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344A -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344A
KR20160138344A KR1020160052114A KR20160052114A KR20160138344A KR 20160138344 A KR20160138344 A KR 20160138344A KR 1020160052114 A KR1020160052114 A KR 1020160052114A KR 20160052114 A KR20160052114 A KR 20160052114A KR 20160138344 A KR20160138344 A KR 20160138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eet
printed board
printed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594B1 (ko
Inventor
다카히사 오이누마
히로시 고가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23/7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954Other 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정된 영역에 배치된 프린트 기판을 용이하게 뽑을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커넥터(3)의 배치 위치측으로부터 커넥터(3)를 뽑는 방향을 향해 연장하고, 커넥터(3)측의 단부(4a)를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 상에 고정하고, 커넥터(3)를 뽑는 방향측의 단부(4b)를 해방시킨 시트 형상 부재(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PRINTED BOARD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의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 및 상기 프린트 기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수리나 업그레이드 등과 같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기기로부터 프린트 기판을 착탈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이러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 전자기기의 보수 작업시에는, 한정된 교환 스페이스에서 프린트 기판의 착탈을 행할 필요가 있어, 착탈 조작이 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프린트 기판을 전자기기의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실장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 본체에 전자기기의 커넥터로부터의 이탈을 보조하는 이젝터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젝터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잡으면서 이젝터를 회동시킴으로써, 이젝터의 누름부가 전자기기의 선반부의 전면을 누르고, 상기 누름의 반력에 의해 프린트 기판이 전자기기의 커넥터로부터 착탈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224003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이젝터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고, 전자기기의 구석진 영역에 프린트 기판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젝터를 이용한 구조를 적용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정된 영역에 배치된 프린트 기판을 용이하게 뽑을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기판은, 전자부품인 커넥터의 배치 위치측으로부터 커넥터를 뽑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커넥터측의 단부를 프린트 기판의 실장면 상에 고정하고, 커넥터를 뽑는 방향측의 단부를 해방시킨 시트 형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한정된 영역에 배치된 프린트 기판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의 시트 형상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의 시트 형상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의 시트 형상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을 장착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장착한 프린트 기판을 뽑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프린트 기판을 전자기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프린트 기판의 전자기기에의 장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프린트 기판(1)은, SSD(Solid State Drive) 혹은 DIMM(Dual Inline Memory Module) 등의 프린트 기판으로서, 각종 연산을 행하는 전자부품(2)이 실장되고, 실장된 전자부품(2)에 접속된 전원단자 등을 갖는 커넥터(3)를 구비한다. 커넥터(3)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직사각형 프린트 기판(1)의 1변(1a)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3)는, 전자기기(10)에 배치된 커넥터 삽입부(11)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3a)를 프린트 기판(1)의 외주 방향으로 개구시켜 마련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에 있어서, 전자부품(2)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 부재(4)를 마련한다.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 부재(4)는, 프린트 기판(1)의 중앙 부분에서부터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는 방향인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 부재(4)는, 커넥터(3)의 개구부(3a)가 위치하는 1변(1a)과 대향하는 쪽의 프린트 기판의 가장자리부(1b)를 향해 연장된다. 시트 형상 부재(4)의 한쪽 단부(4a)를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에 접착시키고, 프린트 기판(1)의 영역 밖에 위치하는 다른 쪽 단부(4b)를 어느 부재에도 접착시키지 않은 해방 상태로 한다. 사용자는, 해방된 단부(4b) 부근을 잡고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게 된다.
도 1에서 도시한 예에서는, 시트 형상 부재(4)의 단부(4b)가 프린트 기판(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하였지만, 단부(4b)의 돌출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해방된 단부(4b)를 잡을 수 있으면 된다.
시트 형상 부재(4)는, 절연성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시트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 형상 부재(4)의 단부(4b)를 잡기 때문에, 사용자의 잡는 동작에 의한 형상의 변화에 적용 가능한 소재 및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PET 수지 시트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 부재(4)를 인쇄 가능한 소재로 구성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 번호 정보(4c) 등의 인쇄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트 형상 부재(4)를 프린트 기판(1)의 제품 정보의 파악에도 이용할 수 있다.
시트 형상 부재(4)의 프린트 기판(1) 상으로의 접착에는, 일반적인 접착 재료를 이용한다. 사용자가 시트 형상 부재(4)의 단부(4b)를 잡고,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기 위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잡아당긴 경우에, 시트 형상 부재(4)가 프린트 기판(1)으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접착 강도를 갖는 접착 재료이면 되고, 접착 재료의 종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 부재(4)를 도시하였지만, 시트 형상 부재(4)의 형상은 여러 가지 구성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1)의 시트 형상 부재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시트 형상 부재(5)를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 및 비실장면인 하면에 접착시키는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트 형상 부재(5)는, 도 1에서 도시한 시트 형상 부재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을 갖지만, 접착면을 2면 갖고 있다. 시트 형상 부재(5)의 접착면(5a)을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에 접착시키고, 중앙부(5b)에서 절곡하여, 다른 한쪽 접착면(5c)을 프린트 기판(1)의 하면에 접착시킨다. 시트 형상 부재(5)의 절곡 위치를 프린트 기판(1)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로 하여, 시트 형상 부재(5)가 프린트 기판(1)에 접착되지 않은 해방된 영역(5d)을 형성한다. 해방된 영역(5d)은,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을 때에 사용자가 잡는 영역이 된다.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 및 하면에 시트 형상 부재(5)를 접착시킴으로써, 도 1에서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잡아당김에 대한 시트 형상 부재(5)의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도 3은 프린트 기판(1) 상에 실장된 전자부품(2)도 포함시켜, 시트 형상 부재(6)로 덮어 접착시키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트 형상 부재(6)는, 직사각형을 가지며, 길이가 짧은 방향의 폭은 프린트 기판(1)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또한, 시트 형상 부재(6)의 길이가 짧은 방향의 폭과, 프린트 기판(1)의 폭이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고, 시트 형상 부재(6)가 프린트 기판(1)의 전자부품(2)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이면 된다. 시트 형상 부재(6)의 접착면(6a)을 프린트 기판(1) 및 전자부품(2)의 상면에 접착시키고, 중앙부(6b)에서 절곡하여, 접착면(6c)을 프린트 기판(1)의 하면에 접착시킨다. 도 2와 마찬가지로, 시트 형상 부재(6)의 절곡 위치를 프린트 기판(1)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로 하고, 시트 형상 부재(6)가 프린트 기판(1)에 접착되지 않은 해방된 영역(6d)을 형성한다. 해방된 영역(6d)은,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을 때에 사용자가 잡는 영역으로 한다.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 및 하면에 시트 형상 부재(6)를 접착시킴으로써, 도 1에서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잡아당김에 대한 시트 형상 부재(6)의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도 3의 구성의 경우, 프린트 기판(1)에 추가하여 전자부품(2)의 상면을 덮도록 시트 형상 부재(6)를 접착시킴으로써, 시트 형상 부재(6)가 전자부품(2)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프린트 기판(1)을 전자기기(10)에 착탈시킬 때에 전자부품(2)이 전자기기(10)의 케이스 혹은 그 밖의 전자부품에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2)을 절연성이 양호한 시트 형상 부재(6)로 덮음으로써, 사용자의 몸에서의 정전기에 의해 전자부품(2)이 고장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도 3에서는,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 및 하면에 시트 형상 부재(6)를 접착시키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프린트 기판(1)의 전자부품(2)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시트 형상 부재(6)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에만 접착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4는 커넥터(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시트 형상 부재(6)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한 시트 형상 부재(6)에, 고정편(6e)을 추가하여 마련하고 있다. 고정편(6e)은 시트 형상 부재(6)의 커넥터(3)측 단부에 형성된다. 프린트 기판(1)의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에 접속한 후, 상기 고정편(6e)을 프린트 기판(1)의 커넥터(3)의 상면, 및 커넥터 삽입부(11)의 상면에 접착시킨다[도 4의 (a) 참조]. 고정편(6e)의 접착력에 의해, 잘못하여 커넥터(3)가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히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6e)에 박리성과 재접착성을 구비한 접착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을 때에, 고정편(6e)을 커넥터(3) 및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벗겨내고, 재차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에 장착할 때에 고정편(6e)을 커넥터(3) 및 커넥터 삽입부(11)에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편(6e)을 커넥터(3) 및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박리한 도 4의 (b)의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영역(6d)을 잡고, 도 1에서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 시트 형상 부재(6)를 잡아당김으로써, 커넥터(3)가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힌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 부재(4, 5, 6)를 설치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시트 형상 부재의 형상 및 크기는 여러 가지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시트 형상 부재를 원형이나 타원으로 구성하여도 좋고, 전자부품(2)의 일부를 덮는 크기여도 좋다.
다음에, 시트 형상 부재(4)를 구비한 프린트 기판(1)을 전자기기(10)에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1)을 구비한 전자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전자기기(10)의 케이스(12)에 끼워지는 커버(13)를 벗긴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전자기기(10)의 케이스(12)에 커버(13)를 끼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한 형상의 시트 형상 부재(4)를 프린트 기판(1)에 접착시킨 경우를 예로 나타낸다.
우선, 전자기기(10)의 케이스(12)로부터 커버(13)를 벗겨 얻어지는 개구 영역(14)의 위쪽으로부터, 프린트 기판(1)을 화살표 B 방향으로 끼워 넣는다. 다음에, 프린트 기판(1)을 화살표 C 방향, 즉 전자기기(10) 내에 설치된 커넥터 삽입부(11)가 배치된 쪽으로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 커넥터(3)가 커넥터 삽입부(11)에 삽입된다.
프린트 기판(1)을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13)를 케이스(12)에 끼워 맞추는 경우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1)의 시트 형상 부재(4)의 단부(4b)를 케이스(12)와 커버(13) 간의 간극으로부터 꺼낸 상태에서 커버(13)를 끼워 맞추어도 좋다. 이에 따라, 다음번 커버(13)를 벗길 때에, 간극으로부터 나온 시트 형상 부재(4)의 단부(4b)를 위쪽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케이스(12)와 커버(13) 간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전자기기(10)의 케이스(12)가 좁은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등, 케이스(12)로부터 커버(13)를 벗기기 위해 충분한 작업 영역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커버(13)를 벗기는 동작의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프린트 기판(1)의 커넥터(3)의 파손을 억제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린트 기판(1)을 장착한 전자기기(10)에 있어서, 장착한 프린트 기판(1)의 커넥터(3)를 파손시키지 않고 뽑을 수 있게 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에서는 전자기기(10)의 케이스(12)의 일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커넥터(3)와 커넥터 삽입부(11) 간의 착탈 영역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는, 전술한 도 5에서 도시한 구성의 시트 형상 부재(4)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트 형상 부재(4)의 단부(4b)는 케이스(12)의 측면을 따라 절곡되어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을 전자기기(10)로부터 뽑아내는 경우, 사용자는 시트 형상 부재(4)의 단부(4b)를 잡고 화살표 D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시트 형상 부재(4)를 화살표 D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커넥터(3)에도 화살표 D 방향의 힘이 가해져, 커넥터(3) 혹은 커넥터 삽입부(11)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6의 (b) 및 도 6의 (c)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다. 도 6의 (b)는 프린트 기판(1)을 전자기기(1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c)는 프린트 기판(1)에 접착시키는 시트 형상 부재(7)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의 케이스(12)의 내벽(12a)에 L자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b, 12c)를 설치하고, 케이스의 내벽(12a)과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b, 12c) 사이에 시트 형상 부재(7)를 통과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트 형상 부재(7)를 화살표 D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가이드 부재(12b, 12c)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의 힘이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는 방향인 화살표 E 방향의 힘으로 변환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b, 12c)를 구비한 케이스(12)에 적용하는 시트 형상 부재(7)를 도 6의 (c)에 나타내고 있다. 시트 형상 부재(7)의 중앙부에 한 쌍의 노치(7a, 7b)를 형성한다. 상기 노치(7a, 7b)를 형성함으로써, 시트 형상 부재(7)가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b, 12c)를 대향하여 배치하여 얻어지는 간격(12d)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프린트 기판(1)을 전자기기(10)로부터 뽑아내는 경우, 우선 시트 형상 부재(7)의 단부(7c)를 잡고 화살표 D 방향으로 끌어올려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는다. 다음에 시트 형상 부재(7)의 노치(7a, 7b)가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b, 12c)의 배치 위치로 이동하면, 노치(7a, 7b)가 가이드 부재(12b, 12c)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12b, 12c)에 의한 시트 형상 부재(7)의 가이드가 해제되고, 전자기기(10)의 개구 영역(14)으로부터 프린트 기판(1)을 꺼낼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프린트 기판(1)을 전자기기(10)의 정면의 커버(13)를 벗겨 꺼내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도 6에서 도시한 화살표 E 방향으로 위치하는 전자기기(10)의 케이스(12)의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킨 시트 형상 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프린트 기판(1)을 뽑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전자기기(10)에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1)에 시트 형상 부재(4)의 단부를 접착시키고, 상기 시트 형상 부재(4)를 커넥터(3)를 뽑는 방향을 향해 연장하며, 뽑는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를 어느 부재에도 접착시키지 않은 해방 상태로 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트 형상 부재의 해방된 단부를 잡고 커넥터를 커넥터 삽입부로부터 뽑을 수 있다. 프린트 기판을 교환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에도, 프린트 기판을 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시트 형상 부재를 프린트 기판(1)에 실장된 전자부품(2)을 덮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자부품의 파손을 억제하고, 사용자의 몸에서의 정전기에 의해 전자부품이 고장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프린트 기판(1)의 실장면 및 하면에 시트 형상 부재(6)의 양단부를 접착시키고, 시트 형상 부재(6)의 절곡 위치의 단부가 해방 상태로 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트 형상 부재의 해방된 단부를 잡고 커넥터를 커넥터 삽입부로부터 뽑을 수 있고, 또한 잡아당김에 대한 시트 형상 부재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시트 형상 부재(6)의 고정편(6e)을 마련하고, 커넥터(3) 및 커넥터 삽입부(11)의 상면에 접착시키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잘못하여 커넥터가 커넥터 삽입부로부터 뽑히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시트 형상 부재(4)를 인쇄 가능한 재료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시트 형상 부재에 식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전자기기(10)의 케이스(12)의 커넥터(3)를 뽑는 방향에 위치하는 내부측 측면에, 시트 형상 부재(7)의 커넥터(3)를 커넥터 삽입부(11)로부터 뽑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뽑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b, 12c)를 설치하고, 시트 형상 부재(7)에 한 쌍의 가이드 부재(12b, 12c)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노치(7a, 7b)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커넥터 및 커넥터 삽입부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커넥터를 뽑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시트 형상 부재의 단부를 프린트 기판(1)에 접착시키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접착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고정 방법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혹은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1 : 프린트 기판
2 : 전자부품
3 : 커넥터
4, 5, 6, 7 : 시트 형상 부재
10 : 전자기기
11 : 커넥터 삽입부
12 : 케이스
12a : 내벽
12c, 12d : 가이드 부재
13 : 커버
14 : 개구 영역

Claims (8)

  1. 전자부품이 실장된 프린트 기판으로서,
    상기 전자부품인 커넥터의 배치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뽑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측의 단부를 상기 프린트 기판의 실장면 상에 고정하고, 상기 커넥터를 뽑는 방향측의 단부를 해방시킨 시트 형상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의 상기 커넥터측의 단부가 접착제를 통해 상기 프린트 기판의 실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는 상기 프린트 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는, 상기 커넥터측의 단부의 일단을 상기 프린트 기판의 실장면 상에 고정하고, 상기 커넥터를 뽑는 방향으로 연장시켜 절곡하고, 상기 커넥터의 배치측으로 연장시켜 상기 커넥터측의 단부의 타단을 상기 프린트 기판의 비실장면 상에 고정하고, 상기 절곡에 의해 형성된 단부를 해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실장면 상에 고정하는 단부에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는 인쇄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프린트 기판의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커넥터를 실장하는 상기 프린트 기판을 뽑는 방향에 위치하는 내부측 측면에, 상기 프린트 기판의 시트 형상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형상 부재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간극을 통과할 수 있는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60052114A 2015-05-25 2016-04-28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KR101820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5560A JP6562714B2 (ja) 2015-05-25 2015-05-25 電子機器
JPJP-P-2015-105560 2015-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344A true KR20160138344A (ko) 2016-12-05
KR101820594B1 KR101820594B1 (ko) 2018-02-28

Family

ID=5745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114A KR101820594B1 (ko) 2015-05-25 2016-04-28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62714B2 (ko)
KR (1) KR101820594B1 (ko)
CN (1) CN10621154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4003A (ja) 1997-02-06 1998-08-21 Nec Tohoku Ltd プリント配線基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7580U (ko) * 1980-04-07 1981-11-06
JPS5956745A (ja) * 1982-09-24 1984-04-02 Sharp Corp 電子部品
JPS6231381U (ko) * 1985-08-08 1987-02-25
JPS62136075U (ko) * 1986-02-20 1987-08-27
JPH0738507B2 (ja) * 1988-07-27 1995-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ケース付きプリント基板
JP3302461B2 (ja) * 1993-08-13 2002-07-15 アンリツ株式会社 パッケージ取外し機構
JP2000235634A (ja) * 1999-02-15 2000-08-29 Ricoh Co Ltd カード型電子機器およびそのカード型電子機器を搭載可能な電子機器
CN2757494Y (zh) * 2004-12-01 2006-02-0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软性电路板
JP4921006B2 (ja) * 2006-03-20 2012-04-1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ユニット品
JP4827971B2 (ja) * 2007-09-21 2011-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4003A (ja) 1997-02-06 1998-08-21 Nec Tohoku Ltd プリント配線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11546A (zh) 2016-12-07
CN106211546B (zh) 2019-06-04
KR101820594B1 (ko) 2018-02-28
JP2016219701A (ja) 2016-12-22
JP6562714B2 (ja)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461B2 (en) Device for sticking film on display screen
WO2008035410A1 (fr) Élément de connexion de rails, mécanisme de support d'unité, et dispositif électronique
WO2016204172A1 (ja) 保護フィルム貼付用治具
JP2015211022A (ja) 携帯機器
JP2015215587A (ja) フィルム貼付補助具
JP2013051409A (ja) 拡張カード固定装置及び電子設備
US10804509B2 (en) Battery-fix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575857B2 (ja) バッテリ固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電子装置
KR101820594B1 (ko)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JP6169709B2 (ja) 携帯情報端末におけるフィルム類貼り付け用補助具及びフィルム類の貼り付け方法
JP4023685B2 (ja) 固定具
KR101250080B1 (ko) 액정보호필름 설치기구 및 그 설치방법
CN107533818B (zh) 显示装置
US8785783B2 (en) Protective cove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11767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保護装置、画像形成装置
US20140113505A1 (en) Fixing sheet and electronic apparatus
JP4867977B2 (ja) プラグ外し補助具
JP6310338B2 (ja) 保護材付保護フィルム、保護材、及び保護フィルムの粘着方法
CN212357757U (zh) 干衣机
JP7245471B2 (ja) 保護フィルムの貼付方法及び保護フィルムの貼付装置
CN217123975U (zh) 一种贴膜装置和贴膜组件
JP2019140356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JP5006418B2 (ja) 電子機器
JP2012158689A (ja) 束線シートおよび束線シートを用いた機器
JP2017037220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