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954A -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 Google Patents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954A
KR20160134954A KR1020150067148A KR20150067148A KR20160134954A KR 20160134954 A KR20160134954 A KR 20160134954A KR 1020150067148 A KR1020150067148 A KR 1020150067148A KR 20150067148 A KR20150067148 A KR 20150067148A KR 20160134954 A KR20160134954 A KR 2016013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rmented
fermentation
m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201B1 (ko
Inventor
박진균
Original Assignee
박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균 filed Critical 박진균
Priority to KR102015006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20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에 관한 것으로 (A)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로 이루어진 천년초 원물을 구비하는 단계; (B) 천년초 원물, 원당 희석액, 엿기름액 및 야마씨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에 바실러스속 균주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점성이 낮아져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으며 천년초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A manufacturing method of cactus fermented liquid and cactus fermented liquid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낮은 점성을 가지며 천년초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류 중에 인체의 생체리듬을 조절하고 질병의 방지와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는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천연 식물들 중 선인장은 건조한 기후에 적응력이 뛰어난 식물로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선인장의 줄기를 변비치료, 이뇨작용, 장운동의 활성화 및 식욕증진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고, 특히 줄기는 피부질환, 류마티스 및 화상치료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신경성 통증을 치료하고, 건위자양강장제, 해열진정제로, 그리고 소염해독, 급성 유선염, 이질을 치료하는데 이용되었으며, 피를 맑게 하고 하혈을 치료하는 목적으로도 쓰여졌으며 관상용 뿐만 아니라 기능성 물질로 재조명되고 있어서 치약, 비누, 화장품 등 여러 상용화 제품들이 개발되어 나오고 있다.
다양한 선인장 중 천년초 선인장(Opuntia humifusa)은 한국 토종 선인장으로서, 손바닥 선인장이라고도 불리우며, 제주도의 백년초 선인장이나 일반 선인장과는 달리 영하 20 ℃의 혹한에서도 얼어죽지 않고 겨울을 나는 다년생 식물이다.
상기 천년초 선인장은 황토와 사질토가 섞여있는 토양에서 자라며, 병충해에 죽지 않으므로 농약 등 제초제나 화학비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약성이 강한 식물로서, 특히 항산화성 물질인 페놀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다른 어떤 식물군보다 다량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는 물론, 항암, 각종 성인병에 대한 면역력 강화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천년초 선인장에는 이외에 식이섬유, 비타민 C, 칼슘, 무기질 및 아미노산, 복합다당류 등과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건강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천년초는 영양학적 또는 약리학적으로 우수한 식물로서, 동의보감에서는 소염 진통 및 폐결핵 완화를 언급하고 있고, 중약대사전에서는 기의 흐름과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열을 식히고 독을 풀어주는 기능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멕시코에서는 당뇨병 치료제로 천년초 성분 함유 캡슐 및 정제약을 개발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천년초를 그대로 갈아서 음용하거나 또는 장시간 가열하여 그 추출액을 만들어서 음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천년초를 갈아서 그대로 먹는 경우에는 영양성분의 파괴가 없어서 영양학적으로 바람직하기는 하나, 천년초에 함유된 페르펜 성분에 의해 역겨운 냄새가 날뿐만 아니라 점성이 높아 먹기에 다소 거북스럽다.
또한, 고온으로 가열하여 제조된 추출액은 장시간의 가열처리에 의해 영양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파괴될 뿐만 아니라 천년초가 열에 노출됨에 따라 고유의 향이나 맛, 색 등이 변화되고 신선함이 떨어져서 오히려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천년초 특유의 역겨운 냄새는 제거하고 우수한 맛을 보일 뿐만 아니라 높은 점성을 낮추어 다양한 제품에 이용할 수 있는 천년초 발효액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8575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775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790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점성을 가지며 천년초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A)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로 이루어진 천년초 원물을 구비하는 단계;
(B) 천년초 원물, 원당 희석액, 엿기름액 및 야마씨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에 바실러스속 균주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천년초의 뿌리, 줄기 및 열매는 1 : 4-8 : 10-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천년초 원물은 아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상태는 온도가 20 내지 80 ℃이고, 압력이 50 내지 100 kg/㎠이며, 아임계 유체의 밀도가 0.6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천년초 원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원당 희석액 100 내지 200 중량부, 엿기름액 1 내지 15 중량부 및 야마씨 1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원당 희석액은 원당을 5 내지 10배 희석한 용액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엿기름액은 엿기름 가루와 물을 교반한 후 방치하여, 가라앉은 엿기름 가루 부산물과 분리된 상등액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바실러스 균주는 천년초 원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의 중량부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바실러스 균주는 B. 서브틸리스(subtilis), B. 세레우스(cereus), B. 쑤린지엔시스 97-27(thuringiensis 97-27), B. 웨이헨스테판넨시스(weihenstephanensis) 및 B. 아밀로리퀴파시엔스(amyloliquefacien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발효는 25 내지 32 ℃의 온도에서 40 내지 100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년초 발효액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년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년초 발효액은 천년초 선인장 자체 또는 아임계 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추출한 원물, 엿기름액, 야마씨 및 바실러스속 균주 등을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1000 내지 1500 cP의 점성을 만족하여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으며, 천년초 특유의 냄새가 제거될 뿐만 아니라 맛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년초 발효액은 점성이 낮고 천년초 특유의 냄새가 제거되므로 식품 원료, 주류 원료, 사료 원료, 화장품 원료, 의료약품 원료, 공업 제품 원료, 농업 제품 원료 등에 적용되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낮은 점성을 가지며 천년초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A)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로 이루어진 천년초 원물을 구비하는 단계; (B) 천년초 원물, 원당 희석액, 엿기름액 및 야마씨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에 바실러스속 균주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천년초 선인장의 뿌리, 줄기 및 열매를 이용하여 천연초 원물을 수득한다.
상기 천년초 원물은 천년초 선인장의 뿌리, 줄기 및 열매 자체 또는 천년초 선인장의 뿌리, 줄기 및 열매를 아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한 천년초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는 1 : 4-8 : 10-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5-6 : 11-13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천년초 뿌리를 기준으로 줄기 및/또는 열매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맛이 저하되고 천년초 특유의 향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점성이 많이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를 아임계 유체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아임계 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탄소가 아니라 에틸렌, 에탄, 프로판, 아세틸렌, 암모니아, 물 등을 사용하면 점성이 낮으며 천년초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발효액을 얻을 수 없다.
상기 아임계 상태는 온도가 20 내지 80 ℃이고, 압력이 50 내지 100 kg/㎠이며, 아임계 유체의 밀도가 0.6 내지 1.0이다. 아임계 상태의 온도, 압력 및 밀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갖는 천년초 발효액을 얻을 수 없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원당 희석액, 엿기름액, 야마씨 및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천년초 원물을 혼합한다.
상기 혼합물은 천년초 원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원당 희석액 100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 중량부; 엿기름액 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 및 야마씨 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된다.
상기 원당(정제되지 않은 설탕) 희석액은 바실러스속 균주에 의해 발효시 점성을 더욱 낮추고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원당을 정제수로 5 내지 10배 희석한 용액이다. 원당을 상기 범위에 따라 희석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
원당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점성이 더욱 낮아지지 않고 맛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점성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엿기름액은 엿기름액에 함유된 아밀라아제에 의해 점성을 낮추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엿기름 가루와 물을 교반한 후 방치함으로써 가라앉은 엿기름 가루 부산물과 분리된 용액이다. 상기 엿기름액으로 엿기름 가루 부산물이 섞인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낮아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며 원하는 점성이 얻어지는 시점에는 맛이 저하되고 좋지 못한 향이 발생되므로 엿기름 가루 부산물과 분리된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엿기름액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점성이 더욱 낮아지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소비자가 선호하지 않는 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야마씨는 단백질, 필수 지방산, 오메가-3, 오메가-6 및 식이섬유 등이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서, 원당 및 바실러스속 균주와의 혼합에 의해 원하는 점성으로 발효가 빨리 진행되도록 도와주며 추출물에 남아있는 천년초 특유의 향을 완전히 제거하고 엿기름과의 혼합에 의해 맛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야마씨는 야마씨 자체 또는 평균입경이 100 내지 200 메쉬인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야마씨 분말의 평균입경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가 빨리 진행되도록 도와주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물에 침지시 물에 점성이 생기는 특성에 의해 점성이 증가할 수 있다.
야마씨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천년초 특유의 향을 제거하지 못하고 맛을 향상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물에 침지시 물에 점성이 생기는 특성에 의해 점성이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바실러스속 균주를 혼합하여 25 내지 32 ℃의 온도에서 40 내지 100일,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일 동안 발효시킨다.
상기 바실러스속 균주는 상기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는 균주로서, 바실러스속 균주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 없으며; 바실러스속 균주 대신 와이셀라 균주, 박테리아 균주, 페디오코커스 등을 다른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는 있지만 소비자가 선호하지 않는 향이 발생하며 맛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속 균주로는 B. 서브틸리스(subtilis), B. 세레우스(cereus), B. 쑤린지엔시스 97-27(thuringiensis 97-27), B. 웨이헨스테판넨시스(weihenstephanensis) 및 B. 아밀로리퀴파시엔스(amyloliquefacien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속 균주는 천년초 원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의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의 중량부로 혼합된다. 바실러스속 균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맛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발효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시간이 길어지면서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발효과정에서 변질되어 향 및 맛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발효 기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발효과정에서 변질되어 향 및 맛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발효물을 여과하여 천년초 발효액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은 식품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예컨대, 껌)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천년초 발효액 1 중량부, 껌베이스 50 내지 90 중량부, 솔비톨 100 내지 200 중량부, 연화제 0.5 내지 1 중량부, 자일리톨 1 내지 5 중량부g, 유화제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품 조성물(예컨대, 가용화 제형)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물 100 중량부, 천년초 발효액 0.1 내지 10 중량부, 농글리세린 1 내지 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0.5 내지 3 중량부, EDTA-2Na 0.01 내지 0.1 중량부, 색소 0.0001 내지 0.001 중량부, 알코올(95%) 5 내지 20 중량부,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내지 1 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료 조성물(예컨대, 동물 사료)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천년초 발효액 100 중량부, 캐슈넛트박 30 내지 70 중량부, 땅콩박(압착식) 1 내지 10 중량부, 파인애플박 1 내지 10 중량부, 미강 5 내지 20 중량부, 망고씨앗 1 내지 10 중량부, 칼슘석회 0.5 내지 5 중량부, 소금 0.1 내지 1 중량부, 및 탄닌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엿기름액 제조
엿기름 가루와 물을 5분 동안 교반한 후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가라앉은 엿기름 가루 부산물을 제외한 상등액을 분리하여 엿기름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엿기름액 + 엿기름 가루 부산물 제조
엿기름 가루와 물을 5분 동안 교반하여 엿기름 가루 부산물이 함유된 엿기름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 자체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를 세척 후 줄기 및 열매만 절단하여 준비한 다음 뿌리, 줄기 및 열매를 1 : 6 :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천년초 원물 100 중량부, 원당 희석액 150 중량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엿기름액 5 중량부 및 야마씨 8 중량부를 혼합한 후 발효통에 넣고 B. 아밀로리퀴파시엔스 0.05 중량부 및 정제수 70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입구를 천으로 덮고 27 에서 60일 동안 발효를 수행하고 여과하여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임계 이산화탄소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를 세척 후 줄기 및 열매만 절단하여 준비한 다음 뿌리, 줄기 및 열매를 1 : 6 :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천년초 혼합물을 아임계 추출조에 넣고 밀봉 후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60 kg/㎠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25 ℃로 조절하여 아임계유체의 밀도가 0.6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을 실시하였다. 상기 천년초 추출물 100 중량부, 원당 희석액 150 중량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엿기름액 5 중량부 및 야마씨 8 중량부를 혼합한 후 발효통에 넣고 B. 아밀로리퀴파시엔스 0.05 중량부 및 정제수 70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입구를 천으로 덮고 27 ℃에서 60일 동안 발효를 수행하고 여과하여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초임계 이산화탄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아임계 추출 조건 대신 초임계 추출 조건인 113 kg/㎠으로 압력을 맞춘 다음 온도를 높여 40 ℃로 조절하여 초임계유체의 밀도가 0.7이 되도록 조절한 후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천년초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야마씨 생략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야마씨를 사용하지 않고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바실러스속 균주 생략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B. 아밀로리퀴파시엔스를 사용하지 않고 발효하여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아임계수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아임계 이산화탄소 대신 아임계수를 사용하여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제조예 2의 엿기름액 사용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조예 1 대신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엿기름액을 사용하여 천년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
시험예 1. 점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을 점도 측정기(brookfield, HBDV-E, us)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시료를 3회씩 측정 후 평균값(cP)을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점성(cP) 1430 1310 1620 1730 1840 1950 1610
일반적으로 발효액의 점성이 1000 내지 1500 cP(옥수수 시럽: 1380 cP)이어야 다른 물질과의 혼합이 용이하여 다양한 제품 제조시 적용할 수 있다.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은 1000 내지 1500 cP 범위를 만족하는 점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5의 천년초 발효액은 점성이 높아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2.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천년초 발효액에 혈청이 2.5%함유되어 있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천년초 발효액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시그마, 미합중국) 솔루션(3mg/ml)을 첨가하여 세포 생존율을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미국)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시험물질 흡광도-대조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세포 생성 증가율(%) 135.2 138.4 95.1 101.2 90.4 92.7 99.7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은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세포 생성 증가율이 훨씬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관능 검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을 전문패널 20명에게 시식하게 한 후 9점 척도법(정도가 클수록 9점에 가까움)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향, 맛, 기호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 1=매우 나쁘다, 9점=매우 좋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8.0 8.4 4.2 5.1 6.2 5.4 5.8
8.2 8.7 5.8 4.4 5.0 5.5 5.3
기호도 8.1 8.6 5.5 4.7 4.8 5.0 5.1
전반적인 기호도 8.2 8.6 5.6 4.7 5.0 5.1 5.0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은 향, 맛, 기호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A) 천년초 뿌리, 줄기 및 열매로 이루어진 천년초 원물을 구비하는 단계;
    (B) 천년초 원물, 원당 희석액, 엿기름액 및 야마씨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에 바실러스속 균주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천년초의 뿌리, 줄기 및 열매는 1 : 4-8 : 10-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천년초 원물은 아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임계 상태는 온도가 20 내지 80 ℃이고, 압력이 50 내지 100 kg/㎠이며, 아임계 유체의 밀도가 0.6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천년초 원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원당 희석액 100 내지 200 중량부, 엿기름액 1 내지 15 중량부 및 야마씨 1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원당 희석액은 원당을 5 내지 10배 희석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엿기름액은 엿기름 가루와 물을 교반한 후 방치하여, 가라앉은 엿기름 가루 부산물과 분리된 상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바실러스 균주는 천년초 원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의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바실러스 균주는 B. 서브틸리스(subtilis), B. 세레우스(cereus), B. 쑤린지엔시스 97-27(thuringiensis 97-27), B. 웨이헨스테판넨시스(weihenstephanensis) 및 B. 아밀로리퀴파시엔스(amyloliquefacien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발효는 25 내지 32 ℃의 온도에서 40 내지 100일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12. 제11항의 천년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3. 제11항의 천년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14. 제11항의 천년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150067148A 2015-05-14 2015-05-14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KR10172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148A KR101727201B1 (ko) 2015-05-14 2015-05-14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148A KR101727201B1 (ko) 2015-05-14 2015-05-14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54A true KR20160134954A (ko) 2016-11-24
KR101727201B1 KR101727201B1 (ko) 2017-04-17

Family

ID=5770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148A KR101727201B1 (ko) 2015-05-14 2015-05-14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56A (ko) * 2016-12-21 2018-06-29 김시엽 천년초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천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N115252671A (zh) * 2022-08-05 2022-11-01 黑龙江东方学院 仙人掌果花色苷在制备调控肠道菌群产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217B1 (ko) * 2009-12-24 2010-06-03 충청남도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천년초선인장 발효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56A (ko) * 2016-12-21 2018-06-29 김시엽 천년초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천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N115252671A (zh) * 2022-08-05 2022-11-01 黑龙江东方学院 仙人掌果花色苷在制备调控肠道菌群产品中的应用
CN115252671B (zh) * 2022-08-05 2023-06-20 黑龙江东方学院 仙人掌果花色苷在制备调控肠道菌群产品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201B1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181371B1 (ko)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3668B1 (ko)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04130081A (zh) 一种莲雾专用肥
KR20140030442A (ko) 새싹 발효액과 인삼열매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조성물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727201B1 (ko) 천년초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년초 발효액
KR101018061B1 (ko) 대추 잼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잼
KR20170008102A (ko) 차가버섯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9194A (ko) 기능성 천연고추장 제조방법
KR100830403B1 (ko) 손바닥선인장 발효액과 포도씨추출물이 함유된 천연화장료조성물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20170054594A (ko) 뽕잎분말이 함유된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2135014B1 (ko) 꾸지뽕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2890A (ko) 약용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KR101843989B1 (ko) 천년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김치 양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2211523B1 (ko) 건강식품용 환 및 그 제조방법
CN107312692B (zh) 一种金花葵苦荞酒的生产方法
CN103535575A (zh) 一种新型的玫瑰花粉片产品配方及生产工艺
KR102415159B1 (ko) 혼합 벌꿀 제조 시스템
KR102508753B1 (ko) 녹용 농축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