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393A - 편성포 인하장치 - Google Patents
편성포 인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1393A KR20200141393A KR1020200068783A KR20200068783A KR20200141393A KR 20200141393 A KR20200141393 A KR 20200141393A KR 1020200068783 A KR1020200068783 A KR 1020200068783A KR 20200068783 A KR20200068783 A KR 20200068783A KR 20200141393 A KR20200141393 A KR 202001413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 closing shaft
- lowering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편성폭방향의 중간에서의 면압 불균일을 막는 것이 가능하고, 중간에서의 면압 부여가 인하부재 사이를 여는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편성포 인하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편성포 인하장치(1)는,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가압레버(5)를 구비하고, 메인롤러(3, 4) 사이에 면압을 부여한다. 편성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개폐기구는, 요동에 의하여 일방의 메인롤러(4)를 타방의 메인롤러(3)에 대하여 개폐한다. 양측의 개폐기구의 요동은,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개폐축(6)에 의하여 연동시킨다. 가압레버(5)는, 개폐축(6)에 삽입되어 통과되고, 개폐축(6)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개폐축(6)과 가압레버(5)의 사이에는, 절체부재(7)가 삽입된다. 절체부재(7)의 구멍(7c)과 가압레버(5)의 핀(5e) 사이에서 형성되는 연동절체부(12)는, 메인롤러(3, 4) 사이가 닫히더라도, 구멍(7c)과 핀(5e) 사이의 간극의 범위 내에서, 면압 스프링(8)에 의한 면압 부여를 유효하게 하여, 면압 부여가 열리는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편성포 인하장치(1)는,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가압레버(5)를 구비하고, 메인롤러(3, 4) 사이에 면압을 부여한다. 편성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개폐기구는, 요동에 의하여 일방의 메인롤러(4)를 타방의 메인롤러(3)에 대하여 개폐한다. 양측의 개폐기구의 요동은,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개폐축(6)에 의하여 연동시킨다. 가압레버(5)는, 개폐축(6)에 삽입되어 통과되고, 개폐축(6)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개폐축(6)과 가압레버(5)의 사이에는, 절체부재(7)가 삽입된다. 절체부재(7)의 구멍(7c)과 가압레버(5)의 핀(5e) 사이에서 형성되는 연동절체부(12)는, 메인롤러(3, 4) 사이가 닫히더라도, 구멍(7c)과 핀(5e) 사이의 간극의 범위 내에서, 면압 스프링(8)에 의한 면압 부여를 유효하게 하여, 면압 부여가 열리는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서 편성되는 편성포(編成布)를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편성포 인하장치(編成布 引下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는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로부터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편침(編針)의 선단(先端)에 형성되는 훅(hook)에 편사(編絲)를 공급하면서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성포 인하장치는, 편성되는 편성포에 하방으로의 장력(張力)을 작용시킨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특허문헌1의 편성포 인하장치는, 1쌍의 롤러(roller)와, 구동기구와, 개폐기구(開閉機構)와, 개폐축(開閉軸)을 구비한다. 1쌍의 롤러는, 외주의 상호간을 여는 방향과 닫는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각 롤러의 외주는, 원통면이고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주회구동(周回驅動)된다. 각 롤러의 주회구동은, 외주 사이에 편성포를 끼우고 닫은 상태에서,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실시된다. 구동기구는, 편성폭방향 중 적어도 일방(一方)의 단부(端部)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구동한다. 개폐기구는, 편성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양 롤러 사이를 개폐한다. 개폐축은,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의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도록 회전된다. 개폐기구가 갖는 스프링은, 편성포를 끼우는 롤러가 편성포에 면압(面壓)을 걸도록 롤러 사이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편성폭방향의 양측과 중간에, 롤러에 면압을 부여할 수 있는 스프링을 갖는 개폐기구를 구비하고, 중간에도 면압 부여가 가능한 편성포 인하장치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2의 도1을 참조). 이 편성포 인하장치의 개폐기구는, 편성폭방향의 양측을 연결하는 지지축의 주위로 요동(搖動)하는 요동암(搖動arm)을 구비한다. 요동암은, 지지축에 의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의 일방측에서 롤러를 지지하고, 타방(他方)측에서 구동을 받는다. 요동암의 요동은, 롤러 사이를 개폐시킨다. 요동암의 구동은, 지지축과는 별도로, 편성폭방향의 양측을 연결하는 구동축에 설치되는 노치 플랜지(notch flange)를 통하여 실시된다. 면압 부여를 위한 스프링은, 노치 플랜지와 요동암의 사이에 설치되고, 롤러 사이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롤러 사이를 여는 방향으로의 요동암의 요동은, 노치 플랜지의 노치 끝면이 요동암에 설치되는 록킹부재(locking部材)에 접촉하여 구동된다.
횡편기에 있어서 편성폭이 커지게 되면, 편성포 인하장치의 롤러 등은 장척(長尺)으로 된다. 특허문헌1의 편성포 인하장치는, 편성폭의 양측에 설치되는 개폐기구에 의하여 스프링 가압에 의한 면압 부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장척의 롤러 등은 중간에서 휘어지기 쉽게 되어, 스프링에 가까운 양단측은 면압의 효과가 있더라도, 중앙으로 접근할수록 면압의 효과가 없어지게 되어, 면압이 불균일하게 된다. 편성포의 끌어내림은, 편침에 의하여 새롭게 스티치가 형성되고, 먼저 형성된 스티치가 녹오버(knock over)되는 과정에 영향을 준다.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면압이 불균일하여 효과가 약하게 되면, 편성포의 인하력(引下力)이 저하되어 녹오버의 불량에 영향을 준다. 또 면압의 불균일은 편성포의 인하력의 불균일을 초래하여, 편성되는 스티치의 크기나 편성포의 외형치수 등에 영향을 준다.
편성폭방향의 중간에서 면압이 불균일하게 될 우려는, 특허문헌2와 같이 중간에도 면압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하면 생기지 않는다고 기대된다. 그러나 편성폭방향의 양측을 연결하는 축은, 각 개폐기구에 의하여 요동암을 요동시키는 지점이 되는 지지축과, 요동암을 구동하는 노치 플랜지의 구동축이 필요하게 되어, 특허문헌1의 구성과 비교하여 1개가 많아지게 된다. 개폐기구에서의 면압 증대를 위하여 스프링을 신장시키면, 노치 플랜지의 노치 끝면과 요동암의 록킹부재의 간격이 열려 버린다. 롤러 사이를 열도록 구동할 때에는, 노치 끝면을 록킹부재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롤러 사이를 여는 동작이 면압에 따라 지연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성폭방향의 중간에서의 면압 불균일을 막는 것이 가능하고, 중간에서의 면압 부여가 인하부재의 사이를 여는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편성포 인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되고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수하되는 편성포를 끼울 수 있는 1쌍의 인하부재로서,
양 인하부재는, 상호간을 여는 방향과 닫는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고,
각 인하부재는,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주회구동되는 외주를 갖고,
주회구동은, 외주 사이에 편성포를 끼울 수 있는 닫힌 상태에서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실시되는
인하부재와,
편성폭방향 중 적어도 일방측에 설치되는 회전축의 구동기구와,
편성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양 인하부재의 개폐기구와,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의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도록 회전하는 개폐축을
구비하는 편성포 인하장치에 있어서,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설치되고, 개폐축에 대하여 각변위 가능하고, 개폐축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되고, 지점으로부터 지름방향의 일방으로 연장되는 가압암에 의하여 인하부재에 접속되는 가압레버와,
가압레버를 통하여 인하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면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개폐축과 가압레버의 사이에서 간극을 따르면서 연동상태를 절체하는 연동절체부로서,
개폐축이 인하부재 사이를 열 때에는, 개폐축이 가압레버를 인하부재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요동시키고,
개폐축이 인하부재 사이를 닫을 때, 인하부재 사이가 닫힐 때까지는, 면압 스프링의 가압에 의하여 가압레버를 개폐축에 추종하도록 요동시키고, 인하부재 사이가 닫힌 후에는, 간극의 범위 내에서, 개폐축만이 회전하는 상태가 되도록 절체하는 연동절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인하장치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인하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 상기 외주가 되는 인하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개폐축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개폐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레버와의 사이에 상기 연동절체부를 형성하는 절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레버와 상기 절체부재의 일방에는 상기 개폐축과 평행한 핀, 타방에는 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갖고,
상기 연동절체부는, 핀이 구멍에 삽입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축을 수용하여 개폐축의 변형을 제한하는 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압 스프링은, 편성폭방향의 중간에서, 인하부재 사이에 편성포를 끼워둘 때의 면압을 부여하도록 가압레버를 가압하기 때문에, 면압의 효과가 약하게 되어 면압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인하부재 사이를 여는 동작은, 연동절체부의 간극을 없게 한 후에 개폐축에 가압레버를 연동시킨다. 간극은 작기 때문에, 여는 동작은 편성폭방향의 중간에서도 양측에 지연되지 않도록 실시할 수 있다. 연동절체부의 간극은, 부여하는 면압을 증감시켜도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중간에서의 면압 부여가 인하부재 사이를 여는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하부재의 롤러가 장척으로 되더라도 편성폭방향 중간의 면압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축의 회전은 절체부재로부터 연동절체부를 통하여 가압레버에 전달된다. 절체부재는, 개폐축에 의하여 지지되는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여, 인하부재를 닫았을 때에 연동절체부에 간극을 발생시키는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동절체부의 간극은 구멍에 핀을 삽입하는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부재는 편성폭방향의 중간에서 개폐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편성포 인하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2] 도1의 편성포 인하장치(1)의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3] 도1의 편성포 인하장치(1)에 의하여 메인롤러(3, 4) 사이를 닫고 있는 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4] 도1의 편성포 인하장치(1)에 의하여 메인롤러(3, 4) 사이를 열고 있는 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5] 도1의 가압레버(5)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6] 도1의 절체부재(7)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7] 도1의 연동절체부(12)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8]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편성포 인하장치(2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9] 도8의 수용기구(22)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2] 도1의 편성포 인하장치(1)의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3] 도1의 편성포 인하장치(1)에 의하여 메인롤러(3, 4) 사이를 닫고 있는 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4] 도1의 편성포 인하장치(1)에 의하여 메인롤러(3, 4) 사이를 열고 있는 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5] 도1의 가압레버(5)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6] 도1의 절체부재(7)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7] 도1의 연동절체부(12)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8]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편성포 인하장치(2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9] 도8의 수용기구(22)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이하, 도1부터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편성포 인하장치(編成布 引下裝置)(1)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편성포 인하장치(21)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각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인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편성포 인하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편성포 인하장치(1)는, 횡편기(橫編機)(2)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a)의 하방에 설치되고 1쌍의 인하부재(引下部材)인 메인롤러(main roller)(3, 4)를 전후에 구비한다. 메인롤러(3, 4)는, 전측(前側)의 메인롤러(3)가 고정되고 후측(後側)의 메인롤러(4)가 이동하여, 상호간을 여는 방향과 닫는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후측의 메인롤러(4)가 고정되고 전측의 메인롤러(3)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압레버(加壓lever)(5)를 메인롤러(3)의 하방에 설치하면 좋다. 각 메인롤러(3, 4)는,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3a, 4a)과, 심재(芯材)(3b, 4b)와, 외주재(外周材)(3c, 4c)를 갖는다. 회전축(3a, 4a) 및 심재(3b, 4b)는, 예를 들면 금속제(金屬製)이다. 외주재(3c, 4c)는, 예를 들면 고무재 등의 탄성재이고, 외주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을 제외하면, 외주재(3c, 4c)의 외주면은, 회전축(3a, 4a)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다. 메인롤러(3, 4)와 니들베드갭(2a)의 사이에는, 서브롤러(sub roller)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메인롤러(3, 4)나 서브롤러는, 외주 사이를 닫은 상태에서 인하력(引下力)을 발생시킨다. 회전축(3a, 4a)의 구동기구는, 편성폭방향 중 적어도 일방(一方)측에 설치된다. 메인롤러(3, 4)의 개폐기구는,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것이 편성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메인롤러(3, 4) 사이의 면압 부여(面壓 附與)를 위한 스프링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1의 편성포 인하장치(1)는, 면압 스프링(面壓 spring)(8)에 의하여 가압되는 가압레버(5)를 구비하여, 편성폭방향의 중간에서도 메인롤러(3, 4) 사이에 면압을 부여한다.
편성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개폐기구는, 요동(搖動)에 의하여 일방의 회전축(4a)을 타방(他方)의 회전축(3a)에 대하여 개폐한다. 양측의 개폐기구의 요동은,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개폐축(6)에 의하여 연동시킨다. 가압레버(5)는, 개폐축(6)에 삽입되어 통과됨으로써 개폐축(6)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된다. 가압레버(5)는, 지점으로부터 지름방향의 일방으로 연장되는 가압암(加壓arm)(5a)과 타방으로 연장되는 구동암(驅動arm)(5b)을 갖는다. 가압암(5a)은, 후방의 메인롤러(4)의 회전축(4a)에 접속된다. 가압레버(5)는, 개폐축(6)의 주위에 베어링(5c)을 갖기 때문에, 개폐축(6)에 대하여 각변위(角變位)할 수 있게 된다. 가압암(5a)은, 회전축(4a)에 접속되는 부분에 베어링(5d)을 갖는다. 개폐축(6)은, 절체부재(切替部材)(7)를 통하여 가압레버(5)가 요동하도록 구동된다. 절체부재(7)는, 개폐축(6)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지지부(7a)와, 절체부재(7)를 개폐축(6)에 고정하는 고정부(7b)를 포함한다. 지지부(7a)는 구멍(7c)을 갖고, 구멍(7c)은 가압레버(5)의 가압암(5a)측에 설치되는 핀(5e)을 삽입할 수 있다. 구멍(7c)의 내경은 핀(5e)의 외경보다 크다. 고정부(7b)는, 나사(7d)로 개폐축(6)에 대하여 체결된다. 가압레버(5)의 구동암(5b)은 면압 스프링(8)의 장력을 받는다. 이 장력은, 개폐축(6)을 지점으로 하는 가압암(5a)이 메인롤러(4)를 메인롤러(3)에 강하게 누르도록 가압하여, 메인롤러(3, 4) 사이에 면압을 부여한다. 면압 스프링(8)은, 일단(一端)이 구동암(5b), 타단(他端)이 도3,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후방의 프레임(2c)에 걸쳐진다. 가압레버(5), 절체부재(7) 및 면압 스프링(8)은,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조(組)를 배치할 수도 있다.
횡편기(2)는,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9, 10)로부터 편침(編針)을 니들베드갭(2a)으로 진퇴시켜서 편성포(11)를 편성한다. 니들베드(9, 10)는, 횡편기(2)의 프레임(2b)에 의하여 지지된다. 메인롤러(3, 4)는 닫힘으로써, 편성되어 니들베드갭(2a)의 하방으로 수하(垂下)되는 편성포(11)를 끼우고 끌어내릴 수 있게 된다. 메인롤러(3, 4) 사이를 열 필요가 있는 것은, 편성포(11)의 편성시작 시에 편성시작장치를 통과시키기 위함이다. 편성시작은, 하방으로부터 니들베드갭(2a)까지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편성시작장치가 승강(昇降)하여 실시된다.
가압레버(5)에 설치되는 핀(5e)은, 개폐축(6)과 평행하고 절체부재(7)의 구멍(7c)과의 사이에 연동절체부(連動切替部)(12)를 형성한다. 연동절체부(12)는, 개폐축(6)과 가압레버(5)의 사이에서 간극을 따르면서 연동상태를 절체한다. 개폐축(6)이 메인롤러(3, 4) 사이를 여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가압레버(5)는 개폐축(6)으로부터의 구동에 의하여 메인롤러(3, 4)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 개폐축(6)이 메인롤러(3, 4) 사이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메인롤러(3, 4) 사이가 닫힐 때까지 핀(5e)이 구멍(7c)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면압 스프링(8)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가압레버(5)는 개폐축(6)에 추종하여 요동한다. 메인롤러(3, 4) 사이가 닫히면, 가압레버(5)는 요동을 정지한다. 가압레버(5)가 추종하여 요동하지 않게 되더라도, 구멍(7c)과 핀(5e)의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간극의 범위 내에서 개폐축(6)만이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면압 스프링(8)은, 메인롤러(3, 4) 사이에 유효한 면압을 부여한다. 면압 스프링(8)은, 일단과 타단의 사이를 증감시켜서 걸치는 길이를 바꾸거나, 장력을 다른 것으로 바꾸거나 하여, 부여하는 면압을 바꿀 수 있다. 구동암(5b)에 면압 스프링(8)의 일단을 거는 위치를 변경하여, 지점으로부터의 길이를 가변으로 하면, 그 길이의 변화에 의해서도 면압을 바꾸는 것은 가능하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레버(5)와 절체부재(7)는, 개폐축(6)을 따라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메인롤러(4)는, 심재(4b)와 외주재(4c)가 블록 모양으로 회전축(4a)을 따라 배열된다. 블록의 사이에는 스페이서(4d)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메인롤러(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가압레버(5)의 가압암(5a)은, 스페이서(4d)의 대신에 베어링(5d)을 통하여 회전축(4a)에 접속된다. 베어링(5d)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압암(5a)은 회전축(4a)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인하부재로서는, 메인롤러(3, 4)에 한정되지 않고, 서브롤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하부재는, 롤러 모양의 것 뿐만 아니라, 회전축에 의하여 주회구동(周回驅動)되는 벨트 모양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벨트를 사용하면, 편성포(11)를 평면으로 끼우는 것과 같은 경로로 주회하는 인하부재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벨트를 인하부재로 하는 경우에도, 편성폭방향의 중간에서 벨트에 절단자국이 있으면, 그 부분에서 회전축에 가압레버(5)의 가압암(5a)을 작용시키면 좋다. 장척(長尺)의 벨트는, 편성폭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면 절단자국이 생긴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롤러(3, 4) 사이를 닫는 방향은, 면압 스프링(8)의 장력에 의하여 면압을 부여할 수 있다. 면압 스프링(8)은, 가압레버(5)의 구동암(5b)과 횡편기(2)의 후방부분의 프레임(2c)의 사이에 걸친다. 연동절체부(12)의 핀(5e)과 구멍(7c)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 면압 스프링(8)의 장력변경 등에 의하여 메인롤러(4)의 면압이 조정된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롤러(3, 4) 사이를 여는 방향은, 개폐축(6)에 의하여 절체부재(7)를 통하여 가압레버(5)가 신속하게 구동된다.
도5는, 가압레버(5)의 구성을 좌측의 정면도 및 우측의 우측면도로 각각 나타낸다. 가압레버(5)에 있어서 요동의 지점이 되는 개폐축(6)의 삽통부분(揷通部分)은, 베어링(5c)의 내주측이 된다. 베어링(5c)은, 가압레버(5)에 형성되는 장착구멍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가압암(5a)은, 핀(5e)을 압입하는 핀 압입구멍(5f)과, 베어링(5d)을 장착하는 베어링 장착구멍(5g)을 갖는다. 가압레버(5)의 일측면(一側面)은, 기준면(5h)으로 하고, 핀 압입구멍(5f)과의 위치관계를 고정밀도로 형성하여 둠으로써, 압입되는 핀(5e)과의 위치관계도 고정밀도로 된다.
도6은, 절체부재(7)의 구성을 좌측의 정면도 및 우측의 우측면도로 각각 나타낸다. 지지부(7a)에는, 개폐축(6)의 삽통부분이 되는 개폐축구멍(7e)을 형성한다. 고정부(7b)는, 삽입구멍(7f)과 나사구멍(7g)의 중간에 슬릿을 갖고, 삽입구멍(7f)측으로부터 나사구멍(7g)측으로 나사(7d)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개폐축구멍(7e)에 개폐축(6)이 삽입되어 있으면, 체결에 의하여 절체부재(7)는 개폐축(6)에 고정된다. 절체부재(7)의 일측면은, 기준면(7h)으로 하고, 구멍(7c)과의 위치관계를 고정밀도로 형성하여 둔다. 개폐축(6)에 대한 절체부재(7)의 고정은, 다른 기구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개폐축구멍(7e)을 2분할한 부재에 의하여 개폐축(6)을 끼우고 나사로 체결하여도 좋다.
도7은, 연동절체부(12)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도7의 좌측은, 핀(5e)이 구멍(7c)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7의 우측은, 핀(5e)이 구멍(7c)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의 닫힌 상태는 도7의 좌측, 도4의 열린 상태는 도7의 우측에 각각 대응한다. 메인롤러(3, 4) 사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7의 좌측이 되도록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의 상태는, 메인롤러(3, 4) 사이를 닫고, 가압레버(5)와 절체부재(7)의 기준면(5h, 7h) 상호간을 맞추어서 나사(7d)로 고정함으로써 얻어진다. 핀(5e)과 구멍(7c)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면압 스프링(8)에 의하여 부여되는 면압이 효과가 있다. 도7의 우측과 같이 핀(5e)과 구멍(7c)이 접촉되면, 면압 스프링(8)에 대응하는 면압이 효과가 없게 된다. 메인롤러(3, 4) 사이가 닫힘으로부터 열림으로의 이행은,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양측의 개폐기구에 의하여 구동되어, 개폐축(6)으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연동절체부(12)에서는, 도7의 좌측이 되도록 핀(5e)과 구멍(7c)에 간극이 있는 상태로부터, 도7의 우측과 같이 핀(5e)과 구멍(7c)이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구멍(7c)에서 핀(5e)을 눌러서 편성폭방향의 중간부에서도 메인롤러(3, 4) 사이가 열린다. 간극은 작기 때문에, 닫힘으로부터 열림으로의 이행은 거의 지연되지 않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가압레버(5)와 면압 스프링(8)을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구비하면 면압 부여는 할 수 있지만, 연동절체부(12)가 없으면 개폐구동이 실시되지 않아서, 메인롤러(3, 4) 사이를 신속하게 열 수 없다.
가압레버(5)의 요동의 지점이 되는 개폐축(6)으로부터 메인롤러(4)의 회전축(4a)까지의 거리는, 개폐축(6)으로부터 연동절체부(12)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도7의 좌측의 상태에서 핀(5e)에 허용되는 간극의 이동은, 메인롤러(3, 4) 사이의 개폐에서는 더 크게 확대되어, 편성포(11)의 두께 변동 등에 의한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연동절체부(12)에 상당하는 부분은, 가압레버(5)의 구동암(5b) 등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단 본 실시예1의 구동암(5b)에서는, 절체부재(7)의 고정부(7b)측의 배치를 고려한 위치나 형상의 연동절체부(12)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1과 같은 절체부재(7)를 사용하지 않고, 개폐축(6)에 키(key)를 설치하고 가압레버(5)에 형성되는 키홈(key groove)의 폭을 키보다 넓게 하면, 간극을 따르는 연동절체는 가능하다. 절체부재(7)를 사용하는 경우에 절체부재(7)에 핀을 설치하고, 가압레버(5)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핀과 같은 볼록부나 구멍과 같은 오목부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기둥 모양 등 다른 형상이더라도 좋다. 오목부는, 구멍과 같이 관통하지 않고 바닥이 있는 홀(hole)이더라도 좋다. 연동절체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조정은, 기준면(5h, 7h)에서의 위치맞춤과 같이 간접적으로 실시할 뿐만 아니라, 직접 간극을 보면서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편성포 인하장치(2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편성포 인하장치(21)는, 실시예1의 편성포 인하장치(1)의 구성에 수용기구(22)를 추가하고 있다. 수용기구(22)는,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하나 또는 복수 조 설치되지만, 가압레버(5) 및 절체부재(7)에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수용기구(22)는, 개폐축(6)을 수용하여 개폐축(6)의 변형을 제한하는 수용부재(23)를 포함한다. 수용부재(23)는,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설치되고, 개폐축(6)을 밑에서부터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재(23)의 지지는, 조정부재(24) 및 지지부재(25)를 통하여, 후방의 프레임(2d)으로부터 실시한다. 수용부재(23)가 개폐축(6)을 수용하는 위치는 조정나사(26)로 조정할 수 있고, 조정 후에 고정나사(27)로 고정한다. 지지부재(25)는 부착나사(28)로 프레임(2d)에 부착된다.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재(23)는, 대략 반원형의 내주면에서 개폐축(6)을 하방으로부터 수용하기 때문에, 개폐축(6)이 자체중량에 의하여 하방으로 휘어져서, 전후방향으로 휘어지는 것과 같은 변형을 교정하여 막을 수 있다. 수용부재(23)에 원통 모양의 삽통구멍을 형성하여, 개폐축(6)의 전체 둘레를 수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수용부재(23)의 지지는, 후측의 메인롤러(4)에 대한 개폐축(6)에 대하여, 후방의 프레임(2d)으로부터 실시하면 좋다. 메인롤러(3, 4)의 하방의 공간은, 편성포(11)의 편성시작이나 편성포(11)의 배출 등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1, 21 : 편성포 인하장치
2 : 횡편기
2a : 니들베드갭
2b, 2c, 2d : 프레임
3, 4 : 메인롤러
3a, 4a : 회전축
3c, 4c : 외주재
5 : 가압레버
5e : 핀
5h, 7h : 기준면
6 : 개폐축
7 : 절체부재
7a : 지지부
7b : 고정부
7c : 구멍
8 : 면압 스프링
9, 10 : 니들베드
11 : 편성포
12 : 연동절체부
22 : 수용기구
23 : 수용부재
2 : 횡편기
2a : 니들베드갭
2b, 2c, 2d : 프레임
3, 4 : 메인롤러
3a, 4a : 회전축
3c, 4c : 외주재
5 : 가압레버
5e : 핀
5h, 7h : 기준면
6 : 개폐축
7 : 절체부재
7a : 지지부
7b : 고정부
7c : 구멍
8 : 면압 스프링
9, 10 : 니들베드
11 : 편성포
12 : 연동절체부
22 : 수용기구
23 : 수용부재
Claims (5)
-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편성되고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하방으로 수하(垂下)되는 편성포(編成布)를 끼울 수 있는 1쌍의 인하부재(引下部材)로서,
양 인하부재는, 상호간을 여는 방향과 닫는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고,
각 인하부재는,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주회구동(周回驅動)되는 외주를 갖고,
주회구동은, 외주 사이에 편성포를 끼울 수 있는 닫힌 상태에서,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실시되는
인하부재와,
편성폭방향 중 적어도 일방(一方)측에 설치되는 회전축의 구동기구와,
편성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양 인하부재의 개폐기구와,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의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도록 회전하는 개폐축을
구비하는 편성포 인하장치에 있어서,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설치되고, 개폐축에 대하여 각변위(角變位) 가능하고, 개폐축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요동(搖動)하고, 지점으로부터 지름방향의 일방으로 연장되는 가압암(加壓arm)에 의하여 인하부재에 접속되는 가압레버(加壓lever)와,
가압레버를 통하여 인하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면압 스프링(面壓 spring)을
포함하고,
개폐축과 가압레버의 사이에서 간극을 따르면서 연동상태를 절체하는 연동절체부(連動切替部)로서,
개폐축이 인하부재 사이를 열 때에는, 개폐축이 가압레버를 인하부재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요동시키고,
개폐축이 인하부재 사이를 닫을 때, 인하부재 사이가 닫힐 때까지는, 면압 스프링의 가압에 의하여 가압레버를 개폐축에 추종하도록 요동시키고, 인하부재 사이가 닫힌 후에는, 간극의 범위 내에서, 개폐축만이 회전하는 상태가 되도록 절체하는 연동절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인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하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 상기 외주가 되는 인하롤러(引下ro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인하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축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개폐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레버와의 사이에 상기 연동절체부를 형성하는 절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인하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와 상기 절체부재의 일방에는 상기 개폐축과 평행한 핀, 타방(他方)에는 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갖고,
상기 연동절체부는, 핀이 구멍에 삽입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인하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축을 수용하여 개폐축의 변형을 제한하는 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인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08272A JP7204582B2 (ja) | 2019-06-10 | 2019-06-10 | 編地引下げ装置 |
JPJP-P-2019-108272 | 2019-06-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1393A true KR20200141393A (ko) | 2020-12-18 |
KR102393160B1 KR102393160B1 (ko) | 2022-04-29 |
Family
ID=7108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8783A KR102393160B1 (ko) | 2019-06-10 | 2020-06-08 | 편성포 인하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3751039B1 (ko) |
JP (1) | JP7204582B2 (ko) |
KR (1) | KR102393160B1 (ko) |
CN (1) | CN112064189B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5780A (ja) | 1992-08-24 | 1994-03-08 | Sumitomo Metal Ind Ltd | Al合金めっき材 |
EP0893527A2 (en) * | 1997-07-18 | 1999-01-27 | MEC-MOR S.r.l. | Device for tensioning knitted fabrics in knitting machines, particularly in large-diameter circular machines |
KR200303185Y1 (ko) * | 2002-10-29 | 2003-02-06 | 주식회사 혜성기계 | 횡편기의 편직물 인하장치 |
WO2011018891A1 (ja) * | 2009-08-12 | 2011-02-1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編地引下げ装置を備える横編機 |
KR20110018891A (ko) | 2008-05-08 | 2011-02-24 | 세미사우스 래보러토리즈, 인크. | 도전율이 강화된 npt 반도체 채널을 갖는 반도체소자와 그 제조방법 |
KR20160138351A (ko) * | 2015-05-25 | 2016-12-05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편성포의 인하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229031A1 (de) * | 1982-08-04 | 1984-02-09 |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 Warenabzugsvorrichtung fuer flachstrickmaschinen |
JPS6426763A (en) * | 1987-07-22 | 1989-01-30 | Mitsuboshi Seisakusho | Set up apparatus of traverse knitting machine |
JPH0665780B2 (ja) | 1989-10-04 | 1994-08-24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編地引下げ装置 |
DE4212793A1 (de) * | 1992-04-16 | 1993-10-21 | Stoll & Co H | Warenabzugsvorrichtung für Flachstrickmaschinen |
JPH0891635A (ja) * | 1994-09-22 | 1996-04-09 | Ricoh Co Ltd | 用紙搬送装置 |
DE19738013A1 (de) * | 1997-08-30 | 1999-03-04 | Stoll & Co H | Warenabzugswalzenanordnung für Flachstrickmaschinen |
JP5274238B2 (ja) * | 2008-02-15 | 2013-08-28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編地引下げ装置 |
JP2012117186A (ja) * | 2010-12-03 | 2012-06-21 | Shima Seiki Mfg Ltd | 横編機の駆動制御装置 |
JP2012140722A (ja) * | 2010-12-28 | 2012-07-26 | Shima Seiki Mfg Ltd | 編地引下げ装置 |
CN202430437U (zh) * | 2011-12-31 | 2012-09-12 |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 低机号电脑针织横编机的编织物牵拉系统 |
-
2019
- 2019-06-10 JP JP2019108272A patent/JP7204582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6-08 KR KR1020200068783A patent/KR1023931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6-09 EP EP20178932.8A patent/EP3751039B1/en active Active
- 2020-06-10 CN CN202010521793.7A patent/CN11206418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5780A (ja) | 1992-08-24 | 1994-03-08 | Sumitomo Metal Ind Ltd | Al合金めっき材 |
EP0893527A2 (en) * | 1997-07-18 | 1999-01-27 | MEC-MOR S.r.l. | Device for tensioning knitted fabrics in knitting machines, particularly in large-diameter circular machines |
KR200303185Y1 (ko) * | 2002-10-29 | 2003-02-06 | 주식회사 혜성기계 | 횡편기의 편직물 인하장치 |
KR20110018891A (ko) | 2008-05-08 | 2011-02-24 | 세미사우스 래보러토리즈, 인크. | 도전율이 강화된 npt 반도체 채널을 갖는 반도체소자와 그 제조방법 |
WO2011018891A1 (ja) * | 2009-08-12 | 2011-02-1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編地引下げ装置を備える横編機 |
KR20160138351A (ko) * | 2015-05-25 | 2016-12-05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편성포의 인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51039B1 (en) | 2022-09-14 |
KR102393160B1 (ko) | 2022-04-29 |
CN112064189A (zh) | 2020-12-11 |
EP3751039A1 (en) | 2020-12-16 |
JP7204582B2 (ja) | 2023-01-16 |
CN112064189B (zh) | 2022-05-10 |
JP2020200551A (ja) | 2020-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71689B2 (en) | Clutch structure for presser foot of embroidery sewing machine | |
JP5050880B2 (ja) | ミシンの針釜タイミング調節装置 | |
KR20200141393A (ko) | 편성포 인하장치 | |
JP2008019516A (ja) | 織機のロールの支持装置 | |
JP2001303407A (ja) | 編み機用のシンカおよびこれを装備した編み機 | |
JP2013070919A (ja) | ミシン | |
CN111074420B (zh) | 超大隔距经编机的间隔纱恒张力控制装置 | |
JP4953376B2 (ja) | テンプル装置 | |
JP6347981B2 (ja) | 織機におけるイージングロールの退避装置 | |
CN203754973U (zh) | 缝纫机 | |
WO2011018891A1 (ja) | 編地引下げ装置を備える横編機 | |
JP2009293143A (ja) | 紡機のエプロンクレードル | |
US20050034279A1 (en) | Textile machine, in particular spinning mill preparation machine with a drafting equipment | |
TWI278544B (en) | Device for varying stitch tightness fo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the like, particularly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 |
CN110029436B (zh) | 横机的翻针传动机构 | |
JPH09295049A (ja) | 矯正機のガイドローラ | |
JP3817932B2 (ja) | 織機における経糸張力調整装置 | |
US1571855A (en) | Dial-aligning device | |
US3310848A (en) | Supporting and loading arm for drawing mechanism of a spinning machine | |
US2717510A (en) | Knitting machine | |
KR102599655B1 (ko) | 환편기용 가이드 롤러 어셈블리 | |
JP2024082271A (ja) | クランプ装置及び紡績機械 | |
US2760362A (en) | Fabric take-up means for knitting machines | |
KR100771342B1 (ko) | 원형 편물기 | |
US20240199370A1 (en) | Device for positioning a roller or for tensioning a belt, drawing device, spinning unit and spinning machine comprising such a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