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143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143A
KR20160132143A KR1020120048594A KR20120048594A KR20160132143A KR 20160132143 A KR20160132143 A KR 20160132143A KR 1020120048594 A KR1020120048594 A KR 1020120048594A KR 20120048594 A KR20120048594 A KR 20120048594A KR 20160132143 A KR20160132143 A KR 20160132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detaching
battery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769B1 (ko
Inventor
이현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가 배출되는 벤트부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벤트부를 덮는 디개싱 커버와 상기 디개싱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탑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디개싱 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보다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 하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져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카메라, 캠코더 등의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거나,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 이루어져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전기 자동차(EV)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고출력의 모터 구동용 전원에 사용되어 충전 또는 방전 동작에 의해 많은 열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열은 배터리 셀을 열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부의 공기를 냉각 매체로 이용하는 구조의 배터리 팩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배터리 팩이 차량 실내 또는 트렁크 룸에 탑재될 경우, 배터리 셀의 발열, 발화나 이상작동으로 인하여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한 유해한 성분의 기체나 분진이 차량 실내로 급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 운전자의 시야 미확보로 인한 안전사고나 유해 기체 흡입에 의한 신체 손상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한 유해한 성분의 기체를 배출하는 디개싱 커버가 구비된 탑커버에 강성이 다른 재질을 적용하여 배터리 팩 수준의 기체 배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벤트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과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상기 커버는 상기 벤트를 덮는 디개싱 커버와 상기 디개싱 커버 상부의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디개싱 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보다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디개싱 커버는 상기 벤트에 대응되는 제1 측면상에 개구된 영역(캐버티, cavity)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된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측면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강성보다 강성이 약한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개구된 영역 또는 캐버티로 벤트에서 배출된 가스가 수용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터리 셀 상부에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벤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개싱 커버는 상기 절연 부재와 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디개싱 커버는 디개싱 커버의 관통공을 통하여 연결되며 배출공을 갖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벤트에서 디개싱 커버의 관통공으로 가스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공은 서로 마주하는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를 연결하는 버스바와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를 덮는 버스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버스바 커버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강성 보다 큰 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디개싱 커버와 버스바 커버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버스바 커버에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는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제2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디개싱 커버는 상기 디개싱 커버의 양단에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연결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와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체결부에 연결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제2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버스바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냉매를 수용하여 하우징으로 유입하는 인렛 및 상기 냉매를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는 아웃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매를 인렛에서 아웃렛으로 유동하는 환기팬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벤트에서 배출된 가스는 아웃렛을 향한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개싱 커버 또는 커버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벤트가 파괴될 때 하우징 내로 가스를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두개의 인접하는 배터리 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측면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의 측면상에 복수의 스페이서가 위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한 유해한 성분의 기체를 배출하는 디개싱 커버가 구비된 탑커버에 강성이 다른 재질을 적용하여 배터리 모듈 수준의 디개싱 구조를 배터리 팩 수준의 디개싱 구조로 확장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는 탑커버 일부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팩에서 냉각 매체로 사용되는 차량 실내 공기 및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하는 유해 기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는 탑커버 일부분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배터리 팩에서 냉각 매체로 사용되는 차량 실내 공기 및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하는 유해 기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은 기체가 배출되는 벤트부(13)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 및 상기 벤트부(13)를 덮는 디개싱 커버(123) 및 상기 디개싱 커버(123)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121)를 구비하는 탑커버(120)를 포함하되, 상기 디개싱 커버(123)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1) 보다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팩(1)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을 수용하는 하우징(130)을 더 구비하는데, 하우징(130)에는 인렛(I) 및 아웃렛(O)이 구비된다. 하우징(13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셀(10)의 좁은 측면이 대면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100)과 커버 플레이트(121) 사이에는 디개싱 커버(123)와 연결되며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11), 음극 단자(12) 및 버스바(15)를 수용하는 버스바 커버(125)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121)는 버스바 커버(125) 보다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셀(10)의 상부에는 디개싱 커버(123)를 구비하는 탑커버(120)가 배치되고, 배터리 셀(10)의 벤트부(13)와 디개싱 커버(123) 사이에는 개스킷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일체형 절연 부재(140)가 개재된다. 상기 절연 부재(140)는 벤트부(13)에 대응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개구부(141)를 구비한 일체형이고, 개구부(141)의 크기는 벤트부(13)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커버 플레이트(121)는 커버 플레이트(121)에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체결공(121a) 및 커버 플레이트 체결부재(121b)를 통하여 하부의 버스바 커버(125)와 연결된다.
배터리 셀(10)은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14)의 양끝단에는 양극판과 연결되는 양극 단자(11), 음극판과 연결되는 음극 단자(12)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양극판 및 음극판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에너지를 발생하고, 상기 에너지는 양극 단지(11) 및 음극 단자(12)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또한, 캡 플레이트(14)의 양극 단자(11) 및 음극 단자(12) 사이에는 벤트부(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벤트부(13)는 배터리 셀(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의 압력이 소정 이상일 경우에, 기체가 배터리 셀(10)로부터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셀(10)이 내압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터리 셀(10)은 복수개가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셀(10)의 넓은 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정렬되어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엔드 플레이트(111)와 제2 엔드 플레이트(112) 사이에 수용된다. 한 쌍의 제1 엔드 플레이트(111)와 제2 엔드 플레이트(112)는 최외각 배터리 셀(10)과 각각 면접촉하도록 구비되어,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내측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10)의 좁은 측면의 대향하는 면들은 사이드 플레이트(브라켓, 113)에 의하여 수용된다. 한편 사이드 플레이트(113)는 한 쌍의 제1 엔드 플레이트(111)와 제2 엔드 플레이트(112)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의 바닥면 또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엔드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제1 엔드 플레이트 체결공(111a)과 사이드 플레이트(113)에 형성된 제1 사이드 플레이트 체결공(113a)은 서로 대면하여 제1 사이드 플레이트 체결부재(113b)에 의해 체결되어 제1 엔드 플레이트(111)는 사이드 플레이트(113)과 체결된다. 또한, 제2 엔드 플레이트(112)에 형성된 제2 엔드 플레이트 체결공(112a)과 사이드 플레이트(113)에 형성된 제1 사이드 플레이트 체결공(113a)은 서로 대면하여 제1 사이드 플레이트 체결부재(113b)에 의해 체결되어 제2 엔드 플레이트(112)는 사이드 플레이트(113)과 체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의 중심부에는 벤트부(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부(13)는 정렬된 배터리 셀(10)에 따라 대략 일선상으로 배치된다. 이웃한 두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11) 및 음극 단자(12)는 니켈 등으로 형성된 버스바(bus-bar)(1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15)에는 양극 단자(11) 및 음극 단자(12)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단자들이 관통하여 연결된 버스바(15)는 너트(16) 등의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연결 구조 및 개수는 배터리 모듈(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10)과 배터리 셀(10) 사이에는 배리어(115)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115)에는 스페이서(115a)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이격시키고, 상기 배터리 셀(10) 사이의 공간을 형성시켜 배터리 셀(10)을 냉각시키는 냉매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개싱 커버(123)는 그 내부가 일방향으로 개구된 육면체의 형태이며, 개구된 면이 벤트부(13)를 향하도록 절연 부재(140)에 안착된다. 상기 디개싱 커버(123)의 개구된 면과 마주보는 대향면(123a)이 커버 플레이트(121) 보다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절연 부재(140)의 폭은 디개싱 커버(123)의 폭보다 더 넓게 구비되는 것이 기체가 누출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디개싱 커버(123)는 절연 부재(140)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기체의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디개싱 커버(123)의 일측에는 기체의 유로 및 기체의 유로와 연통된 관통공(123b)과 연결되는 돌출된 배출부(123c)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123c)의 양측 말단에는 기체를 배출하는 배출공(123d)이 구비된다. 디개싱 커버(123)의 제1 체결부(112e)는 제1 엔드 플레이트(111)의 돌출부(111b)와 제2 체결부(123f)는 제2 엔드 플레이트(112)의 돌출부(112b)와 각각 체결된다.
상기 디개싱 커버(123)와 연결된 버스바 커버(125)는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11), 음극 단자(12), 버스바(15) 및 너트(16)를 수용하도록 상부 및 하부가 뚫린 격벽의 형태를 갖는다. 한편, 버스바 커버(125)의 일측에는 상기 버스바 커버(125)와 인접하게 제1 버스바 커버 체결공(125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버스바 커버 체결공(125a)은 커버 플레이트(121)의 커버 플레이트 체결공(121a)과 서로 대면하여 커버 플레이트 체결부재(121b)를 통해 체결된다. 또한, 버스바 커버(125)의 타측에는 상기 버스바 커버(125)와 인접하게 제2 버스바 커버 체결공(125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버스바 커버 체결공(125b)은 사이드 플레이트(113)에 형성된 제2 사이드 플레이트 체결공(113c)과 서로 대면하여 제2 사이드 플레이트 체결부재(113d)를 통해 체결된다. 이에 따라, 탑커버(120)의 버스바 커버(125)와 배터리 모듈(100) 하부의 사이드 플레이트(113)이 체결된다.
통상 배터리 셀(10)은 복수회의 충전 및 방전을 진행하면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1)은 고출력의 모터 구동용 전원에 사용되어 충전 또는 방전 동작에 의해 많은 열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열은 배터리 셀(10)의 온도를 증가시켜 배터리 셀(10)의 성능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안전성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차량 내부(C)의 공기를 냉각 매체로 이용하는 것이 배터리 셀(10)의 냉각에 있어 유리하다.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차량 내부(C)의 공기는 인렛(I)으로 유입되어 배터리 팩(1)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0) 사이를 지나며 배터리 셀(10)을 냉각할 수 있다. 유입된 차량 내부(C) 공기는 배터리 모듈(100)의 주변 또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 사이를 지나 차량 외부(E)와 연결된 아웃렛(O)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아웃렛(O)에는 냉매의 배출을 보조하는 환기팬(150)이 연결되어, 냉매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충전 또는 방전 동작에 의해 배터리 셀(10)로부터 과도한 열이 발생하거나 배터리 셀(10)이 이상 작동을 하게 되는 경우, 배터리 셀(10)의 벤트부(13)가 파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셀(10)로부터 발생한 유해한 성분의 기체나 분진은 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디개싱 커버(123)의 기체 유로를 따라 유도된 후에 배출공(123d)으로 배출되어, 배터리 팩(1)은 배터리 모듈(100) 수준의 기체 배출 구조를 갖게 된다. 이후, 최종적으로 상기 기체 또는 분진은 아웃렛(O)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의 벤트부(13)가 파열되는 경우, 탑커버(120)를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121), 버스바 커버(125) 및 디개싱 커버(123) 중 가장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 디개싱 커버(123)가 파열되어 상기 기체 또는 분진이 하우징(130)의 내부로 직접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기체 또는 분진이 하우징(130)의 내부로 직접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기체 또는 분진은 아웃렛(O)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아주 많은 배터리 셀(10)의 벤트부(13)가 파열되는 경우에는, 커버 플레이트(121), 버스바 커버(125) 및 디개싱 커버(123) 중 가장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 디개싱 커버(123)가 파열되고, 이후 디개싱 커버(123) 보다는 강성이 강하지만 버스바 커버(125) 보다는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 플레이트(121)가 파열되어, 상기 기체 또는 분진이 하우징(130)의 내부로 직접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기체 또는 분진은 아웃렛(O)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팩(1)은 배터리 모듈(100) 수준이 아니라 배터리 팩(1) 수준의 기체 배출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강성이 서로 다른 재질을 탑커버(120)에 적용하여 배터리 팩(1) 수준의 기체 배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많은 수의 배터리 셀(10)의 벤트부(13)가 파열될 경우 차량 내부(C)로 유해 기체나 분진이 유입될 위험성이 배제되도록 차량 외부(E)로 유해 기체나 분진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 차량등과 같은 모터 구동원으로서 특히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배터리 팩 10: 배터리 셀
11: 양극 단자 12: 음극 단자
13: 벤트 14: 캡 플레이트
15: 버스바 16: 너트
100: 배터리 모듈 111: 제1 엔드 플레이트
112: 제2 엔드 플레이트 113: 사이드 플레이트
115: 배리어 120: 탑커버
121: 커버 플레이트 123: 디개싱 커버
125: 버스바 커버 130: 하우징
140: 절연 부재

Claims (20)

  1. 벤트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과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벤트를 덮는 디개싱 커버와 상기 디개싱 커버 상부의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디개싱 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 보다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개싱 커버는 상기 벤트에 대응되는 제1 측면상에 개구된 영역(cavity)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된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측면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강성보다 강성이 약한 재료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영역은 벤트에서 배출된 가스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상부에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벤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개싱 커버는 상기 절연 부재와 접촉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개싱 커버는 디개싱 커버의 관통공을 통하여 연결되며 배출공을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벤트에서 디개싱 커버의 관통공으로 가스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배터리 팩.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서로 마주하는 한쌍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를 연결하는 버스바와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를 덮는 버스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버스바 커버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강성 보다 큰 강성을 갖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개싱 커버와 버스바 커버는 일체로 형성된 배터리 팩.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버스바 커버에 체결된 배터리 팩.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는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제2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디개싱 커버는 상기 디개싱 커버의 양단에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연결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와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체결부에 연결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제2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냉매를 수용하여 하우징으로 유입하는 인렛 및 상기 냉매를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는 아웃렛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를 인렛에서 아웃렛으로 유동하는 환기팬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에서 배출된 가스는 아웃렛을 향한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배터리 팩.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개싱 커버 또는 커버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벤트가 파괴될 때 하우징 내로 가스를 방출되도록 하는 배터리 팩.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인접하는 배터리 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측면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의 측면상에 복수의 스페이서가 위치되는 배터리 팩.
KR1020120048594A 2011-10-10 2012-05-08 배터리 팩 KR101698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5382P 2011-10-10 2011-10-10
US61/545,382 2011-10-10
US13/438,736 US9614208B2 (en) 2011-10-10 2012-04-03 Battery pack with degassing cover and plate thereon
US13/438,736 2012-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143A true KR20160132143A (ko) 2016-11-17
KR101698769B1 KR101698769B1 (ko) 2017-01-23

Family

ID=4660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594A KR101698769B1 (ko) 2011-10-10 2012-05-08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14208B2 (ko)
EP (1) EP2581960B1 (ko)
JP (1) JP6255151B2 (ko)
KR (1) KR101698769B1 (ko)
CN (1) CN103035975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717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20190070006A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WO2021071071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0992011B2 (en) 2017-06-27 2021-04-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WO2021210744A1 (ko) * 2020-04-17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염 배출 방지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22045783A1 (ko) * 2020-08-26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172049A1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6168B2 (ja) * 2012-09-28 2017-05-31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JP6134120B2 (ja) * 2012-10-18 2017-05-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US9508970B2 (en) * 2013-02-25 2016-11-29 The Boeing Company Enclosure for rechargeable batteries
KR101698768B1 (ko) * 2013-07-18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397328B2 (en) * 2014-01-22 2016-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busbar holder for welded cells
DE102014201484A1 (de) * 2014-01-28 2015-07-30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mit einer Mehrzahl von Batteriezellen und einem Batteriemanagementsystem
KR102172846B1 (ko) * 2014-02-10 2020-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6299513B2 (ja) * 2014-07-31 2018-03-28 株式会社Gsユアサ 電源パック
CN107210501B (zh) * 2015-01-23 2019-07-02 日立化成株式会社 蓄电单元
US9692095B2 (en) * 2015-06-30 2017-06-27 Faraday&Future Inc. Fully-submerged battery cells for vehicle energy-storage systems
US10868287B2 (en) 2015-07-22 2020-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pack endplate
US9392460B1 (en) 2016-01-02 2016-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inuous user authentication tool for mobile device communications
CN109417142B (zh) 2016-07-11 2021-09-2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模块
US10367238B2 (en) * 2016-08-05 2019-07-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ace efficient battery pack designs
US11588214B2 (en) 2017-01-27 2023-02-21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straps
DE102017107868A1 (de) * 2017-04-11 2018-10-11 Metabowerke Gmbh Akkupack sowie Elektrohandwerkzeuggerät
CN107331820B (zh) * 2017-08-23 2023-06-20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免焊接电池模组及免焊接电池模组系统
CN109148753B (zh) * 2017-12-25 2022-04-15 北京海博思创科技股份有限公司 车载电池以及电动汽车
JP7087648B2 (ja) * 2018-05-08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20200044582A (ko) 2018-10-19 2020-04-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102640327B1 (ko)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102640328B1 (ko)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102640329B1 (ko)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46854B1 (ko) 2018-10-19 202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46853B1 (ko) * 2018-10-19 202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EP3907775A4 (en) 2019-01-09 2022-02-23 BYD Company Limited PERFORMANCE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AU2020359685A1 (en) * 2019-09-30 2022-05-26 Ober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JP7333001B2 (ja) * 2019-12-26 2023-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電池ホルダー
DE102020112426A1 (de) 2020-05-07 2021-11-11 Audi Aktiengesellschaft Hochvoltbatterie für ein elektrisch betriebenes Fahrzeug
KR20220012045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E102020120042A1 (de) * 2020-07-29 2022-02-03 Audi Aktiengesellschaft Batterie und Kraftfahrzeug mit Batterie
CN112490578B (zh) * 2020-11-11 2021-11-23 华南理工大学 一种动力电池模组
CN114765296A (zh) 2021-01-13 2022-07-19 福特全球技术公司 包括排气通道的电池组
KR20220165596A (ko) *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404A (ko) * 2009-02-26 2010-09-0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14321A (ja) *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1049158A (ja) * 2009-07-29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モジュール、バッテリ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2082A (en) 1929-08-05 1933-08-15 Willard Storage Battery Co Storage battery container
JPS58103787A (ja) 1981-12-16 1983-06-20 Yuasa Battery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US4562126A (en) 1984-09-21 1985-12-31 Chartrain Armand N Storage battery cover
US5256502A (en) 1991-09-17 1993-10-26 Gnb Incorporated Modular, multicell lead-acid batteries
JP4088360B2 (ja) 1997-10-20 2008-05-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集合型密閉二次電池
TW447153B (en) 1999-06-07 2001-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orage battery
JP4572019B2 (ja) 1999-10-08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KR20030017821A (ko) 2001-08-23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냉각시스템
US20050147874A1 (en) 2003-12-10 2005-07-07 Johnson Controls Technolgy Company Venting system for battery
KR20060027674A (ko)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안전벤트를 포함하고 있는 각형 이차전지
CN100508273C (zh) 2005-06-02 2009-07-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电源装置以及电池的冷却结构
JP4385020B2 (ja) 2005-06-02 2009-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KR100814929B1 (ko) 2006-09-06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100852049B1 (ko) 2006-12-12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모듈 지지장치
WO2009023775A2 (en) 2007-08-14 2009-02-19 Cobasys Llc Battery module
JP5405858B2 (ja) * 2008-04-14 2014-0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を搭載した車両
JP5288973B2 (ja) 2008-09-29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US8691429B2 (en) 2008-10-14 2014-04-08 Samsung Sdi Co., Ltd. Polymer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108788A (ja) 2008-10-30 2010-05-13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
JP5331450B2 (ja) 2008-11-07 2013-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モジュール、蓄電装置、電動機駆動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5496522B2 (ja) * 2009-03-02 2014-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0251019A (ja) * 2009-04-13 2010-11-04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0287514A (ja) 2009-06-12 2010-12-24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KR101146677B1 (ko) 2009-10-30 2012-05-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버스바홀더
US8748021B2 (en) * 2010-10-19 2014-06-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404A (ko) * 2009-02-26 2010-09-0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14321A (ja) *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1049158A (ja) * 2009-07-29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モジュール、バッテリ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2011B2 (en) 2017-06-27 2021-04-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WO2019107717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US11239511B2 (en) 2017-12-01 2022-02-0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having heat dissipation plate
KR20190070006A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WO2019117449A1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721851B2 (en) 2017-12-12 2023-08-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O2021071071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1210744A1 (ko) * 2020-04-17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염 배출 방지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22045783A1 (ko) * 2020-08-26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172049A1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55151B2 (ja) 2017-12-27
EP2581960A1 (en) 2013-04-17
CN103035975B (zh) 2016-09-21
EP2581960B1 (en) 2014-12-24
KR101698769B1 (ko) 2017-01-23
US9614208B2 (en) 2017-04-04
US20130089763A1 (en) 2013-04-11
CN103035975A (zh) 2013-04-10
JP2013084558A (ja)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769B1 (ko) 배터리 팩
US8956747B2 (en) Battery module
KR101282519B1 (ko) 배터리 모듈
KR101292988B1 (ko) 배터리 모듈
KR101271883B1 (ko) 배터리 모듈
KR101252936B1 (ko) 배터리 팩
KR101615941B1 (ko)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6004282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252963B1 (ko) 방열 특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KR101252944B1 (ko) 방열 특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KR101188933B1 (ko) 배터리 모듈
KR20130056530A (ko) 배터리 팩
JP2007048750A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240702B1 (ko) 배리어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WO2021035501A1 (zh) 基于两侧出极耳软包电芯的48v紧凑型电池包
JP2022136445A (ja) 蓄電パック及び蓄電パックの配置構造
KR20230035213A (ko) 배터리, 전기 장치 및 배터리 제조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