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381A -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381A
KR20160133381A KR1020160058262A KR20160058262A KR20160133381A KR 20160133381 A KR20160133381 A KR 20160133381A KR 1020160058262 A KR1020160058262 A KR 1020160058262A KR 20160058262 A KR20160058262 A KR 20160058262A KR 20160133381 A KR20160133381 A KR 20160133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eth
light
group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신
임동홍
김시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 및 내열성을 가지며,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함에 따라 변색성을 갖는 폴리머 비드,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POLYMERIC BEADS,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IC BEADS AND OPTICAL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광학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광학적 특성 및 내열성을 가지며,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함에 따라 변색성을 갖는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광학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비드는 에멀전 중합이나 현탁 중합 등에 의하여 제조된 입경 분포가 균일한 구형의 입자를 총칭한다. 폴리머 비드의 용도는 매우 다양하여 액정 모니터의 광확산 필름, 보호 필름용 및 건축용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칼라 잉크용 투명 필름의 코팅시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머 비드는 일반적으로 현탁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분산중합(Dispersion Polymerization) 및 유화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등의 방법들로 제조되고 있다.
종래의 현탁 중합에 있어서, 폴리머 비드는 기계적 힘에 의하여 수용액상에 존재하는 단량체를 분산시켜 제조한다.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머 비드는 적어도 100 ㎛ 이상의 비드 크기를 가지며, 기계적 힘에 의하여 비드들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비드분포가 넓은 경향이 있다.
이같이 종래의 중합 공정을 통해 제조된 폴리머 비드는 기존 수지와 굴절율이 다르기 때문에 은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확산판이나 조명용 등기구를 압출하여 제조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압출로 제품을 만들 시는 고온에서 제품을 혼련(Mixing)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우수한 열안정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폴리머 비드는 고온에서 30분 이상 정체하였을 때, 중량 변화 감량폭이 커서 비드가 사용되는 환경에 물리, 화학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즉, 상용성 저하, 흄(fume) 또는 부산물 생성으로 인한 최종 제품의 물성 변화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SEM사진으로 판독하였을 때 비드의 모양이 심하게 변형되는 등 물성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광확산 필름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시 제조 공정에서 고온의 열 처리 단계를 수행할 경우에도 흄(fume) 발생이 최소화되고 물성 변화가 없도록, 우수한 광학적 특정과 함께 고온에서의 향상된 열안정성이 부여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 및 공정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특정 파장의 빛에 대해서만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산업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폴리머 비드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 및 공정 개발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 및 내열성을 가지며,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함에 따라 변색성을 갖는, 폴리머 비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머 비드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비닐계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 및 상기 고분자 수지에 결합한 발광체;를 포함하고, 380 ㎚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갖는 폴리머 비드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비닐계 단량체, 380 ㎚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갖는 발광체 및 개시제를 포함한 반응액을 현탁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상기 폴리머 비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광학용 필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비닐계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 및 상기 고분자 수지에 결합한 발광체;를 포함하고, 380 ㎚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갖는 폴리머 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폴리머 비드를 이용하면, 열안정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하는 발광체의 광학적 특성이, 폴리머 비드 내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되어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함에 따라 상기 폴리머 비드의 색상이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체는 400 ㎚ 내지 800 ㎚ 파장의 가시광선을 거의 흡수하지 않아, 평상시에 우리 눈에는 흰색 내지 아이보리색으로 보이지만,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이를 흡수한 다음 붉은색의 가시광선 형태로 방출하여, 붉은색을 띨 수 있다.
이러한 발광체의 광학적 특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수지와 혼합된 폴리머 비드 내에서도 그대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 수지 및 발광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는,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까지 발광체가 포함되지 않은 폴리머 비드 내지 고분자 수지와 혼합되었을 때, 육안상 쉽게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자외선을 조사한 이후에는 상기 발광체가 포함된 폴리머 비드가 붉은색으로 변하면서 선명하게 구별될 수 있다.
이처럼 평소에는 육안상 색상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다가, 특정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색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폴리머 비드의 특성은, 보안 용품 등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머 비드를 이용하여 제조한 시트(sheet)에서, 자외선(365㎚ 파장)을 조사하기 전(3)에는 육안상 구별이 되지 않지만, 자외선(365㎚ 파장)을 조사한 후(4)에는 발광체가 적색 가시광선을 방출함에 따라, 색상의 차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비드는 내부에 발광체가 함유되어 있어, 필름 등에 발광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광체가 이행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우수한 내후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온 또는 고압에서의 혼련, 압출 공정에서 고분자 수지의 물성 변화를 방지하고, 발광체의 감도가 온도에 따라 변하거나 발광체 자체가 열에 의해 분해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우수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는 380 ㎚ 미만, 또는 300 ㎚ 내지 370 ㎚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최대 광흡수 파장이란, 파장에 따른 광흡수를 측정한 결과, 가장 높은 광흡수율을 나타낸 파장 값을 의미한다. 광흡수율이란, 측정 가능한 최대 흡광도에 대한 실제 측정된 흡광도의 퍼센트 비율을 의미하며, 하기 표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측정 가능한 최대 흡광도는 2.0이다.
하기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머 비드는 380 ㎚ 미만, 또는 300 ㎚ 내지 370 ㎚의 파장에서 광흡수율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폴리머 비드는 자외선 영역의 빛에 대해 선택적인 흡수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비드는 400 ㎚ 내지 800 ㎚ 파장에서 광흡수율이 0.02%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흡수율이란, 측정 가능한 최대 흡광도에 대한 실제 측정된 흡광도의 퍼센트 비율을 의미하며, 하기 표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측정 가능한 최대 흡광도는 2.0이다.
하기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머 비드는 400 ㎚ 내지 800 ㎚ 파장에서 흡광도가 0.05미만으로, 거의 0에 가까운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부터 상기 폴리머 비드가 가시광선 영역에 빛을 거의 흡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폴리머 비드가 가시광선 영역에서 빛을 거의 흡수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폴리머 비드는 흰색 내지 아이보리색을 띨 수 있으며,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까지 발광체가 포함되지 않은 폴리머 비드 또는 고분자 수지와 혼합되었을 때, 육안상 쉽게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는 380 ㎚ 미만의 파장에서 광흡수 이후, 적색 가시광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이처럼, 자외선을 조사한 이후, 상기 발광체가 포함된 폴리머 비드가 적색 가시광선을 방출하며 붉은색으로 변색됨에 따라, 발광체가 포함되지 않은 폴리머 비드 또는 고분자 수지와 혼합된 상태에서, 자외선의 조사를 통해 육안상 선명하게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비드는 비닐계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반복단위는 분자내에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한 화합물인 비닐계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에 포함된 반복단위, 즉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를 의미한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탄소수 1 내지 20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탄소수 1 내지 20의 (메타)아크릴산 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스티렌 또는 디비닐 벤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20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예 또한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부탄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의 예를 들면, 플루오로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수지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유래 반복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유래 반복 단위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단독중합체에 포함된 반복단위를 의미하며,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1,2-에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알릴아크릴레이트, 1,2-에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말레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유래 반복 단위의 함량은 전체 폴리머 비드에 대하여 10 내지 9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는 발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란 빛을 방출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염료(Dye) 또는 안료(Pigment)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방향족 고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고리 화합물의 예로는 퍼릴렌(perylene), 나프탈이미드(naphthalimide), 퀴놀린(quinoline), 퍼릴렌 유도체, 나프탈이미드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도체란 어떤 화합물의 일부를 화학적으로 변화시켜서 얻어지는 유사한 화합물을 의미하며, 대개 화합물 중의 수소원자 또는 특정 원자단이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에 의하여 치환된 화합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발광체의 표면에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및 (메트)아크릴계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성 작용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머 비드가 상기 고분자 수지 및 이에 결합한 발광체를 함께 포함하여 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의 용매와 혼합한 이후 고온에서 가열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을 때 열처리 전후에 변화가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발광체의 표면에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및 (메트)아크릴계 작용기(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이 도입되어 폴리머 비드 상에 결합 및 형성된 (메트)아크릴계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성 작용기가 치환되는 경우, 보다 높은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열처리에 따른 염료의 물성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에 대한 발광체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20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10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8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에 대한 발광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발광체의 용해도가 감소할 수 있고, 폴리머 비드 표면으로 이행(migration)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내열 특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에 결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내열성 및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에 결합하여 비드를 형성한 이후에도, 본래 발광체의 광학적 특성인 광흡수 파장피크과 동일한 광흡수 파장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체는 380 ㎚ 미만, 또는 300 ㎚ 내지 370 ㎚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400 ㎚ 내지 800 ㎚ 파장에서 광흡수율이 0.02% 이하, 또는 0.001% 내지 0.02%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의 형태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형, 타구형, 다면체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머 비드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3 내지 50의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의 평균입경이 1 ㎛ 내지 500 ㎛, 또는 2 ㎛ 내지 400 ㎛, 또는 3 ㎛ 내지 300 ㎛, 또는 3 ㎛ 내지 50 ㎛, 또는 3 ㎛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는 하기 수학식1에 의해 얻어지는 변동계수가 20% 내지 50%, 또는 30% 내지 5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머 비드는 균일한 크기로 구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학식1]
변동계수(%) = (입경의 표준편차/비드의 평균입경) X 100
상기 폴리머 비드는 액정 모니터의 광확산 필름, 보호 필름용 및 건축용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칼라 잉크용 투명 필름의 코팅시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비닐계 단량체, 380 ㎚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갖는 발광체 및 개시제를 포함한 반응액을 현탁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응액은 비닐계 단량체, 380 ㎚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갖는 발광체 및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란 빛을 방출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염료(Dye) 또는 안료(Pigment)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방향족 고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고리 화합물의 예로는 퍼릴렌(perylene), 나프탈이미드(naphthalimide), 퀴놀린(quinoline), 퍼릴렌 유도체, 나프탈이미드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도체란 어떤 화합물의 일부를 화학적으로 변화시켜서 얻어지는 유사한 화합물을 의미하며, 대개 화합물 중의 수소원자 또는 특정 원자단이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에 의하여 치환된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발광체는 내열 특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에 결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내열성 및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에 결합하여 비드를 형성한 이후에도, 본래 발광체의 광학적 특성인 광흡수 파장피크과 동일한 광흡수 파장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체는 380 ㎚ 미만, 또는 300 ㎚ 내지 370 ㎚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400 ㎚ 내지 800 ㎚ 파장에서 광흡수율이 0.02% 이하, 또는 0.001% 내지 0.02%일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비닐계 단량체에 대한 용해도가 60% 이상, 또는 60% 내지 100%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발광체는 비닐계 단량체에 대하여 높은 용해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반응액 내에서 비닐계 단량체에 용해되어 우수한 광학 특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의 비닐계 단량체에 대한 용해도가 60% 미만이면, 상기 발광체가 반응액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르게 분산되기 어렵고, 최종 제조되는 비드 표면으로 이행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반응액 상에서 열분해에 의해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로,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산, 2,2-아조비스(2-메틸 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와 과산화 벤조일(benzoyl peroxide), 과산화 라우릴(lauryl peroxide), 과산화 옥타노일(octanoyl peroxide), 다이큐밀 과산화물(dicumyl peroxide) 등의 과산화물계 화합물로 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탄소수 1 내지 20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스티렌 또는 디비닐 벤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20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예 또한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부탄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의 예를 들면, 플루오로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액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현탁안정제, 수계 용매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1,2-에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알릴아크릴레이트, 1,2-에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말레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0:1 내지 100:1, 또는 20:1 내지 80:1, 또는 40:1 내지 60:1일 수 있다.
상기 현탁안정제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계 용매는 물 또는 친수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온교환수(ion exchanged wate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수는 주로 이온교환법으로 정제한 순수(water)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양이온 함량이 적고, 이온 교환기를 거쳐 생성된 질소기류 하에서 저항치가 5MΩ이상의 초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 제조방법은 상기 반응액을 현탁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탁 중합하는 단계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반응액을 교반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현택액을 중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탁액(suspension)이란 고체 미립자가 분산된 액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액의 교반단계는 500rpm 내지 1,000rpm의 속도로 20분 내지 60분간 교반하는 제1교반 단계; 및 5,000rpm 내지10,000rpm의 속도로 10분 내지 60분간 교반하는 제2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액을 500rpm 내지 1,000rpm, 또는 600rpm 내지 800rpm의 속도로 10분 내지 60분, 또는 20분 내지 40분간 교반하는 제1교반단계에서, 교반속도가 충분히 높지 않으면, 입자끼리의 응집 또는 융착으로 안정적인 입자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1교반단계를 진행하는 구체적인 교반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반응액을 반응기에 넣고, 미케니컬 스터러를 이용하여 교반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교반단계이후, 5,000rpm 내지 10,000rpm, 또는 6,000rpm 내지 8,000rpm 의 속도로 10분 내지 60분, 또는 20분 내지 40분간 교반하는 제2교반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교반단계 없이, 제1교반단계이후 바로 중합시킬 경우 응집현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입자분포가 매우 넓은 폴리머 비드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교반단계를 진행하는 구체적인 교반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제1교반단계를 거친 반응액을 반응기에서 토출하고 호모믹서(Homomixer)를 통해 교반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의 중합 단계는 50℃ 내지 90℃의 온도에서 6 시간 내지 10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중합 반응 시 생성되는 폴리머 비드가 가라앉지 않을 정도로 적절하게 교반속도를 유지시켜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속도는 100 내지 300 rpm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택액을 중합반응시키는 단계 이후, 여과, 세척 및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세척 및 건조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단계 이후, 필요에 따라서는 분쇄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분쇄방법의 예로는 제트밀, 볼밀 아토마이저 또는 해머밀 등과 같은 분쇄기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일구현예의 폴리머 비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필름에서, 상기 폴리머 비드는 상기 바인더 수지 내에서 고분자 비드성을 유지할 수도 있고, 비드의 형태가 깨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머 비드는 압출, 가압, 가온 등의 성형 과정을 통해서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분리상(separated phase)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바인더 수지와 결합한 연속상(continuous phase)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분리상(separated phase)에서 상기 폴리머 비드는 하기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형, 타구형, 다면체의 비드 형태를 유지하면서 바인더 수지내에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폴리머 비드가 광학용 필름 내에서 분리상으로 존재함에 따라, 비드 내에 포함된 발광체가 광학용 필름 내에서도 높은 내열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속상(continuous phase)에서 상기 폴리머 비드는 구형, 타구형, 다면체 등의 비드 형태가 사라지고, 바인더 수지와 함께 연속된 하나의 상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에 관한 내용은 상기 일 구현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지만, 폴리머 비드와의 상용성과 단량체에 대한 용해도를 고려할 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비드 및 바인더 수지의 중량비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1:0.5 내지 1:10, 또는 1:1.2 내지 1:5, 또는 1:1.5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폴리머 비드 및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고,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형방법의 예로는, 코팅, 압출, 사출, 캐스팅 성형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방법의 예로는 기재필름 상에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상기 기재필름으로는 다양한 고분자 필름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비드 및 바인더 수지의 혼합물은 경화제 또는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예는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나이트릴)) (AIBN, 2,2'-azo-bis(isobutyronitrile)) 또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틸로나이트릴))(ABN, 2,2'-azo-bis(2-methylbutyronitril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광학용 필름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톨루엔, 크실렌, 테트라메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셀로솔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카르비톨 등의 알코올류; 옥탄, 데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석유에테르, 석유나프타, 수소 첨가 석유나프타, 용매나프타 등의 석유계 용제;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등의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광학적 특성 및 내열성을 가지며,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함에 따라 변색성을 갖는 폴리머 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1 폴리머 비드의 내열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비교예1 폴리머 비드의 내열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실시예의 폴리머 비드를 이용하여 제조한 종이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후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4: 폴리머 비드의 제조>
실시예1
이온교환수 542.786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214.02g,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4.3g,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0g 및 BL RED 염료(ICB사, 아이보리색 파우더) 2.46g(0.5중량%)을 혼합하여, 반응기에 넣고 700rpm 속도로 30분간 교반시켰다. 이후, 반응기로부터 토출하여 호모믹서에서 7,000rpm 속도로 20분간 강력교반시켰다. 상기 강력교반으로 제조된 현탁액을 다시 2L 반응기에 투입하여 질소기류 하에서 250rpm 속도로 교반하면서 내부온도가 60℃ 되도록 가열한 후, 60℃에서 7시간 반응시킨 후 현탁액으로부터 고체를 여과하고, 이온교환수를 사용해 3회 세척하고, 탈수한 후 70℃에서 24시간 진공건조하여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BL RED 염료(ICB사) 4.92g(1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3
BL RED 염료(ICB사) 9.84g(2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4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대신 스티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5
상기 BL RED 염료(ICB사, 아이보리색 파우더) 대신에, BL RED 염료(ICB사)에 히드록시기를 치환한 4,7-Dihydroxy (1,10-Phenanthroline)tris[4.4.4 -trifluoro-1-(2-thienyl)-1,2-butane dionato] europium(Ⅲ)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6
상기 BL RED 염료(ICB사, 아이보리색 파우더) 대신에, BL RED 염료(ICB사)에 히드록시기를 치환한 4,7-Dihydroxy (1,10-Phenanthroline)tris[4.4.4 -trifluoro-1-(2-thienyl)-1,2-butane dionato] europium(Ⅲ)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2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7
상기 BL RED 염료(ICB사, 아이보리색 파우더) 대신에, BL RED 염료(ICB사)에 히드록시기를 치환한 4,7-Dihydroxy (1,10-Phenanthroline)tris[4.4.4 -trifluoro-1-(2-thienyl)-1,2-butane dionato] europium(Ⅲ)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8
상기 BL RED 염료(ICB사, 아이보리색 파우더) 대신에, BL RED 염료(ICB사)에 히드록시기를 치환한 4,7-Dihydroxy (1,10-Phenanthroline)tris[4.4.4 -trifluoro-1-(2-thienyl)-1,2-butane dionato] europium(Ⅲ)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폴리머 비드의 제조>
비교예1
BL RED 염료(ICB사)를 사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2
BL RED 염료(ICB사)를 사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3
비드에 결합시키지 않은 BL RED 염료를 비교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5에서 사용한 히드록시기 치환 염료, 즉, 4,7-Dihydroxy (1,10-Phenanthroline)tris[4.4.4 -trifluoro-1-(2-thienyl)-1,2-butane dionato] europium(Ⅲ)을 비드에 결합시키지 않은 자체로서 비교예 4로 하였다.
< 실험예 :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머 비드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머 비드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1 내지 표3에 각각 나타내었다.
1. 평균입경 및 변동계수( C.V .: Coefficient of variation)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머 비드에 대하여, 입도분포 측정장치(콜터 일렉트로닉스사, Multisizer3)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및 변동계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상기 변동계수(C.V)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하였다.
[수학식 1]
변동계수 (%) = (입경의 표준편차/비드의 평균입경) X 100.
2. 염료의 용해도( %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고 나서 남은 원료를 모두 휘발시킨 후, 반응기에 남아있는 염료의 질량을 구하였다. 참고로, 상기 염료는 물에 대한 불용성이므로, 반응되지 않고 남은 염료는 반응기 표면에 붙어 있게 된다. 이에 반응기 표면에 붙은 잔류 염료의 질량을 측정한 후, 최초 염료의 질량에 대한 남아있는 염료의 질량 비율을 구하여, 폴리머 비드 제조 중 현탁액으로의 염료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상기 반응기에 염료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 현탁액으로의 염료의 용해도가 100%인 것으로 상정함).
실험예 1 및 2의 결과
구분 원료 염료 염료함량(중량%) 평균입경 C.V 수율 염료의 용해도
실시예1 MMA BL RED 0.5 5.2㎛ 38% 95% 100%
실시예2 MMA 1 4.8㎛ 42% 85% 90%
실시예3 MMA 2 4㎛ 40% 62% 70%
실시예4 스티렌 0.5 5.4㎛ 35% 92% 100%
실시예5 MMA 반응성 작용기 도입된
BL RED
0.5 4.8um 32% 92% 100%
실시예6 MMA 1 5.0um 38% 80% 93%
실시예7 MMA 2 5.0um 42% 61% 72%
실시예8 스티렌 0.5 5.2um 35% 90% 100%
비교예1 MMA - - 5㎛ 35% 92% -
비교예2 스티렌 - - 5.2㎛ 33% 95% -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 내지 8에서 제조한 폴리머 비드는 4 ㎛ 내지 6㎛의 평균입경을 갖는 비드로써, 변동계수(C.V)가 35% 내지 42%인 입도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8의 폴리머 비드에서, 염료함량이 2중량%에서 0.5중량%로 낮아질 수록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염료의 용해도 또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반응성 작용기를 도입한 염료를 사용한 실시예 5 내지 8에서 염료의 용해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나타나는 점 또한 확인되었다.
3. 흡광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머 비드를 DMSO용매에 혼합한 다음, 흡광도 측정 기기(UV-Vis Spectroscopy, Thermo Fisher Scientific사 EVOLUTION 600)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전체 혼합물 중 폴리머 비드의 함량은 0.01% 를 나타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25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흡광도 측정 기기(UV-Vis Spectroscopy, Thermo Fisher Scientific사 EVOLUTION 600)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3의 결과 [측정 가능한 최대 흡광도는 2.0임]
구분 최대 흡수 파장(㎚) 가열 전 최대 흡광도 가열 후 최대 흡광도
실시예1 344 0.553 0.554
실시예2 344 0.548 0.548
실시예3 344 0.553 0.553
실시예4 344 0.554 0.552
실시예5 344 0.553 0.554
실시예6 344 0.548 0.548
실시예7 344 0.553 0.552
실시예8 344 0.554 0.551
비교예1 - 0 0
비교예2 - - -
비교예3 344 0.538 0.4424
비교예4 344 0.538 0.4520
-비교예 3: 비드화시키지 않은 BL RED 염료만을 대상으로 흡광도를 측정
-비교예4: 4,7-Dihydroxy (1,10-Phenanthroline)tris[4.4.4 -trifluoro-1-(2-thienyl)-1,2-butane dionato] europium(Ⅲ) 만을 대상으로 흡광도 측정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BL RED 염료를 포함한 실시예 1 내지 8의 폴리머 비드의 경우, 가열 전후 최대 흡광도 값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특히, 실시예 5 내지 8의 폴리머 비드의 경우, 가열 전후 최대 흡광도 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나서 더욱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반면, BL RED 염료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또는 2의 폴리머 비드는 흡광도가 0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드화 되지 않고, BL RED 염료만을 대상으로 흡광도를 측정한 비교예3 또는 4의 결과를 살펴보면, 가열 전과 후에 최대 흡광도가 약 20% 가까이 감소하여, 열처리에 따라 BL RED 염료의 물성이 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BL RED 염료를 포함한 폴리머 비드의 경우, BL RED 염료를 비드화 시킴에 따라, 열처리에 따른 염료의 물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BL RED 염료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250℃ 30분 가열 후 최대 흡광도
2: 250℃ 30분 가열 전 최대 흡광도
3: 자외선(365㎚ 파장)을 조사하기 전
4: 자외선(365㎚ 파장)을 조사한 후

Claims (20)

  1. 비닐계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 및 상기 고분자 수지에 결합한 발광체;를 포함하고, 380 ㎚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갖는, 폴리머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400 ㎚ 내지 800 ㎚ 파장에서 광흡수율이 0.02% 이하인, 폴리머 비드.
  3. 제1항에 있어서,
    380 ㎚ 미만의 파장에서 광흡수 이후, 적색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폴리머 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퍼릴렌, 나프탈이미드 및 퀴놀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향족 고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의 표면에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티올기 및 (메트)아크릴계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성 작용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폴리머 비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비드에 대한 발광체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인, 폴리머 비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비드의 평균입경이 1 ㎛ 내지 500 ㎛인, 폴리머 비드.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1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폴리머 비드의 변동계수가 20% 내지 50%인, 폴리머 비드:
    [수학식1]
    변동계수(%) = (입경의 표준편차/비드의 평균입경) X 1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반복단위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탄소수 1 내지 20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메타)아크릴산 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유래 반복 단위를 더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
  11. 비닐계 단량체, 380 ㎚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광흡수 파장을 갖는 발광체 및 개시제를 포함한 반응액을 현탁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400 ㎚ 내지 800 ㎚ 파장에서 광흡수율이 0.02% 이하인, 폴리머 비드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퍼릴렌, 나프탈이미드 및 퀴놀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향족 고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비닐계 단량체에 대한 용해도가 60% 이상인,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탄소수 1 내지 20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메타)아크릴산 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현탁안정제 및 수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0:1 내지 100:1인,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 중합 단계는 50℃ 내지 90℃의 온도에서 6 시간 내지 10 시간 동안 진행되는, 폴리머 비드의 제조 방법.
  19. 제1항의 폴리머 비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필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비드는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분리상 또는 바인더 수지와 결합한 연속상인, 광학용 필름.
KR1020160058262A 2015-05-12 2016-05-12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KR20160133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6168 2015-05-12
KR1020150066168 2015-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381A true KR20160133381A (ko) 2016-11-22

Family

ID=5724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262A KR20160133381A (ko) 2015-05-12 2016-05-12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60133381A (ko)
TW (1) TW201704322A (ko)
WO (1) WO20161823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2431A1 (en) * 2006-08-24 2008-02-28 American Dye Source Inc. Reactive near infrared absorbing polymeric particle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KR20100065852A (ko) * 2008-12-09 2010-06-17 에드호텍(주) 균일계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5870506B2 (ja) * 2011-05-12 2016-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シートおよび偽造防止媒体
KR20130035737A (ko) * 2011-09-30 2013-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머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367A1 (ko) 2016-11-17
TW201704322A (zh)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8664B1 (en) Photochromic lens for eye glasses
JP5611631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041794A1 (en) Core-shell nanoparticles, methods of making same, and uses of same
CN1440997B (zh) 含有金属纳米棒的组合物、涂膜、高分子薄膜、光学滤光片
KR20180002277A (ko)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JP4634184B2 (ja) 光拡散剤及びそれを用いた光拡散性樹脂組成物
KR20160133381A (ko)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TWI529203B (zh) 一種具有核殼結構的聚矽氧烷微球及其製備方法
US9487651B2 (en) Hemispherical polymethylmethacrylate beads
KR20130035737A (ko) 폴리머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3450A (ko)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KR100600470B1 (ko) 다공성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제조방법
JP7061756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色素含有ナノ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21199A (ko) 특수형상 고분자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9365A (ko) 폴리머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409467B1 (ko)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머 비드
KR20180002278A (ko) 폴리머 비드 및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TWI476233B (zh) 球形聚合物珠粒及其製備方法
KR100673550B1 (ko)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제조방법
JPH0741345A (ja) 強度の向上した天然石状物品及びその製法
KR20170079369A (ko) 폴리머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0792A (ko)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KR20170079515A (ko) 폴리머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3257A (ko) 폴리머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168B1 (ko) 고굴절율 폴리머 비드 및 그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