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632A -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632A
KR20160133632A KR1020150066368A KR20150066368A KR20160133632A KR 20160133632 A KR20160133632 A KR 20160133632A KR 1020150066368 A KR1020150066368 A KR 1020150066368A KR 20150066368 A KR20150066368 A KR 20150066368A KR 20160133632 A KR20160133632 A KR 20160133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ed
composition
persimmon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264B1 (ko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102015006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26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을 이용하되, 꾸지뽕의 잡내를 제거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방법은 물과 꾸지뽕 열매를 혼합하고, 일정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꾸지뽕 추출물을 얻는 단계, 완숙된 감을 일정시간 끓여 여과하여 감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꾸지뽕 추출물 및 감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온보다 낮은 저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에서 숙성된 꾸지뽕 및 감 혼합물과 발효된 동아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 CUDRANIA TRICUSPIDATE BUREAU COMPOSITION FOR A BEVERAG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꾸지뽕을 이용하되, 꾸지뽕의 잡내를 제거한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꾸지뽕 나무의 우수한 약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꾸지뽕 나무(Cudrania tricuspidata(Carr.) Bureau ex Lavallee)는 속명으로서 구지뽕나무, 굿가시나무, 활뽕나무라 불리우고,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꾸지뽕 나무의 뿌리껍질, 나무질부, 나무껍질 및 잎에는 인체에 유효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래로부터 꾸지뽕 나무는 그 뿌리, 껍질, 줄기, 잎, 나무껍질, 열매 등 부위에 따라 혈압강하제, 결핵치료제, 해열제, 건해제, 거담제, 이뇨제, 지혈제, 거풍제 등의 약재로 이용되었으며, 항진균제로서 무좀에 사용하고 소화기관의 허약에 의한 만성소화불량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꾸지뽕 나무의 열매는 취과로 둥글며 지름이 2.5cm 내외이며, 9월∼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과육은 달고 식용이 가능하다. 그 열매에는 비타민 B, B1,B2, 비타민 C, 리놀레인산, 포도당, 말토스, 후럭토스, 사과산, 레몬산 등 유용한 유기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꾸지뽕 나무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노보이드를 함유하고 있어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음이 동의보감, 약성감, 본초강목 등에서 고대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유전공학연구실의 "꾸지뽕 나무로부터 분리한 신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제니쿠드라닌의 화학구조 및 생물활성"이란 논문에 의하면, 꾸지뽕 나무의 줄기 껍질에 폐암, 대장암, 피부암, 자궁암등에 효과가 놓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359803호(등록일:2014.01.29.,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특유의 냄새를 가진 꾸지뽕을 누구나 식음할 수 있도록 냄새를 제거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물과 꾸지뽕 열매를 혼합하고, 일정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꾸지뽕 추출물을 얻는 단계; 완숙된 감을 일정시간 끓여 여과하여 감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꾸지뽕 추출물 및 감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온보다 낮은 저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에서 숙성된 꾸지뽕 및 감 혼합물과 발효된 동아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꾸지뽕 추출물은 물 6리터를 기준으로 1 내지 2kg의 꾸지뽕 열매를 가열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꾸지뽕 추출물은 꾸지뽕 열매에 대하 15 ~ 25wt%의 꾸지뽕 잎을 더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발효 쌀누룩을 25 내지 35wt%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아는 적어도 6개월 이상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은 0 내지 2℃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꾸지뽕 추출물 및 감 추출물을 혼합비는 3 :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숙성된 꾸지뽕 및 감 혼합물에 혼합되는 발효된 동아의 혼합비는 감 추출물 양의 40 내지 60w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 쌀누룩은 현미쌀과 보리쌀을 각각 2kg 혼합한 혼합미를 기준으로, 적어도 12시간 물에 침지하여 불린 상기 혼합미를 1시간 내지 2시간 쪄서 고두밥을 만들고, 식힌 고두밥에 쌀누룩 1k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상온에서 발효시켜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은 상기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꾸지뽕 음료는 상기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꾸지뽕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부드러운 식감으로 간편하게 꾸지뽕을 섭취할 수 있어 누구나 식음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써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물과 꾸지뽕 열매를 혼합하고, 일정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꾸지뽕 추출물을 추출한다(S110).
이때, 꾸지뽕 추출물은 물 6리터를 기준으로 1 내지 2kg의 꾸지뽕 열매를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물 6리터를 기준으로 1 내지 2kg의 꾸지뽕 열매와 꾸지뽕 열매에 대한 15 ~ 25wt%의 꾸지뽕 잎을 더 혼합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꾸지뽕 추출물은 꾸지뽕의 씨앗 및 꾸지뽕 잎이 여과된 꾸지뽕 과육이 포함된다.
꾸지뽕 열매 및 꾸지뽕 잎을 가열하기 전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이 전처리되어야 함은 자명하고, 꾸지뽕 잎은 꾸지뽕 열매의 15 ~ 25wt%의 양이 바람직하다.
이때, 꾸지뽕 잎이 25wt%를 초과하면 우러나는 꾸지뽕 잎의 농도가 진해 꾸지뽕 열매의 맛을 없앨 수 있고, 꾸지뽕 잎이 15wt% 미만이면, 꾸지뽕 잎의 약리적 효과가 미미 할 수 있다.
꾸지뽕 잎은 혈액순환, 고혈압, 및 고혈당에 효과가 좋다.
여기서, 물의 양은 꾸지뽕 열매 및 꾸지뽕 잎의 양과 비례하고, 물의 양이 2/3로 줄어들 때까지 가열한다.
예를들어, 꾸지뽕 열매 2kg 및 꾸지뽕 잎이 400g이면 물의 양은 12리터가 되고, 물이 8리터가 될 때까지 가열하게 된다.
이어서, 완숙된 감을 일정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감 추출물을 추출한다(S120). 이때, 완숙된 감이라 함은 단맛을 내는 홍시 또는 단감을 의미하며, 홍시를 가열할 경우 홍시만으로도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홍시만을 가열할 수 있으나, 단감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경우 단감 양의 50wt% 이내에 해당하는 물을 넣고 가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완숙된 감을 가열하여 감 추출물을 추출하면, 감 추출물의 당도가 높아지고, 맛 및 색의 변질을 막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꾸지뽕 추출물 및 감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온보다 낮은 저온에서 숙성시킨다(S130). 이때, 저온 숙성 온도는 0 내지 2℃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숙성온도가 0℃미만이면 혼합된 꾸지뽕 추출물 및 감 추출물이 얼고, 2℃를 초과하면 발효되어 식초로 변하게 된다.
또한, 꾸지뽕 추출물 및 감 추출물의 혼합비는 3 : 2 비율로 혼합함이 단맛과 꾸지뽕의 효능을 적절히 배가시키는 가장 알맞은 비율이나, 식음자의 식성에 따라 꾸지뽕 추출물을 감 추출물의 1.5배 내지 2배정도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숙성된 꾸지뽕 및 감 혼합물과 발효된 동아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다(S140). 이때, 상기 숙성된 꾸지뽕 및 감 혼합물에 혼합되는 발효된 동아의 혼합비는 감 추출물 양의 40 내지 60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아는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열매는 원형에서 타원형의 생김새를 가지고 있으며, 해독 및 피부건강에도 효과가 있다.
동아는 오랜 보관이 어려움으로 서리가 온 뒤에 채취하여 세정한 후, 절단하여 씨와 함께 용기에 넣고, 설탕을 동아와 동일한 양으로 넣어 혼합한다.
이후, 상온에서 6개월 이상 발효한 후, 여과하여 효소를 숙성시킨다.
이때, 발효 시 온도는 상온으로 계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20℃ 내지 25℃ 범위가 바람직하며, 20℃ 보다 낮거나 25℃ 보다 높으면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여과된 효소 숙성 시, 온도는 20℃ 내지 25℃ 범위가 바람직하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숙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아의 유리어스(urease) 성분과 감의 탄닌 성분을 발효한 효소를 이용하여 꾸지뽕의 특유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1
꾸지뽕 열매 1kg과 건조된 잎 200g을 잘 세정하여 물 6리터를 부어 100~120℃의 열로 가열하여 물이 4리터가 되도록 끓여 여과 정제한 꾸지뽕 추출물을, 감은 끓여 여과한 감 추출물, 및 동아는 상온에서 6개월 이상 발효하여 여과해 효소를 숙성하여 사용하였다.
꾸지뽕 추출물 : 감 추출물 : 발효 동아를 각 3:2:1비율로 혼합하여 0~2℃로 숙성시켜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1 제조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꾸지뽕 추출물 : 감 추출물 : 발효 동아의 비율을 1:1:1 비율로 혼합하여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2 제조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꾸지뽕 추출물 : 감 추출물 : 발효 동아의 비율을 3:2:2 비율로 혼합하여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3 제조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꾸지뽕 추출물 : 감 추출물 : 발효 동아의 비율을 3:1:2 비율로 혼합하여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4 제조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꾸지뽕 추출물 : 감 추출물 : 발효 동아의 비율을 2:2:1 비율로 혼합하여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5 제조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꾸지뽕 추출물 : 감 추출물 : 발효 동아의 비율을 2:1:2 비율로 혼합하여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 검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에 대해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1과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대해서도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꾸지뽕을 이용한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들의 향, 맛, 및 기호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관능검사는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대에서 50대 남녀를 각각 연령별로 10명씩 총 50명을 선발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7점 척도법(1점: 아주 싫다, 2점: 싫다. 3점: 약간 싫다. 4점: 보통이다, 5점: 약간 좋다, 6점: 좋다, 7점: 아주 좋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구분 기호도
비교예 1 5.3 4.9 5.2
비교예 2 6.3 6.3 6.3
비교예 3 6.4 6.0 6.2
비교예 4 5.7 6.1 5.9
비교예 5 6.0 6.0 6.0
실시예 1 6.6 6.5 6.5
관능검사 대상자들은 전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이 향과 맛이 전반적으로 좋다는 평가를 하였고, 꾸지뽕 추출물 : 감 추출물 : 발효 동아의 비율에 따라서 맛 및 향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상기 [표 1]의 관능검사 결과를 살펴 볼 때, 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5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이 더욱 증진되었으며, 기호성이 더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꾸지뽕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부드러운 식감으로 간편하게 꾸지뽕을 섭취할 수 있어 누구나 식음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조성물에 발효 쌀누룩을 25 내지 35wt% 혼합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이때, 발효 쌀누룩은 현미쌀과 보리쌀을 각각 2kg 혼합한 혼합미를 기준으로, 적어도 12시간 물에 침지하여 불린 상기 혼합미를 1시간 내지 2시간 쪄서 고두밥을 만들고, 식힌 고두밥에 쌀누룩 1k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상온에서 발효시켜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된 쌀누룩을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유산균 배양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2
꾸지뽕 열매 1kg과 건조된 잎 200g을 잘 세정하여 물 6리터를 부어 100~120℃의 열로 가열하여 물이 4리터가 되도록 끓여 여과 정제한 꾸지뽕 추출물을, 감은 끓여 여과한 감 추출물, 및 동아는 상온에서 6개월 이상 발효하여 여과해 효소를 숙성하여 사용하였다.
꾸지뽕 추출물 : 감 추출물 : 발효 동아를 각 3:2:1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에 발효 쌀누룩을 30wt% 혼합하여 0~2℃로 숙성하였다.
<실험예 2> 관능 검사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에 대해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들의 향, 맛, 및 기호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관능검사는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대에서 50대 남녀를 각각 연령별로 10명씩 총 50명을 선발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7점 척도법(1점: 아주 싫다, 2점: 싫다. 3점: 약간 싫다. 4점: 보통이다, 5점: 약간 좋다, 6점: 좋다, 7점: 아주 좋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구분 기호도
실시예 1 6.6 6.5 6.5
실시예 2 6.6 6.6 6.6
관능검사 대상자들은 전반적으로 실시예 2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향에 큰 차이는 없으나 실시예 1보다 단맛이 증가하였다는 평가를 하였다.
실험예2의 관능검사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향이나 맛에는 실시예1과 크게 차이가 있지는 않지만 발효 쌀누룩을 첨가함으로써 유산균의 양이 증가되어 실시예 1보다 많은 유산균의 양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물과 꾸지뽕 열매를 혼합하고, 일정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꾸지뽕 추출물을 얻는 단계;
    완숙된 감을 일정시간 끓여 여과하여 감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꾸지뽕 추출물 및 감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온보다 낮은 저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에서 숙성된 꾸지뽕 및 감 혼합물과 발효된 동아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추출물은 물 6리터를 기준으로 1 내지 2kg의 꾸지뽕 열매를 가열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추출물은 꾸지뽕 열매에 대한 15 ~ 25wt%의 꾸지뽕 잎을 더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발효 쌀누룩을 25~35wt%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아는 적어도 6개월 이상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온은 0 내지 2℃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추출물 및 감 추출물의 혼합비는 3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성된 꾸지뽕 및 감 혼합물에 혼합되는 발효된 동아의 혼합비는 감 추출물 양의 40 내지 6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효 쌀누룩은 현미쌀과 보리쌀을 각각 2kg 혼합한 혼합미를 기준으로, 적어도 12시간 물에 침지하여 불린 상기 혼합미를 1시간 내지 2시간 쪄서 고두밥을 만들고, 식힌 고두밥에 쌀누룩 1k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상온에서 발효시켜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KR1020150066368A 2015-05-13 2015-05-13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368A KR101756264B1 (ko) 2015-05-13 2015-05-13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368A KR101756264B1 (ko) 2015-05-13 2015-05-13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32A true KR20160133632A (ko) 2016-11-23
KR101756264B1 KR101756264B1 (ko) 2017-07-10

Family

ID=5754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368A KR101756264B1 (ko) 2015-05-13 2015-05-13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6504A (zh) * 2018-03-29 2018-09-28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冬瓜高纤维饮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213B1 (ko) 2008-04-15 2010-12-15 김부곤 숙취 제거용 음료의 제조 방법
KR101072832B1 (ko) 2009-02-10 2011-10-14 한국식품연구원 꾸지뽕잎과 동과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억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6504A (zh) * 2018-03-29 2018-09-28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冬瓜高纤维饮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264B1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260466B1 (ko) 감국식초의 제조방법
CN105230843A (zh) 黄芩混合茶及其制备方法
CN104630010A (zh) 滋补保健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1845388B1 (ko)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20190059628A (ko) 법제, 발효 및 증숙 과정을 이용한 증숙 도라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52904B1 (ko) 보리소금을 이용한 보리성분 함유 굴비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2954A (ko) 인삼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100883211B1 (ko) 산수유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4543138A (zh) 一种化积消暑茶及其制作方法
KR101079172B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KR101756264B1 (ko)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9023A (ko) 홍시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홍시고추장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US7862839B2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97256B1 (ko) 오미자 및 울금을 이용한 기능성 전통수제한과의 제조방법
KR102323687B1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20150010487A (ko) 야채음료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1153437B1 (ko)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20030029737A (ko) 청매실 및 단감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추장 및 이것의제조방법
KR101709564B1 (ko) 자색 고구마 보리 모주 제조방법
KR20160058217A (ko) 오미자를 이용한 누룩 발효 잼의 제조방법
KR20200137842A (ko) 대추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