko) 토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