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351A - 편성포의 인하장치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인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351A
KR20160138351A KR1020160063200A KR20160063200A KR20160138351A KR 20160138351 A KR20160138351 A KR 20160138351A KR 1020160063200 A KR1020160063200 A KR 1020160063200A KR 20160063200 A KR20160063200 A KR 20160063200A KR 20160138351 A KR20160138351 A KR 2016013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knitted fabric
lowering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401B1 (ko
Inventor
히로토시 야마노
마사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05580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093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3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종래보다도 간소한 구성을 구비하고, 횡편기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편성포의 인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한 쌍의 베이스부(1)와, 각 베이스부(1)의 상방측이며 또한 편성포 통과경로(101)에 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안내판(2)과, 안내판(2)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하하는 편성포를 포착하여 하방으로 인하하는 포착·인하기구(3)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이다. 이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에서는, 베이스부(1)가 횡편기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편성포의 인하장치(100)는, 각 안내판(2)의 적어도 일부를, 편성포 통과경로(101)에 근접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보다도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이격되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개폐기구(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인하장치{PULL-DOWN DEVICE OF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로 편성된 편성포를 니들베드갭부(needle bed gap部)의 하방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편성포의 인하장치(引下裝置)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는,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 및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와, 각 니들베드에 병렬되는 다수의 니들홈(needle groove)의 각각에 배치되는 편침(編針)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니들홈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캐리지(carriage)를 구비한다. 캐리지에는 편성캠(knitting cam)이 탑재되어 있고, 이 편성캠에 의하여 편침이 편성동작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횡편기에는,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의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갭부로부터 수하(垂下)하는 편성포를 하방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편성포의 인하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200)는, 도11의 개략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횡편기(300)의 앞쪽 니들베드(FB)와 뒤쪽 니들베드(BB)의 각각의 하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1, 1)와, 각 베이스부(1)의 상방측에 설치되는 안내판(2)과, 각 베이스부(1) 내에 배치되는 포착·인하기구(3)를 구비한다. 안내판(2)은, 니들베드갭부(GP)로부터 수하하는 편성포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당해 편성포의 경로(편성포 통과경로(101))에 면하여 있고, 일방의 베이스부(1)의 안내판(2)과, 타방의 베이스부(1)의 안내판(2)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포착·인하기구(3)는, 안내판(2)과 대향하는 위치에 수하되고 상기 안내판(2)에 의하여 움직임이 제한된 편성포를 포착하여, 니들베드갭부(GP)의 하방으로 편성포를 인하하는 기구이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인하장치(200) 외에, 횡편기(300)의 니들베드갭부(GP)의 하방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편성포의 편성시작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편성포의 인하장치(200)의 사용태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횡편기(300)의 앞쪽 니들베드(FB)와 뒤쪽 니들베드(BB)를 사용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편성한 후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편성시작장치의 선단(先端)을 그 편성시작부에 건다. 이때에, 편성포의 인하장치(200)의 안내판(2)은,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이격(離隔)된 개방위치에 있고, 포착·인하기구(3)의 상단(上端)에 있는 포착부재도,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대피하고 있다.
편성포의 편성시작부에 편성시작장치의 선단을 건 후에, 편성포를 하방으로 당기면서 니들베드에서 편성포를 편성한다. 하방으로 이동하는 편성시작장치가 편성포 통과경로(101)를 지나 편성포의 인하장치(200)를 통과하면,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로부터 편성시작장치를 분리함과 아울러 상기한 편성포의 인하장치(200)의 안내판(2)을 편성포 통과경로(101)에 근접하는 폐쇄위치(도면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200)에서는, 안내판(2)을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안내판(2)이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1)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지면의 하방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안내판(2)을 폐쇄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베이스부(1)에 설치되는 포착·인하기구(3)로 편성포를 포착하고, 편성포를 하방으로 인하하면서 편성포의 편성을 계속한다. 안내판(2)을 폐쇄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안내판(2)에 의하여 편성포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편성포가 편성포 통과경로(101)를 따라 안정한 상태로 하방으로 송출되기 때문에, 스티치의 형성상태가 안정하여 품질이 좋은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제3457161호 공보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200)에서는, 베이스부(1)와 안내판(2) 모두를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편성포의 인하장치(200)가 대규모였다. 그 대규모의 편성포의 인하장치(200)는, 횡편기(300)의 소형화·경량화에 방해가 되고 있었다.
또한 베이스부(1)도 같이 이동시키는 구성에서는, 횡편기(300)에 대한 편성포의 인하장치(200)의 설치가 수고스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베이스부(1)를 이동시키는 기구는 상당히 대규모이기 때문에 베이스부(1)의 이동기구의 부착이 번잡함과 아울러, 횡편기(300)에 부착한 베이스부(1)를 실제로 이동시켜, 베이스부(1)에 배치되는 포착·인하기구(3)의 동작에 의하여 편성포를 적절히 포착하여 인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포착·인하기구(3)에 의한 편성포의 포착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포착·인하기구(3)의 움직임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종래보다도 간소한 구성을 구비하고, 횡편기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편성포의 인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횡편기에 있어서의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의 각각의 하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와, 각 베이스부의 상방측이며 또한 상기 앞쪽 니들베드와 상기 뒤쪽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부로부터 수하하는 편성포의 경로인 편성포 통과경로에 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에 대향하는 위치로 수하하는 상기 편성포를 포착하여 하방으로 인하하는 포착·인하기구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편성포의 인하장치에서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횡편기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편성포의 인하장치는, 각 안내판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편성포 통과경로에 근접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보다도 상기 편성포 통과경로로부터 이격되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개폐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인하장치로서, 상기 안내판의 하방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고정단, 상기 안내판의 상방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폐기구는, 변형에 의해 상기 자유단을 포함하는 상기 안내판의 상방측의 부분인 개폐부를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안내판이 상기 개폐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인하장치로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개폐부를 가압하는 개폐용 캠을 구비하는 개폐용 캠샤프트와, 상기 개폐용 캠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개폐용 구동부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개폐용 캠샤프트와 상기 개폐용 구동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인하장치로서, 상기 포착·인하기구와 상기 개폐용 구동부가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포착·인하기구는, 상기 편성포를 포착하는 돌기부를 갖는 포착부재와,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운동시키는 스윙 레버와, 상기 스윙 레버를 상하로 스윙시키는 인하용 캠을 갖는 인하용 캠샤프트와, 상기 인하용 캠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인하용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포착·인하기구는, 상기 인하용 캠샤프트를 특정방향(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하운동하는 상기 포착부재에 의해 상기 편성포를 포착하여 인하한다.
상기 개폐용 구동부는, 주동풀리와, 상기 개폐용 캠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에 종동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특정방향(정회전방향)과 반대방향(역회전방향)으로의 상기 인하용 캠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풀리를 회전시키고, 상기 특정방향(정회전방향)으로의 상기 인하용 캠샤프트의 회전과 상기 주동풀리를 연동시키지 않는 일방향 회전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인하장치로서, 상기 횡편기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한 쌍의 상기 베이스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조정기구가 하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 상기 횡편기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
·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가동 브래킷
· 한 쌍의 상기 베이스부의 대향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가동 브래킷을 연결하는 샤프트
· 상기 샤프트를 그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와 아울러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상기 가동 브래킷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메이커용 조정부재
·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 브래킷을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상기 가동 브래킷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유저용 조정부재
본 발명의 편성포의 인하장치는, 안내판이 베이스부에 대하여 움직이는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와 같이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베이스부 자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당해 기구가 불필요한 만큼, 본 발명의 편성포의 인하장치는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보다도 소형·경량이 되기 때문에, 편성포의 인하장치를 탑재하는 횡편기를 소형·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인하장치는, 횡편기에 대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에서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베이스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횡편기에 설치하는 작업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에서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전에 베이스부에 대한 포착·인하기구의 움직임을 조정하여 두면, 베이스부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에 포착·인하기구의 움직임을 재조정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베이스부는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횡편기의 소정의 위치에 베이스부를 정확하게 고정시켜 두면, 포착·인하기구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기 쉽기 때문이다.
상방측이 개폐부가 되는 안내판으로 함으로써, 개폐부를 변형시키는 것만으로 안내판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한 편성포의 인하장치로 할 수 있다.
개폐용 캠샤프트에 의해 안내판의 개폐기구를 구축함으로써, 개폐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하나의 베이스부에 대하여 복수의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어도, 각 안내판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폐용 캠을 하나의 개폐용 캠샤프트에 설치하면 좋고, 각 안내판에 대응하는 개폐기구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안내판을 개폐시키는 개폐용 캠샤프트를, 포착·인하기구를 동작시키는 인하용 캠샤프트와 연동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나의 구동원(예를 들면, 모터)으로 개폐용 캠샤프트와 인하용 캠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구동원으로 개폐기구와 포착·인하기구의 양방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방향 회전기구에 의해, 인하용 캠샤프트를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개폐용 캠샤프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포착·인하기구로 편성포를 인하할 때에 안내판이 개폐되는 일이 없어, 안내판에 의한 편성포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이 없다.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있어서의 한 쌍의 베이스부의 간격(베이스 간격)은 공장에서 조정된다. 한편 편성하고자 하는 편성포에 따라서는 편성포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유저도 베이스 간격을 조정하고 싶다고 하는 수요도 있다. 이와 같은 수요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간격조정기구는, 메이커용의 간격조정기구와 유저용의 간격조정기구가 일체(一體)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보다도 간격조정기구가 콤팩트하고, 이 간격조정기구를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적용함으로써, 비용이나 조립작업성을 포함한 횡편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인하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대한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도1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구비되는 개폐기구의 개략적인 설명도로서, (A)는 안내판의 개폐부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B)는 안내판의 개폐부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C)는, 도1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구비되는 포착·인하기구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5(A)는,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구비되는 간격조정기구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B)는 그 간격조정기구의 하면도이다.
도6은, 간격조정기구에 구비되는 고정 브래킷의 3면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7은, 간격조정기구에 구비되는 가동 브래킷의 3면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8은, 도5(B)의 A-A 단면도이다.
도9는, 간격조정기구에 구비되는 유저용 조정부재인 편심 칼라의 개략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이다.
도10은, 편심 칼라에 의한 가동 브래킷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1은,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編成布)의 인하장치(引下裝置)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1〉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인하장치는, 도11에 나타내는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200)와 마찬가지로,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FB)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BB)의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갭부(needle bed gap部)(GP)로부터 수하(垂下)하는 편성포를 포착하여 끌어내리기 위한 장치이다. 도1은, 그 편성포의 인하장치(100) 중에서 횡편기의 뒤쪽 니들베드의 하방(下方)에 배치되는 부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실제의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지면(紙面)의 좌측으로 계속되고 있고, 도면에 나타내는 구성과 대향(對向)하는 위치(즉, 앞쪽 니들베드의 하방의 위치)에도 도면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인하장치(100)는,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200)(도11을 참조)와 같이 베이스부(base部)(1)와, 안내판(案內板)(2)과, 포착·인하기구(捕捉·引下機構)(3)를 구비한다. 이 편성포의 인하장치(100)는,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베이스부(1)가 횡편기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고 안내판(2)의 상방부(上方部)가 베이스부(1)에 대하여 변위함으로써, 안내판(2)이 개방위치(open position) 또는 폐쇄위치(closed position)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부》
베이스부(1)는,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의 토대가 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포착·인하기구(3)가 다수 수납된다. 베이스부(1)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니들베드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부(1)는, 횡편기의 본체 프레임(本體 frame)이나 본체 베드(本體 bed)의 하단부(下端部) 등에 간격조정기구(間隔調整機構)(5)(도2)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간격조정기구(5)에 대해서는, 도5∼도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베이스부(1)의 연신방향(延伸方向)의 일단측(一端側)(도1에서는 우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개폐기구(開閉機構)(4)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용 구동부(開閉用 驅動部)(41)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용 구동부(4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안내판》
도1,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내판(2)의 하방은 나사(2B)에 의하여 베이스부(1)에 고정되는 고정단(固定端)으로 되어 있고, 안내판(2)의 상방은 베이스부(1)에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自由端)으로 되어 있다. 자유단을 포함하는 안내판(2)의 상방측(上方側) 부분은, 탄성변형함으로써 개방위치(도3(A)를 참조)와 폐쇄위치(도3(B)를 참조)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개폐부(開閉部)(20)이다. 개폐부(20)는, 도3(B)에 나타내는 폐쇄위치에 있어서 편성포에 가장 근접하고 편성포 통과경로(編成布 通過經路)(101)와 거의 평행하게 되는 부분(근접부(近接部)(20a))을 포함한다. 개폐부(20) 중에서 근접부(20a)보다도 자유단측의 부분은, 도2,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에, 하방으로 더 구부러져 있다. 그 때문에 안내판(2)을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안내판(2)은 대략 J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1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 확대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내판(2)의 개폐부(20)에는 복수의 슬릿(slit)(2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2S)에는, 후술하는 포착·인하기구(3)의 포착부재(捕捉部材)(33)에 구비되는 바늘(돌기부(突起部))(33N)이 삽입된다. 슬릿(2S)을 통하여 바늘(33N)이 안내판(2)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안내판(2)에 면해 있는 편성포를 포착부재(33)가 포착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의 안내판(2)은, 그 개폐부(20)가 베이스부(1)에 대하여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부(20)의 변위는, 후술하는 개폐기구(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개폐기구(4)에 의하여 개폐부(20)가 개방위치로 변위하는 경우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편성시작장치(set up device)가 개폐부(20)를 통과하는 때 이외에, 편성포를 인하하는 도중에 래킹(racking)을 동반하는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를 하는 때 등을 들 수 있다.
《포착·인하기구》
포착·인하기구(3)는, 안내판(2)에 면해 있는 편성포를 포착하여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기구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나타내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포착·인하기구(3)는, 편성포를 포착하는 바늘을 갖는 포착부재(33)를 구비하고 있고, 이 포착부재(33)를 상하운동시킴으로써 편성포를 하방으로 인하한다. 안내판(2)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포착부재(33)는 반드시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이격(離隔)되는 위치(후술하는 도3(B)의 점(A)의 위치)로 대피하고 있어, 포착부재(33)의 바늘(33N)이 편성포에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예의 포착·인하기구(3)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개폐기구》
개폐기구(4)에 대해서는 주로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에는, 안내판(2)과 그 안내판(2)의 개폐에 관한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개폐기구(4)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폐용 캠샤프트(開閉用 camshaft)(40)와, 개폐용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키는 개폐용 구동부(41)를 구비한다. 개폐용 캠샤프트(40)는, 안내판(2)의 개폐부(20)(대략 J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내부에 삽입되고,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의 일부인 샤프트 지지부(shaft 支持部)(10)로 지지되고 있다. 이 개폐용 캠샤프트(40)는, 개폐부(20)를 그 내부에서 가압하는 복수의 개폐용 캠(開閉用 cam)(40C)을 구비한다. 각 개폐용 캠(40C)은, 개폐용 캠샤프트(4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두 개의 개폐용 캠(40C)이 하나의 안내판(2)의 개폐부(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개폐용 구동부(41)는, 개폐용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본 예에서는 포착·인하기구(3)를 동작시키는 구동원(驅動源)을 이용하고 있다.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항목을 바꿔 설명한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의 개폐용 캠(40C)은, 그 중심이 개폐용 캠샤프트(40)의 축심(軸心)을 벗어난 편심캠(eccentric cam)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개폐용 캠(40C) 중에서 개폐용 캠샤프트(40)의 지름방향의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분이, 안내판(2)의 개폐부(20)의 원단부(遠端部)(20b)(개폐부(20)의 J자의 선단(先端) 부분)를 내측에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는, 개폐용 캠(40C)이, 안내판(2)의 개폐부(20)의 원단부(20b)를 내방측(內方側)에서부터 외방측(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 결과, 안내판(2)의 개폐부(20)가 탄성변형하여, 개폐부(20)의 근접부(20a)가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이격된 위치(개방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여기에서 개폐용 캠(40C)은 편심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인하용 캠(39C)과 같은 대략 타원형의 캠이더라도 좋다.
도3(A)의 상태에서 개폐용 캠샤프트(40)를 180° 회전시키면,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폐용 캠(40C)의 돌출부분은 편성포 통과경로(101) 측으로 배치되고, 개폐용 캠(40C)에 있어서 개폐용 캠샤프트(40)의 외주면과 스무드하게 연결되는 부분이 원단부(20b)를 그 내부에서 지지한 상태(가압한 상태)가 된다. 이때에, 원단부(20b)는 도3(A)에 나타나 있는 위치보다도 편성포 통과경로(101) 측으로 변위하고 있고, 그 원단부(20b)와 연결되는 근접부(20a)도 편성포 통과경로(101)에 근접하는 위치(폐쇄위치)로 변위하고 있다. 여기에서 개폐용 캠샤프트(4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개폐용 캠(40C) 중에서, 일부의 개폐용 캠(40C)의 돌출부분의 지름방향의 방향(위상)을 변화시켜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지면의 깊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안내판(2) 중에서 일부의 안내판(2)을 폐쇄위치에, 그 외의 안내판(2)을 개방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3(B)에 나타나 있는 폐쇄위치로 근접부(20a)를 변위시킨 후에, 포착·인하기구(3)의 포착부재(33)를 점(A)의 위치(대피위치)로부터 점(B)의 위치(편성포 포착위치)로 이동시켜, 포착부재(33)의 바늘(33N)로 편성포를 포착한다. 그리고 포착부재(33)가 그 무게 때문에 점(B)의 위치로부터 점(C)의 위치(하단의 위치)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이 편성포에 작용함으로써, 포착부재(33)에 포착된 편성포가 하방으로 인하된다. 즉 점(A)→점(B)→점(C)에 이르는 포착부재(33)의 궤적은, 편성포를 포착하여 인하하는 포착궤도이다.
포착궤도를 그리며 편성포를 인하한 포착부재(33)는, 후술하는 구성에 의하여 점(C)로부터 점(B)로 이동되고, 다시 점(B)로부터 점(A)의 위치로 이동된다. 포착부재(33)의 바늘(33N)은,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포착부재(33)가 점(C)로부터 점(B)로 이동하는 동안에 포착부재(33)의 바늘(33N)은 편성포로부터 분리된다. 즉 점(C)→점(B)→점(A)에 이르는 포착부재(33)의 궤적은, 편성포를 포착하지 않은 비포착궤도이다. 이와 같이 포착부재(33)가 포착궤도를 따르는 이동과 비포착궤도를 따르는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편성포를 인하할 수 있다.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100)는,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비하여 소형·경량이다. 본 예의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에서는 베이스부(1)에 대하여 안내판(2)의 일부(개폐부(20))를 변위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예의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에는 종래의 구성과 같이 베이스부(1) 자체를 이동시키는 구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베이스부(1)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설치하는 작업이 없기 때문에, 횡편기에 편성포의 인하장치(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구성으로 하면, 베이스부(1)의 고정위치를 정밀하게 정함으로써 포착·인하기구(3)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횡편기에 베이스부(1)를 설치한 후에 포착·인하기구(3)의 위치(안내판(2)으로부터의 바늘(33N)의 돌출량이나 대향하는 바늘(33N)의 간격 등)를 재조정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본 예의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에서는, 포착·인하기구(3)의 일부를 이용하여 개폐기구(4)를 동작시키는 개폐용 구동부(41)를 구성하고 있다(도1을 참조). 이하에, 포착·인하기구(3)의 구성과 개폐용 구동부(41)의 구성을 설명한다.
[포착·인하기구]
본 예의 포착·인하기구(3)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하면서 편성포를 포착하여 인하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기구부(slide 機構部)(3α)와, 슬라이드 기구부(3α)를 상하운동시키는 스윙 기구부(swing 機構部)(3β)와, 슬라이드 기구부(3α)의 슬라이드위치를 특정한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기구부(支持 機構部)(3γ)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에, 포착·인하기구(3)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인하력 조정 기구부(引下力 調整 機構部)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인하력 조정 기구부에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기구부]]
슬라이드 기구부(3α)는, 하나의 안내판(2)에 대하여 2개 설치되어 있다(도1도 함께 참조). 각 슬라이드 기구부(3α)는, 베이스부(1)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받침(slide seating)(30)과, 슬라이드 받침(3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slider)(31)를 구비한다. 슬라이더(31)에는, 포착부재(33)와 웨이트(weight)(3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가 고정되어 있다(포착부재(33)와 웨이트(34)에 대해서는 도1도 함께 참조). 지지부재(32)는, 지면의 깊이방향으로 포착부재(33)와 거의 같은 폭을 가지고 있고, 그 폭방향에 있어서 지면의 전방측의 위치에 롤러(32R)를 구비하고 있다.
포착부재(33)는, 축부(軸部)(S1)를 통하여 지면의 좌우방향(편성포 통과경로(101)에 가까워지는 방향과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포착부재(33)의 상단측(上端側)의 부분에는 바늘(33N)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바늘(33N)로 편성포를 포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1도 함께 참조). 포착부재(33)는, 지면의 깊이방향 측에 배치되며 길이가 긴 암(arm)(33A)을 구비하고 있고, 암(33A)의 상단에 설치되고 지면의 깊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S2)가, 지지부재(32)의 슬릿(32S)에 끼워져 있다. 이 축부(S2)에는, 포착부재(33)가 상방으로 슬라이드하였을 때에, 베이스부(1)의 상방에 설치되는 폴부재(pawl部材)(11)와 접촉하는 롤러(33R)가 설치되어 있다. 폴부재(11)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포착부재(33)가 상방으로 슬라이드하면, 폴부재(11)의 경사를 따라 포착부재(33)의 롤러(33R)가 이동하고, 슬릿(32S)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포착부재(33)의 상단측의 부분이 지면의 우측방향(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윙한다. 한편 암(33A) 중에서 축부(S1)보다도 하방의 부분은, 포착부재(33)의 상단측의 부분을 편성포 통과경로(101) 측으로 가압하는 진자(振子)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포착부재(33)가 그 슬라이드 상단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슬라이드하면, 포착부재(33)의 롤러(33R)가 폴부재(11)를 따라 이동하고, 포착부재(33)의 상단측의 부분은 지면의 좌측방향(편성포 통과경로(10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스윙한다. 또한 암(33A)의 하방의 부분은, 후술하는 스윙 기구부(3β)의 스윙 레버(swing lever)(38)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스윙 기구부]]
스윙 기구부(3β)는, 대략 L자형인 스윙 레버(38)와, 인하용 캠샤프트(39)를 구비한다. 스윙 레버(38)는, 하나의 슬라이드 기구부(3α)에 대하여 1개 설치되어 있다. 스윙 레버(38)는, 그 일단이 축부(S3)를 통하여 베이스부(1)에 축지(軸支)되어 있고,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윙 레버(38)의 타단은, 슬라이드 기구부(3α)의 지지부재(32)의 하단에 설치되는 롤러(32R)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타단이 상방으로 스윙하면, 지지부재(32)와 지지부재(32)에 설치되는 포착부재(33)는 상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스윙 레버(38)는, 그 중간부의 위치에 롤러(38R)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윙 레버(38)에 있어서의 롤러(38R)보다도 타단 근처의 부분에는, 지면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38S)이 형성되어 있다.
스윙 기구부(3β)의 인하용 캠샤프트(39)는, 스윙 레버(38)의 타단을 상하로 스윙시키는 인하용 캠(39C)을 복수 구비하는 부재이다. 인하용 캠샤프트(39)는, 하나의 베이스부(1)에 대하여 1개 설치되어 있다. 인하용 캠샤프트(39)에 설치되는 각 인하용 캠(39C)은,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스윙 레버(38)에 대응하고 있다(인하용 캠(39C)은, 편심캠으로 할 수도 있다). 각 인하용 캠(39C)의 돌출부분에 있어서의 지름방향의 방향(위상)을 변화시킴으로써, 각 슬라이드 기구부(3α)에 따른 편성포의 인하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각 슬라이드 기구부(3α)의 타이밍을 다르게 함으로써, 지면의 깊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포착부재(33) 중의 어느 하나는 반드시 편성포를 포착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편성포를 편성하는 동안에 편성포에 하방으로의 텐션(tension)을 계속하여 작용시킬 수 있어, 편성포의 편성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스윙 기구부(3β)의 인하용 캠샤프트(39)는, 예를 들면 모터 등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구동원(인하용 구동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로 하면, 인하용 캠샤프트(39)를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 기구부]]
지지 기구부(3γ)는, 그 선단부(36)가 L형으로 되어 지면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부(36)가 슬라이드 기구부(3α)의 지지부재(32)의 내측면에 결합함으로써 지지부재(32)에 설치되는 포착부재(33)의 위치를 특정한 위치에 고정하는 구성이며,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지지 기구부(3γ)는, 솔레노이드(solenoid)를 사용한 전자식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특정의 위치로서는, 도3(B)에 있어서의 점(A) 또는 점(A)에 가까운 위치, 및 점(B) 또는 점(B)에 가까운 위치를 들 수 있다. 전자의 위치는, 포착부재(33)를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대피시켜 두는 위치(대피위치)이다. 후자의 위치는, 포착부재(33)로 편성포를 포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편성포 포착위치)이다. 예를 들면 스웨터의 편성에 있어서 소매의 편성을 정지하고 몸통의 편성만을 하는 경우에, 소매를 포착하는 포착부재(33)를 상기 점(B) 또는 점(B) 근방의 위치에 고정하고, 몸통을 포착하는 포착부재(33)를 이동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몸통의 편성에 따라 소매가 하방으로 딸려 내려가는 일이 없어, 소매의 스티치가 신장하거나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동작 순서]]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포착·인하기구(3)의 동작을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4(A)는 포착부재(33)가 최상방(最上方)으로 밀려 올라가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대피한 상태, 도4(B)는 포착부재(33)가 편성포 통과경로(101)에 근접하여 편성포를 포착하는 상태, 도4(C)는 포착부재(33)가 최하방(最下方)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도4(A), (B) 및 (C)의 포착부재(33)의 위치는, 도3(B)의 점(A), 점(B) 및 점(C)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도4(A)에서는 인하용 캠(39C)의 돌단(突端)에 의하여 스윙 레버(38)의 롤러(38R)가 연직상방으로 밀려 올라가 있고, 그 때문에 스윙 레버(38)의 타단(축부(S3)와는 반대측의 단부)이 상방으로 스윙되어 있다. 스윙 레버(38)의 타단은, 지지부재(32)의 하단의 롤러(32R)를 밀어 올려, 지지부재(32)에 설치되는 포착부재(33)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때에, 포착부재(33)의 암(33A)의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33R)가 베이스부(1)의 폴부재(11)를 따라 이동하고, 포착부재(33)가 편성포 통과경로(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올라간다.
도4(A)의 상태로부터 인하용 캠샤프트(39)를 반시계방향(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하용 캠(39C)의 돌단이 롤러(38R)로부터 벗어나, 스윙 레버(38)의 타단이 내려간다. 그것에 따라, 포착부재(33)가 내려가면서 포착부재(33)의 상단부(바늘(33N)이 설치되는 부분)가 편성포 통과경로(101) 측으로 스윙한다.
인하용 캠샤프트(39)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하용 캠(39C)의 돌출부분이 스윙 레버(38)의 슬릿(38S)에 끼워져, 스윙 레버(38)의 타단이 최대한 내려간 상태가 된다. 이때에, 포착부재(33)도 스윙 레버(38)의 타단으로 지지되는 위치까지 내려간다.
인하용 캠샤프트(39)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인하용 캠(39C)의 돌출부분이 스윙 레버(38)에 접촉할 때까지 포착부재(33)는 점(C)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인하용 캠(39C)의 돌출부분에 의하여 서서히 스윙 레버(38)가 밀려 올라감으로써, 포착부재(33)는 점(C)→점(B)→점(A)를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인하용 캠샤프트(39)를 반시계방향(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착부재(33)가 점(A)→점(B)→점(C)(포착궤도)를 따르는 이동과 점(C)→점(B)→점(A)(비포착궤도)를 따르는 이동을 반복하여, 편성포를 인하할 수 있다.
[개폐용 구동부]
본 예의 개폐용 구동부(41)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동풀리(主動pulley)(41A)와 종동풀리(從動pulley)(41B)와 무한벨트(endless belt)(41C)와 일방향 회전기구(一方向 回轉機構)(41D)를 구비한다. 주동풀리(41A)는, 베이스부(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에 기어부(gear部)를 구비한다. 종동풀리(41B)는, 주동풀리(41A)와 종동풀리(41B)의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타이밍벨트 등의 무한벨트(41C)에 의하여 주동풀리(41A)의 회전에 종동(從動)하는 부재이다. 종동풀리(41B)는 개폐용 캠샤프트(40)에 설치되어 있고, 종동풀리(41B)의 회전에 따라 개폐용 캠샤프트(40)도 회전한다. 일방향 회전기구(41D)는, 인하용 캠샤프트(3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주동풀리(41A)를 회전시키고, 인하용 캠샤프트(3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그 회전에 주동풀리(41A)를 연동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예의 일방향 회전기구(41D)는, 베이스부(1)의 외측에서 인하용 캠샤프트(39)의 외주에 설치되는 기어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기어부재의 내부에는, 인하용 캠샤프트(3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기어부재를 동시회전(co-rotation)시키고, 인하용 캠샤프트(3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기어부재에 대하여 인하용 캠샤프트(39)를 공회전(空回轉)시키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와 같은 기구로서, 예를 들면 일방향 클러치 기구(one-way clutch 機構)나 래칫 기구(ratchet 機構)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의 효과]
상기한 포착·인하기구(3)와, 개폐기구(4)의 개폐용 구동부(41)에 의하면, 인하용 캠샤프트(3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일방향 회전기구(41D)를 구성하는 기어부재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부재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주동풀리(41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주동풀리(41A)와 종동풀리(41B)에 가설되는 무한벨트(41C)에 의하여 종동풀리(41B)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종동풀리(41B)와 함께 개폐용 캠샤프트(4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개폐용 캠(40C)에 의하여 안내판(2)의 개폐부(20)가 개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통의 경우라면 포착·인하기구(3)와 개폐기구(4)에 각각 구동원이 필요한바,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포착·인하기구(3)를 동작시키는 구동원(인하용 구동부)으로 개폐기구(4)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개폐용 구동부(41)에는 일방향 회전기구(41D)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하용 캠샤프트(3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착부재(33)에 의하여 편성포를 인하할 때에, 일방향 회전기구(41D)의 기어부재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기어부재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주동풀리(41A)도 회전되지 않으므로, 개폐기구(4)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편성포를 인하할 때에 안내판(2)이 개폐되는 일이 없어, 안내판(2)에 의한 편성포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이 없다.
《간격조정기구》
도2에 나타내는 간격조정기구(5)에 대해서, 도5∼도10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내는 간격조정기구(5)는, 횡편기(300)에 대한 베이스부(1)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한 쌍의 베이스부(1)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구이다. 간격조정기구(5)는, 각 베이스부(1)의 하단의 위치에, 베이스부(1)의 길이방향(도2의 지면의 깊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조정기구(5)는, 횡편기(300)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固定 bracket; Fixed bracket)(6)과, 베이스부(1)에 고정되는 가동 브래킷(可動 bracket; Movable bracket)(7)과, 양 브래킷(6, 7)을 연결하는 샤프트(8)와, 메이커에 의한 베이스부(1)의 위치조정에 사용되는 메이커용 조정부재(maker用 調整部材)(8A)와, 유저에 의한 베이스부(1)의 위치조정에 사용되는 유저용 조정부재(user用 調整部材)(9)를 구비한다. 메이커용 조정부재(8A)와 유저용 조정부재(9)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고정 브래킷]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6)은, FB 본체부(60)와, FB 본체부(60)의 상단에 형성되는 평탄한 부착부(69)와, FB 본체부(6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각편(脚片)(61) 및 제2각편(62)을 구비한다. 제1각편(61)과 제2각편(62)은, 한 쌍의 베이스부(1)의 대향방향(도1, 도6(A)에 있어서 지면의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제1각편(61)과 제2각편(62)에는, 후술하는 샤프트(8)(도5, 도8)가 삽입되는 FB 샤프트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FB 샤프트 구멍(63)의 축선(軸線)은, 샤프트(8)의 축선과 일치하고 있고, 한 쌍의 베이스부(1)의 대향방향과도 일치하고 있다.
도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각편(61)에는, 제1각편(61)의 하단면(下端面)으로부터 FB 샤프트 구멍(63)과 연통(連通)하는 FB 장공(長孔)(64)이 형성되어 있다. FB 장공(64)의 장경방향(長徑方向)은, FB 샤프트 구멍(63)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고정 브래킷(6)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6A)에 의하여 횡편기(300)의 본체 베드의 하부에 고정된다.
[가동 브래킷]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브래킷(7)은, MB 본체부(70)와, MB 본체부(70)의 상단에 형성되는 부착부(79)와, MB 본체부(70)로부터 측방(도5, 도7(A), 도7(C)의 우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2)를 구비한다. 돌출부(72) 중에서 MB 본체부(70)와 연결되는 부분은 두 갈래로 나뉘어 있고, 그 때문에 가동 브래킷(7)의 중앙부에, 가동 브래킷(7)의 높이방향(도5(A), 도7(A)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각편 삽입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편 삽입구멍(71)에는,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브래킷(7)과 고정 브래킷(6)을 조합시켰을 때에 고정 브래킷(6)의 제1각편(61)이 삽입된다.
돌출부(72)에는, 고정 브래킷(6)의 FB 샤프트 구멍(63)과 동축·동일한 직경의 MB 샤프트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72)에는, 그 하단면으로부터 MB 샤프트 구멍(73)과 연통하는 MB 장공(74)이 형성되어 있다. MB 장공(74)의 장경방향은, MB 샤프트 구멍(73)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7(C)에서는 상하방향)을 향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가동 브래킷(7)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7A)에 의하여 베이스부(1)의 하단에 고정되어, 베이스부(1)를 지지하고 있다.
[샤프트]
샤프트(8)의 설명에 있어서는, 주로 도5(B)의 A-A 단면도인 도8을 참조한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8)는 원주체(圓柱體)로서, 제1나사구멍(81), 제2나사구멍(82) 및 제3나사구멍(83)을 구비한다. 제1나사구멍(81)은, 샤프트(8)의 고정 브래킷(6) 측(지면의 우측)의 단면(端面)에 형성되고, 그 축선은 샤프트(8)의 축선과 일치하고 있다. 제2나사구멍(82)은, 샤프트(8)의 가동 브래킷(7) 측(지면의 좌측)의 단부 근방의 둘레면(peripheral surface)에 형성되고, 그 축선은 샤프트(8)의 축선과 직교하고 있다. 제3나사구멍(83)은, 샤프트(8)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그 축선은 제2나사구멍(82)의 축선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제3나사구멍(83)은, 제3나사(8C)의 나사머리 측에 배치되는 넓은 직경부와, 넓은 직경부보다도 지름이 작은 좁은 직경부를 구비하고 있고, 넓은 직경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좁은 직경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8)는, 고정 브래킷(6)과 가동 브래킷(7)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양 브래킷(6, 7)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정 브래킷(6)의 제1각편(61)을 가동 브래킷(7)의 각편 삽입구멍(71) 내에 배치하고, 고정 브래킷(6)의 FB 샤프트 구멍(63)과 가동 브래킷(7)의 MB 샤프트 구멍(73)을 동축으로 맞추어, 샤프트(8)를 FB 샤프트 구멍(63)과 MB 샤프트 구멍(73)에 삽입하면 좋다.
샤프트(8)의 제1나사구멍(81)에는, 제1나사(8A)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제1나사(8A)의 나사머리와, 고정 브래킷(6)의 제2각편(62)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가압판(hold-down plate)(8D)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제1나사(8A)에 있어서의 가압판(8D)보다도 가동 브래킷(7) 측에 너트(nut)(8N)가 부착되어 있다. 이 가압판(8D)·제1나사(8A)를 통하여 샤프트(8)가 고정 브래킷(6)에 고정된다. 상기 가압판(8D)은, 제4나사(8E)에 의하여 고정 브래킷(6)에 고정되어 있다(도5도 함께 참조). 상기 제1나사(8A)를 회전시키면, 고정 브래킷(6)에 대하여 샤프트(8)를 진퇴(進退)시킬 수 있다. 이 제1나사(8A)는, 메이커가 베이스부(1)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메이커용 조정부재이다.
샤프트(8)의 제2나사구멍(82)에는, 고정 브래킷(6)의 제1각편(61)에 형성되는 FB 장공(64)에 배치되는 제2나사(샤프트 고정나사)(8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제2나사(8B)와 제1각편(61)의 사이에는, FB 장공(64)보다도 큰 와셔(washer)(8W)가 개재되어 있다. 제2나사(8B)를 조이면, 제2나사(8B)의 나사머리와 샤프트(8)의 둘레면에 제1각편(61)의 하면부분(下面部分)이 끼워져, 고정 브래킷(6)에 샤프트(8)가 고정된다. 제2나사(8B)를 풀면, 고정 브래킷(6)에 대하여 샤프트(8)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샤프트(8)의 제3나사구멍(83)에는, 가동 브래킷(7)의 돌출부(72)에 형성되는 MB 장공(74)에 배치되는 제3나사(가동 브래킷 고정나사)(8C)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제3나사(8C)와 돌출부(72)의 사이에는, 편심 칼라(eccentric collar)(9)가 개재되어 있다. 이 편심 칼라(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베이스부(1)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유저용 조정부재이다. 제3나사(8C)를 조이면, 후술하는 편심 칼라(9)와 샤프트(8)의 둘레면에 돌출부(72)의 하면부분이 끼워져, 샤프트(8)에 대하여 가동 브래킷(7)이 고정된다. 제3나사(8C)를 풀면, 샤프트(8)에 대하여 가동 브래킷(7)을 움직일 수 있다.
[편심 칼라]
편심 칼라(9)는,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나사(8C)의 나사머리를 수납하는 수납부(91)와, 제3나사(8C)(도8)의 축부가 관통하는 관통부(92)를 구비한다. 편심 칼라(9)의 외주에는, 도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심 칼라(9)의 축선을 벗어난 중심을 가지는 원통 모양의 편심부(93)와, 축선과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는 원통 모양의 결합부(94)가 설치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심부(93)는 가동 브래킷(7)의 MB 장공(74)에 끼워져 있고, 결합부(94)는 샤프트(8)의 제3나사구멍(83)의 넓은 직경부에 끼워져 있다.
[간격조정기구의 사용태양]
메이커가 상기 간격조정기구(5)를 사용하여 공장에서 베이스부(1)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 도8에 나타내는 제2나사(8B)를 풀어, 고정 브래킷(6)에 대한 샤프트(8)의 고정을 해제한다. 계속하여 제1나사(8A)를 회전시켜, 고정 브래킷(6)에 대하여 샤프트(8)를 진퇴시킨다. 샤프트(8)는 제3나사(8C)에 의하여 가동 브래킷(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8)의 진퇴에 따라 가동 브래킷(7)과 가동 브래킷(7)이 고정되는 베이스부(1)(도5)도 진퇴한다. 제2나사(8B)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FB 장공(64)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FB 장공(64)의 길이의 범위에서 샤프트(8)의 진퇴에 따른 제1나사(8A)의 이동을 고정 브래킷(6)이 저해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간격조정기구(5)를 사용하여 유저가 베이스부(1)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 도8에 나타내는 제3나사(8C)를 풀어 샤프트(8)에 대한 가동 브래킷(7)의 고정을 해제하고, 편심 칼라(9)를 회전시킨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검은 점으로 나타내는 결합부(94)의 중심(편심 칼라(9)의 축선)에 대하여, × 표시로 나타내는 편심부(93)의 중심이 벗어나 있기 때문에, 편심 칼라(9)를 회전시키면, 편심 칼라(9)의 편심부(93)가 가동 브래킷(7)의 MB 장공(74)의 내벽을 가압하여, 샤프트(8)에 대한 가동 브래킷(7)의 위치가 변화한다. 가동 브래킷(7)의 이동범위는, 편심부(93)의 지름이나 MB 장공(74)의 형상·크기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유저는 제1나사(8A)나 제2나사(8B)를 돌리지 않고, 제3나사(8C)와 편심 칼라(9)만을 조작하도록 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메이커에 의하여 조정된 고정 브래킷(6)(횡편기(300))에 대한 샤프트(8)의 원점(베이스부(1)의 이동의 기준이 되는 위치)은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간격조정기구(5)는, 메이커용의 조정기구와 유저용의 조정기구가 하나의 그룹으로 되어 있어 콤팩트하다. 그 때문에 이 간격조정기구(5)를 횡편기(300)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인하장치(100)에 적용함으로써, 비용이나 조립작업성을 포함한 횡편기(3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횡편기(300)를 경량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과는 달리, 도2의 개폐부(20) 중에서 근접부(20a)의 이면(裏面)(편성포 통과경로(101)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의 면)을 가압함으로써, 안내판(2)의 개폐부(20)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도,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개폐용 캠샤프트(40)를 이용한 개폐기구(4)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1, 2와 다르게, 플런저(plunger)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등의 직선운동기구로 안내판(2)의 개폐부(20)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각 안내판(2)의 개폐부(20)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通電)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각 개폐부(20)를 독립하여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의 안내판(2)의 개폐부(20)를 폐쇄위치에 배치하고, 그 이외의 안내판(2)의 개폐부(20)를 개방위치에 배치한다고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직선운동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안내판(2) 전체가 편성포 통과경로(10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안내판(2)의 상방부와 하방부를,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통하여 베이스부(1)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경우에,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에 의하여 플런저를 동작시킴으로써, 안내판(2) 전체를 베이스부(1)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100 : 편성포의 인하장치
101 : 편성포 통과경로
1 : 베이스부
10 : 샤프트 지지부
11 : 폴부재
2 : 안내판
2B : 나사
20 : 개폐부
2S : 슬릿
20a : 근접부
20b : 원단부
3 : 포착·인하기구
3α : 슬라이드 기구부
S1, S2 : 축부
30 : 슬라이드 받침
31 : 슬라이더
32 : 지지부재
32R : 롤러
32S : 슬릿
33 : 포착부재
33A : 암
33N : 바늘(돌기부)
33R : 롤러
34 : 웨이트
3β : 스윙 기구부
S3 : 축부
38 : 스윙 레버
38S : 슬릿
38R : 롤러
39 : 인하용 캠샤프트
39C : 인하용 캠
3γ : 지지 기구부
36 : 선단부
4 : 개폐기구
40 : 개폐용 캠샤프트
40C : 개폐용 캠
41 : 개폐용 구동부
41A : 주동풀리
41B : 종동풀리
41C : 무한벨트
41D : 일방향 회전기구
5 : 간격조정기구
6 : 고정 브래킷
60 : FB 본체부
61 : 제1각편
62 : 제2각편
69 : 부착부
63 : FB 샤프트 구멍
64 : FB 장공
6A : 나사
7 : 가동 브래킷
70 : MB 본체부
71 : 각편 삽입구멍
72 : 돌출부
79 : 부착부
73 : MB 샤프트 구멍
74 : MB 장공
7A : 나사
8 : 샤프트
8A : 제1나사(메이커용 조정부재)
8D : 가압판
8B : 제2나사(샤프트 고정나사)
8C : 제3나사(가동 브래킷 고정나사)
8E : 제4나사
8N : 너트
8W : 와셔
81 : 제1나사구멍
82 : 제2나사구멍
83 : 제3나사구멍
9 : 편심 칼라(유저용 조정부재)
91 : 수납부
92 : 관통부
93 : 편심부
94 : 결합부
200 : 종래의 편성포의 인하장치
300 : 횡편기
FB : 앞쪽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
GP : 니들베드갭부

Claims (5)

  1.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의 각각의 하방(下方)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base部)와, 각 베이스부의 상방측(上方側)이며 또한 상기 앞쪽 니들베드와 상기 뒤쪽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부(needle bed gap部)로부터 수하(垂下)하는 편성포의 경로인 편성포 통과경로(編成布 通過經路)에 면(面)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안내판(案內板)과, 상기 안내판에 대향(對向)하는 위치로 수하하는 상기 편성포를 포착하여 하방으로 인하하는 포착·인하기구(捕捉·引下機構)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횡편기에 고정되어 있고,
    각 안내판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편성포 통과경로에 근접하는 폐쇄위치(closed position)와, 상기 폐쇄위치보다도 상기 편성포 통과경로로부터 이격(離隔)되는 개방위치(open position)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개폐기구(開閉機構)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의 하방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고정단(固定端), 상기 안내판의 상방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自由端)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폐기구는, 변형에 의해 상기 자유단을 포함하는 상기 안내판의 상방측의 부분인 개폐부(開閉部)를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편성포의 인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개폐부를 가압하는 개폐용 캠(開閉用 cam)을 구비하는 개폐용 캠샤프트(開閉用 camshaft)와,
    상기 개폐용 캠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개폐용 구동부(開閉用 驅動部)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인하기구는,
    상기 편성포를 포착하는 돌기부(突起部)를 갖는 포착부재(捕捉部材)와,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운동시키는 스윙 레버(swing lever)와,
    상기 스윙 레버를 상하로 스윙시키는 인하용 캠(引下用 cam)을 갖는 인하용 캠샤프트(引下用 camshaft)와,
    상기 인하용 캠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인하용 구동부(引下用 驅動部)를
    구비하고,
    상기 인하용 캠샤프트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하운동하는 상기 포착부재에 의해 상기 편성포를 포착하여 인하하고,
    상기 개폐용 구동부는,
    주동풀리(主動pulley)와,
    상기 개폐용 캠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에 종동하는 종동풀리(從動pulley)와,
    상기 특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상기 인하용 캠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풀리를 회전시키고, 상기 특정방향으로의 상기 인하용 캠샤프트의 회전과 상기 주동풀리를 연동(連動)시키지 않는 일방향 회전기구(一方向 回轉機構)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한 쌍의 상기 베이스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기구(間隔調整機構)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조정기구는,
    상기 횡편기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固定 bracket)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가동 브래킷(可動 bracket)과,
    한 쌍의 상기 베이스부의 대향방향(對向方向)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가동 브래킷을 연결하는 샤프트(shaft)와,
    상기 샤프트를 그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와 아울러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상기 가동 브래킷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메이커용 조정부재(maker用 調整部材)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 브래킷을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상기 가동 브래킷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유저용 조정부재(user用 調整部材)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인하장치.
KR1020160063200A 2015-05-25 2016-05-24 편성포의 인하장치 KR101867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5754 2015-05-25
JP2015105754 2015-05-25
JPJP-P-2016-005580 2016-01-14
JP2016005580A JP6280937B2 (ja) 2015-05-25 2016-01-14 編地の引下げ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351A true KR20160138351A (ko) 2016-12-05
KR101867401B1 KR101867401B1 (ko) 2018-06-14

Family

ID=5601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00A KR101867401B1 (ko) 2015-05-25 2016-05-24 편성포의 인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98339B1 (ko)
KR (1) KR101867401B1 (ko)
CN (1) CN1061921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93A (ko) * 2019-06-10 2020-12-1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 인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9979B (zh) * 2019-05-07 2024-04-16 桐乡市巨星针织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磁驱动的编织物牵拉装置
CN112501775A (zh) * 2019-11-06 2021-03-16 湖州中鹏纺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独立自动控制的柔性拉布装置
CN110923934B (zh) * 2019-12-10 2023-11-28 桐乡市强隆机械有限公司 电脑横机的编织物下拉装置
CN112515270B (zh) * 2020-12-11 2023-08-22 孙辉 织物辅助抓取及牵拉装置
CN113062038B (zh) * 2021-03-29 2022-04-01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针织机械的牵拉装置
CN113604953B (zh) * 2021-08-20 2023-05-23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横编织机的自动整理其织物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105A (ja) * 1997-09-05 1999-03-2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645A (ja) * 1991-07-18 1993-08-24 Emm Srl フラット編機等の自動編機における生地の垂直方向引っ張り装置
KR100521798B1 (ko) * 1996-11-06 2006-01-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있어서편지인하장치
JP2007211379A (ja) * 2006-02-10 2007-08-23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引き下げ装置
CN2892906Y (zh) * 2006-05-22 2007-04-25 冯加林 横编织机中的一种传送带卷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105A (ja) * 1997-09-05 1999-03-2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装置
JP3457161B2 (ja) 1997-09-05 2003-10-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93A (ko) * 2019-06-10 2020-12-1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 인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8339A1 (en) 2016-11-30
CN106192187B (zh) 2018-09-04
KR101867401B1 (ko) 2018-06-14
EP3098339B1 (en) 2019-06-26
CN106192187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401B1 (ko) 편성포의 인하장치
JP6280937B2 (ja) 編地の引下げ装置
EP1764432A1 (en) Yarn feeder of yarn feeding device in weft knitting machine
TW201510308A (zh) 用於進送線至針織機之織針的裝置(一)
US7716955B2 (en) Sinker set for the manufacture of plush
TWI591226B (zh) 用於進送線至針織機之織針的裝置(二)
CN102605560B (zh) 一种能调节旋梭位置的双针钉襻机
JP2885530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かがり方式変換装置
JP2008095218A (ja) 端糸挿入装置
CN107735520B (zh) 用于圆形针织机的支撑和控制设备
KR20090009616U (ko) 자수기용 다 색상 스팽글 교체 및 공급장치
KR20140106431A (ko) 재봉기
JP4943035B2 (ja) 玉縁縫いミシン
KR20100097012A (ko)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
US11124908B2 (en) Thread feeding device of decorative stitch sewing machine
US5664511A (en) Thread cutter and drive unit for a chain stitch sewing machine
WO2009033846A1 (en) Straight linking machine for knitted articles, with highly versatile use
KR100512455B1 (ko) 자수기의 스팽글 이중 공급장치
US7568440B2 (en) Thread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2002275745A (ja) 靴下や他の物品の編み機のためのニードル作動装置
JP2017080315A (ja) 糸切機構とミシン
US4197802A (en) Linking machines
US20200270792A1 (en) Flat knitting machine mangling device with position varying with gap size
US8844454B2 (en) Activation device for a path and time dependent motion of a thread cutting and lead-in stitching unit
JP2006183181A (ja) 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