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7449A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7449A1
WO2019117449A1 PCT/KR2018/012340 KR2018012340W WO2019117449A1 WO 2019117449 A1 WO2019117449 A1 WO 2019117449A1 KR 2018012340 W KR2018012340 W KR 2018012340W WO 2019117449 A1 WO2019117449 A1 WO 20191174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attery
lower side
cas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23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일
박대엽
이준형
김헌희
안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80075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373567B/zh
Priority to EP18889344.0A priority patent/EP3726607A4/en
Priority to US16/770,122 priority patent/US11721851B2/en
Publication of WO20191174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74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2Gases with free flow by convection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in which the number of parts to be embedded is reduced to reduce the cost and weight of the battery pack and to efficiently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and stability.
  • the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which can be repeatedly used because i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nd is composed of one battery cell and is use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a computer, a camera and a camcorder, or a battery pack And can be used as a motor driving power source for a high output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lectric vehicle (EV), and the like.
  •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a computer, a camera and a camcorder, or a battery pack
  • HEV electric vehicle
  • Batteries used in hybrid electric vehicles (HEV) or electric vehicles (EVs) should have high output and high capacity. For this reason, a large number of batteries constitute a battery pack, and many of such battery pack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hereby operating as a large capacity and high output power source.
  • the battery pack installed inside the hybrid electric vehicle or the electric vehicle must be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due to vibration or the like. Accordingly, such a battery pack is provided as a sub-assembly of a battery cell, which is a module.
  • Various assemblies are formed by combining the battery pack, which is a major factor for increasing the cost and weight of the battery pack.
  • the life and safety of the battery cell is important for the battery pack, and proper temperature maintenance is indispensable for the battery pack.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air cooling type, it is important that the path can cool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battery pack in which the number of parts to be embedded is reduced to reduce the cost and weight of the battery pack and efficiently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to improve performance and stability.
  • a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lower side wall extending from a bottom surface; a second lower side wall and a third lower side wall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ide wall respectively and facing each other; A lower case facing the lower wall; A battery unit accommodated in the lower cas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n upper case disposed to face the lower case to seal the battery part.
  • the upper case includes a first upper side wall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a second upper side wall and a third upper side wall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side wall and facing each other, And a fourth upper side wall disposed to face the upper side wall, wherein the first upper side wall and the first lower side wall, the second upper side wall and the second lower side wall, the third upper side wall, The side walls may be dispos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fourth upper side wall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lower side wall.
  •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may be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first fastening member disposed at an end of the lower case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disposed at an end of the upper cas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
  • the second lower wall and the third lower wall may have a stepped shape.
  • the height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may decrease from one side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ide wall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 the second lower side wall may include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 third region and a fourth region that are sequentially locate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 the third region has a constant height, and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region may be higher than the third height of the third region.
  • the second region has a second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is a slope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of the second reg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region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gion in contact with the third region, Lt; / RTI >
  • the fourth region has a fourth height
  • the fourth height may have a slope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of the fourth region in contact with the third region to the other.
  •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region or the fourth region may be between 35 [deg.] And 55 [deg.].
  •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first lower side wall of the lower case and the first upper side wall of the upper case may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fourth upper side wall of the upper case.
  • a sealing membe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ibs on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lower case, and a plurality of second ribs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 the height of the two ribs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may be seated o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lower wall or the third lower wall.
  •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ribs extend, .
  • the plurality of bus bar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unit and may connect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 holder portion which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have a first holder member and a second holder member and is arranged to cover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battery portion.
  • the first holder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bus bars,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further include a vent hole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bus bars,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battery unit and the first holder member of the holder unit, and corresponds to the vent hole And an insulating member including an opening at a position where the insulating film is formed.
  • the hold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ion member on the second holder member so as to press and fix the battery portion.
  • 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vent member in the second holder member to discharge heat radiated from the battery unit to the outside.
  •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ent portion including a first vent portion positioned on the first lower side wall of the lower case, the second vent portion positioned on the fourth upper wall of the upper case, And the second vent portion may be located at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 the upper case and the hold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protrudes toward the battery unit and 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 the pressing member can press the battery uni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by contacting the holder unit.
  • 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that is locat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the first upper side wall and is drawn into the battery unit side to press the battery unit.
  •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battery pack in the first direction
  • the support member presses the battery pack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ttery pack of Fig. 1; Fig.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battery unit is mounted on a low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battery unit is mounted on a low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unit is mounted on a low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unit is mounted on a low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unit is mounted on a low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unit is mounted on a low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wall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 in Fig. 7 on an enlarged scale.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unit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to which a holder unit is coupl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lder portion of the battery pack of FIG.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ttery pack of Fig.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of the battery pack of FIG.
  •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three axes.
  •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ttery pack of FIG.
  •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ower side wall 110, a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a third lower side wall 130 An upper case 200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case 100 and an upper case 200 housed in the lower case 100 and sealed by the upper case 200 and hav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Not shown).
  •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to receive the battery unit 300 and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may be coupled through a fastening member 190.
  • a sealing member 180 may further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200 and the lower case 100.
  • the sealing member 18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80a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100 as a closed loop type ring.
  • the sealing member 180 may function to seal between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 the lower case 10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50 and a first lower side wall 110, a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a third lower side wall 130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50.
  • the bottom surface 15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may include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may extend in the + z direction from one long side of the bottom surface 150 and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may extend from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150 And may extend in the + z direction from the short side and the other short side.
  •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Referring to FIG. 2, the bottom surface 15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x-y plane.
  •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x-z plane, and the second and third lower side walls 120, 13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z-y plane.
  • one side of the lower case 100 may be in an open form.
  • the lower cas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ree sides are surrounded by a first lower side wall 110, a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a third lower side wall 130.
  •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is at least A part of which is opened.
  • the lower case 100 can easily mount the battery unit 300 to the lower case 100 through the open side.
  • the lower case 100 of FIG. 2 is shown as being completely ope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110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however, the height of the side wall may be such that the battery case 30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lower case 100.
  • the upper case 20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lower case 100 with the battery part 300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1, a combination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may be substantially in the form of a hexahedron.
  • the upper case 200 includes a top surface 250 and a first upper side wall 210, a second upper side wall 220, a third upper side wall 230, and a third upper side wall 230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250 in the -z direction.
  • the upper surface 25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and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 the top surface 250 may include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in a rectangular shape.
  • the second upper side wall 220 may extend in the -z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250 and the third upper side wall 230 may extend in the -z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250 have.
  • the second upper side wall 220 and the third upper side wall 23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250 and the fourth upper side wall 240 may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250.
  •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and the fourth upper side wall 240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and the fourth upper side wall 240 may face each other but not completely correspond to each other. That is,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z-axis of the fourth upper sidewall 24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z-axis of the first upper sidewall 210.
  •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terminals 201 and 202 may be located in the upper case 200.
  •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terminals 201 and 2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300 incorporated in the case 100 and 200.
  • a plurality of bus bars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terminals 201 and 202 and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terminals 201 and 202 may be connected to the lead plate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 the first external terminal 201 may have a polarity and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202 may have a negative polarity.
  • the first external terminal 20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ead plate (not shown), and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202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ead plate (not shown).
  •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terminals 201 and 2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lead plates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 [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and may be received within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 the battery uni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terminal 311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312 and may have a vent hole 313 capable of discharging gas therei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
  • a barrier 314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 the barrier 314 is provided with a spacer 320a to separate a plurality of neighboring battery cells 310 and form a space between the battery cells 310 to cool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 And the like.
  • each of the battery cells 310 connects terminals of other adjacent battery cells 310.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so that the battery unit 300 may be arranged in a hexahedron shape.
  •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are aligned in parallel with the xz plan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arallel to other plan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or the connection method .
  • a holder unit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ttery unit 300 and the upper case 200.
  • the holder portion 4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and FIG.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case 100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battery unit 300 is mounted on the lower case 100 of the battery pack of FIG. .
  • the lower case 100 includes a bottom surface 150, a first lower side wall 110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50, a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a third lower side wall 130, . ≪ / RTI >
  •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is rectangula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may be in the form of a rectangle extending from the long side of the bottom surface 150.
  •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may have the same shape.
  •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150 and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may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5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 Each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so as to face each other.
  • the bottom surface 15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may include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to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50 in the same shape as the side wall.
  •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may extend from the long side of the bottom surface 150 as the main side wall and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may extend as the sub side wall, As shown in FIG.
  •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 the side facing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may be at least partially open. Accordingly,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can be easily embedded in the lower case 100.
  • the lower case 100 of FIG. 3 is shown as being completely open on the side opposite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110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however, the height of the side wall may be such that the battery case 30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lower case 100.
  • inner walls 121 and 131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of the lower case 100, respectively.
  • the inner wall 121 may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lower wall 120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lower wall 120.
  • the inner wall 131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 the inner walls 121 and 131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 the inner walls 121 and 131 may have a first height 121h with respect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50 and the second and third lower walls 120 and 130 may have a first height 121h with respect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50 And may have a second height 120h.
  • the first height 121h of the inner walls 121 and 131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120h of the second and third lower side walls 120 and 130 in this embodiment.
  • the inner walls 121 and 131 can function to support the upper case 200 from the inside when the upper case 200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100.
  • Each of the inner walls 121 and 131 may include protrusions 121a and 131a and inlet portions 121b and 131b. 3, the protrusion 121a of the inner wall 121 protrudes in the + x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131a of the inner wall 131 protrudes in the -x direction.
  • the second upper side wall 220 and the third upper side wall 1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of the lower case 100 230 are formed so as to engage with the protrusions 121a, 131b and the inlet 121b 131b of the inner walls 121, 131 so that the upper case can be engaged with the lower case 100 And to provide more solid support.
  • a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extend along the + y direction.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short side of the bottom surface 150, that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or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 a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nd may not be disposed on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ar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econd-1 ribs 162a and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locat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second ribs 162b.
  • Each of the second-1 ribs 162a and the second-second ribs 162b may form a pair of the second ribs 162.
  • FIG. 4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unit 300 is mounted on the lower case 100. 3 and 4, a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nd a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are formed in a slot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can be seated, .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is formed so that the individual battery cells 310 can be respectively seated.
  •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have a first height 161h
  •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may have a second height 162h.
  •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form a step from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which are seated o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nd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nd are form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Therefor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cells 310 to maintain the intervals between the cells.
  • one side of the lower case 100 has an opened shape.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of the lower case 100 may have an open shape.
  •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open side of the lower case 100 may be provided with a terrace portion 160.
  • Various members such as a circuit boar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unit 300 may be located in the terrace unit 160.
  •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not extend to the terrace portion 160.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extend from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side to extend before the terrace portion 160.
  •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ttery cell 310. In the embodiment of FIG. About 2/3 of the width in the y-axis direction. Therefore, the terrace portion 160 can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1/3 of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150 in the y-axis direction.
  • the widths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inner walls 121 and 131 located on the inner sides of the second lower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wall 130 are larger than the widths of the first ribs 161, Axis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so that the size of the inner walls 121 and 131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
  • the width of the inner walls 121 and 131 in the y-axis direction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and the height of the inner walls 121 and 131 in the z-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battery cells 310.
  • These inner walls 121 and 131 can protect the battery unit 300 by prot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disposed at the outermost positions.
  • FIGS. 5 and 6 show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ounted on the lower case 100.
  • a battery cell 310 mounted on the first rib 161 is shown.
  • the battery cells 310 may be placed on the first ribs 161.
  • the first ribs 161 may be provided to have a first height 161h based on the upper surface 150a of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 the battery cell 310 may be placed on the first rib 161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by a first height 161h.
  • the first rib 161 may include a jaw portion 161a located on one side.
  • the jaw portion 161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310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jaw portion 161a.
  • the battery cell 310 may be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110c of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of the lower cas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61w as the jaw portion 161a is protruded.
  • the first rib 161 may be formed as a first length 161d except for the jaw portion 161a.
  • the battery cell 310 is dispos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1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12 face the open side of the lower case 100. Therefore,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161d of the first rib 161.
  •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310 wher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1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12 are loca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rib 16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50 by a first height 161h.
  • the first rib 161 may be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as described above.
  •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nd a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respectively.
  •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is seated o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nd can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disposed on both sides.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directly assembled to the bottom surface 150 of the lower case 100 as a slot type.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in a forced fit manner, for example.
  •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may have a second height 162h and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may have a first height 161h.
  • the second height 162h of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may be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161h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are portions wher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are directly seat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is connected to the lower case 100 The first height 161h and the second height 161h.
  •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161 to inser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310w.
  • the first gap 310w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equal to the width 162w of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162 in the x-axis direction.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can be prepared for swelling and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can be prevented (thermal propagation).
  • Fig.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wall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are coupled.
  •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end portions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may be formed in a step shape rather than a straight line shape and a step shape of the upper case 200 may be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tep shape of the lower case 100 have.
  • the ends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of the lower case 100 may have a step shape, and the second upper side wall 220 and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of the upper case 200 And may be formed in a stepped shap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d of the upper side wall 230.
  •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second upper side wall 220 of the upper case 200 are shown.
  • the third lower side wall 130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third upper side wall 230 of the upper case 200 are not separately shown but may have the sam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FIG.
  •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of the lower case 100 may be lowered from one side 120a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to the other side 120b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 one side 120a of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may be understood as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may have a height gradually decreasing from one side 120a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toward the other side 120b.
  • the second lower wall 120 of the lower case 100 may include a first area A1 to a fourth area A4 that are divided according to areas.
  • the first to fourth areas A1 to A4 may be defined as areas where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is divided along the height.
  • the lower case 1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A1, a second area A2, a third area A3 and a fourth area A4 in order from the first side 120a. That is, the first region A1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height h1, which is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lower wall 110. [ The second region A2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height h2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A1. The third region A3 may be formed to have a third height h3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region A2. The fourth region A4 may be formed to have a fourth height h4 as a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region A3.
  • the first area A1 and the third area A3 may be formed at a constant height.
  • the first region A1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as described above, which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area A1 may be higher than the third height h3 of the third area A3.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third height h3 of the third area A3 may be lower than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area A1.
  • the second area A2 may have a second height h2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2 located between the first region A1 and the third region A3 may be inclined. That is, one side of the second area A2 begins to be the same as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area A1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rea A2 becomes the lower side of the third area A3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hird height h3.
  • the third area A3 may have a constant height as in the first area A1 as described above and may have a third height A3 of the third area A3 rather than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area A1, (h3) may be formed lower.
  • the third area A3 can be in contact with the fourth area A4.
  • the fourth area A4 may have a height that gradually decreases as in the second area A2. That is, the fourth height h4 of the fourth area A4 may gradually decrease from one side of the fourth area A4 adjacent to the third area A3 toward the other side.
  • the fourth height h4 of the fourth area A4 may be lowered to the bottom surface 150 at the other end of the fourth area A4. It can be understood that,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lower cas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n open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where the second area A2 and the fourth area A4 meet with the upper case 200 may be provided to have predetermined angles Q2 and Q4 from the ground. These angles Q2 and Q4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t about 35 to 55 degrees, and preferably at angles Q2 and Q4 of 45 degrees. Although the angles Q2 and Q4 of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second area A2 and the fourth area A4 in FIG. 7 are shown to be equal to each other, the angles at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second area A2 and the fourth area A4 (Q2, Q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FIG. 7 is a side view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in which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are combined. And a second external terminal 202b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upper case 200.
  • FIGS. 7 and 8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may be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190.
  •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190 is engaged
  •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190 is separated.
  •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upled by the fastening member 190 located at the end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fastening member 190 may be a hook ty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astening member 190 functions to provide a force to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 the fastening member 190 can be attached to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Lt; / RTI >
  • the fastening member 190 may be a combina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190a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90b.
  • the first fastening member 190a may be located in the lower case 10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90b may be located in the upper case 200.
  • the first fastening member 190a may have a protruding structure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90b may have a ring-like structure into which the first fastening member 190a can be inserted.
  • the fastening member 19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such that the projected first fastening member 190a is fit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90b in the form of a ring.
  •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90 may be provided, and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members 19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7 shows a side where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0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second upper side wall 220 of the upper case 200 meet with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and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Respectively.
  • the sum HS1 of the height of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height of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of the upper case 200 constituting one side S1 of the battery pack may be constant. That is,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and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and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 the sum of the heights (HS1) may be the same.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unit 300 to which the holder unit 400 is coupled in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lder unit 400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It is a perspective view.
  • FIG. 9 shows a battery unit 300 and a holder unit 400 except for the low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200 described above. In FIG. 10, only the holder unit 400 is disclosed.
  • a battery unit 300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is provided, and the battery unit 3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extending substantially in the x-axis direction.
  • a plurality of bus bars 32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unit 300.
  • Each of the plurality of bus bars 320 may be arranged to contact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may be located in the x-z plane, i.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50.
  • the holder portion 400 is disposed on the battery portion 300 and may be disposed to cover at least two sides of the battery portion 300.
  • the holder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holder member 410 and a second holder member 420 bent at predetermined angles, and the first holder member 4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420 Can be positioned on the battery unit 300, respectively.
  • the first holder member 410 may be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bus bars 32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420 may support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on the upper portion. 9, the first holder member 410 may be located on the x-z plane,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420 may be located on the x-y plane.
  • the holder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lder member 420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holder member 410 in addition to the first holder member 410 covering the plurality of bus bars 320 It is possible to function to support the battery unit 300 as a whole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fixing member.
  • the holder portion 400 can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s described above.
  • the hold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bent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that is, the holder 400 may be formed in a letter shape.
  • the first holder member 410 of the holder unit 400 may be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bus bars 320.
  • the plurality of bus bars 320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us bars 32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along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 a vent hole 313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vent hole 31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bus bars 320 when viewed from the plurality of bus bars 320.
  • an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ttery unit 300 and the first holder member 410 of the holder unit 400.
  • the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may be a gasket capable of preventing leakage of gas by a heat resistant material.
  • heat is generated as the charge / discharge progresses.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can radiate high heat to the surroundings, and by this heat, the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mounted on the battery unit 300 can be melted.
  • the sealing ability between the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and the holder portion 400 is reduced, and the gas may leak.
  • the battery unit 300 and the holder unit 400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 battery unit 300 and the holder unit 400 are not easily contacted with each other, It may leak.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as a gasket between the battery unit 300 and the holder unit 400. The battery unit 300 and the holder unit 400 Can be easily maintained.
  • the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because it can close a plurality of vent holes 313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at a time. At this time, the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413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vent holes 313.
  •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413 is preferab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313. If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413 is larger than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313, the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is not directly contacted with the hot ga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vent holes 313 It is less likely to melt.
  • the holder 400 may have a discharge port 415 at one side thereof and closely contact with the insulating gasket member 430 to form a gas flow path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415.
  • gas may be generated as a by-product of the electrode plates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such ga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313.
  • the discharge port 415 may be cylindrical because it does not affect the adjacent battery pack. However, the discharge port 415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415,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older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member 417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second holder member 420 so as to press and fix the battery unit 300.
  • the protrusion member 417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member 420 and can press and support the battery unit 300 in the -z direction from the top,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Respectively.
  • the protrusion member 417 can press the battery unit 300 in the -z direction from the top and support the battery unit 300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battery unit 300 mounted directly on the lower case 100 without being modularized separately.
  • the holder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vent member 419 includ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in the second holder member 420 to discharge heat discharged from the battery unit 300 to the outside.
  • the vent member 419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holder member 420,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 the vent member 419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jection members 417. Fig. The airflow in the battery pack can be smoothly flowed through the ventilation member 419 and the cooling effect of the battery unit 300 can be enhanced.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case 100 and an upper case 200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ttery pack of FIG.
  •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solve the above problems.
  • a first vent 110a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lower wall 110 of the lower case 100, and a second vent 110a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upper side wall 240 of the upper case 200 And a second vent portion 110b.
  • the first vent portion 110a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lower side wall 110 of the lower case 100 and the second vent portion 110b may be formed through the fourth upper side wall 240 of the upper case 200. [ As shown in FIG.
  • the first vent 110a is positioned at the first height 110h1 with respect to the top surface 150a of the bottom 150 and the second vent 110b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150
  • first ventilation part 110a and the second ventilation part 110b use the phenomenon of convection of air, which facilitates the convection of air in the battery pack, so that the battery pack can be efficiently cooled.
  • the above-mentioned air flow (CP) is shown as an arrow in Fig. 11,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attery pack through the first vent portion 110a cools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ortion 300, passes through the battery portion 300, And can pass through the ventilation member 419 of the placed holder part 400.
  • the air flow C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entilation member 419 of the holder unit 400 passes through the space d1 separated between the holder unit 400 and the upper case 200, Can be moved.
  • the air flow CP moving to the side where the fan 510 is located can pass through the spaced apart space d2 between the first circuit substrate 520 and the second circuit substrate 530.
  • the first circuit board 520 may be a battery disconnect unit (BDU),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530 may b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 the fan 510 serves to guide the flow of air CP toward the second vent portion 110b by the rotational force an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air flow CP in the battery portion 300 .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case 100 and an upper case 200 in which the battery unit 300 is mounted, in the battery pack of FIG.
  • the existing battery pa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are stacked is mounted in the battery pack.
  • the outer case in which the battery unit 300 is built has only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internal parts and the function of packaging the battery pack without affecting the internal parts.
  • the size of the battery pack increases due to the internal module structure of the battery pack, an excessive amount of components is required in comparison with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so that the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a method of constructing an optimal battery pack.
  • the battery pack may be mounted on the upper case 200 without applying the module structure inside the battery pack which causes an increase in the weight, process,
  •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can be directly mounted inside a battery pack without a module structure by apply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ssing the battery pack 300 and increasing binding force is disclosed.
  •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242 on the upper surface 250 of the upper case 200 for pressing in the z-axis direction.
  • the support member 242 may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250 of the upper case 200 and protrude toward the battery unit 300.
  • the support members 242 are arranged in two rows in Fig. 14,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support members 242 can be modified in various embodiments.
  • a holder unit 4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attery unit 300 and the support member 242. That is, the second holder member 420 of the holder unit 40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310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one side of the battery unit 300 And the support member 242 may be provided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holder portion 400 and press the holder portion 400 and the battery portion 300 as a whole.
  • the fixing member 244 may be position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and the upper surface 250 of the upper case 200.
  • the fixing member 244 may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unit 300 side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250 and the first upper side wall 210 to press the battery unit 300.
  • the support member 242 can press the battery unit 300 in the -z direction at the top and the fixture member 244 can press the battery unit 300 in the -y direction at the side.
  • the battery unit 300 which is simultaneously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an be stably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00 through the fixing member 244 and the support member 24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되는 부품 수를 감소시켜 배터리 팩의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키고,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성능 및 안정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을 위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하측벽과, 각각 상기 제1 하측벽과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하측벽 및 제3 하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측벽과 마주보는 측은 개방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용되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본 발명은 내장되는 부품 수를 감소시켜 배터리 팩의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키고,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성능 및 안정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 하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져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카메라, 캠코더 등의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거나,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 이루어져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전기 자동차(EV)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또는 전기 자동차(EV)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고출력, 고용량을 구현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수의 배터리를 하나의 단위로 배터리 팩을 구성하고, 이러한 배터리 팩 다수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대용량 및 고출력 전원으로써 구동하게 된다.
한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의 특성상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은 진동 등으로 인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터리 팩은 모듈이라는 배터리 셀의 서브 어셈블리로 구비되며, 이러한 어셈블리는 다양한 구성 부품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 배터리 팩의 비용 및 중량을 상승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의 수명과 안전성이 중요시되며, 이를 위해 적절한 온도 유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에어 쿨링 타입(Air cooling type)의 경우 그 경로가 배터리 셀의 사이드 전면을 냉각시켜 줄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본 발명은 내장되는 부품 수를 감소시켜 배터리 팩의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키고,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성능 및 안정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하측벽과, 각각 상기 제1 하측벽과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하측벽 및 제3 하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측벽과 마주보는 측은 개방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용되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상측벽과, 각각 상기 제1 상측벽과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상측벽 및 제3 상측벽과, 상기 제1 상측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4 상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측벽과 상기 제1 하측벽, 상기 제2 상측벽과 상기 제2 하측벽, 상기 제3 상측벽과 상기 제3 하측벽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4 상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하측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는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끝 단에 배치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 체결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케이스의 끝 단에 배치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측벽 및 상기 제3 하측벽은 단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측벽은, 상기 제1 하측벽과 연결되는 상기 제2 하측벽의 일측에서 상기 제2 하측벽의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측벽은, 상기 제2 하측벽의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의 제1 높이는 상기 제3 영역의 제3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제2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영역에 접하는 제2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제3 영역에 접하는 제2 영역의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은 제4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4 높이는 상기 제3 영역에 접하는 제4 영역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경사는 35° 내지 55°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제1 하측벽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제1 상측벽의 높이의 합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제4 상측벽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의 상기 바닥면 상에 복수개의 제1 리브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리브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리브들의 높이는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제2 리브들 사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 각각은 상기 제2 하측벽 또는 상기 제3 하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리브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의 중앙부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의 일 면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버스 바들; 및 제1 홀더 부재 및 제2 홀더 부재를 갖도록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적어도 2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들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홀더 부재는 상기 배터리부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들 사이에 위치한 벤트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홀더부의 상기 제1 홀더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벤트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포함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배터리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제2 홀더 부재에 돌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2 홀더 부재에 통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제1 하측벽에 위치한 제1 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제4 상측벽에 위치한 제2 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기부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기부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홀더부 사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부를 향하도록 돌출되어 바닥면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홀더부와 접함으로써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제1 상측벽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부 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배터리부를 가압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배터리팩을 제1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되는 부품 수를 감소시켜 배터리 팩의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키고,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성능 및 안정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하부 케이스를 개략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하부 케이스에 배터리부가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팩 중 하부 케이스에 배터리부가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배터리 팩 중 하부 케이스에 배터리부가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측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홀더부가 결합된 배터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홀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배터리부가 장착된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바닥면(150)으로부터 연장된 제1 하측벽(110),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100), 하부 케이스(10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200), 하부 케이스(100) 내에 수용되어 상부 케이스(200)에 의해 밀봉되며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부(30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00) 및 상부 케이스(200)는 배터리부(300)를 수용하도록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는 체결 부재(19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100) 사이에는 실링 부재(18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180)는 폐루프 형태의 고리로써,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에 형성된 홈(18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180)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 사이를 밀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바닥면(150)과, 바닥면(150)과 연결된 제1 하측벽(110),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50)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장변과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측벽(110)은 바닥면(150)의 일 장변으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은 각각 바닥면(150)의 일 단변 및 타 단변으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측벽(120)과 제3 하측벽(130)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면(150)은 x-y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측벽(110)은 x-z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3 하측벽(120, 130)은 z-y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00)의 일 측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3면이 제1 하측벽(110), 제2 하측벽(120), 제3 하측벽(130)으로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며, 제1 하측벽(110)과 대향되는 측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개방된 일 측을 통해, 하부 케이스(100)에 배터리부(3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2의 하부 케이스(100)는 제1 하측벽(110)과 대향되는 측이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1 하측벽(110)과 대향되는 측에 제1 하측벽(110)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측벽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측벽의 높이는 하부 케이스(100)에 배터리부(3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는 배터리부(300)를 사이에 두고 하부 케이스(10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가 결합된 형태는 대체로 육면체 형태 일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는 상부면(250)과, 상부면(250)으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상측벽(210), 제2 상측벽(220), 제3 상측벽(230) 및 제4 상측벽(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250)은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닥면(150)과 마찬가지로, 상부면(250)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장변과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측벽(220)은 상부면(250)의 일 단변으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상측벽(230)은 상부면(250)의 타 단변으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상측벽(220)과 제3 상측벽(23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상측벽(210)은 상부면(250)의 일 장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4 상측벽(240)은 상부면(250)의 타 장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상측벽(210)과 제4 상측벽(24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측벽(210)과 제4 상측벽(240)은 서로 마주보기는 하나, 완전히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4 상측벽(240)의 z축에 대응하는 길이는 제1 상측벽(210)의 z축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에는 제1, 2 외부 단자(201, 20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2 외부 단자(201, 202)는 케이스(100, 200) 내에 내장된 배터리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2 외부 단자(201, 202)에는 복수개의 버스바(32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2 외부 단자(201, 202)는 이러한 버스바(320)를 통해 리드 플레이트(미도시)에 접속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1 외부 단자(201)는 양극성을 갖고, 제2 외부 단자(202)는 음극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부 단자(201)는 제1 리드 플레이트(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외부 단자(202b)는 제2 리드 플레이트(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제2 외부 단자(201, 202)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일단 및 타단의 전극과 연결된 제1, 제2 리드 플레이트(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배터리부(300)는 하부 케이스(100) 및 상부 케이스(200)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 케이스(100) 및 상부 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부(30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정렬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각각은 제1 전극 단자(311) 및 제2 전극 단자(312)를 구비하고, 특정 상황에서 내부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벤트 홀(313)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사이에는 배리어(314)가 개재될 수 있다. 배리어(314)에는 스페이서(320a)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을 이격시키고, 상기 배터리 셀(310) 사이의 공간을 형성시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 각각을 냉각시키는 냉매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배터리 셀(310)들은 인접하는 타 배터리 셀(310)의 단자간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부(300)는 육면체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단자들이 x-z 평면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자의 위치 또는 연결 방식에 따라 다른 평면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배터리부(300)와 상부 케이스(200) 사이에는 홀더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부(400)는 이하 도 9 및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하부 케이스(100)를 개략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하부 케이스(100)에 배터리부(300)가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00)는 바닥면(150)과, 바닥면(15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측벽(110),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은 직사각형 형상이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측벽(110)은 바닥면(150)의 장변으로부터 연장된 직사각형형태일 수 있다.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하측벽(120)은 바닥면(150)의 일 단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하측벽(110)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하측벽(130)은 바닥면(150)의 타 단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하측벽(110)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측벽(120)과 제3 하측벽(130) 각각은 제1 하측벽(110)과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면(15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장변과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측벽(110) 내지 제3 하측벽(130)은 측벽과 같은 형태로 바닥면(150)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하측벽(110)은 메인 측벽으로써, 바닥면(150)의 장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은 서브 측벽으로써, 바닥면(150)의 단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하측벽(120)과 제3 하측벽(130)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측벽(110)과 마주보는 측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 케이스(100)에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용이하게 내장시킬 수 있다. 도 3의 하부 케이스(100)는 제1 하측벽(110)과 대향되는 측이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1 하측벽(110)과 대향되는 측에 제1 하측벽(110)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측벽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측벽의 높이는 하부 케이스(100)에 배터리부(3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00)의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에는 각각 내벽(121, 131)이 위치할 수 있다. 내벽(121)은 제2 하측벽(1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하측벽(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벽(131)은 제3 하측벽(1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하측벽(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121, 131)은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벽(121, 131)은 제1 바닥면(150)을 기준으로 제1 높이(121h)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3 하측벽(120, 130)은 제1 바닥면(150)을 기준으로 제2 높이(120h)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벽(121, 131)의 제1 높이(121h)는 제2, 3 하측벽(120, 130)의 제2 높이(120h) 보다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내벽(121, 131)은 상부 케이스(200)가 하부 케이스(100)에 결합할 때, 내측에서 상부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각각의 내벽(121, 131)은 돌출부(121a, 131a) 및 인입부(121b, 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벽(121)의 돌출부(121a)는 +x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벽(131)의 돌출부(131a)는 -x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부 케이스(200)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00)의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에 대응하는 제2 상측벽(220) 및 제3 상측벽(230)의 내측은 상술한 내벽(121, 131)의 돌출부(121a, 131b) 및 인입부(121b 131b)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부케이스가 하부 케이스(100)와 결합함에 있어서 끼워지듯 결합될 수 있으며 더욱 견고한 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케이스(100)의 내측의 바닥면(150) 상에는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각각은 +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각각은 바닥면(150)의 단변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제2 하측벽(120) 또는 제3 하측벽(13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사이에는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 각각은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중앙부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은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일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2-1 리브(162a)들 및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타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2-2 리브(162b)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2-1 리브(162a) 및 제2-2 리브(162b)는 서로 쌍을 이루어 제2 리브(16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하부 케이스(100)에 배터리부(300)가 장착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및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각각이 안착될 수 있는 슬롯 타입(slot ty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은 낱개의 배터리 셀(310)들이 각각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은 제1 높이(161h)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은 제2 높이(162h)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의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의 높이는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상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은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으로부터의 단차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상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이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은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각각을 지지하며 셀 간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일 측은 개방된 형상을 구비한다. 즉, 하부 케이스(100)의 제1 하측벽(110)의 맞은편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의 개방된 측의 바닥면(150)은 테라스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테라스부(160)에는 배터리부(30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 기판 등 각종 부재들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테라스부(160)에는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이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은 제1 하측벽(110)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테라스부(160) 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길이는 배터리 셀(310)의 크기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으나, 도 3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길이는 바닥면(150)의 y축 방향의 폭의 약 2/3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테라스부(160)는 바닥면(150)의 y축 방향의 폭의 약 1/3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의 내측에 위치한 내벽(121, 131)의 y축 방향의 폭은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y축 방향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길이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바, 따라서 내벽(121, 131)의 크기 또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벽(121, 131)의 y축 방향의 폭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폭과 동일하며, 내벽(121, 131)의 z축 방향의 높이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내벽(121, 131)은 최외곽에 배치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을 보호함으로써 배터리부(3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팩 중 하부 케이스(100)에 배터리부(300)가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배터리 팩 중 하부 케이스(100)에 배터리부(300)가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하부 케이스(100)에 장착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리브(161)에 상에 장착된 배터리 셀(310)을 도시하고 있다. 배터리 셀(310)은 제1 리브(161) 상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브(161)들은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의 상면(150a)을 기준으로 제1 높이(161h)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셀(310)은 이러한 제1 리브(161) 상에 안착되어,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으로부터 제1 높이(161h)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브(161)는 일 측에 위치한 턱부(161a)를 포함할 수 있다. 턱부(161a)는 하부 케이스(100)의 제1 하측벽(110)과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 셀(310)의 일측 하단부는 턱부(161a)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310)은 하부 케이스(100)의 제1 하측벽(110)의 내측면(110c)과 턱부(161a)가 돌출된 만큼의 소정의 간격(161w)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1 리브(161)는 턱부(161a)를 제외하고 제1 길이(161d)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셀(310)은 제1 전극 단자(311) 및 제2 전극 단자(312)가 하부 케이스(100)의 개방된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배터리 셀(310)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제1 리브(161)의 제1 길이(161d)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셀(310)의 일측은 턱부(161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배터리 셀(310)의 제1 전극 단자(311) 및 제2 전극 단자(312)가 위치한 타측은 제1 리브(161)보다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310)의 타측은 바닥면(150)으로부터 제1 높이(161h) 만큼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의 내측면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리브(161)가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및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 사이에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각각은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상에 안착되며, 양 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은 슬롯 타입으로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에 직접 조립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은 예컨대, 억지 끼움 방식으로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은 제2 높이(162h)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은 제1 높이(161h)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의 제2 높이(162h)는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의 제1 높이(161h)보다 높을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이 직접 안착되는 부분으로,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각각은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50)으로부터 제1 높이(161h)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 각각은 복수개의 제1 리브(161)들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 사이에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삽입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각각은 소정의 간격(310w)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간의 제1 간격(310w)은 복수개의 제2 리브(162)들의 x축 방향의 폭(162w)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이 소정의 간격(310w)으로 이격됨에 따라,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이 스웰링(swelling)에 대비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간의 열 전달(thermal propagation)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측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의 배터리 팩은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가 결합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의 단부는 직선 형태가 아닌, 단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00)의 단차 형상과 맞물리도록 상부 케이스(200)의 단차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케이스(100)의 제2 하측벽(120) 및 제3 하측벽(130)의 단부는 단차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200)의 제2 상측벽(220) 및 제3 상측벽(230)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부 케이스(100)의 제2 하측벽(120)과 상부 케이스(200)의 제2 상측벽(220)을 도시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100)의 제3 하측벽(130) 및 상부 케이스(200)의 제3 상측벽(230)은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7의 형상에 준하여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의 제2 하측벽(120)은, 제2 하측벽(120)의 일측(120a)에서 제2 하측벽(120)의 타측(120b)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제2 하측벽(120)의 일측(120a)은 제1 하측벽(11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하측벽(120)은 제1 하측벽(110)과 연결되는 일측(120a)에서 타측(120b)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의 제2 하측벽(120)은 영역에 따라 구분되는 제1 영역(A1) 내지 제4 영역(A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1) 내지 제4 영역(A4)이란 제2 하측벽(120)을 높이에 따라 구획한 영역으로 정의 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일측(120a)부터 순서대로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 및 제4 영역(A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A1)은 제1 하측벽(110)과 인접한 부분으로,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과 인접한 부분으로 제2 높이(h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A3)은 제2 영역(A2)과 인접한 부분으로 제3 높이(h3)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영역(A4)은 제3 영역(A3)과 인접한 부분으로 제4 높이(h4)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하측벽(110)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인바, 제1 하측벽(11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A1)의 제1 높이(h1)는 제3 영역(A3)의 제3 높이(h3)보다 높을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영역(A3)의 제3 높이(h3)는 제1 영역(A1)의 제1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영역(A2)의 끝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A2)의 일측은 제1 영역(A1)의 제1 높이(h1)와 동일하게 시작하여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며 제2 영역(A2)의 타측은 제3 영역(A3)의 제3 높이(h3)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A3)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영역(A1)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영역(A1)의 제1 높이(h1)보다 제3 영역(A3)의 제3 높이(h3)가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영역(A3)은 제4 영역(A4)과 접할 수 있다. 제4 영역(A4)은 제2 영역(A2)과 마찬가지로 점점 낮아지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4 영역(A4)의 제4 높이(h4)는 제3 영역(A3)에 접하는 제4 영역(A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4 영역(A4)의 제4 높이(h4)는 제4 영역(A4)의 타측 끝 단에서는 바닥면(150)까지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100)의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영역(A2) 및 제4 영역(A4)이 상부 케이스(200)와 만나는 상단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Q2, Q4)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Q2, Q4)는 예컨대, 약 35°내지 55°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Q2, Q4)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의 제2 영역(A2) 및 제4 영역(A4)의 상단부의 각도(Q2, Q4)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영역(A2) 및 제4 영역(A4)의 상단부의 각도(Q2, Q4)는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도 1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가 결합한 구성의 일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200)의 일측에는 제2 외부 단자(202b)가 위치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는 체결 부재(19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체결 부재(190)가 결합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에서는 체결 부재(19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가 접하는 끝 단에 위치한 체결 부재(19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 부재(190)는 후크형(hook type)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체결 부재(190)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후크형 이외에 종래의 다른 체결 구조에 의해서도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190)는 제1 체결 부재(190a)와 제2 체결 부재(190b)의 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체결 부재(190a)는 하부 케이스(100)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 부재(190b)는 상부 케이스(20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190a)는 돌출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제2 체결 부재(190b)는 제1 체결 부재(190a)가 삽입될 수 있는 고리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190)는 돌출된 제1 체결 부재(190a)가 고리 형태의 제2 체결 부재(190b)에 끼워지듯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 부재(19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가 접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부 케이스(100)의 제2 하측벽(120)과 상부 케이스(200)의 제2 상측벽(220)이 서로 만나는 측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일 측면에 있어서 4개의 체결 부재(190)가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하측벽(110) 및 제1 상측벽(210)은 직육면체를 이루는 배터리 팩의 일면(S1)을 구성하게 된다. 배터리 팩의 일면(S1)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100)의 제1 하측벽(110)과 상부 케이스(200)의 제1 상측벽(210) 높이의 합(HS1)은 일정할 수 있다. 즉, 제1 하측벽(110)과 제1 상측벽(21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하측벽(110)과 제1 상측벽(210)의 높이의 합(HS1)은 동일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홀더부(400)가 결합된 배터리부(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홀더부(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는 전술한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를 제외한 배터리부(300) 및 홀더부(400)를 개시하고 있고, 도 10에서는 홀더부(400) 만을 개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부(300)가 구비되고, 이러한 배터리부(300)는 대략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부(300)의 일 면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버스바(320)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버스바(320)들 각각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단자들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단자들은 x-z 평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즉, 바닥면(150)과 수직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부(400)는 배터리부(300) 상에 배치되며, 배터리부(300)의 적어도 2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홀더부(400)는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제1 홀더 부재(410) 및 제2 홀더 부재(4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홀더 부재(410) 및 제2 홀더 부재(420)이 각각 배터리부(3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홀더 부재(410)은 복수개의 버스바(320)들 상에 위치하고, 제2 홀더 부재(420)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홀더 부재(410)은 x-z 평면 상에 위치하고, 제2 홀더 부재(420)은 x-y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부(400)는 복수개의 버스바(320)들을 덮는 제1 홀더 부재(410) 이외에도, 제1 홀더 부재(410)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홀더 부재(420)을 더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고정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배터리부(3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홀더부(400)는 상술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400)는 대략 90°각도로 절곡될 수 있으며, 즉, 홀더부(40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400)의 제1 홀더 부재(410)은 복수개의 버스바(320)들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버스바(320)들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단자들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버스바(320)들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단자들을 따라서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 단자들의 중앙부에는 벤트 홀(313)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버스바(320)들을 기준으로 볼 때, 벤트 홀(313)은 복수개의 버스바(320)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배터리부(300)와 홀더부(400)의 제1 홀더 부재(410) 사이에는 절연가스켓 부재(430)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가스켓 부재(430)는 내열성 재질로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300)는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열이 발생한다. 이때,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은 주변에 높은 열을 방출할 수 있고, 이러한 열에 의해 배터리부(300)에 장착된 절연가스켓 부재(430)를 녹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가스켓 부재(430)가 녹는 경우에는, 절연가스켓 부재(430)와 홀더부(400) 사이에 밀폐능이 감소되어 기체가 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터리부(300)와 홀더부(400)가 이종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배터리부(300)와 홀더부(400)는 서로 접촉이 용이하지 않고, 접촉이 취약한 부분에서 기체가 누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부(300)와 홀더부(400) 사이에는 가스켓인 절연가스켓 부재(4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연가스켓 부재(430)에 의하여 배터리부(300)와 홀더부(400) 사이의 기밀성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절연가스켓 부재(430)는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복수개의 벤트 홀(313)들을 한번에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때, 절연가스켓 부재(430)에는 복수개의 벤트 홀(313)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개구(413)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개구(413)들 각각의 크기는 복수개의 벤트 홀(313)들 각각의 크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개구(413)들 각각의 크기가 복수개의 벤트 홀(313)들 각각의 크기보다 크면 복수개의 벤트 홀(313)들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와 직접 접촉되지 않아 절연가스켓 부재(430)가 녹게 될 우려가 적기 때문이다.
홀더부(400)는 일 측에 기체의 배출구(4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절연가스켓 부재(430)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상기 배출구(415)와 연결되는 기체의 유로를 형성한다. 복수개의배터리 셀(310)들은 충방전이 진행될 수록, 극판들 및 전해액의 부산물로 기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체는 벤트 홀(313)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기체는 홀더부(400)에 구비된 배출구(4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되는데, 이때 배출구(415)는 원통형인 것이 인접한 배터리 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나, 상기 배출구(415)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홀더부(400)는 배터리부(300)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제2 홀더 부재(420)에 복수개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돌기 부재(4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돌기 부재(417)는 제2 홀더 부재(420)의 하면에 위치하여, 배터리부(300)를 상부에서 -z 방향으로 가압 및 지지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기들이 행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부재(417)는, 배터리부(300)를 상부에서 -z 방향으로 가압 및 지지하여 별도로 모듈화 되지 않고 직접 하부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부(3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홀더부(400)는 배터리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2 홀더 부재(420)에 복수개의 통기구들을 포함하는 통기 부재(4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통기 부재(419)는 제2 홀더 부재(4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통기구들이 행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기 부재(419)는 돌기 부재(41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 부재(419)를 통해 배터리 팩 내에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여 배터리부(300)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하부 케이스(100) 및 상부 케이스(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배터리 팩을 구성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수명과 안정성을 위해 배터리 팩 내부의 적절한 온도 유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공냉식(Air Cooling Type)의 경우 그 경로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측면부 전면을 냉각시켜 줄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시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00)의 제1 하측벽(110)에는 제1 통기부(110a)를 구비할 수 있고, 상부 케이스(200)의 제4 상측벽(240)에는 제2 통기부(11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통기부(110a)는 하부 케이스(100)의 제1 하측벽(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통기부(110b)는 상부 케이스(200)의 제4 상측벽(24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통기부(110a)는 바닥면(150)의 상면(150a)을 기준으로 제1 높이(110h1)에 위치하고, 제2 통기부(110b)는 바닥면(150)의 상면(150a)을 기준으로 제2 높이(110h2)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 제2 통기부(110b)가 위치하는 제2 높이(110h2)는 제1 통기부(110a)가 위치하는 제1 높이(110h1)보다 높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찬 공기는 하부에 위치하고 따듯한 공기는 상부에 위치하여 대류가 일어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한 제1 통기부(110a)를 통해 찬 공기가 배터리 팩 내부로 유입되고, 이러한 찬 공기는 배터리 팩 내부에 위치한 배터리부(300)를 냉각 시키며, 배터리부(300)를 통과한 공기는 배터리부(300)의 열을 흡수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한 제2 통기부(11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통기부(110a)와 제2 통기부(110b)의 위치는 공기의 대류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배터리 팩 내에서 공기의 대류를 용이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배터리 팩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공기의 흐름(CP, cooling path)은 도 11의 화살표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통기부(110a)를 통해 배터리 팩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터리부(300)의 측면을 냉각시키며, 배터리부(300)를 지나 배터리부(300) 상에 배치된 홀더부(400)의 통기 부재(419)를 통과할 수 있다. 홀더부(400)의 통기 부재(419)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CP)는 홀더부(400)와 상부 케이스(200) 사이에 이격된 공간(d1)을 지나 팬(510)이 구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팬(510)이 위치한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CP)은 제1 회로 기판(520) 및 제2 회로 기판(530) 사이의 이격된 공간(d2)을 지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 기판(520)은 BDU(battery disconnect unit)일 수 있으며, 제2 회로 기판(530)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일 수 있다. 팬(510)은 회전력에 의해 공기의 흐름(CP)을 제2 통기부(110b) 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배터리부(300) 내에서 공기의 흐름(CP)의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배터리부(300)가 장착된 하부 케이스(100) 및 상부 케이스(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기존의 배터리 팩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스태킹(stacking)한 모듈을 구성하여 배터리 팩 내부에 장착하는 구조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모듈 구조에서 배터리부(300)가 내장되는 외부 케이스는 내부 부품들이 영향을 주지 않고, 단순히 내부 부품들을 보호하는 기능 및 배터리 팩을 패키징하는 기능만을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팩은 내부의 모듈 구조에 의해 배터리 팩의 사이즈가 증가하고,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개수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부품들이 요구될 수 밖에 없어, 배터리 팩 전체의 중량, 공정 및 비용의 증가 등을 야기시켜 최적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식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배터리 팩을 구현함에 있어서 부품 수에 따른 중량, 공정 및 비용의 증가를 야기하는 배터리 팩 내부의 모듈 구조를 적용하지 않고, 상부 케이스(200)에 배터리부(300)를 가압하고 구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을 모듈 구조 없이 배터리 팩 내부에 직접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z축 방향의 가압을 위하여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면(250)에 지지 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42)는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면(250)의 하부에 위치하여, 배터리부(30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지지 부재(242)가 2열로 배치되어 있으나, 지지 부재(242)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배터리부(300)와 지지 부재(242) 사이에는 홀더부(400)가 개재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배터리 셀(310)들의 길이 방향(y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된 홀더부(400)의 제2 홀더 부재(420)은 배터리부(300)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지지 부재(242)는 이러한 홀더부(400)에 직접 컨택하여 홀더부(400) 및 배터리부(300)를 전체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200)의 제1 상측벽(210)과 상부면(250)의 연결 부분에는 고정 부재(244)가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부재(244)는 상부면(250)과 제1 상측벽(210)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배터리부(300) 측으로 인입되어 배터리부(300)를 가압할 수 있다.
지지 부재(242)는 상부에서 -z 방향으로 배터리부(300)를 가압할 수 있으며, 고정 부재(244)는 측면에서 -y 방향으로 배터리부(30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동시에 가압되는 배터리부(300)는 고정 부재(244)와 지지 부재(242)를 통해 하부 케이스(100) 내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Claims (27)

  1.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하측벽과, 각각 상기 제1 하측벽과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하측벽 및 제3 하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측벽과 마주보는 측은 개방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용되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상측벽과, 각각 상기 제1 상측벽과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상측벽 및 제3 상측벽과, 상기 제1 상측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4 상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측벽과 상기 제1 하측벽, 상기 제2 상측벽과 상기 제2 하측벽, 상기 제3 상측벽과 상기 제3 하측벽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4 상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하측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는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끝 단에 배치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1 체결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케이스의 끝 단에 배치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측벽 및 상기 제3 하측벽은 단차 형상을 갖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측벽은, 상기 제1 하측벽과 연결되는 상기 제2 하측벽의 일측에서 상기 제2 하측벽의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측벽은, 상기 제2 하측벽의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의 제1 높이는 상기 제3 영역의 제3 높이보다 높은,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제2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영역에 접하는 제2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제3 영역에 접하는 제2 영역의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배터리 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은 제4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4 높이는 상기 제3 영역에 접하는 제4 영역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배터리 팩.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경사는 35° 내지 55°인, 배터리 팩.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제1 하측벽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제1 상측벽의 높이의 합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제4 상측벽의 높이와 같은, 배터리 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삽입되는, 배터리 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의 상기 바닥면 상에 복수개의 제1 리브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리브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리브들의 높이는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의 높이보다 높은,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제2 리브들 사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 상에 안착되는, 배터리 팩.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 각각은 상기 제2 하측벽 또는 상기 제3 하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터리 팩.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리브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리브들의 중앙부에는 배치되지 않는, 배터리 팩.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의 일 면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버스 바들; 및
    제1 홀더 부재 및 제2 홀더 부재를 갖도록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적어도 2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들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홀더 부재는 상기 배터리부의 상면 상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버스 바들 사이에 위치한 벤트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홀더부의 상기 제1 홀더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벤트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포함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배터리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제2 홀더 부재에 돌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2 홀더 부재에 통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제1 하측벽에 위치한 제1 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제4 상측벽에 위치한 제2 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기부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기부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홀더부 사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배터리 팩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부를 향하도록 돌출되어 바닥면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홀더부와 접함으로써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가압하는, 배터리 팩.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제1 상측벽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부 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배터리부를 가압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배터리부를 제1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배터리부를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가압하는, 배터리 팩.
PCT/KR2018/012340 2017-12-12 2018-10-18 배터리 팩 WO201911744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75322.9A CN111373567B (zh) 2017-12-12 2018-10-18 电池组
EP18889344.0A EP3726607A4 (en) 2017-12-12 2018-10-18 BATTERY PACK
US16/770,122 US11721851B2 (en) 2017-12-12 2018-10-18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47A KR102119152B1 (ko) 2017-12-12 2017-12-12 배터리 팩
KR10-2017-0170447 2017-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449A1 true WO2019117449A1 (ko) 2019-06-20

Family

ID=6681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2340 WO2019117449A1 (ko) 2017-12-12 2018-10-18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21851B2 (ko)
EP (1) EP3726607A4 (ko)
KR (1) KR102119152B1 (ko)
CN (1) CN111373567B (ko)
WO (1) WO2019117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8094B (zh) 2019-09-04 2022-04-29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
DE102021102523A1 (de) * 2020-02-07 2021-08-12 Sk Innovation Co., Ltd. Batteriepack-untereinheit und batteriemodul enthaltend diese
WO2021253355A1 (zh) * 2020-06-18 2021-12-23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外壳及带有该电池外壳的电池包
CN213752957U (zh) * 2020-06-19 2021-07-20 凯博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KR20220026790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2421164B (zh) * 2020-11-18 2022-04-15 西安电子科技大学芜湖研究院 一种电池模组快速组装及快速散热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069A (ko) * 2009-04-30 2012-01-19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동력 배터리 모듈
KR20120055158A (ko) * 2010-11-23 2012-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KR101243371B1 (ko) * 2012-01-16 2013-03-13 (주)미섬시스텍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30039291A (ko) * 2011-10-11 2013-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60132143A (ko) * 2011-10-10 201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8998B2 (ja) * 2003-02-04 2008-04-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EP1852924B1 (en) 2005-02-18 2014-06-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pack
JP4283833B2 (ja) 2006-09-06 2009-06-24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CN201185201Y (zh) 2008-04-14 2009-01-21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锂电池组的减震器
US20100275619A1 (en) 2009-04-30 2010-11-04 Lg Chem, Ltd. Cooling system for a battery system and a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system
JP5474426B2 (ja) * 2009-07-10 2014-04-16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1146677B1 (ko) 2009-10-30 2012-05-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버스바홀더
KR101108181B1 (ko) * 2009-11-27 2012-01-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US9065111B2 (en) * 2010-05-26 2015-06-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297176B1 (ko) 2010-06-03 201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KR101680709B1 (ko) 2010-11-12 2016-1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케이스
KR101395842B1 (ko) * 2010-12-28 2014-05-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EP2693519B1 (en) 2011-03-31 2016-11-23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JP5966371B2 (ja) 2012-01-16 2016-08-10 株式会社Gsユアサ 電源装置
US9660231B2 (en) 2012-02-03 2017-05-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20140045006A1 (en) 2012-08-13 2014-0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1533992B1 (ko) 2012-09-18 2015-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KR20140062622A (ko) * 2012-11-14 2014-05-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KR101430620B1 (ko) 2013-02-01 2014-08-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960076B2 (ja) 2013-02-13 2016-08-02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構造
KR101709555B1 (ko) 2013-07-31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US10044018B2 (en) * 2013-09-06 2018-08-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lid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405912B2 (ja) 2014-11-10 2018-10-1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JP6135694B2 (ja) 2015-02-20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池
JP6348076B2 (ja) * 2015-02-24 2018-06-27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069A (ko) * 2009-04-30 2012-01-19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동력 배터리 모듈
KR20120055158A (ko) * 2010-11-23 2012-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KR20160132143A (ko) * 2011-10-10 201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30039291A (ko) * 2011-10-11 2013-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243371B1 (ko) * 2012-01-16 2013-03-13 (주)미섬시스텍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726607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3567A (zh) 2020-07-03
US11721851B2 (en) 2023-08-08
KR102119152B1 (ko) 2020-06-04
CN111373567B (zh) 2023-03-10
EP3726607A1 (en) 2020-10-21
KR20190070006A (ko) 2019-06-20
US20200350530A1 (en) 2020-11-05
EP3726607A4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7449A1 (ko) 배터리 팩
WO2019107717A1 (ko) 방열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WO2021107336A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8105905A1 (ko) 배터리 팩
WO2021145706A1 (ko) 방염 시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19177275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2044065A2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WO2015016564A1 (ko)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9027150A1 (ko) 배터리 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20256304A1 (ko) 가스배출통로를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장치
WO2021118028A1 (ko) 인근 모듈로의 가스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
WO2021040293A1 (ko) 셀 프레임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WO2019004553A1 (ko) 배터리 모듈
WO2021075780A1 (ko) 배터리 팩 및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WO2021206383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201408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08281A1 (ko)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5443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778A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5046635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WO2022059936A1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221295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1075688A1 (ko) 전지 모듈 및 이을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096193A1 (ko) 전지 모듈
WO2023229139A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93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893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713