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279A -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279A
KR20140118279A KR1020130033896A KR20130033896A KR20140118279A KR 20140118279 A KR20140118279 A KR 20140118279A KR 1020130033896 A KR1020130033896 A KR 1020130033896A KR 20130033896 A KR20130033896 A KR 20130033896A KR 20140118279 A KR20140118279 A KR 2014011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ed
licorice
present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316B1 (ko
Inventor
송영옥
홍준영
조병제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3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및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생포공영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고체발효시킨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DPPH 유리기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슈퍼옥시 유리기 소거능 및 하이드록시 유리기 소거능이 우수하고 총 페놀함량도 높으므로, 항산화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감기, 인후염 및 구강염 등의 세균성 구강질환 및 치주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Oral cleansing composition fermented taraxacum extract-containing complex herbal extract}
본 발명은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및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약재는 그 자체로써 기능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최근 이들 생약재의 약효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생물전환기법인 발효기법이 제안되고 있다. 발효기법은 원재료의 약효를 강화시키고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생약재가 보약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되면서, 생약재의 약효를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생물전환기법이 주목받고 있다.
생물전환기법을 이용한 대표적인 생약재는 인삼으로, 인삼은 생물전환기법에 의해 기존의 독성이 약화되고 기능성 증진되는 효과가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부작용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백약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생약재의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생물전환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생약재를 이용한 생물전환기법으로는 증숙 또는 발효 등의 방법이 있다. 생약재는 대부분 건조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법으로 주로 고체발효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체발효를 위한 미생물원으로는 효모[참고문헌 : Kim SH, Han HS, Lee YJ. 2011Studies on Immuno modulating Acitivity of Fermented Sophorae Radix Extract. Kor J Herbology 2011:26(2):17-23], 유산균[참고문헌 : Kang DH, Kim SH. 2011. Functionality Analysis of Korean Medicine Fermented by Lactobacillus Strai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Vol. 39, No. 3, 259-265], 버섯균사체[참고문헌 : Park CK et al.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the Fermented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Mushroom Mycelium by Solid Culture. J Krean Soc Food Sci Nutr, 38(9), 1145~1152] 등이 사용되고 있다.
고체발효는 액체발효와 달리 미생물의 침투가 어려우므로, 발효할 재료를 연화시키는 과정 및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배양 조건이 확립되어야만 성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생약재의 고체발효는 아직 많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생약재 고체발효가 보고되고 있으나, 생약재의 수분 함량이 낮아 수분을 다시 복원시키기 위한 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생약재의 수분함량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고체발효의 중요한 단계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를 분석해 본 결과, 생약재를 건조시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보고가 있으나, 생약재를 원재료인 생시료 상태로 사용하여 고체발효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보고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은 항염증, 항암 및 지질저하 등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생약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민간에서는 고혈압 및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질병개선효과에도 불구하고, 포공영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포공영의 부작용은 과량 사용시 체내 소화흡수 장애, 이로부터 유발되는 설사 및 복통 등이 있다.
한편, 구강은 인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창구 역할을 하는 곳으로서 몸의 건강 상태가 즉각 반영된다. 특히 구강 질환의 원인인 구강 세균은 혈액을 통해서 혈관에 침입하여 신체 다른 부분에 이르게 되고, 심장 질환, 뇌졸중, 당뇨,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 등과 같은 전신 질환의 원인이 된다(Jin LJ, et al., Hong Kong Med J.9:31-37(2003), Pennisi E, Science, 307:1899-1901(2005), Xu P, et al., J Bacteriol. 189:3166-3175(2007)).
치아는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무기질로서, 그 질환에는 크게 충치와 치주질환이 있다. 충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치과 질병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발생빈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대한치과의사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아동의 90% 이상이 치아 우식(Dental caries)을 경험하며, 성인의 80% 이상이 잇몸질환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충치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은 구강 내의 미생물에 의한 감염으로,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구강질환 예방제 및 치료제로는 1) 비스구아나이드 (bisbiguanide)계의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2) 음전하성 세제인 라우릴 황산 나트륨 (sodium lauryl sulfate), 3) 효소계의 덱스트라나아제(dextranase), 뮤타나아제 (mutanase), 4) 에센셜 오일인 티몰 (thymol), 유칼립톨 (eucalyptol), 5) 제4급 암모늄 화합물 (quaternary ammonium compound)계의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cetylpyridinium chloride), 헥세티딘 (hexetidine), 6) 페놀계의 트리클로산 (triclosan), 7) 유기 또는 무기 불소, 8) 당 대체물인 D-자일로오스, 자일리톨, D-소르비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강세척제는 감기, 인후염 및 구내염 등의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구강세척제에 항균 효과가 높은 생약재를 첨가한 생약재 구강세척제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모든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유리기를 소거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는 구강 세척제는 보고된 적이 없다.
본 발명자들은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신규한 구강세정용 조성물에 대해 연구하던 중, 생포공영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고체발효시킨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이 DPPH 유리기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슈퍼옥시 유리기 소거능 및 하이드록시 유리기 소거능이 우수하고 총 페놀함량도 높으며, 항산화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생포공영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고체발효시킨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DPPH 유리기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슈퍼옥시 유리기 소거능 및 하이드록시 유리기 소거능이 우수하고 총 페놀함량도 높으므로, 항산화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감기, 인후염 및 구강염 등의 세균성 구강질환 및 치주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강세정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인 각 성분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포공영은 꽃이 금비녀의 머리처럼 생겨서 금잠초(金簪草)라고도 하며, 줄기가 하나만 있는 것이 정(丁)같이 생겨서 지정(地丁)이라고도 한다. 포공영은 열독을 내리고 종기를 삭히는 효과가 있어, 종창, 유방염, 인후염 및 옹종(맹장염, 폐농양, 복막염)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안구충혈, 급성간염, 황달 또는 열로 인해 소변을 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포공영의 약리작용으로는 항균, 면역기능 강화, 담즙분비 촉진, 간기능 보호, 이뇨 등의 작용이 보고되어있다.
상기 정향은 유일하게 꽃봉오리를 쓰는 향신료로, 향신료 중 방부 효과와 살균력이 상당히 우수하여, 중국에서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정향은 화장품, 치약, 약품이나 향수의 재료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치통이 있을 때 정향을 물고 있으면 진통효과가 있어, 응급진통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박하는 야식향(夜息香)·번하채·인단초(仁丹草)·구박하(歐薄荷)라고도 하며 박하유의 주성분은 멘톨이다. 멘톨은 도포제(塗布劑)·진통제·흥분제·건위제·구충제 등에 약용하거나 치약·잼·사탕·화장품·담배 등에 청량제나 향료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천궁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약용식물로 재배되고 있다. 천궁은 진정 ·진통 ·강장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상기 감초는 우랄감초 또는 굽은감초라고도 하며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 약효가 잘 나타게 한다. 감초는 체내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며, 근육과 뼈를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감초는 해독 효과가 우수하며,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및 습진 등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더욱이,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및 항염작용이 우수하고 소화성궤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복합생약재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발효 포공영은 생포공영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고체발효시켜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생포공영을 수세한 후 망치로 조직을 연화시킨 다음 포공영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25 중량%인 상황버섯 균사체의 액체 종균액을 접종하여 26 내지 28℃의 온도에서 20 내지 22일간 배양시켜 얻는다.
그 다음, 발효 포공영, 정향, 박하, 천궁 및 감초를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각각 추출하여,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박하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제조된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때,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복합 생약재 추출물 총 부피에 대하여 발효 포공영 추출물 30 내지 50 부피%, 정향 추출물 10 내지 20 부피%, 박하 추출물 15 내지 25 부피%, 천궁 추출물 10 내지 20 부피% 및 감초 추출물 10 내지 20 부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구내염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albicans); 구강 인두와 피부에 상주균이며 화농성염증의 원인균인 표피 포도 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구강 인두에 상주하면서 치과치료 후의 병원성 감염을 유발하는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인두염, 성홍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연쇄구균성 화농증을 유발하는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S. pyogenes); 및 구강에서 발견할 수 있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구강세척용 조성물은 치약, 구강용 세정제, 구강청정제, 껌, 캔디류, 구강 스프레이 및 구강 양치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하나의 제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강세정용 조성물이 치약의 제형일 경우,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pH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약은 최종 상품의 제형 및 포장 형태로서 기존의 연고상(페이스트상)의 튜브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로는 침강 실리카, 실리카 겔,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 인산일수소칼슘, 함수 알루미나,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 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등을 들수 있다. 상기 연마제 성분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연마제의 입자 크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입자경이 20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제는 연고상의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성분으로, 치약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제공할 뿐 아니라, 종류에 따라 양치시 감미를 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습윤제로는 농글리세린(98%), 글리세린(85%), 소르비톨 수용액(70%), 비결정성 소르비톨 수용액(70%), 자이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류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습윤제 성분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70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고체인 분말 성분과 액체 성분이 분리되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고상의 치약에서는 필수적인 성분이다. 결합제는 수용성 고분자 종류라면 어떤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셀룰로오스로부터 유래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해조류로부터 추출된 카라기난류 및 미생물의 대사로부터 얻어지는 잔탄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 성분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는 제품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세정 작용을 도와주며 기타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계면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구강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기포제로는 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이 사용되며, 제형의 특성에 따라 보조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포제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2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로는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자일리톨, 감아세트산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구연산, 주석산 등이 있고,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신향산메칠(메칠파라벤),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효 성분으로는 치아에 불소막을 형성하여 충치균의 대사산물인 산(젖산 등)에 강하게 만드는 불화물과, 치주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및 알란토인 유도체, 비타민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강 내 유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구강위생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트리클로산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로는 페퍼민트오일, 스피아민트오일, 멘톨, 아네톨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백제로는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색소로는 식용색소, 용제로 정제수, 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복합 생약재 추출물 총 부피에 대하여 발효 포공영 추출물 30 내지 50 부피%, 정향 추출물 10 내지 20 부피%, 박하 추출물 15 내지 25 부피%, 천궁 10 내지 20 부피% 및 감초 10 내지 20 부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생포공영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고체발효시킨 포공영의 추출물을 함유하고, 항균효과가 인정된 생약재인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DPPH 유리기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슈퍼옥시 유리기 소거능 및 하이드록시 유리기 소거능이 우수하고 총 페놀함량도 높으므로, 항산화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감기, 인후염 및 구강염 등의 세균성 구강질환 및 치주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균성 구강질환은 감기, 인후염 및 구강염 등을 포함한다.
상기 치주질환은 구강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구내염, 치은염, 치주염, 치조골 파손, 치조골 골다공증, 치조골 연화증, 치조골 감소증, 치조골 재형성 장애, 구취, 충치, 치아우식증 및 인두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과 함께 치주질환의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1일 1 내지 10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의 예방 및 개선, 생체방어, 면역, 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 포공영의 제조]
1. 포공영 및 생약재의 준비
본 발명의 포공영은 수확 즉시의 생포공영을 사용하였다(충북 충주시 하얀 민들레 공원에서 수득). 본 발명의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 균사체(P. linteus, KACC. 43899)를 사용하였으며, 농촌진흥청 유전자원정보센터에서 분양받아 계대배양하면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한 생약재로는 정향, 박하, 천궁 및 감초를 사용하였으며, 모두 국산을 사용하였다.
2. 발효 포공영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포공영을 고체발효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수득된 생포공영(수분 77.86%) 200g을 흐르는 물에 수세하면서 흙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포공영에 버섯균사체를 용이하게 침투시키기 위하여 망치로 가볍게 두드려 조직을 연화시켰다. 연화시킨 포공영을 121℃에서 30분간 고온가압멸균(autocleaving)한 다음 상온에서 30분간 냉각시킴으로써, 포공영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다.
전처리된 포공영에 상황버섯 균사체의 액체 종균액 40mL(포공영 총 중량에 대하여 20%의 중량을 접종)를 접종하였다. 고체배지 상에서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를 8 코르크(Cork)-Borrer로 자른 후, 자른 조각 5~6개를 150mL의 액체배지에 넣고 실리스토퍼로 입구를 봉하여 오염을 방지시켰다. 이를 진탕항온수조 (271℃, 130rpm)에 넣고 14일간 배양하였다. 액체배지 상에서 배양시 균사가 조각을 중심으로 뭉치면서 자라므로, 이를 분해시키기 위하여 멸균시킨 유리구슬입자(Glass bead)를 넣어 뭉친 균사들을 균일하게 하였으며, 이를 액체종균액으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배양배지는 고체배지인 감자 포도당 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 (Difco. co., USA)와 액체배지이며, 감자 포도당 배지(Potato Dextrose Broth) (Difco. co., USA)를 사용하였다. 접종 후 배양배지의 오염을 방지하고 공기만을 순환시키기 위해, 배양배지를 실리스토퍼로 입구를 봉한 후 배양기에 넣고(J-100M, Jisico, Japan) 271℃에서 21일간 발효시켰다. 균사체의 성장은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발효 포공영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에 대한 항산화 기능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로 발효 포공영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99.5% ethanol, Duksan, Korea)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 포공영의 무게 대비 10배 부피의 증류수 또는 에탄올을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에 첨가한 다음 추출기(kmc-130sh, temp control:7, speed control:max)로 추출하였다. 열수추출은 2시간, 에탄올추출은 1시간 30분 동안 수행되었으며, 이후 여과지(No. 2, Whatman, USA)를 사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불순물이 제거된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을 진공원심농축기(R-200, Buchi co., Swaziland)에 넣고 용매를 모두 제거하였다.
[실험예 1. 발효 포공영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능 측정]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 유리기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을 각각 확인하였으며,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다. 발효 포공영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을 실험군으로 사용하였으며, 미발효 포공영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은 비교를 위해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1. DPPH 유리기 소거능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에 대한 DPPH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발효 포공영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발효 포공영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의 농도를 50%씩 증가하도록 조제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농도별로 제조된 각 추출물 100 L와 95% 에탄올에 용해시킨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60M) 100 L를 각각 96 웰 플레이트에 넣은 후 혼합하였다. 이를 암소에서 30분간 방치시킨 다음 ELISA 리더(MODEL-680, Bio-rad co. Ltd, England)를 이용하여 54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발효 포공영의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첨가한 DPPH를 제거하는 저해율(%)로 나타내었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 (g/ml)
50 100 250 500 1,000
발효
포공영
에탄올추출물 12.93±3.01 16.92±2.69 26.96±2.25 46.18±0.59 76.6±60.59
열수추출물 6.86±0.17 10.67±1.68 20.58±2.8 37.12±2.98 67.41±5.07
미발효
포공영
에탄올추출물 5.35±0.04 10.41±0.33 17.55±1.11 30.65±1.00 57.44±0.06
열수추출 0.00 8.20±0.81 14.16±2.09 23.59±1.16 45.99±1.09
(저해율, %)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또는 미발효 포공영의 추출물에 대한 DPPH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발효 포공영 및 미발효 포공영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DPPH 유리기 소거능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 농도조건 하에서 DPPH 유리기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발효 포공영과 미발효 포공영 모두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발효 포공영의 DPPH 유리기 소거능은 발효하지 않은 포공영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의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온도의존적으로 증가하며,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더 우수하고, 발효 포공영이 생포공영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아질산염(Nitrite) 소거능 측정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1mM 아질산나트륨(NaNO2)용액 1 ml에 DMSO(dimethyl sulfoxide)로 조제한 발효 포공영과 미발효 포공영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을 각각 2 mL씩 첨가한 다음, 0.1N 염산(HCl)을 첨가하여 반응액의 pH를 1.2로 조정한 다음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상기 반응액 1 ml를 취하여 2% 아세트산용액 5mL와 Griess 시약(30%의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각각 조제한 1% 설파닉산(sulfanilic acid)과 1% 나프틸아민(naphthylamine)을 1:1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사용 직전에 조제함) 0.4mL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하였다(실험군). 이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잔존하는 아질산염의 양을 산출하였다. 대조군은 Griess 시약 대신 증류수 0.4mL를 가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아질산염의 양을 산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농도 (g/ml)
50 100 250 500 1,000 10,000
발효 포공영 에탄올추출 10.78
±6.62
21.37
±3.40
37.45
±3.10
50.20
±3.00
61.96
±2.50
80.39
±0.66
열수추출 0.00 14.42
±2.90
24.81
±2.04
40.17
±2.27
53.37
±1.30
69.10
±1.13
미발효
포공영
에탄올추출 0.00 0.00 10.67
±2.54
24.49
±2.10
39.40
±3.76
60.05
±2.05
열수추출 0.00 0.00 8.62
±0.73
21.60
±1.44
35.11
±0.45
54.71
±0.30
(저해율, %)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 및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에 대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발효 포공영 추출물 및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아질산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동일 농도 조건 하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발효 포공영 추출물 및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 모두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발효 포공영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미발효 포공영(생포공영)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낮은 농도에서는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효 포공영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온도의존적으로 증가하며,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더 우수하고, 발효 포공영이 생포공영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3.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 측정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의 슈퍼옥사이드 유리기(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H 7.4)에 농도별로 조제한 각 시료의 추출물을 400L씩 가한 다음, 100M 잔틴(xanthine) 400L, 600M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bluetetrazolium; NBT) 400L, 0.05U/mL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 400L 및 0.1M 인산완충액(pH 7.4) 400L을 첨가하여 37℃에서 10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96 웰에 넣은 다음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미발효 포공영을 함유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이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농도 (g/ml)
50 100 250 500 1,000
발효 포공영 에탄올추출 5.39
±1.03
12.57
±1.99
24.43
±2.47
31.03
±1.51
43.31
±0.20
열수추출 0.68
±0.67
6.24
±1.45
9.46
±0.87
15.31
±1.78
19.12
±1.20
미발효
포공영
에탄올추출 0.00 0.00 0.00 4.01
±1.61
12.11
±1.36
열수추출 0.00 0.00 0.00 0.00 4.49
±0.93
(저해율, %)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 및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에 대한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발효 포공영 추출물 및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동일 농도 조건 하에서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발효 포공영과 미발효 포공영 모두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발효 포공영의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은 미발효 포공영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특히, 미발효 포공영은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250g/mL 이하의 농도, 열수추출물의 경우 500g/mL 이하의 농도에서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에 대한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며, 동일 농도 조건 하에서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더 우수하며, 발효 포공영 추출물이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4. 발효 포공영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 측정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의 1에서 농도별로 조제한(50% 씩 농도 증가) 각 시료의 추출물 1 ml에 2%(w/v) 탄산나트륨(Na2CO3)용액 1 ml를 가하여 5 내지 7분간 방치한 다음 Folin-ciocalteu 시약 0.2 ml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에 대한 총 페놀함량은 탄닌산(tannic acid)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을 탄닌산으로 환산하여 나타내었으며, 이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
(g (탄닌산)/mg (시료))
발효
포공영
에탄올추출 12.01±0.08
열수추출 10.01±0.17
미발효
포공영
에탄올추출 9.73±0.05
열수추출 5.44±0.07
상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대조군인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동일 농도 조건 하에서 발효 포공영 추출물 및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에 대한 총 페놀함량은 발효 포공영 추출물이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보다 우수하며, 동일 농도 조건 하에서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선별된 생약재의 항균활성 분석]
1. 생약재 선별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항균 기능성 생약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용 제품에 대한 문헌연구를 선행하였으며, 선별된 각 제품의 조성비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제품명(또는 처방) 형태 조성
청구감로수 A 용액 정향 12g, 천궁 8g
감초, 후박 및 세신 각 4g
청구감로수 B 용액 정향 8g, 오미자 6g
감초, 후박 및 박하 각 4g
생약재가글 용액 정향, 계피, 천궁 및 감초 각 5g
박하 10g
신장기능저하에 기인한
구내염
용액 정향, 천궁, 감초 및 오미자 각 5g
박하 10g
구내염 용액 계피, 정향, 천궁 및 세신 각 6g
길경석고탕 A 분말 길경 3g, 감초 4g, 석고 10g
길경석고탕 B 분말 길경 3g, 석고 10g
상기 표 5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에 사용할 생약재를 선별하였으며, 총 7종의 생약재, 즉 천궁, 감초, 정향, 후박, 세신, 길경 및 박하가 선별되었다.
2. 균의 선별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로 제조될 생약재의 항균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에서 선별된 생약재의 항균활성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용되어진 균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균 명 등록번호 생육조건 배지
Escherichia coli KCCM 11234 37℃ TSA1)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335 37℃ TSA1)
Staphylococcus epidermidis KACC 13234 37℃ TSA1)
Streptococcus pyogenes KACC 11858 37℃ BHIA2)
Candida albicans KACC 30004 25℃ YMA3)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37℃ BHIA2)
1) TSA : Tryptic Soy Agar (Difco. Co., USA)
2) BHIA : Brain Heart Infusion Agar (Difco. Co., USA)
3) YMA : Yeast Malt extract Agar (Difco. Co., USA)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된 균은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구내염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albicans); 구강 인두와 피부에 상주균이며 화농성염증의 원인균인 표피 포도 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구강 인두에 상주하면서 치과치료 후의 병원성 감염을 유발하는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인두염, 성홍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연쇄구균성 화농증을 유발하는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S. pyogenes); 및 구강에서 발견할 수 있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으로 총 6종이 사용되었다.
3. 항균활성 분석
본 발명의 항균활성 분석에 사용될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약재 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생약재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페이퍼 디스크법은 표 6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균주별로 적합한 배지를 선정하고 배양기(petri-dish)에 분주하여 굳힌 다음 각 균들을 멸균증류수에 10-1의 농도로 희석한 후, 희석된 각 균주를 함유한 용액을 100L씩 배지 위에 도말한 다음, 멸균된 배양기(paper disk) (지름 8mm, Advantec, Japan)를 균주를 도말한 배지 위에 올려놓고, 시료를 40L(1g/mL)씩 점적하여 배지를 각 균의 생장 최적 온도에서 약 24시간 동안 배양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생약재의 항균활성은 균주의 생육저해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확인되었으며, 이의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균 명
E.coli S.aureus S.mutans S.pyogenes S.epidermidis C.albicans
미발효
포공영
1g/ml 0 0 0 0 0 0
발효
포공영
1g/ml 0 0 0 0 0 0
천궁 1g/ml 0 0 0 0 0 11
길경 1g/ml 0 0 0 0 0 0
감초 1g/ml 14 0 15 18 16 14
정향 1g/ml 12 0 0 14 12 15
후박 1g/ml 10 0 16 13 14 0
세신 1g/ml 14 0 0 11 0 0
박하 1g/ml 10 0 0 0 0 14
(생육저해환, mm)
상기 표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발효 포공영(생포공영) 추출물, 발효 포공영 추출물 및 선별된 생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감초, 정향 및 후박이 큰 활성을 가져, 구강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포공영은 발효여부에 상관없이 항균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포공영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는 보고되어 있으며[참고문헌 : Lim AK et al. 2008. Functional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i Her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0), 1231~1237. Lee MH et al.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and contents from the aerial part and root of the various Taraxacum spp. distributed in Korea. Kor. J. Herbology. 25(4):77-84], 본 발명에서도 포공영의 항산화 효과는 확인되어진 바, 발효에 의해 그 효과가 증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3.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표 7에 기재된 결과를 바탕으로, 항균활성이 높은 생약재인, 상기 표 7에서 항균활성이 높게 측정된 정향, 감초, 후박을 선별하였으며, 이중 정향과 감초를 2차 선별하였다.
상기 후박은 항균력은 높으나 수분을 마르게 하는 성질이 보고되어[참고문헌 : Kim JS et al. 2002.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Herbal Medicines (III) -HPLC Analysis of Magnolol and Inhibitory Effects on the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AGEs) in Vitro of Unprocessed-and Processed Magnolia Bark-, Kor. J. Pharmacogn. 33(4):308~311,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14.]있어 본 발명의 생약재에서 제외시켰다. 또한, 박하는 항균력을 나타내며 입안을 상쾌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천궁은 C. albicans와 같이 구강 내 염증을 일으키는 진균류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생약재로 선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생약재는 정향, 감초, 박하 및 천궁이 선별되었다.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발효 포공영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선별된 생약재인,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관능평가]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에 대한 최적의 조합비를 고안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선별된 생약재, 정향, 박하, 천궁 및 감초를 각각 추출하여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구강세척 효과가 가장 높은 상위 샘플 1 내지 3을 선별하여, 각각의 맛, 향, 개운함 등을 평가하는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조합비(ml) 개운함 종합점수
샘플 1: 발효 포공영10,
정향5, 박하5, 천궁5, 감초5
3 4 3 4
샘플 2: 발효 포공영10
정향6, 박하6, 천궁3, 감초3
4 5 5 5
샘플 3: 발효 포공영10
정향4, 박하6, 천궁4, 감초4
5 6 6 7
상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샘플 중 가장 관능평가가 우수한 것은, 각 추출물의 부피비가 발효 포공영10, 정향 4, 박하 6, 천궁 2 및 감초 4인 샘플 3이었다.
즉,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 총 부피에 대하여, 발효 포공영 추출물 35.7% 부피%, 정향 추출물 14.3 부피%, 박하 추출물 21.4 부피%, 천궁 추출물 14.3 부피 % 및 감초 추출물 14.3 부피%로 함유하는 각 추출물의 복합물이 가장 우수한 관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능 분석]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능 및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된 생약재를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발효 포공영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군으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대신 미발효 포공영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1. DPPH 유리기 소거능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DPPH 유리기 소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즉 발효포공영을 주성분으로 하고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실험군)과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대조군)에 대한 DPPH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농도 (g/ml)
1 5 10 25 50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10.01±0.56 19.26±1.93 30.48±0.73 62.44±0.70 82.19±1.27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4.74±1.80 14.76±2.15 24.78±2.24 56.37±1.80 79.17±2.00
(저해율, %)
상기 표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능이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우수한 유리기 소거능을 가지므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아질산염 소거능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실험군)과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대조군)에 대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농도 (g/ml)
100 250 500 1,000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5.18±2.21 14.70±2.82 30.73±1.16 64.07±2.63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0 9.46±4.35 24.95±3.35 54.96±2.92
상기 표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을 50g/ml 이하의 농도로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이 나타나지 않아 발효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측정되는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실험군)과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대조군)에 대한 슈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농도 (g/ml)
25 50 100 250 500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8.49±0.95 14.46±1.79 24.85±1.06 50.15±0.36 67.68±0.94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5.95±1.02 10.40±2.46 18.76±1.61 39.28±1.44 61.61±0.57
상기 표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수퍼옥사이드 유리기 소거능은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총 페놀함량 측정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실험군)과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대조군)에 대한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
(μg (탄닌산) /mg (시료))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208.31±0.27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161.03±0.46
상기 표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5. 하이드록실 유리기 소거능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에 대한 하이드록실 유리기 소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실험군)과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대조군)에 대한 하이드록실 유리기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 1.4mL에 EDTA를 함유한 10mM 황산제1철(FeSO4·7H2O) 200L에 10mM 데옥시리보오스 용액(deoxyribose solution) 200L와 혼합한 다음, 10mM 과산화수소(H2O2) 200L를 첨가하여 37℃의 항온수조(water bath)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액에 2.8%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TCA)과 1.0% 티오바비투르산(thiobarbituric acid; TBA) 용액을 각각 1 ml씩 첨가하여 10분간 끓인 다음 냉각하여 ELISA 리더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 추출물의 하이드록실 유리기(oxyl radical)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이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농도 (g/ml)
50 100 250 500 1,000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6.51±1.53 10.86±3.31 19.01±1.72 36.43±3.62 65.22±0.83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3.17±1.72 9.52±2.40 17.46±1.70 33.33±2.15 57.14±0.85
상기 표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경우 하이드록시 유리기 소거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복합 생약재 추출물에 첨가된 생약재 추출물이 포공영이 가지지 않는 기능성을 보완해 준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5.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 분석]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2의 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의 항균활성을 분석 및 비교하여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균 명
E.coli S.aureus S.epidermidis S.mutans S.pyogenes C.albicans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500
mg/mL
12 12 15 20 18 20
100
mg/mL
0 0 0 14 14 11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
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
500
mg/mL
11 10 13 17 16 18
100
mg/mL
0 0 0 13 13 10
(생육저해환, mm)
상기 표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500 mg/mL의 농도에서 6종의 균에 대해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보다 우수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상기 상기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100 mg/mL의 농도에서도 S.mutans, S.pyogenes 및 C.albcans의 3종 균에 대해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미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표 14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과, 상기 표 7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정향, 박하, 천궁 또는 감초로부터 추출된 단독추출물의 항균효과를 비교한 결과, 상기 표 7에 기재된 단독추출물은 1g/ml로 고농도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데 비해, 상기 표 14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은 50mg/ml의 저농도에서도 상기 단독추출물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 효과는 생약재 단독추출물보다 더 우수하며, 각각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생약재 각각의 추출물이 혼합되면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단독 추출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구강세정용 제제의 제조]
1. 구강세정용 가글제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0.1 ~ 1.0 L
자일톨 5 ~ 10 g
에틸알콜 5 ~ 15 g
솔비톨 5 ~ 15 g
사카린 나트륨 10 ~ 100 ㎎
소디움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500 ~ 1000 ㎎
소디움 라우릴설페이트 100 ~ 200 ㎎
폴리솔베이트 20 100 ~ 1000 ㎎
페파민트 플레이버 10 ~ 100 ㎎
소디움 벤조에이트 10 ~ 100 g
색소 적당량
정제수를 가하여 100 g으로 한다.
2. 페이스트상 치약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1 ml
수산화알루미늄 47 ㎎
일불소인산나트륨 0.76 ㎎
글리세린 5 ㎎
소르비톨액 40 ㎎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7 ㎎
이산화규소 4 ㎎
라우릴 황산나트륨 2 ㎎
메틸파라벤 0.15 ㎎
향료 1 ㎎
이산화티탄 0.4 ㎎
삭카린 나트륨 0.2 ㎎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20 ml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2. 정제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10 ml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3. 캡슐제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10 ml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4. 주사제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10 ml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5. 액제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20 ml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식품 제제의 제조]
1. 건강식품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100 ml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 건강음료의 제조
복합 생약재 추출물 100 ml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9)

  1.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복합 생약재 추출물 총 부피에 대하여 발효 포공영 추출물 30 내지 50 부피%, 정향 추출물 10 내지 20 부피%, 박하 추출물 15 내지 25 부피%, 천궁 10 내지 20 부피% 및 감초 10 내지 20 부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포공영은 생포공영을 상황버섯 균사체로 고체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발효 포공영, 정향, 박하, 천궁 및 감초를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하여 얻은 후,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albicans); 표피 포도 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S. pyogenes);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약, 구강용 세정제, 구강청정제, 껌, 캔디류, 구강 스프레이 및 구강 양치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7.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구강질환은 감기, 인후염 및 구강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이며,
    상기 치주질환은 구내염, 치은염, 치주염, 치조골 파손, 치조골 골다공증, 치조골 연화증, 치조골 감소증, 치조골 재형성 장애, 구취, 충치, 치아우식증 및 인두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발효 포공영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박하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성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30033896A 2013-03-28 2013-03-28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KR10146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896A KR101467316B1 (ko) 2013-03-28 2013-03-28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896A KR101467316B1 (ko) 2013-03-28 2013-03-28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279A true KR20140118279A (ko) 2014-10-08
KR101467316B1 KR101467316B1 (ko) 2014-12-01

Family

ID=5199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896A KR101467316B1 (ko) 2013-03-28 2013-03-28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31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957A (ko) * 2015-05-08 2016-11-16 임우종 미생물 공서 배양를 통한 천연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90717A (ko) * 2016-01-29 2017-08-08 랜기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구강청결제
CN107496892A (zh) * 2017-10-13 2017-12-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治疗口腔溃疡的速愈丸剂
CN108186960A (zh) * 2018-03-28 2018-06-22 河南中医药大学 一种治疗咽炎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8272962A (zh) * 2018-04-23 2018-07-13 沂源县鲁村中心卫生院 治疗口腔溃疡的中药组方及其制备方法
KR20200003610A (ko)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혼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7A (ko)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4A (ko)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8A (ko)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오일 조성물
KR20200079858A (ko) * 2018-12-26 2020-07-06 강숙이 생균 양치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 양치 소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99B1 (ko) * 2018-02-06 2023-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해바라기유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1362B1 (ko) * 2021-10-28 2022-07-15 주식회사 오투네이쳐 한방재료를 이용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154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957A (ko) * 2015-05-08 2016-11-16 임우종 미생물 공서 배양를 통한 천연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90717A (ko) * 2016-01-29 2017-08-08 랜기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구강청결제
CN107496892A (zh) * 2017-10-13 2017-12-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治疗口腔溃疡的速愈丸剂
CN108186960A (zh) * 2018-03-28 2018-06-22 河南中医药大学 一种治疗咽炎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8186960B (zh) * 2018-03-28 2021-10-15 河南中医药大学 一种治疗咽炎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8272962A (zh) * 2018-04-23 2018-07-13 沂源县鲁村中心卫生院 治疗口腔溃疡的中药组方及其制备方法
KR20200003610A (ko)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혼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7A (ko)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4A (ko)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8A (ko)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오일 조성물
KR20200079858A (ko) * 2018-12-26 2020-07-06 강숙이 생균 양치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 양치 소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316B1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316B1 (ko)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17525B1 (ko)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CN106535911B (zh) 含有作为活性成分的桑白皮提取物与卫矛提取物的牙周炎预防及治疗用口腔组合物
KR101046621B1 (ko)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50098B1 (ko) 푸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83734B1 (ko) 섭취가 가능한 타블렛 또는 분말형 구강청결제 조성물
KR101778058B1 (ko)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073061B (zh) 含有作为活性成分的桑白皮提取物与卫矛提取物的龋齿预防及治疗用口腔组合物
KR102438800B1 (ko) 유산균 발효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1762A (ko) 항우식 효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41034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100530578B1 (ko)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약학조성물
KR101280868B1 (ko)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20105707A (ko) 인삼, 홍삼, 고삼, 감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5805B1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조성물
KR20170141027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5281271A (ja) 皮膚保湿能改善剤
KR102632336B1 (ko) 팥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7518B1 (ko)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20110133912A (ko) 큰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335B1 (ko) 지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